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232B1 -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 Google Patents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232B1
KR100535232B1 KR1020040065433A KR20040065433A KR100535232B1 KR 100535232 B1 KR100535232 B1 KR 100535232B1 KR 1020040065433 A KR1020040065433 A KR 1020040065433A KR 20040065433 A KR20040065433 A KR 20040065433A KR 100535232 B1 KR100535232 B1 KR 10053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pressor
connection
connection socke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6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압축기 결선 소켓에 형성된 단자핀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단자핀을 격리시키며, 단자핀의 규격에 제한되지 않는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압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선 소켓과, 상기 압축기 내부의 모터를 상기 결선 소켓에 연결하기 위해 접속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 형성되어 상기 결선 소켓의 단자핀이 끼워지는 접속공의 가공면에는, 상기 단자핀을 상호 격리하기 위한 분리 격벽을 포함하는 터미널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 격벽은 상기 접속공을 분할하는 Y자 형상이며 저면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면에는 상기 후크가 탈부착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 격벽이 상기 접속공의 가공면에서 착탈가능한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을 제공한다. 이로써, 압축기 작동시 결선 소켓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터미널이 대응하여 호환되면서 결선 소켓이 교체시에도 터미널을 재사용가능하여 부품이 절감되어 압축기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TERMINAL FOR CONNECTING SOCKET IN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에 내장된 모터의 전기적 결선을 위한 소켓에 연결되는 모터의 터미널이 소켓을 절연시켜 소켓의 단자핀 상호간의 전기적 불안전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가 설치되어 잠열 발열을 위한 냉매의 압축 작용을 하도록 작용하며, 이러한 압축기에는 전동식 모터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축기는 통상 설치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립 형성되기 위해 밀폐형 압축기로 단독 조립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공간과 압축용 모터부가 동시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밀폐형 압축기 또는 대부분의 압축기는 그 내부의 압축용 모터부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결선 라인이 모터로부터 인출되어 압축기 외부로 접속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밀폐형 압축기중에서 종래의 로터리식 압축기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서 도시된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스(1)의 내측으로 스테이터(2)가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에는 회전축(3)을 갖는 로터(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의 하측에 편심형성된 편심축(3a)의 외측에는 롤러(5)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편심축(3a) 및 롤러(5)는 실린더(6)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린더(6)의 상하측에는 각각 회전축(3)을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7,8)가 체결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는 실린더(6)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토출할 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머플러(9)가 체결고정되어 있으며, 실린더(6)의 측면에는 냉매의 흡입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을 감쇄시키는 어큐뮬레이터(10)가 흡입관(11)을 개재하여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머플러(9)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가스를 케이스(1)의 외측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12)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 내측의 저면에는 압축기의 방열을 위한 오일(13)이 저류되어, 압축기 작동시 별도의 오일 압송 부재나 압축기 내의 압력차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환하도록 하여 압축기를 방열시킨다.
한편, 상기 압축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압축기 내부의 로터(4)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이러한 전원 공급을 위한 결선 소켓(15)이 압축기 상부의 소정 위치에 착설되고, 상기 결선 소켓(15)의 하부에는 압축기 내부에서 터미널(20)이 압입된다.
상기 결선 소켓(15)은 외부 전원을 상기 로터(4)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중계 역할을 위하여 다수의 단자핀(16)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의 상기 단자핀(16)에 터미널(20)이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출선(미도시)이 상기 접속용 터미널(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20)이 상기 결선 소켓(15)의 하부에서 상기 단자핀(16)에 압입되도록 하여 외부의 전원이 상기 결선 소켓(15)에서 중계되어 상기 터미널(20)에서 로터(4)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선 소켓(15)과 로터(4)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20)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종래의 터미널(20)은 내부에 접속핀(22)이 터미널(20)의 접속공 (24)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접속핀(22)에는 상기 로터(4)에서 인출된 인출선(25)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공(24) 상면에는 상기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을 상호 격리시키도록 접속홀(26)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이 상기 접속홀(26)에 끼워짐과 동시에 하부의 접속핀(22)에 접촉되어 인출선(25)에 접속가능하여 외부 전원이 결선 소켓(15)으로부터 터미널(20)을 통해 로터(4)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20)에 형성된 상기 접속홀(26)은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을 보호하면서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속홀(26)은 상기 결선 소켓(15)의 특정 형상에 따라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단자핀(16)의 상호 규격 거리가 상이한 경우 단자핀(16)이 접속홀(26)에 삽입되기 곤란하여 호환성이 전혀 없게 되고, 특히 단자핀(16)이 짧은 경우에는 상기 접속홀(26)이 높이로 인하여 터미널(20) 내부의 접속핀(22)에 접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결선 소켓에 형성된 단자핀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단자핀을 격리시키며, 단자핀의 규격에 제한되지 않는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압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선 소켓과, 상기 압축기 내부의 모터를 상기 결선 소켓에 연결하기 위해 접속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 형성되어 상기 결선 소켓의 단자핀이 끼워지는 접속공의 가공면에는, 상기 단자핀을 상호 격리하기 위한 분리 격벽을 포함하는 터미널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 격벽은 상기 접속공을 분할하는 Y자 형상이며 저면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면에는 상기 후크가 탈부착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 격벽이 상기 접속공의 가공면에서 착탈가능한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전기적 공급을 위하여, 압축기의 결선 소켓(15)에 연결되는 모터의 터미널이 상기 결선 소켓(15)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호환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이 도 3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중 종래와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미널(15)은 통상 압축기에 내설된 모터의 극상에 따라 선택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3극으로서 3개의 단자핀(16)을 가지는 결선 소켓(15)에 접속가능한 터미널(15)을 예시한다.
하지만, 이하의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터미널(15)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에는 접속공(3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32)의 가공면(35) 방향으로 압축기의 결선 소켓(15)이 끼워진다.
상기 접속공(32)의 하부에는 접속핀(26)이 고정되는 구조을 가지는데, 이는 통상의 당업자간에 주지된 구성으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며, 상기 접속공(32)은 접속공(32)의 갯수에 따라 3개이지만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단일한 접속핀(26)만 도시하였다.
상기 접속핀(26)은 압축기 내부의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4; 도 4)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이 접속된 것으로, 상기 접속핀(26)은 터미널(15) 내부에서 상기 접속공(32)의 직하방에 고정되어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에 접촉가능하게 압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5)의 접속공(32)이 형성된 가공면(35)에는 상기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을 상호 격리하기 위하여 분리 격벽(36)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격벽(36)은 상기 접속공(32)을 분할하는 Y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 역시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하면서 접속공(32)의 갯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분리 격벽(36)은 상기 접속공(32)을 분할하여 격리시키는 바, 그 저면에는 상기 가공면(35)의 방향으로 후크(3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15)의 가공면(35)에는 상기 분리 격벽(36)의 후크(38)가 형성된 위치에서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 격벽(36)이 상기 접속공(32)의 가공면(35)에서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분리 격벽(36)은 후크(38)가 상기 고정홈(34)에서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분리 격벽(36)이 상기 터미널(15)의 접속공(32)이 형성된 가공면(35)에서 탈부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분리 격벽(36)은 그 높이가 다양하게 가공하여 하나의 터미널(15)에 다양한 크기 및 높이를 갖는 분리 격벽(36)이 형성 가능하여, 상기 고정홈(34)에 끼워지는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 규격에 따라 상호 다른 분리 격벽(36)을 탈부착시킴으로써 하나의 터미널(15)을 통해 다양한 규격의 결선 소켓(15)에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터미널(15)이 압축기에 설치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축기에서, 압축기 내부에 내설된 모터의 로터(4)에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로터(4)의 권선으로부터 인출선(25)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선(25)은 도 3에 도시된 터미널(15) 내부에 고정되는 접속핀(26)에 접속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5) 내부의 접속핀(26)은 상기 압축기에 착설된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과 접속된 것인데,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15)은 상기 결선 소켓(15)의 하방에서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에 공급되면, 상기 단자핀(16)으로부터 터미널(15)의 접속핀(26)을 통해 상기 로터(4)에 공급된다.
상기 로터(4)에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모터가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압축기가 작동하게 되는데, 로터(4)가 회전하면서 회전축(3)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6) 내측에서 편심축(3a)에 의하여 롤러(5)가 회전하여, 어큐뮬레이터(10)를 통해 흡입관(11)으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12)을 통해 압축 냉매를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 작동 과정에서 하부의 오일은 로터(4)의 상하부로 순환하면서 압축기를 방열시키게 되는데, 이때 오일이 상기 결선 소켓(15)에 튀게 되기도 하며, 상기 토출관(12)으로 배출되는 냉매가 결선 소켓(15)에 접촉되기도 한다.
이러한 오일 및 냉매는 결선 소켓(15)과 터미널(15)의 전기적 접속에 결함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오일과 냉매의 접근이 상기 분리 격벽(36)이 차단하여 결선 소켓(15)과 터미널(15)의 전기적 충격, 즉 불꽃 등이 방지되어 결선 소켓(15) 및 압축기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선 소켓(15)에 압입 고정된 터미널(15)은 분리된 상태에서 분리 격벽(36)이 탈거될 수 있어, 터미널(15)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결선 소켓(15)의 형태에 따라 분리 격벽(36)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터미널(15)에 탈부착시킴으로써 터미널(15)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15)의 가공면(35)에서 분리 격벽(36)이 부착된 상태에서 결선 소켓(15)에 접속되어 압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꽃 등에 의한 결선 소켓(1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며, 특히 결선 소켓(15)을 교체하는 경우 그 규격에 따라 분리 격벽(36)만을 교체하여 사용가능함으로써 터미널(15)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에 의하여, 압축기 작동시 결선 소켓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터미널이 대응하여 호환되면서 결선 소켓이 교체시에도 터미널을 재사용가능하여 부품이 절감되어 압축기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압축기 내부에 결선되는 터미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터미널이 조립된 압축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로터 3: 회전축
6: 실린더 13: 오일
22: 접속핀 25: 인출선
30: 터미널 32: 접속공
34: 고정홈 35: 가공면
36: 분리 격벽 38: 후크

Claims (2)

  1. 외부 전원으로부터 압축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선 소켓(15)과, 상기 압축기 내부의 모터를 상기 결선 소켓(15)에 연결하기 위해 접속되는 터미널(15)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5)에 형성되어 상기 결선 소켓(15)의 단자핀(16)이 끼워지는 접속공(32)의 가공면(35)에는, 상기 단자핀(16)을 상호 격리하기 위한 분리 격벽(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벽(36)은 상기 접속공(32)을 분할하는 Y자 형상이며 저면에는 후크(38)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면(35)에는 상기 후크(38)가 탈부착되기 위한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 격벽(36)이 상기 접속공(32)의 가공면(35)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KR1020040065433A 2004-08-19 2004-08-19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KR10053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433A KR100535232B1 (ko) 2004-08-19 2004-08-19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433A KR100535232B1 (ko) 2004-08-19 2004-08-19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232B1 true KR100535232B1 (ko) 2005-12-09

Family

ID=3730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433A KR100535232B1 (ko) 2004-08-19 2004-08-19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005B1 (ko) * 2012-08-10 2017-09-04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핀 격리 피처를 갖는 밀폐형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005B1 (ko) * 2012-08-10 2017-09-04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핀 격리 피처를 갖는 밀폐형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6303B (zh) 电动压缩机
JP5109642B2 (ja) 電動圧縮機
JP5209259B2 (ja) 駆動回路一体型電動圧縮機
US20080226473A1 (en) Linear compressor
JP2018517092A (ja) 圧縮機
US20110285240A1 (en) Stator, motor, and compressor
US8777594B2 (en) Compressor having wire retainer
JP2011069311A (ja) 圧縮機、組立方法
CN100504070C (zh) 端子盖、密闭型电动压缩机及制冷剂循环装置
KR100535232B1 (ko) 압축기 결선 소켓의 터미널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JP2016217291A (ja) 電動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製造方法
EP0967689B1 (en) Internal groud pin for sealed compressor
CN111120327A (zh) 电动压缩机
CN101868625B (zh) 电动压缩机的端子装置
JP4443749B2 (ja) 密閉型圧縮機
KR100690152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유닛
KR101202902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본체프레임
WO2023203951A1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KR20200125805A (ko) 전동식 압축기
JP7399909B2 (ja) 油冷式スクリュー圧縮機
KR101990137B1 (ko) 어큐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 유닛
WO2023090066A1 (ja) 電動圧縮機
KR100511323B1 (ko) 압축기의 전원 공급장치
KR101013661B1 (ko) 코드 고정장치를 구비한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