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318B1 -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318B1
KR100533318B1 KR1020040086030A KR20040086030A KR100533318B1 KR 100533318 B1 KR100533318 B1 KR 100533318B1 KR 1020040086030 A KR1020040086030 A KR 1020040086030A KR 20040086030 A KR20040086030 A KR 20040086030A KR 100533318 B1 KR100533318 B1 KR 10053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olyester
weight
functional
absorb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기
조계민
최광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디쎄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디쎄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8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의 무게가 1.8∼2.5㎏/㎡인 내부층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를 삽입하여 기능성 입자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Polyester Sound Absorbing Boar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의 중간층에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를 삽입하여 기능성 입자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문명이 발달해 감에 따라 각종 교통수단과 산업기계 사용에 따른 소음 발생은 심각한 공해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소음공해를 해소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것으로 기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나 운전조건이나 운전비용 및 효율 등과 서로 맞물려 개선범위는 사실상 제한을 받게된다.
따라서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방법 이외에 소음 전파의 흡음 또는 차단에 의한 소음문제 해결을 위하여 다공성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재가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흡음재로 사용되고 있는 다공성 재료로서는 유리섬유, 암면 및 합성수지 발포체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 암면을 소재로 하는 흡음재의 경우, 유리섬유는 대기 노출시 풍화작용에 의한 미립자의 발생으로 대기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폐기 처리시 재사용 및 소각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운반 및 취급시 파손 우려가 있고, 시공시 작업자의 땀 또는 습기에 의해 미립자가 피부에 접촉되어 가려움, 알레르기의 현상이 유발되므로 보호장구가 필요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기존의 상품화된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의 경우 흡음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표이면의 섬유조성을 달리한다든지 또는 표면과 내부의 섬유배열방법을 달리한 제조방법을 선정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으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의 경우 시공당시의 순간에는 우수한 흡음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다공성 물질의 특징인 수많은 기공의 특징으로 인해 실내의 비산먼지가 엉켜 불쾌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통풍성이 떨어지는 유리위주의 현대식건물에 사용시에는 보다 적극적인 기능성 즉, 주시공 대상인 회의실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악취 및 담배연기, 공조기 위주의 냉난방에서 발생하는 건조 또는 다습의 문제로 인해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근래에 들어서는 신규 건축물의 경우도 건축용 마감재나 바닥재의 취부시 사용되는 본드, 풀, 각종 바인더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인해 두통 또는 피부염 등 아토피성 질환의 호소가 많아지고 있다.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특허 제10-0428286호는 일방향성 섬유웹층, 3방향성 섬유웹층 및 일방향성 섬유웹층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터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터 흡음재는 흡음기능만 있을 뿐 다른 기능은 없다. 따라서 탈취기능이나 습도조절기능을 요할시에는 별도의 자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폴리에스테르 흡음재 자체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이 없는 수준이 아니라, 타 건축용 마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또는 각종 생활 악취, 담배연기 등을 적극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탈취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와 다량의 수분을 흡착 후 방출하는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취 기능 또는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취 기능 또는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의 무게가 1.8∼2.5㎏/㎡인 내부층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를 삽입하여 기능성 입자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 층의 두께는 4 내지 13㎜이다. 상기 기능성 입자층의 두께는 1 내지 4㎜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이다. 상기 활성화 탄소 및 흡습용 실리카겔의 입자크기는 0.5 내지 1.0mm이다. 상기 활성화 탄소 및 실리카겔의 혼합물은 활성화 탄소 10∼90중량% 및 실리카겔 90∼10중량%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탄소 50중량% 및 실리카겔 50중량%이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1대의 카드기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면서 중간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를 삽입하고, 다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을 적층한 후에, 세침가공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1.8∼2.5㎏/㎡인 섬유층의 내부층에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를 삽입하여 제조되는 탈취 및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또는 습도 조절기능을 갖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카드기 1대를 사용하는 방법과 2대의 카드기를 사용하는 방법의 2가지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대의 카드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드기는 당 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일반적인 카드기를 사용하며, 카드기의 종류로는 부직포용, 패딩용, 파일용, 방모용 등과 같은 카드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태데니어(6∼20de)용 카드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2대의 카드기를 사용하여 기능성 입자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바와 같이, 먼저 위 기술한 1.8∼2.5㎏/㎡의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에 200∼300g의 기능성 입자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1차로 0.9∼1.25㎏/㎡의 폴리에스테르 웹을 제조 후, 그 위에 기능성 입자를 필요량 만큼 부여 후, 다시 0.9∼1.25㎏/㎡의 폴리에스테르 웹을 적층한 후 세침가공을 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이 경우 기능성 입자가 일부 국부적인 범위(1mm 두께) 내에 몰려있어 세침가공의 어려움과 세침가공 후에도 결합이 원활치 않아 두층의 웹이 갈라지는 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내부의 기능성 입자가 탈락되는 제 3의 오염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대의 카드기를 사용하여 한번에 1.8∼2.5㎏/㎡의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제조하면서도 필요한 기능성 입자 10∼15중량%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제조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능성 입자를 부여시 얻게 되는 부가의 효과는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입자의 이탈이 없으며 기능성 입자들이 일부층에 국지화되는 현상이 아닌 흡음보드의 전체두께에 약 2∼3mm 범위에 비산되어 존재하므로, 기능성 입자의 분포가 넓어 기능성의 활용이 우수하며, 흡음재의 섬유간 교락을 증가시키는 세침 가공시에도 세침의 부하가 줄어들어 가공성의 용이함, 또 열풍 및 적외선 가열의 공정에서도 열풍의 통과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일반의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제조와 추가적인 제조상의 코스트가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3mm 두께 범위로 넓은 부위에 기능성 입자를 비산시키기 위해서 초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웹적층시 기능성 입자를 투입하며, 기능성 입자가 삽입된 채로 세침가공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내에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삽입하는 방법은 카딩 후에 웹적층기의 중앙에 기능성 입자의 투입구를 부착하여 적층기의 좌우이동속도와 동일하게 기능성 입자를 투입하여 균일한 량의 기능성 입자를 삽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입자의 크기 및 투입량에 대해서, 입자의 크기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 중에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의 기공의 크기가 0.05∼0.2mm의 기공크기를 갖는 점을 고려하여 0.5∼1.0mm 수준의 입경분포를 갖는 기능성 입자를 사용한다.
이때 활성 카본의 경우는 구형이 아닌 입자이므로 폴리에스테르 웹 내부에서 이탈이 어려워 보다 작은 경우도 이용이 가능하나, 실리카겔 입자의 경우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입자 형태를 갖추어 상기 언급한 크기보다 작을 경우 입자의 이탈이 가능하므로 가능한 1.0mm 수준의 타원형 입자를 선택함이 제조시 유리하다.
또한, 기능성 입자의 투입량의 경우도 가능하면 다량의 기능성 입자를 투입하면 기능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1.8∼2.5㎏/㎡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제조시 250∼350g의 기능성 입자를 적용하며, 바람직하게는 280∼300g이다. 기능성 입자의 투입량을 350g 이상 투입시 흡음보드의 표면에서 입자의 모양이 들어나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50g 이하 투입시는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기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도 1은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내에 활성화 카본 및 제습용 실리카겔의 혼합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는 제 1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1), 활성화 카본, 실리카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층(기능성 입자층)(2)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3)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대의 카드기(폭 100인치, 한국산 기계공업사)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6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5중량%와, 섬유굵기가 13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5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2.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층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에 대하여 10중량%의 활성화 탄소를 삽입함에 있어서 카드기로 카딩 후, 웹적층기의 중앙에 기능성 입자의 투입구를 부착하여 적층기의 좌우이동속도와 동일하게 기능성입자를 투입하면 균일한 량의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내의 기능성 입자층을 삽입하였다. 이때 투입량은 200g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제조시 활성화 탄소의 투입량을 300g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흡음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1대의 카드기(폭 100인치, 한국산 기계공업사)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6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5중량%와, 섬유굵기가 13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5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2.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층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에 대하여 10중량%의 흡습용 실리카겔을 삽입함에 있어서 카드기로 카딩 후, 웹적층기의 중앙에 기능성 입자의 투입구를 부착하여 적층기의 좌우이동속도와 동일하게 기능성입자를 투입하면 균일한 량의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내의 기능성 입자층을 삽입하였다. 이때 투입량은 200g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제조시 흡습용 실리카겔의 투입량을 300g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흡음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1대의 카드기(폭 100인치, 한국산 기계공업사)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6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5중량%와, 섬유굵기가 13 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5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2.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층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50중량% 및 실리콘겔 5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5중량%를 삽입함에 있어서 카드기로 카딩 후, 웹적층기의 중앙에 기능성 입자의 투입구를 부착하여 적층기의 좌우이동속도와 동일하게 기능성입자를 투입하면 균일한 량의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내의 기능성 입자를 삽입하였다. 이때 투입량은 300g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1대의 카드기(폭 100인치, 한국산 기계공업사)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6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5중량%와, 섬유 굵기가 13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5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1.0㎏/㎡인 적층후 세침가공하여 1차 폴리에스테르 웹을 제조후 기능성 입자를 400g/㎡이 되게 삽입후 동일한 웹을 덮어 2차 세침가공하여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기능성 입자량이 20중량%의 활성화 탄소를 삽입한다. 투입량은 400g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
상기 비교실시예 1의 활성화 탄소 대신에 흡습용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3]
2대의 카드기(폭 100인치, 한국산 기계공업사)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6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5중량%와, 섬유 굵기가 13데니어이고 섬유장이 6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5중량%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여 무게가 1.0㎏/㎡인 적층 후, 세침가공 없이 웹위에 기능성 입자를 뿌리고 그 위에 다시 동일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웹을 적층하여 기능성 입자를 400g/㎡이 되게 삽입하여 한번에 세침가공 하였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기능성 입자량이 20중량%의 활성화 탄소를 삽입한다 투입량은 400g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4]
상기 비교실시예 3의 활성화 탄소 대신에 흡습용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3과 같이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대한 흡음 특성 및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흡음율 측정방법은 한국공업규격 KS F 2805의 “잔향실내의 흡음율 측정방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탈취율은 KS M 7305 "가스검지관법“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흡수율은 KS F 2503 "수분율 측정법”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흡음용 보드의 흡음기능 뿐만 아니라 탈취 및 습도조절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활성화 탄소 또는 흡습용 실리카 겔을 폴리에스테르 흡음용 보드의 내부에 삽입하여 음의 난반사를 통한 보다 우수한 흡음성의 확보 및 탈취, 습도 조절기능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는 건물(회의실, 호텔, 음악연주실 등), 자동차 및 도로용 방음벽에 이용될 수 있으며, 시공시 보호장구가 필요 없고, 운송 및 시공이 편리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제 1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2: 기능성 입자층
3: 제 2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Claims (6)

  1.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mm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mm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의 무게가 1.8~2.5kg/㎡인 내부층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가 삽입되고, 삽입된 기능성 입자층의 두께가 2 내지 3mm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의 두께는 4 내지 13㎜ 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탄소 및 흡습용 실리카겔의 입자크기는 0.5 내지 1.0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화 탄소 및 실리카겔의 혼합물은 활성화 탄소 10∼90중량% 및 실리카겔 90∼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6. 1대의 카드기를 사용하여 섬유 굵기가 3∼10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40∼50중량%와, 섬유 굵기가 10∼1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30∼80㎜인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60중량%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섬유 배향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웹을 적층하면서 중간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층 100중량%에 대하여 활성화 탄소,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입자 5∼15중량%를 삽입하고, 다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웹을 적층한 후에, 세침가공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KR1020040086030A 2004-10-27 2004-10-27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30A KR100533318B1 (ko) 2004-10-27 2004-10-27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30A KR100533318B1 (ko) 2004-10-27 2004-10-27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3318B1 true KR100533318B1 (ko) 2005-12-05

Family

ID=3730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30A KR100533318B1 (ko) 2004-10-27 2004-10-27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31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58B1 (ko) 2008-12-15 2010-04-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경량 천정재
CN103306049A (zh) * 2013-06-19 2013-09-18 苏州佰家丽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针刺3d吸音体的制备方法
KR20160025792A (ko) 2014-08-28 2016-03-09 (주)에스피테크 실내장식용 준불연 흡음재
KR102117170B1 (ko) 2018-12-26 2020-05-29 이용근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방법
KR20200129614A (ko) 2019-05-09 2020-11-18 이순권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KR102228902B1 (ko) 2020-09-14 2021-03-16 이순권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흡음판 및 그 흡음판 제조방법
KR200495432Y1 (ko) 2021-08-04 2022-05-20 이순권 절첩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장식보드
KR20230012808A (ko) 2021-07-16 2023-01-26 이용근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58B1 (ko) 2008-12-15 2010-04-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경량 천정재
CN103306049A (zh) * 2013-06-19 2013-09-18 苏州佰家丽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针刺3d吸音体的制备方法
KR20160025792A (ko) 2014-08-28 2016-03-09 (주)에스피테크 실내장식용 준불연 흡음재
KR102117170B1 (ko) 2018-12-26 2020-05-29 이용근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방법
KR20200129614A (ko) 2019-05-09 2020-11-18 이순권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KR102228902B1 (ko) 2020-09-14 2021-03-16 이순권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흡음판 및 그 흡음판 제조방법
KR20230012808A (ko) 2021-07-16 2023-01-26 이용근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방법
KR200495432Y1 (ko) 2021-08-04 2022-05-20 이순권 절첩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장식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cheverria et al. Engineered hybrid fibre reinforced composites for sound absorption building applications
Na et al.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of micro-fiber fabrics by reverberation room method
CN101175881B (zh) 带有屏障外皮的无纺材料
CA2405435C (en) Equipment and duct liner insulation and method
KR101609567B1 (ko) 부직포 재료 및 이와 같은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EP2832409B1 (en) Nonwoven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ilter
KR101676351B1 (ko) 부직포 재료 및 이와 같은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JP5701390B2 (ja) 吸音特性に優れた石膏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9954B2 (ja) 音響効果天井タイル製品に有用な低密度不織材料
KR100533318B1 (ko)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7224705A (ja) カーペット層を有する室内建築用素材
ES2675366T3 (es) Placa acústica a base de lana mineral mejorada por fibra de vidrio
Patnaik Materials used for acoustic textiles
RU2770055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плита на основе гипса
JP4550609B2 (ja) 防音調湿天井構造
JP2012197666A (ja) 桟材並びに遮音パネル及び遮音方法
JP2010031599A (ja) 床衝撃音低減材、住環境改善建築構造および住環境改善化工法
JP2010043371A (ja) 有孔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94253A (ko) 폴리에스터 압착보드를 이용한 타공 흡음패널
CN207984239U (zh) 一种羊毛吸音棉
CN218906583U (zh) 冲散入厕无纺布
JPH09317047A (ja) 防音材料
JP2005220449A (ja) 調湿壁紙
JP2008231596A (ja) 吸音性に優れた繊維構造体
JPH05214695A (ja) 開口部又は肉薄部を有するシート状繊維成形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