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14A -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14A
KR20200129614A KR1020190054290A KR20190054290A KR20200129614A KR 20200129614 A KR20200129614 A KR 20200129614A KR 1020190054290 A KR1020190054290 A KR 1020190054290A KR 20190054290 A KR20190054290 A KR 20190054290A KR 20200129614 A KR20200129614 A KR 2020012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board
flame retardant
flam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266B1 (ko
Inventor
이순권
Original Assignee
이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권 filed Critical 이순권
Priority to KR102019005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3/13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supported on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방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바닥면이 함몰 형성되고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흡음보드의 거치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공급 거치대가 형성된 공급 트레이; 공급 트레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흡음보드의 이송 및 이송되는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고압 분사하여 완전 함침시키는 방염액 함침부; 방염액 함침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공급 트레이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사용된 방염액을 회수하는 회수조와, 회수조의 상부에서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방염액 함침부로부터 배출되는 흡음보드를 임시 보관하는 배출 거치대로 된 임시 보관부; 임시 보관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수조와는 제1 회수펌프로 연결되어 방염액의 수거 저장이 가능한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의 일측에서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저장탱크로부터 방염액을 배출 및 방염액 함침부로 고압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저장탱크와 공급펌프 사이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방염액의 필터링이 가능한 필터부로 된 방염액 저장공급부;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하여 일정량의 방염액만 남겨두고 탈수 처리하는 탈수부; 및 탈수된 흡음보드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구성하여,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이용하여 방염처리함에 있어, 액상의 방염액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함침과, 적정량의 방염액만을 남겨두고 탈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염성능의 향상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Flame retarding method and Flame retarding device of polyester noise-absorbable board}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방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고른 방염처리를 통해 흡음 성능은 물론, 방염 성능이 향상된 흡임보드를 얻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단열 흡음보드는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 등 각종 건축물을 시공할 때 벽면이나 천장면에 시공되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데, 단열시공이 완벽한 상태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있어서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쉽게 빼앗기지 않음에 따라 여름철 냉방장치의 작동 및 겨울철 난방장치의 작동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관리에 따른 냉,난방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단열 흡음보드의 경우 벽체에 스티로폼을 부착 시공한 상태에서 표면에 석고보드를 시공함으로 벽체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 들어 기계문명이 발달해 감에 따라 각종 교통수단과 산업기계 사용에 따른 소음 발생은 심각한 공해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소음공해를 해소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것으로 기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나 운전조건이나 운전비용 및 효율 등과 서로 맞물려 개선범위는 사실상 제한을 받게 된다.
이에, 근자에 들어 건축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소음문제의 해결을 우선시 하는 계층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수요층을 위해 외부의 기운 및 소리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각각 방지하도록, 흡음성, 방진성, 차음성 등을 갖는 내장재가 벽체구조물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으로 경량화를 이루면서 단열, 흡음, 내구성, 조습성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압축된 판체 형태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가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경우 거주자로 하여금 흡음 성능이나 단열성능 면에서 요구를 충족할 수 있었으나, 섬유조직으로 구성된 특성상 화재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시공함에 있어, 화재시 소화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시공구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구조는 상당한 장치가 시공되어 하는 것인바, 실용적이지 못하였으며, 또한 시공 단가가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533318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9010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이용하여 방염처리함에 있어, 액상의 방염액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함침과, 적정량의 방염액만을 남겨두고 탈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염성능의 향상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 바닥면이 함몰 형성되고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흡은보드의 거치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공급 거치대가 형성된 공급 트레이;
공급 트레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흡음보드의 이송 및 이송되는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고압 분사하여 완전 함침시키는 방염액 함침부;
방염액 함침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공급 트레이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사용된 방염액을 회수하는 회수조와, 회수조의 상부에서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방염액 함침부로부터 배출되는 흡음보드를 임시 보관하는 배출 거치대로 된 임시 보관부;
임시 보관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수조와는 제1 회수펌프로 연결되어 방염액의 수거 저장이 가능한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의 일측에서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저장탱크로부터 방염액을 배출 및 방염액 함침부로 고압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저장탱크와 공급펌프 사이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방염액의 필터링이 가능한 필터부로 된 방염액 저장공급부;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하여 일정량의 방염액만 남겨두고 탈수 처리하는 탈수부; 및
탈수된 흡음보드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공급 트레이에 흡음보드를 거치 장착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밀어 방염액 함침부의 공급 가압롤과 공급 가이드롤의 사이로 초기 진입 공급시키는 흡음보드 공급단계;
방염액 함침부에서 공급 가압롤과 공급 가이드롤의 가압 회전력과 상,하부 가이드롤의 안내에 의해 흡음보드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공급펌프 작동을 통해 필터부에서 필터링 된 방염액을 고압으로 공급받아 고압 분사노즐을 통해 흡음보드 상부로 분사시켜 방염액을 함침시키면서 임시 보관부로 배출시키는 방염액 함침단계;
방염액 함침부로부터 배출된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기에 수직으로 장착하고, 탈수대를 회전시켜 흡음보드에 함침된 방염액을 일부 원심 탈수시키는 탈수단계; 및
탈수된 흡음보드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수행하되,
탈수단계에서,
흡음보드의 장착은,
원심 탈수기의 흡음보드 장착대 사이에 형성되는 흡음보드 장착홈에 수직으로 장착하되,
흡음보드의 평면이 탈수기 본체의 중심을 향하게 장착하며,
방염액 함침단계에서는,
흡음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이 100~120 중량부에 해당하는 량의 방염액이 함침되게 하며,
탈수단계에서는,
흡음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이 12~15중량부에 해당하는 잔량만 남기고 탈수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은, 고압의 분사부를 통한 고압의 분사로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내부에 고르게 방염액의 함침이 가능하고, 원심 탈수기를 이용한 수직 원심 탈수를 통해 전체 면적에 대하여 방염액의 고른 탈수 및 필요한 잔량의 확보가 가능하고, 건조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전체에 고르게 방염액의 함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불에 쉽게 타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유독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등 방염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흡음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의 방염액 함침부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의 방염액 함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의 원심 탈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의 탈수대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의 흡음보드 공급단계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방염액 함침단계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의 탈수단계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의 건조단계 간략도.
도 12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에 의해 얻어진 흡음보드의 시험편 채취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는 공급 트레이(100)와, 방염액 함침부(200)와, 임시 보관부(300)와, 방염액 저장공급부(400)와, 탈수부(500)와, 건조기(600)로 구성된다.
먼저, 공급 트레이(1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흡음보드의 후술하는 방염액 함침부(200)로의 공급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급 트레이(100)는 내부가 함몰 형성되고 전후 길이를 이루는 회수조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내부 바닥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이르게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그 후방의 낮은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임시 보관부(300)의 회수조(310)와 연결되는 배수구(110)가 구성된 것으로, 배수구(110)는 후술하는 방염액 함침부(200)에서 방염액이 사용시 공급 트레이(100)로 넘어온 방염액을 임시 보관부(300)의 회수조(310)로 배수 처리하게 구성된다.
또한, 공급 트레이(100)에는 상부에 흡음보드의 거치가 가능한 공급 거치대(120)가 구성된 것으로, 공급 거치대(120)는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즉, 공급 트레이(100)에서는 공급 거치대(120)의 상부에 흡음보드를 거치 및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후술하는 방염액 함침부(200)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방염액 함침부(2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공급 트레이(10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급 트레이(100)로부터 공급되는 흡음보드를 이송 및 방염액을 분사하여 함침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방염액 함침부(20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함침부 본체(210)와, 공급 안내부(220)와, 배출 안내부(230)와, 방염액 분사부(240)로 구성된다.
먼저, 함침부 본체(210)는 전후로 개방되는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공급 트레이(100)의 후방에 연장 구성된다.
상기 공급 안내부(220)는 함침부 본체(210) 내부에서 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 트레이(100)로부터 공급되는 흡음보드를 잡아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급 안내부(220)에는 먼저 공급되는 흡음보드를 중심으로 상부에서 함침부 본체(210)에 모터(도면중 미도시함) 구동되는 축(도면중 미도시함) 결합되며 폭 방향 길이를 이루는 공급 가압롤(221)이 구성된다.
또한, 공급 안내부(220)에는 상기 공급 가압롤(221)과 대응되게 흡음보드를 중심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공급 가압롤(221)과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공급 가이드롤(222)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공급 가이드롤(222)은 함침부 본체(210)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는 축(도면중 미도시함)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간격은 흡음보드의 두께보다 소정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흡음보드가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 사이에 진입시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흡음보드를 가압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 안내부(230)는 함침부 본체(210) 내부에서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 안내부(220)로부터 배출되는 흡음보드를 후방으로 이송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배출 안내부(230)에는 먼저 상부에서 배출되는 흡음보드를 중심으로 상부에 복수의 상부 가이드롤(231)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상부 가이드롤(231)은 함침부 본체(210)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는 축(도면중 미도시함)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출 안내부(230)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롤(231)과 대응되게 흡음보드를 중심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가이드롤(231)과 대응되는 복수의 하부 가이드롤(232)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하부 가이드롤(232)은 함침부 본체(210)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는 축(도면중 미도시함)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롤(231)과 하부 가이드롤(232)의 간격은 흡음보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 큰 폭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흡음보드가 상부 가이드롤(231)과 하부 가이드롤(232) 사이에 진입되어 마찰시 자유 회전력이 부여되어 흡음보드를 후방으로 안내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방염액 분사부(240)는 상기 함침부 본체(210) 내부에서 상기 공급 안내부(220)와 배출 안내부(23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공급되는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고압 분사하여 함침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방염액 분사부(240)에는 먼저 후술하는 방염액 저장공급부(400)의 공급펌프(420)와 연결되어 방염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방염액 공급관(241)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공급 안내부(220)와 배출 안내부(230)의 사이 상부에서 폭 방향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방염액 분사부(240)에는 상기 방염액 공급관(241)으로 공급된 방염액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고압 분사노즐(242)(242')이 구성된 것으로, 고압 분사노즐(242)(242')은 방염액 공급관(241)의 하부에서 그 방염액 공급관(24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된다.
즉, 방염액 함침부(200)에서는 상기 공급 트레이(100)로부터 공급되는 흡음보드를 공급 안내부(220)에서 잡아 후방으로 이동 배출시키는 한편, 그 이동되는 흡음보드의 전체면에 방염액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깊숙한 완전 침투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임시 보관부(3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방염액 함침부(20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방염액이 함침되어 배출된 흡음보드를 후술하는 탈수부(500)로 공급하기에 앞서 임시로 거치 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임시 보관부(300)는 먼저, 전후 길이를 이루는 회수조(3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회수조(310)는 상기 공급 트레이(100)의 배수구(110)와 연결되며, 또한 그 전방이 상기 함침부 본체(2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사용된 방염액의 회수 및 이물질을 침전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임시 보관부(300)에는 회수조(310)의 상부에 흡음보드의 거치가 가능한 배출 거치대(320)가 구성된 것으로, 배출 거치대(320)는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즉, 임시 보관부(300)에서는 방염액 함침부(200)에서 사용된 방염액을 회수하는 한편, 배출된 흡음보드의 임시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방염액 저장공급부(4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임시 보관부(300)의 폭방향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방염앰의 저장과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방염액 저장공급부(400)는 먼저, 저장탱크(410)가 구성된 것으로, 저장탱크(410)는 상기 회수조(310)와 벽을 두고 연장 형성되게 구성되는 한편, 제1 회수펌프(411)로 연결되어 회수조(310)에 회수된 방염액의 수거 저장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방염액 저장공급부(400)에는 공급펌프(420)가 구성된 것으로, 공급펌프(420)는 저장탱크(410)의 일측에 공급관(421)으로 연결 형성되어 저장탱크(410)에 저장된 방염액을 상기 방염액 함침부(200)의 방염액 공급관(241)으로 고압으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또한, 방염액 저장공급부(400)에는 필터부(430)가 구성된 것으로, 필터부(430)는 저장탱크(410)와 공급펌프(4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저장탱크(410)로부터 배출되는 방염액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공급펌프(420)로 공급 가능하게 한다.
즉, 방염액 저장공급부(400)에서는 상기 회수조(310)로부터 방염액을 공급받아 저장과, 공급펌프(420)를 통해 방염액 함침부(200)로 고압 공급하는 한편, 그 공급 과정에서 필터부(430)를 통해 필터링하여 양질의 방염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등 방염액의 순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탈수부(5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를 통해 흡음보드를 탈수하되, 흡음보드에 일정량의 방염액만이 고르게 함침되도록 탈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탈수부(5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원심 탈수기(510)와, 제2 회수펌프(520)와, 탈수기 제어부(530)로 구성된다.
먼저, 원심 탈수기(510)는 내부에 흡음보드가 장착되는 한편, 그 장착된 흡음보드를 회전시켜 원심 탈수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원심 탈수기(510)에는 먼저, 탈수기 본체(511)가 구성된 것으로, 탈수기 본체(511)는 상부가 도어(511a)로 개폐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511a)의 개폐구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실린더 작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원심 탈수기(510)에는 흡음보드가 장착 및 회전하면서 탈수를 수행하는 탈수대(512)가 구성된다.
이때, 탈수대(512)는 먼저, 탈수기 본체(51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모터(도면중 미도시함)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플레이트(513)가 구성된다.
또한, 탈수대(512)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513)의 둘레에서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한편, 다수의 통공(514a)(514a')이 타공 형성된 타공드럼(514)이 구성된다.
또한, 탈수대(512)에는 상기 타공드럼(514)의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흡음보드의 수직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흡음보드 장착부(515)가 구성된다.
이때, 흡음보드 장착부(515)는 상기 타공드럼(514)의 내측에서 평면상 원형을 이루면서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게 적어도 2열 이상 복수 형성되는 흡음보드 장착대(516)(516')로 구성된 것으로, 그 흡음보드 장착대(516)(516')의 사이에 흡음보드의 장착이 가능한 흡음보드 장착홈(517)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각의 흡음보드 장착대(516)(516')는 먼저, 회전 플레이트(513)의 상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환형 하부 고정링(516a)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링(516a)의 상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복수의 측면 마감대(516b)가 구성된 것으로, 그 각각의 측면 마감대(516b) 사이로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마감대(516b)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링(516a)과 대응되는 상부 고정링(516c)이 구성된 것으로, 그 상부 고정링(516c)을 통해 각각의 측면 마감대(516b) 상부를 연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탈수부(500)의 제2 회수펌프(520)는 상기 저장탱크(410)와 원심 탈수기(510)를 관체로 연결하여, 그 원심 탈수기(510)에서 탈수된 방염액을 다시 저장탱크(410)로 수거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심 탈수기(510)의 탈수기 본체(511) 하부와 저장탱크(410)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30)는 원심 탈수기(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그 원심 탈수기(510)의 작동 시간과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탈수부(500)에서는 상기 방염액 함침부(200)에서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시켜 일정량의 방염액만이 균일하게 함침되게 하되, 장착되는 흡음보드의 평면이 탈수기 본체(511)의 중심을 향하게 수직 장착되어 회전 탈수시 그 평면 방향으로 균일한 탈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건조기(6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탈수부(500)에서 탈수된 흡음보드의 완전 건조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건조기(600)는 섬유재로 구성된 흡음보드의 특성상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열풍이나 전자파를 이용한 건조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기(600)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의 적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은 흡음보드 공급단계(S100)와, 방염액 함침단계(S200)와, 탈수단계(S300)와, 건조단계(S400)를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흡음보드 공급단계(S1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흡음보드(10)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작업자는 흡음보드(10)를 공급 트레이(100)의 상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밀어 방염액 함침부(200)의 공급 안내부(220) 즉,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사이로 초기 진입 공급시키면 되는 것으로, 그 진입된 흡음보드(10)는 그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진입 및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흡음보드(10)는 길이(2,400mm)×폭(1,200mm)×두께(9mm)의 크기, 밀도 200~240K, 중량 6,000~6,800g의 흡음보드(10)의 적용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흡음보드의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방염액 함침단계(S2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흡음보드(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적정량의 방염액을 전체에 순차적으로 함침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진입되는 흡음보드(10)는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방염액 분사부(240)에서는 그 이동되는 흡음보드(10)의 상부에서 고압으로 방염액을 분사시켜 함침 시키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염액 분사부(240)에서는 상기 공급펌프(420)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410)에 저장된 방염액을 배출 및 필터부(430)를 통과시켜 필터링 한 상태에서 고압으로 방염액 공급관(241)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방염액은 방염액 공급관(241)에 다수 형성된 고압 분사노즐(242)(242')을 통해 흡음보드(10) 상부로 고압 분사 및 내부까지 깊숙히 침투 함침시키게 된다.
이때, 이러한 방염액의 함침은 흡음보드(10)가 공급 안내부(220)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되는 것인바, 전체적으로 고른 함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흡음보드(10)에 함침되는 방염액의 량은 바람직하게는 흡음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 100~120 중량부에 해당하는 량의 방염액이 함침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서는 흡음보드(10)의 중량이 12,000g~13,000g에 해당하게 함침시킨다.
이는, 만약 방염액이 100 중량부 이하로 함침 되면, 방염액의 량이 충분치 못하여 내부까지 전체적인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120 중량부 이상으로 함침시키게 되면 충분한 함침은 가능할 수 있으나 방염액의 불필요한 낭비와 흡음보드(10)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원심 탈수기(510)로의 운반 등의 취급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있기에 100~120 중량부에 해당하는 방염액의 도포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탈수단계(S3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10)를 탈수하여 일정량의 방염액만이 함침되도록 원심 탈수를 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0을 참조하여 먼저 흡음보드(10)는 원심 탈수기(510)에 장착시 평면 장착이 아닌 수직 장착하면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흡음보드(10)는 원심 탈수기(510)의 흡음보드 장착대(516)(516') 사이에 형성되는 흡음보드 장착홈(517)에 수직으로 장착하되, 흡음보드 장착홈(517)이 평면상 원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흡음보드(10)의 평면이 탈수기 본체(511)의 중심을 향하게 장착하면 된다.
이후, 탈수대(512)를 회전시켜 탈수를 수행하여 흡음보드(10)를 탈수하여 일정량의 방염액 만이 흡음보드(10)에 함침시키고, 나머지는 탈수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흡음보드(10)의 탈수시 그 흡음보드(10)에 잔량 함침된 방염액의 량은 바람직하게는 흡음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 12~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잔량의 방염액만이 함침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서는 흡음보드(10)의 중량이 6,800g~7,800g에 해당하게 탈수 시키면 된다.
이는, 만약 방염액이 12 중량부 이하로 잔량 함침되게 되면, 방염액의 잔량이 충분치 못하여 내부까지 전체적인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15 중량부 이상으로 함침시키게 되면 건조 과정에서의 고른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도 방염액이 과도하게 흡음보드(10)의 미세 공극으로 침투되어 흡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에 12~15 중량부에 해당하는 방염액만의 잔량 함침 시킴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방염액의 잔량 함침을 위해 적용되는 탈수시간 및 회전속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흡음보드(10)의 두께 등의 규격이나 밀도 또는 방염액의 농도나 점도에 따라 반복된 실험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에서는 그 탈수시간을 5~6분, 회전속도를 300~400RPM 회전시 상기와 같은 잔량 함침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흡음보드(10)의 탈수시 그 흡음보드(10)로부터 방염액의 탈락 또한 중요한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원심 탈수시 흡음보드(10)의 수직 배치 및 면 탈락 구조를 이루게 탈수함으로 전체적인 고른 탈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일예로 흡음보드(10)를 상부 및 하부에서 가압롤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탈수하는 가압 탈수방식의 경우에는 두께에 대하여 외측에는 그 탈수가 용이하나 내부 두께 중심의 경우에는 그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되며, 특히 내부 탈수를 위해 과도한 가압 탈수를 수행시 흡음보드의 변형을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심 탈수를 수행하더라도 흡음보드(10)를 평면 형태로 장착 및 회전시키게 되면 그 흡음보드(1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둘레와 근접 위치에는 적정 탈수가 용이하나 중심부에 해당하게는 그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 중심부의 탈수를 위해서는 상당한 탈수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자칫 과도한 탈수로 인해 방염 성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점과, 흡음보드(10)의 면적에 따라 그 회전수가 완전히 달라지는 등 탈수 과정에서의 난해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흡음보드(10)를 장착함에 있어, 수직 장착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심 탈수 과정에서 두께에 해당하는 좁은폭에 대하여 방염액의 탈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짧은 시간에 원하는 탈수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면 전체가 고른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탈수가 가능하게 되는 등 흡음보드(10) 전체면적에 대하여 방염액의 원하는 균일한 잔량만이 함침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건조단계(S400)는,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10)를 완전 건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흡음보드(10)의 건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 건조를 통한 건조나 도 11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600)를 이용한 수평방향 이동 및 상부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 및 건조를 수행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의 방염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출원인이 대표로 있는 "(주)광성테크" 에서는 상기와 같이 얻어진 흡음보드(10)를 도 12를 참조하여 중심으로부터 둘레에 이르게 3군데에서 300mm×300mm 크기에 해당하게 떼어내어 얻은 시편(11)을 이용하여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수행하는 방염성능을 실시하였다.
시험 1)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 흡음보드(10)를 태워 발생하는 연구밀도에 대한 방염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1
* 시험결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얻어진 흡음보드(10)는 연기밀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방염기준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 2)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 흡음보드(10)에 대하여 45° 연소시험기를 이용하여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에 대한 방염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2
* 시험결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얻어진 흡음보드(10)는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 등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방염기준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은 균일한 방염액의 함침과 원심 탈수를 통해 일정량의 균일한 탈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전체적으로 방염성능이 우수한 흡음보드를 얻을 수 있다.
100 : 공급 트레이 110 : 배수구
120 : 공급 거치대
200 : 방염액 함침부 210 : 함침부 본체
220 : 공급 안내부 221 : 공급 가압롤
222 : 공급 가이드돌 230 : 배출 안내부
231 : 상부 가이드롤 232 : 하부 가이드롤
240 : 방염액 분사부 241 : 방염액 공급관
242,242' : 고압 분사노즐
300 : 임시 보관부 310 : 회수조
320 : 배출 거치대
400 : 방염액 저장공급부 410 : 저장탱크
411 : 제1 회수펌프 420 : 공급펌프
421 : 공급관 430 : 필터부
500 : 탈수부 510 : 원심 탈수기
511 : 탈수기 본체 511a : 도어
512 : 탈수대 513 : 회전 플레이트
514 : 타공드럼 514a,514a' : 통공
515 : 흡음보드 장착부 516,516' : 흡음보드 장착대
516a : 하부 고정링 516b,516b' : 측면 마감대
516c : 상부 고정링 517 : 흡음보드 장착홈
520 : 제2 회수펌프 530 : 탈수기 제어부
600 : 건조기

Claims (8)

  1. 내부 바닥면이 함몰 형성되고 바닥에는 배수구(1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흡음보드의 거치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공급 거치대(120)가 형성된 공급 트레이(100);
    공급 트레이(10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흡음보드의 이송 및 이송되는 흡음보드에 방염액을 고압 분사하여 완전 함침시키는 방염액 함침부(200);
    방염액 함침부(20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공급 트레이(100)의 배수구(110)와 연결되어 사용된 방염액을 회수하는 회수조(310)와, 회수조(310)의 상부에서 수분의 소통이 가능하며 방염액 함침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흡음보드를 임시 보관하는 배출 거치대(320)로 된 임시 보관부(300);
    임시 보관부(30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수조(310)와는 제1 회수펌프(411)로 연결되어 방염액의 수거 저장이 가능한 저장탱크(410)와, 저장탱크(410)의 일측에서 공급관(421)으로 연결되어 저장탱크(410)로부터 방염액을 배출 및 방염액 함침부(200)로 고압 공급하는 공급펌프(420)와, 저장탱크(410)와 공급펌프(420) 사이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방염액의 필터링이 가능한 필터부(430)로 된 방염액 저장공급부(400);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를 원심 탈수하여 일정량의 방염액만 남겨두고 탈수 처리하는 탈수부(500); 및
    탈수된 흡음보드를 건조시키는 건조기(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방염액 함침부(200)는,
    전후로 개방되는 함침부 본체(210);
    함침부 본체(210) 전방에 형성되며, 모터 구동되는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압롤(221)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공급 가압롤(221)과의 가압력 부여에 따른 흡음보드의 공급을 안내하는 복수의 공급 가이드롤(222)로 된 공급 안내부(220);
    함침부 본체(210) 후방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부 가이드롤(231)과, 상부 가이드롤(231)의 하부에 형성되어 흡음보드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롤(232)로 된 배출 안내부(230); 및
    공급펌프(420)와 연결되며, 공급 안내부(220)와 배출 안내부(230)의 사이 상부에 형성되는 방염액 공급관(241)과, 방염액 공급관(24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방염액을 고압 분사하여 흡음보드에 함침시키는 복수의 고압 분사노즐(242)(242')로 된 방염액 분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탈수부(500)는,
    내부에 흡음보드가 장착되며, 모터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음보드에 함침된 방염액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일부 탈수하고 잔량만이 고르게 함침되게 하는 원심 탈수기(510);
    저장탱크(410)와 원심 탈수기(510)의 하부를 관체로 연결하며, 원심 탈수기(510)에서 탈수된 방염액을 다시 저장탱크(410)로 회수하는 제2 회수펌프(520); 및
    원심 탈수기(510)의 작동 시간과 회전수를 조절하는 탈수기 제어부(5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원심 탈수기(510)는,
    상부가 도어(511a)로 개폐되는 원통형 탈수기 본체(511); 및
    탈수기 본체(511)의 내부에 형성되며, 흡음보드가 장착 및 회전하면서 탈수를 수행하는 탈수대(512)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탈수대(512)는,
    탈수기 본체(51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513);
    회전 플레이트(513)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514a)(514a')이 타공된 타공드럼(514); 및
    타공드럼(514)의 내측에서 회전 플레이트(513)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흡음보드를 원주 방향으로 수직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흡음보드 장착부(51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흡음보드 장착부(515)는,
    타공드럼(514)의 내측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게 수직 돌출되어 사이에 흡음보드의 삽입 장착이 가능한 흡음보드 장착홈(517)이 형성되게 하며, 평면상 원형을 이루는 적어도 2열 이상의 흡음보드 장착대(516)(51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6. 공급 트레이(100)에 흡음보드(10)를 거치 장착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밀어 방염액 함침부(200)의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사이로 초기 진입 공급시키는 흡음보드 공급단계(S100);
    방염액 함침부(200)에서 공급 가압롤(221)과 공급 가이드롤(222)의 가압 회전력과 상,하부 가이드롤(231)(232)의 안내에 의해 흡음보드(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공급펌프(420) 작동을 통해 필터부(430)에서 필터링 된 방염액을 고압으로 공급받아 고압 분사노즐(242)(242')을 통해 흡음보드(10) 상부로 분사시켜 방염액을 함침시키면서 임시 보관부(300)로 배출시키는 방염액 함침단계(S200);
    방염액 함침부(200)로부터 배출된 방염액이 함침된 흡음보드(10)를 원심 탈수기(510)에 수직으로 장착하고, 탈수대(512)를 회전시켜 흡음보드(10)에 함침된 방염액을 일부 원심 탈수시키는 탈수단계(S300); 및
    탈수된 흡음보드(1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0)를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탈수단계(S300)에서,
    흡음보드(10)의 장착은,
    원심 탈수기(510)의 흡음보드 장착대(516)(516') 사이에 형성되는 흡음보드 장착홈(517)에 수직으로 장착하되,
    흡음보드(10)의 평면이 탈수기 본체(511)의 중심을 향하게 장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방염액 함침단계(S200)에서는,
    흡음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이 100~120 중량부에 해당하는 량의 방염액이 함침되게 하며,
    탈수단계(S300)에서는,
    흡음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액이 12~15중량부에 해당하는 잔량만 남기고 탈수하며,
    건조단계(S400)에서는,
    자연 건조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기(600)를 이용하여 수평 상태에서 완전 건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KR1020190054290A 2019-05-09 2019-05-09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KR10218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90A KR102186266B1 (ko) 2019-05-09 2019-05-09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90A KR102186266B1 (ko) 2019-05-09 2019-05-09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14A true KR20200129614A (ko) 2020-11-18
KR102186266B1 KR102186266B1 (ko) 2020-12-03

Family

ID=7369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90A KR102186266B1 (ko) 2019-05-09 2019-05-09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0318A (zh) * 2021-03-09 2021-06-22 杨维 一种减震弹簧生产设备及其操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18B1 (ko) 2004-10-27 2005-1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36483A (ja) * 2006-08-02 2008-02-21 Harashin Industry Co 塗布製品の製造方法
KR20130016574A (ko) * 2011-08-08 2013-02-18 (주)도 은 3차원 내지문 코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 장치
KR20150057744A (ko) * 2013-11-20 2015-05-28 김종구 방청유 코팅 처리장치
KR20160025770A (ko) * 2014-08-28 2016-03-09 에스아이씨 주식회사 표면처리부품의 탈루장치
KR101901093B1 (ko) 2018-02-07 2018-09-20 이용근 소화수 유도몰딩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보드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18B1 (ko) 2004-10-27 2005-1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36483A (ja) * 2006-08-02 2008-02-21 Harashin Industry Co 塗布製品の製造方法
KR20130016574A (ko) * 2011-08-08 2013-02-18 (주)도 은 3차원 내지문 코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 장치
KR20150057744A (ko) * 2013-11-20 2015-05-28 김종구 방청유 코팅 처리장치
KR20160025770A (ko) * 2014-08-28 2016-03-09 에스아이씨 주식회사 표면처리부품의 탈루장치
KR101901093B1 (ko) 2018-02-07 2018-09-20 이용근 소화수 유도몰딩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보드 시공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0318A (zh) * 2021-03-09 2021-06-22 杨维 一种减震弹簧生产设备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66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722B1 (ko) 드럼식 세탁물 처리장치
US4268247A (en) Method for drying fabrics
CN204023223U (zh) 衣物处理设备
KR102186266B1 (ko)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CN210321020U (zh) 一种用于水刺非织造布工艺的节能烘干设备
CN208567353U (zh) 一种热风循环烘箱
US3149004A (e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CN205209121U (zh) 滚筒叶片式木材干燥机
CN209512398U (zh) 一种pf耐酸碱复合针刺毡加工烘干设备
CN212538489U (zh) 一种具有脱水功能的物料干燥装置
CN106871580B (zh) 一种安全智能型通过式真空干燥机
CN209166002U (zh) 一种用于化学纤维干燥的风干机
CN209197385U (zh) 一种纺织烘干箱
JP3007529B2 (ja) シート状物質の乾燥方法及び装置
CN2357026Y (zh) 布料染整脱水装置
KR20090116910A (ko)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11461B1 (ko) 직물 건조기
CN218034242U (zh) 一种无纺布生产用热风烘干装置
CN214095326U (zh) 一种新型硅酸钙板生产用烘干机装置
CN215405000U (zh) 一种用于整浆并生产线的热能循环利用设备
CN110644204A (zh) 一种洗涤烘干一体的多溶剂干洗机
CN217900339U (zh) 一种便于出料的食用菌加工用烘干装置
CN220927203U (zh) 一种化纤生产设备
CN216205081U (zh) 一种多层循环式热泵烘干机
CN216204761U (zh) 一种化工纤维快速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