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02B1 -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02B1
KR100534402B1 KR10-2004-0021112A KR20040021112A KR100534402B1 KR 100534402 B1 KR100534402 B1 KR 100534402B1 KR 20040021112 A KR20040021112 A KR 20040021112A KR 100534402 B1 KR100534402 B1 KR 10053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vehicle
locking por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252A (ko
Inventor
정용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된 제1힌지축(30)과; 도어(10)에 고정된 제2힌지축(40)과; 상기 제1및제2힌지축(30)(40)에 양측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및제2지지프레임(50)(70)과; 일측 단부에 제1록킹부(6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축(30)에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힌지축(4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제2가동프레임(60)(80)과; 도어(10)의 외측 패널(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부(61)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1도어손잡이부(11)와; 상기 제2힌지축(40)을 록킹/언록킹하기 위해 차체에 구비되는 제2록킹부와; 차체의 외측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록킹부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2도어손잡이부(21)로 구성되어, 차량의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Device for bidirectionally opening and shutting doo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단 차량의 도어는 힌지축이 고정되어 정해진 방향으로만 도어가 개폐되며, 승합차의 경우에는 도어가 슬라이딩되어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차량에 물건을 싣는다거나 필요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도어를 개폐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차량 도어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여 이용에 많은 불편이 발생한다. 또한,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경우에는 차체와 도어 사이의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도어 창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제1힌지축과; 도어에 고정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및제2힌지축에 양측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및제2지지프레임과; 일측 단부에 제1록킹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축에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제2가동프레임과; 도어의 외측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부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1도어손잡이부와; 상기 제2힌지축을 록킹/언록킹하기 위해 차체에 구비되는 제2록킹부와; 차체의 외측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록킹부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2도어손잡이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방향 개폐장치가 리어도어에 구비된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어(10)의 외측 패널과 차체의 사이드 아웃터패널(20)에 각각 구비된 제1도어손잡이부(11)와 제2도어손잡이부(21)에 의해 양방향으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제1도어손잡이부(11)는 리어도어를 반대방향(종래의 개폐방향과 비교하여)으로 개폐할 경우에 조작하게 되며, 제2도어손잡이부(21)는 종래의 개폐방향과 같이 리어도어를 개폐할 경우에 조작하게 된다.
제1도어손잡이부와 제2도어손잡이부는 차체와 도어에 구비되는 힌지축과 다수의 프레임 또는 록킹장치와 연동하여 리어도어가 양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도어 상단)에 장착되는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차체의 센터필러 측에는 제1힌지축(30)이 고정되며, 도어에는 제2힌지축(40)이 고정된다. 제1및제2힌지축(30)(40)에는 양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제1지지프레임(50)이 연결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힌지축(30)과 제2힌지축(40)에는 제1가동프레임(60)이 구비되되, 이 제1가동프레임(60)은 일측 단부에 제1록킹부(61)가 구비되어 제1힌지축(30)에 체결되며, 타측 단부는 제2힌지축(4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가동프레임(60)은 도어 상단에 고정되어 도어와 일체로 동작한다.
제1록킹부(61)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제1도어손잡이부(11)와 연동하여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1도어손잡이부(11)를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이와 연동하여 제1록킹부와 연결된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제1록킹부(61)가 언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축(40)에는 차체에 고정된 제2록킹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록킹부의 록킹/언록킹 상태에 따라 제2힌지축(40)은 차체에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한다. 제2록킹부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제2도어손잡이부(21)와 연동하여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및제2힌지축은 중공형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차체에서 도어로 연결되는 각종 와이어가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차체에서 연장된 와이어(1)는 제1힌지축(30)과 제1지지프레임(50) 내부를 관통하여 미도시된 도어 조립체의 원도우 글라스 레귤레이터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하단에도 이와 같이 유사한 구조가 구비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어 상단과 동일하게 제1및제2힌지축(30)(40)이 구비되며, 이 제1및제2힌지축(30)(40)에는 제2지지프레임(70)의 양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측 단부에 제1힌지축(30)과 록킹/언록킹되는 제1록킹부(81)가 구비되며 제2힌지축(40)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동프레임(80)이 구비된다.
제2가동프레임(80)은 도어 하단에 고정되어 도어와 일체로 작동한다.
도어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도어 하단에 구비되는 제2힌지축은 도어 상단에 구비되는 제2힌지축과 동일하지 않을 수가 있다. 특히, 도어 상단보다 도어 하단이 짧은 경우에는 도어 개폐 시에 회동축이 상이함에 따라 도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가동프레임과 제2가동프레임의 회전 반경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제2가동프레임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가동프레임(80)은 각각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로드(82)와 제2로드(83)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며, 제1로드(82)는 도어 하단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리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써, 도면 하단이 차량의 전방을 가리킨다.
리어 도어(10)에 구비된 제1도어손잡이부(11)를 조작하게 되면, 이 제1도어손잡이부(11)와 연동하는 제1록킹부(61)는 제1힌지축(30)과 언록킹되어 리어 도어(10)는 제2힌지축(4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방된다.
이때, 제2도어손잡이부(21)와 연동하는 제2록킹부(미도시)가 제2힌지축(40)과 록킹되어 제2힌지축(40)은 고정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도 6과는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는 평면 구성도로써, 차체의 사이드 아웃터패널(20)에 구비된 제2손잡이부(21)를 조작하게 되면, 이 제2손잡이부(21)와 연동하는 제2록킹부(미도시)는 제2힌지축(40)이 언록킹되어 리어 도어(10)는 제1힌지축(3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방된다.
이때, 제1도어손잡이부(11)와 연동하는 제1록킹부(61)는 제1힌지축(40)과 록킹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양방향 개폐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가 있으므로, 차량의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장착되는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에 장착되는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도어 11 : 제1도어손잡이부
20 : 아웃터 사이드패널 21 : 제2도어손잡이부
30 : 제1힌지축 40 : 제2힌지축
50 : 제1지지프레임 60 : 제1가동프레임
61 : 제1록킹부 70 : 제2지지프레임
80 : 제2가동프레임

Claims (3)

  1. 차체에 고정된 제1힌지축과;
    도어에 고정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및제2힌지축에 양측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및제2지지프레임과;
    일측 단부에 제1록킹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축에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제2가동프레임과;
    도어의 외측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부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1도어손잡이부와;
    상기 제2힌지축을 록킹/언록킹하기 위해 차체에 구비되는 제2록킹부와;
    차체의 외측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록킹부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2도어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프레임은 두 개의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은 도선이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KR10-2004-0021112A 2004-03-29 2004-03-29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KR10053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12A KR100534402B1 (ko) 2004-03-29 2004-03-29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12A KR100534402B1 (ko) 2004-03-29 2004-03-29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52A KR20050096252A (ko) 2005-10-05
KR100534402B1 true KR100534402B1 (ko) 2005-12-08

Family

ID=3727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12A KR100534402B1 (ko) 2004-03-29 2004-03-29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52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EP1134104A1 (en) A tailgat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6722714B2 (en) Vehic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080022736A1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CN102015372A (zh) 显示装置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EP3699005A1 (en) Automobi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0534402B1 (ko) 차량의 양방향 도어 개폐장치
EP3702560A1 (en) Automobile key operation mechanism
CN115478743A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100901607B1 (ko)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KR100443967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CN209620924U (zh) 汽车尾门锁安装结构
KR1008791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0819699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0107640Y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로드 연결구조
KR101197454B1 (ko) 도어락킹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도어락킹 시스템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0230683B1 (ko) 연동하는 자동차 오토 도어락 구조
KR100475954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KR100547185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JPH076456Y2 (ja) 自動ドア開閉装置
KR20210072930A (ko) 도어의 잠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