KR100535473B1 -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473B1
KR100535473B1 KR10-2003-0061805A KR20030061805A KR100535473B1 KR 100535473 B1 KR100535473 B1 KR 100535473B1 KR 20030061805 A KR20030061805 A KR 20030061805A KR 100535473 B1 KR100535473 B1 KR 10053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tor
lamp
headlamp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011A (ko
Inventor
이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4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8Automatic calibration of motor-driven means for adjusting headlamps, i.e. when switching on the headlamps, not during mounting at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조등램프앞에 설치된 렌즈 및 이 렌즈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1구동원, 전조등램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제2구동원 및 전조등램프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한 쌍의 제3구동원을 포함함으로써 빛의 광량, 세기 및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전조등을 조절함으로써 시인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Control system for a front light bulb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주위의 조도,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의 주행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전조등의 상하 및 좌우 경사각도와 빛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에 관한 선행 기술을 도1a 내지 도1c를 참조로 살펴본다.
도 1a에 도시한 장치는 핸들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전조등의 조사 방향이 좌우로 회동되게 하고 나아가 전조등을 상하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조사할 수 있게 하여 노면 상태를 감지하고 장애물을 미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전조등의 회동을 위한 기구는 모터의 피니언, 기어 및 힌지기구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b에 도시한 장치는 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의 광량에 따라 가변 전류를 출력하는 다수의 광센서(10‘)와, 광센서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 입력된 광량과 거리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과 비교하여 소정의 값 이상일 경우 상향등을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0’)과, 상향등(40‘)과, 마이컴의 제어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마이컴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향등을 점 소등시키는 상향등 작동제어부(30’)와, 마이컴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향등의 점/소등을 자동으로 할 것인지 또는 수동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신호를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받아 동작하는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상향등 자동작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 도 1c에 도시한 장치는 속도 감응형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하이빔과 로우빔으로 자동 구분되어 전방에 비추는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감응형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감지센서(6“)와, 상기 속도감지센서(6”)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V변환기(5“)와, 상기 F/V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임계치 이하이면 로우모드 제어신호를 임계치 이상이면 하이모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와, 상기 제어기(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서보모터(3”)와, 상기 서보모터(3“)의 동작에 따라 전조등(1”)의 중심선을 아래로 내리거나 반대로 들도록 하는 베벨기어(2“)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은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 장치, 자동차 상향등 자동작동장치, 속도 감응형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전조등을 좌우로 움직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한다는 면등에서는 효용성이 있으나 스티어링 휠의 각을 측정하여 전조등을 정확하게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번째 및 세 번째 방식은 단순히 상향등의 온 오프 제어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차량 주위의 조도,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의 주행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전조등의 상하 및 좌우 경사각도와 빛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의 속도, 전방의 조도 및 주행 상태의 요소를 고려하여 차량의 전조등의 회동 및 빛의 세기등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조등램프앞에 설치된 렌즈 및 이 렌즈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1구동원, 상기 전조등램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제2구동원, 상기 전조등램프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한 쌍의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1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사이에 상기 렌즈를 입설하고, 상기 제2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상기 전조등램프를 지지하는 브라켓트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3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은 전조등램프를 둘러싼 케이스의 후벽부를 이루는 지지대와 치합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차량의 전조등 제어시스템은 차량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 및 차량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토대로 전조등램프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기, 상기 한쌍의 제1구동원 드라이버, 상기 제2구동원 드라이버 및 상기 한 쌍의 제3구동원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기구는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의 구성등 여하한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장치는 전조등램프(L)와, 전조등램프(L) 전방에 설치된 렌즈(L')와, 상기 렌즈(L')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렌즈모터(M1)와, 전조등램프(L)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램프모터(M2)와, 전조등 램프(L)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램프모터(M3)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전후렌즈모터(M1)의 피니언과 치합하여 래크(300)가 설치되고, 상기 래크(300)의 선형 이동에 의하여 래크(300)사이에 입설된 렌즈(L')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하램프모터(M2)는 전조등램프(L)의 중앙쪽 후방으로 차체에 설치되며, 케이블(306)이 모터(M2)의 피니언을 중심으로 양편의 롤러(304,304)를 좌우 회전축삼아 램프지지브라켓트(302,302)에 팽팽하게 연결됨으로써, 상하램프모터(M2)의 구동으로 케이블(306)이 피니언에 권취되거나 해제되는 장력에 의하여 전조등램프(L)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한쌍의 좌우램프모터(M3)의 피니언은 전조등램프를 둘러싼 케이스의 후벽부를 이루는 지지대(308)와 치합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M3)중의 하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다른 모터(M3)는 반대의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됨으로써, 두 모터(M3)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대(308)의 한쪽편이 기울어지도록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하여 제어된다. ECU(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메모리, 프로그램등으로 구성되며, ECU(10)에 신호를 전송하는 입력 유닛으로는 조도센서(12), 차속센서(14), 조향각센서(16) 및 휠센서(18)가 있다. 조도센서(12)는 기지의 것으로 차량 전방의 윈드실드글래스 바로 하단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실제 전방을 바라보았을 때의 조도값을 측정한다. 차속센서(14), 조향각센서(16) 및 휠센서(18)는 공지의 여하한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ECU(10)의 출력단은 전류제어기(22), 전후렌즈모터드라이버(24), 상하램프모터드라이버(26) 및 좌우램프모터드라이버(28)와 연결되어 있다. 전류제어기(22)는 전조등램프로 흐르는 전류량을 증감하여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 전후렌즈모터드라이버(24), 상하램프모터드라이버(26) 및 좌우램프모터드라이버(28)는 상술한 각각의 모터(M1,M2,M3)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서, ECU(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각각의 모터(M1,M2,M3)를 일방향 혹은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ECU(10)가 행하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동작은 (S100)이하의 전류제어에 의한 광량조절단계, (S200)이하의 차량속도에 의한 빛의 집중도 조절단계, (S300)이하의 차량의 피치각에 의한 전조등상하구동단계 및 (S400)이하의 차량의 요각에 의한 전조등좌우구동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S100)에서 ECU(10)는 조도센서(12)로부터 차량 주위의 조도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조도값이 소정의 기준범위를 만족하면, 조도값과 소정의 기준 범위와의 차이에 따라 사전 설정되어 기억된 ECU(10)의 메모리의 값을 판독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류제어기(22)로 송신하여 전류제어기(22)를 구동한다(S104). 그러면, 전류제어기(22)의 구동으로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류 크기가 조정되어 주위의 조도에 맞추어 적절하게 광량이 제어된다. 한편, 조도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다시 단계(S100)로 리턴한다.
다음, (S200)단계에서 ECU((10)는 차속센서(14)로부터 차량 속도값을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빛의 집중도를 계산한다(S202). 상기 단계(S202)는 차량 속도값을 기준으로, 차속이 고속이면 보다 전방에 빛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렌즈(L')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차속이 저속이면 이와 반대로 렌즈(L')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사전 설정된 렌즈(L')의 이동 거리를 판독함으로써 행한다. 이와 같이 판독된 수치에 대응하는 신호는 전후렌즈모터드라이버(24)에 구동 신호로 전송됨으로써(S204) 렌즈의 전후 이동에 의해 전조등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제어된다.
다음, (S300)이하 단계를 설명하기에 앞서 차량의 상태 결정 원리를 도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에서 피치각(q)은 차량의 측면 기준축(y)에 대한 상하 각을 의미하며, 요각(r)은 차량의 수직 기준축(z)에 대한 좌우각을 의미하고, 롤각(p)은 차량의 길이 방향 기준축(x)에 대한 측면각을 의미한다. 피치각(q), 요각(r) 및 롤각(p)은 차량의 무게, 길이, 속도, 조향각등의 인자를 토대로 계산된다. 또, 이상으로부터, 피치각(q)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경사 정도를 나타내므로 전조등의 상하방향제어에 활용되며, 요각(r)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좌우 이동 정도를 나타내므로 전조등의 좌우방향제어에 활용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ECU(10)는 단계(300)에서 조향각센서(16)로부터 조향각 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의 피치각을 계산하여(S302)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하램프모터드라이버에 전송하며(S302), 차량의 요각을 계산하여(S400)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좌우램프모터드라이버에 전송한다(S402). 각각의 드라이버는 상하램프모터 및 좌우램프모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하여 전조등 램프가 차량의 주행 경사 및 주행 방향에 맞추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피치각등은 도 3의 조향각센서(16)뿐만 아니라 휠센서(18)의 신호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차량의 요각(r) 대신에 롤각(p)을 이용하여 좌우램프모터를 구동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이상 도 4의 플로우차트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조등램프가 전류량, 전방 주시 집중도, 상하회동 및 좌우회동의 4가지 요인에 의하여 제어됨을 원리로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제어 방식의 순서는 이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며, 둘 이상의 제어를 병행 수행하여도 좋음을 알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차속에 따른 빛의 광량뿐 아니라 렌즈의 전후제어를 통한 빛의 집중도를 제어하고, 나아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전조등 램프를 상하 및 좌우로 회동시키는 장치를 채택함으로써 시인성을 크게 개선하고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선행기술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ECU가 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5는 차량의 피치각, 롤각 및 요각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Claims (3)

  1.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조등램프앞에 설치된 렌즈 및 이 렌즈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1구동원;
    상기 전조등램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제2구동원;
    상기 전조등램프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한 쌍의 제3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사이에 상기 렌즈를 입설하고, 상기 제2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상기 전조등램프를 지지하는 브라켓트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3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은 전조등램프를 둘러싼 케이스의 후벽부를 이루는 지지대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제어장치.
  2. 삭제
  3. 차량의 전조등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 및 차량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토대로 전조등램프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기, 차량의 전조등램프앞에 설치된 렌즈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1구동원 드라이버, 전조등램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제2구동원 드라이버 및 전조등램프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사하기 위한 한 쌍의 제3구동원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제1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사이에 상기 렌즈를 입설하고, 상기 제2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과 상기 전조등램프를 지지하는 브라켓트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3구동원은 모터이며 이 모터의 피니언은 전조등램프를 둘러싼 케이스의 후벽부를 이루는 지지대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제어시스템.
KR10-2003-0061805A 2003-09-04 2003-09-04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KR10053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05A KR100535473B1 (ko) 2003-09-04 2003-09-04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05A KR100535473B1 (ko) 2003-09-04 2003-09-04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11A KR20050024011A (ko) 2005-03-10
KR100535473B1 true KR100535473B1 (ko) 2005-12-07

Family

ID=3723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05A KR100535473B1 (ko) 2003-09-04 2003-09-04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797B1 (ko) * 2009-11-25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램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797B1 (ko) * 2009-11-25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11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9425B2 (ja) Ecu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3128609B2 (ja) 車輌用灯具の照射方向制御装置
US6229263B1 (en) Lighting-direction control unit for vehicle lamp
JP4394540B2 (ja) 車両用灯具の照射方向制御装置
JP2006182100A (ja) 車両用照明装置
CN110562364A (zh) 一种自适应转向车灯的控制方法、装置以及车灯
KR100535473B1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JP3104553B2 (ja) 自動車用前照灯の照射方向自動制御機構
JP6983011B2 (ja) 前照灯制御装置
JP4055686B2 (ja) 曲線道路用前照灯に連動した車両用暗視装置
JPH0650953U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503315B1 (ko) 차량의 전조등 각도자동조절장치
JP3833822B2 (ja) 車両前照灯制御装置
KR0182211B1 (ko) 자동차 헤드 램프 빔의 기울기 자동 조절 장치
KR100488502B1 (ko) 고도 변화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 조사각 변동장치
JP2000062524A (ja) ヘッドライトの自動調整装置
JPH10181428A (ja) 自動車用前照灯の光軸角度自動調整装置
KR200162908Y1 (ko) 헤드 램프 조사각도 자동 조절장치
KR100309033B1 (ko) 자동차헤드램프의수평유지장치및그구동방법
JP2003118476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光軸調整装置
JP3941426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光軸調整装置
JP3622653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23153609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JP2005138740A (ja) 車両用前照灯光軸制御装置
JPH0672740U (ja) 車両のヘッドランプ光軸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