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831B1 -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831B1
KR100533831B1 KR10-2003-0013126A KR20030013126A KR100533831B1 KR 100533831 B1 KR100533831 B1 KR 100533831B1 KR 20030013126 A KR20030013126 A KR 20030013126A KR 100533831 B1 KR100533831 B1 KR 10053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ilt
sensor
fan
fa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275A (ko
Inventor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8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외부조정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모드에 따라 카메라부를 적응적으로 구동하여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와, 카메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틸트센서와, 수신된 감시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팬/틸트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적응적으로 출력하되, 팬/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팬센서 및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틸트모터의 구동시 팬/틸트모터의 위치를 적응적으로 초기화함으로써 구동펄스의 유실에 따른 위치 오차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감시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CCTV camera having the function of position adjus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구동시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를 적응적으로 초기화하여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정확한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TV(Closed-Circuit TV, 이하 "CCTV"라 한다) 감시시스템의 일예인 스피드 돔 카메라(Speed Dome Camera)는 팬/틸트(pan/tilt) 기능에 의해 수평·수직방향으로 움직여 감시영역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카메라로서, 반구형 또는 구형의 하우징(housing)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팬 기능은 구비된 팬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수평방향으로 360°회전하는 기능이며, 틸트 기능은 구비된 틸트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수직방향으로 90°회전하는 기능으로서, 팬/틸트 기능에 의해 감시영역은 확장가능하다.
한편, 팬모터 및 틸트모터는 속도 가변이 가능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며, 돔 카메라의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텝(즉, 구동펄스)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 속도의 가감 등이 조절된다.
이러한 돔 카메라에는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초기화를 위한 팬센서 및 틸트센서가 구비되며, 돔 카메라에 전원이 온 되면 팬모터는 현재 위치에서 팬센서 위치로, 틸트모터는 현재 위치에서 틸트센서 위치로 소정 방향 이동함으로써 구동펄스의 카운터는 초기화된다. 전원이 온 된후,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이유는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에 따라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가 파악되며, 이에 의해 돔 카메라를 적응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360°회전 가능한 돔 카메라의 팬모터(10) 구동을 예로 들면, 팬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기준위치가 현재위치(P1)에 위치하는 경우, 돔 카메라에 전원이 온되면 팬모터(10)는 팬모터(10)의 기준위치가 팬센서(12)에 검출되도록 이동한다.
팬모터(10)의 기준위치가 팬센서(12)에 검출되어, 구동펄스의 카운터가 초기화되면, 팬모터(10)는 기준점이 다시 현재위치(P1)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후, 출력되는 구동펄스에 따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감시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돔 카메라는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기초로 팬모터의 회전된 위치를 파악하며 다음위치(P2)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펄스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구동펄스의 카운터가 초기화된 후 팬모터(10)의 기준점이 현재위치(P1)에서 다음위치(P2)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펄스가 90인 경우, 돔 카메라는 90의 구동펄스를 팬모터(10)로 출력한다. 즉,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가 90이면 돔 카메라는 팬모터(10)의 기준위치가 다음위치(P2)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그 다음위치(P3)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펄스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팬모터(10)의 위치초기화 및 구동펄스의 출력은 틸트모터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돔 카메라는 구동펄스에 따라 동작하는 스테핑 모터를 팬모터(10) 및 틸트모터로 적용함으로써 팬모터(10) 및 틸트모터의 구동 시, 구동펄스의 유실이 발생한다. 구동펄스의 유실은 팬모터(10) 및 틸트모터의 가감속, 회전 방향의 변화(예를 들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며, 구동펄스의 유실 개수가 누적됨에 따라 팬모터(10) 및 틸트모터는 출력된 구동펄스에 대응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돔 카메라는 전원이 온 되는 경우에만 팬모터(10) 및 틸트모터의 구동펄스 카운터를 초기화할 뿐, 구동펄스의 유실 개수가 누적되어도 팬모터(10) 및 틸트모터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팬모터(10) 및 틸트모터는 감시가 필요한 감시영역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 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촬영을 수행하지 못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가감속, 회전방향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펄스의 유실에 따른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 오차를 감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을 치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정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모드에 따라 카메라부를 적응적으로 구동하여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시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와,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틸트센서와,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적응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상기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출력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틸트모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가 기설정된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복수의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한 번씩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소정 경로로 이동하는 중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가 기설정된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감시하는 오토패닝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감시하되, 상기 감시영역 사이의 왕복이동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왕복회수는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변경가능한다.
또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선택신호가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조작 및 저장된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패턴을 수행하는 패턴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동작하되, 상기 동작패턴의 수행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수행회수가 기설정된 기준동작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원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상기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정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모드에 따라 카메라를 적응적으로 구동하여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카메라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모터 및/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팬센서 및/또는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현재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가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상기 현재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되,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상기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한 번씩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소정 경로로 이동하는 중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한다.
또한,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감시하는 오토패닝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한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가 상기 기준왕복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조작 및 저장된 상기 카메라의 동작패턴을 수행하는 패턴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동작하는 동작패턴 수행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와 기설정된 기준동작회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가 상기 기준동작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카메라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블럭도로서, 위치조정 이외의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200)는 카메라부(210), 모터부(220), 모터 구동부(230), 팬센서(240), 틸트센서(245), 저장부(250), 통신 인터페이스부(260) 및 제어부(270)를 갖는다.
도 2의 스피드 돔 카메라로 적용된 감시카메라(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6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 등의 외부조정장치(100)와 연결되며,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감시기능이 제어된다.
모터부(220)는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를 갖는다.
팬모터(222)는 카메라부(210)가 수평방향(또는 좌우) 즉,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360°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부(210)에 결합된다. 틸트모터(224)는 카메라부(210)가 수직방향(또는 상하)으로 90°회전가능하도록 카메라부(210)에 결합된다.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에는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 상의 기준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팬감응부재(미도시) 및 틸트감응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는 일예로서 속도 가변이 가능한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며, 후술할 모터 구동부(230)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 구동부(230)는 팬모터 구동부(232) 및 틸트모터 구동부(234)를 가지며,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모터부(220)를 구동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모터부(220)로서 스테핑 모터가 적용된 경우, 팬모터 구동부(232) 및 틸트모터 구동부(234)는 제어부(27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펄스 및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의 회전방향, 이동속도의 가감등을 조절하며, 이로써 카메라부(210)의 회전방향, 이동속도 등도 조절된다.
팬센서(240)는 예를 들어, 자석으로 이루어진 홀(hall) 센서를 사용하여 일정한 자장을 발생한다. 팬모터(222)가 팬모터 구동부(232)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 팬모터(222)상에 마련된 팬감응부재(미도시)가 소정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설치된 팬센서(240) 위치에 오면 팬센서(240)에는 자속이 집속된다. 이 때, 팬센서(240)는 팬감응부재(미도시)가 검출되었음을 표시하는 신호인 팬모터(222)의 기준위치 검출신호를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틸트센서(245)도 상술한 팬센서(240)와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틸트센서(245)에 의해 검출되는 틸트모터(224)의 기준위치 검출과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틸트센서(245)는 수직방향으로 90°회전하는 틸트모터(224)에 의해 두 개의 센서로 이루어지며, 틸트모터(224)의 기준위치 검출은 두 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60)는 감시카메라(200)가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외부조정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경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조정장치(100)에는 감시카메라(200)의 감시모드 선택 및 카메라부(210)의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조작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소정의 감시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감시모드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송되어 선택된 감시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250)에는 팬모터(222) 및 틸트모터(22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 프로그램이 감시모드 별로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가능한 감시모드에는 오토패닝모드, 프리셋모드, 패턴모드 및 일반감시모드가 있다.
오토패닝모드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기설정되어 저장부(250)에 저장된 두 개의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감시하는 모드이다.
프리셋모드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기설정되어 저장부(250)에 저장된 다수의 감시영역을 소정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모드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리셋모드는 현재감시영역을 감시한 후 다음감시영역으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여 다음감시영역을 감시하고, 그 다음감시영역으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여 감시하는 모드이다.
패턴모드는 소정 시간동안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조작된 카메라부(210)의 동작패턴을 저장한 후,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소정 시간동안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외부조정장치(100)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카메라부(210)의 동작패턴을 조작한 경우, 30초 동안의 동작패턴은 통신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저장부(250)에 저장되며, 패턴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부(21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동작한다.
일반감시모드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카메라부(210)의 동작패턴이 조작되면, 조작되는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카메라부(210)가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모드이다.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선택되는 소정의 감시모드 및 저장부(250)에 기저장된 모터구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시카메라(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소정의 감시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감시모드에 대응되는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 및/또는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하되,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기준위치가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팬센서(240) 및/또는 틸트센서(245)에 검출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출력된 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펄스의 수에 따라 현재 카메라부(210)의 감시위치를 파악한다.
이에 의해, 팬모터 구동부(232) 및 틸트모터 구동부(234)는 제어부(27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각각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를 적응적으로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선택된 감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제어부(27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감시카메라(200)에 전원이 온(on)되면(S310), 제어부(270)는 현재위치에 위치한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 초기화를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20).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팬모터(222)의 기준위치에 마련된 팬감응부재(미도시)가 팬센서(240)에 검출되도록 팬모터(222)를 현재위치에서 소정 방향(CW 또는 CCW)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틸트모터(224)의 기준위치에 마련된 틸트감응부재(미도시)가 틸트센서(245)에 검출되도록 틸트모터(224)를 현재위치에서 소정 방향(상, 하 중 어느 하나)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한다.
S320단계가 수행되어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하며,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를 현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 및/또는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한다(S330).
S330단계에 의해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가 현재위치로 이동되면,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감시모드를 판단한다(S340). S340단계에서 선택된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두 개의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감시하는 오토패닝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41).
S341단계에서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10)가 두 개의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되(S342), 감시영역 사이의 왕복이동회수를 카운팅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두 개의 감시영역이 도 1의 현재위치(P1) 및 다음위치(P2)인 경우,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10)가 현재위치(P1) → 다음위치(P2) → 현재위치(P1)를 이동하여 현재위치(P1)와 다음위치(P2) 사이를 촬영하면, 왕복이동회수는 '1'인 것으로 카운팅한다. 이 때, S342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구동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른 구동펄스의 개수도 카운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를 비교하여(S343),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 초기화를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44).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팬모터(222)의 팬감응부재(미도시)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틸트감응부재(미도시)가 각각 팬센서(240) 및/또는 틸트센서(245)에 검출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 및/또는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한다.
S344단계에 의해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에 의해, S342단계 내지 S344단계 수행시 발생한 구동펄스의 유실에 따른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오차는 조정되어, 카메라부(210)는 감시영역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오토패닝모드 동작 정지신호가 수신(S345)될 때까지 S342단계 내지 S344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S341단계에서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10)가 두 개의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구동펄스 및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46). 그리고,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오토패닝모드 동작 정지신호가 수신되면(S347), 제어부(270)는 오토패닝모드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S340단계에서 선택된 감시모드가 오토패닝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70)는 선택된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다수의 감시영역을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50). S350단계에서 프리셋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10)가 기설정된 다수의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순차적으로 한 번씩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때 구동펄스를 계수한다(S351).
S351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10)가 다수의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이동하는 중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기준위치가 각각 팬센서(240) 및/또는 틸트센서(245)에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52). S352단계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 초기화를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53). 즉, 제어부(270)는 팬모터(222)의 팬감응부재(미도시)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틸트감응부재(미도시)가 각각 팬센서(240) 및/또는 틸트센서(245)에 검출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 및/또는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한다.
S353단계에 의해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에 의해, S351단계에서 제1감시영역에서 제2감시영역으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시 발생된 구동펄스의 유실에 따른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 오차는 조정되어, 제2감시영역에서 제3감시영역으로 이동하여 제3감시영역을 감시할 때, 카메라부(210)는 보다 정확하게 제3감시영역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프리셋모드 동작 정지신호가 수신(S354)될 때까지 S351단계 내지 S353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S350단계에서 선택된 감시모드가 프리셋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70)는 선택된 감시모드가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조작 및 저장된 카메라부(210)의 동작패턴을 수행하는 패턴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60). S360단계에서 패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61).
S361단계에서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7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되(S362), 동작패턴 수행회수 및 구동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른 구동펄스의 개수도 카운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와 기준동작회수를 비교하여(S363),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가 기설정된 기준동작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팬모터(222)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위치 초기화를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64).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팬모터(222)의 팬감응부재(미도시) 및/또는 틸트모터(224)의 틸트감응부재(미도시)가 각각 팬센서(240) 및/또는 틸트센서(245)에 검출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팬모터 구동부(232) 및/또는 틸트모터 구동부(234)로 출력한다.
S364단계에 의해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출력된 구동펄스의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 후,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패턴모드 동작 정지신호가 수신(S365)될 때까지 S362단계 내지 S364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S361단계에서 자동 초기화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7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도록 구동펄스 및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66). 그리고, 외부조정장치(100)로부터 패턴모드 동작 정지신호가 수신되면(S367), 제어부(270)는 패턴모드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S360단계에서 선택된 감시모드가 패턴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일반감시모드 루틴을 수행하도록 한다(S368). 즉, 일반감시모드가 선택된 후 외부조정장치(100)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부(210)의 동작패턴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수신된 동작패턴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S343단계 및 S363단계에서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는 외부조정장치(100)에 의해 변경가능하며, 변경 이전 및 변경 이후의 기준왕복회수는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외부조정장치(100)는 호스트 컴퓨터, 적외선과 같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 조이스틱 등 다양한 조정장치가 적용가능하며, 원격제어기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감시기능이 제어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60)는 무선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구동펄스의 유실에 따른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 오차를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감시카메라에 적용된 소정의 감시모드 별로 팬모터 및 틸트모터의 위치 초기화 여부 선택 및 초기화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감시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돔 카메라에서 기준위치 검출을 위한 팬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외부조정장치 200 : 감시카메라
222 : 팬모터 224 : 틸트모터
232 : 팬모터 구동부 234 : 틸트모터 구동부
240 : 팬센서 245 : 틸트센서
250 : 저장부 270 :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조정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모드에 따라 카메라부를 적응적으로 구동하여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시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모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틸트센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적응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상기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출력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가 기설정된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한 번씩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소정 경로로 이동하는 중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 선택신호가 기설정된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감시하는 오토패닝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감시하되, 상기 감시영역 사이의 왕복이동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왕복회수는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감시모드선택신호가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조작 및 저장된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패턴을 수행하는 패턴모드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동작하되, 상기 동작패턴의 수행회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수행회수가 기설정된 기준동작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원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상기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7. 외부조정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모드에 따라 카메라를 적응적으로 구동하여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카메라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모터 및/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팬센서 및/또는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현재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가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상기 현재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에 따라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되,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상기 감시모드 별로 설정된 소정 주기로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복수의 상기 감시영역을 소정 경로로 한 번씩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소정 경로로 이동하는 중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기설정된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감시하는 오토패닝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두 개의 상기 감시영역 사이를 왕복이동한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와 기설정된 기준왕복회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카운팅된 왕복이동회수가 상기 기준왕복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감시모드가 상기 외부조정장치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조작 및 저장된 상기 카메라의 동작패턴을 수행하는 패턴모드인 경우,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저장된 동작패턴에 대응되게 동작하는 동작패턴 수행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와 기설정된 기준동작회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카운팅된 동작패턴 수행회수가 상기 기준동작회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의 기준위치가 각각 상기 팬센서 및/또는 상기 틸트센서에 검출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2003-0013126A 2003-03-03 2003-03-03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3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26A KR100533831B1 (ko) 2003-03-03 2003-03-03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26A KR100533831B1 (ko) 2003-03-03 2003-03-03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75A KR20040078275A (ko) 2004-09-10
KR100533831B1 true KR100533831B1 (ko) 2005-12-07

Family

ID=3736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26A KR100533831B1 (ko) 2003-03-03 2003-03-03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82B1 (ko) 2009-07-09 2011-07-08 (주)남선지티엘 카메라 제어 장치
KR101424151B1 (ko) 2012-07-16 2014-08-04 주식회사 에스 피 지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81B1 (ko) * 2006-09-28 201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모터 탈조 검출방법
KR101247302B1 (ko) * 2007-08-0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511566B1 (ko) * 2012-04-13 2015-04-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15806B1 (ko) 2020-04-24 2021-02-17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Dd모터를 이용한 cctv 카메라
KR102625216B1 (ko) * 2023-08-21 2024-01-15 오션테크 주식회사 수중 측량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82B1 (ko) 2009-07-09 2011-07-08 (주)남선지티엘 카메라 제어 장치
KR101424151B1 (ko) 2012-07-16 2014-08-04 주식회사 에스 피 지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75A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911B2 (en)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548685B2 (en) Rotating device, barrel unit, image sensing apparatus installed with the same
JP2001069494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の表示方法
JP2000083188A (ja) 監視カメラ装置
JP2001100281A (ja) 動作履歴を記録する監視カメラ装置と動作履歴の記録方法
KR100533831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US6751410B1 (en) Inertial camera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598356B2 (en) Instrument control device, variable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variable lighting device
JP5682898B2 (ja) 監視カメラ位置較正デバイス
JP2011234281A (ja) 雲台システム、及び撮影システム
JP2001069496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
US7151558B1 (en) Monitor camera system and auto-tracing impleme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24151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25070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そのチルト動作端設定方法
JP2003060972A (ja) カメラ
JP2020025170A (ja) 情報処理装置、検出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1036798A (ja) パン/チルト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511566B1 (ko) 감시 카메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220458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팬/틸트 속도 제어 방법
US5223878A (en) Remote controlled camera system
JP3597092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188865Y1 (ko) 감시용 촬영시스템
JP2001103457A (ja) 監視カメラ装置と保守点検時の動作方法
JP4723817B2 (ja) 移動機構付き撮像装置
JP2011250019A (ja) 雲台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