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279B1 -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279B1
KR100533279B1 KR10-2003-0073539A KR20030073539A KR100533279B1 KR 100533279 B1 KR100533279 B1 KR 100533279B1 KR 20030073539 A KR20030073539 A KR 20030073539A KR 100533279 B1 KR100533279 B1 KR 10053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ray
medium
integrat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281A (ko
Inventor
윤기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07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2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입구부(53)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52)과, 도어모터(5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구부(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55)와, 상기 공간으로 전달되는 매체(M)가 집적되는 부분으로 선단이 상기 입구부(53)를 향하도록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적프론트(54)와,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된 매체(M)의 일단부가 세워지는 베이스부(62)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집적프론트(54)에서 매체(M)를 분리하는 매체분리핑거(63)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62)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정역회전되면서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된 매체(M)를 상기 입구부(53)로 들어올리거나 분리하여 내는 매체트레이(60)와, 상기 매체트레이(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모터(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특히 고객접근모듈의 입구부(53)의 크기를 최소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수취하도록 하는 고객접근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구성이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1)에는 매체보관함(도시되지 않음), 상기 매체보관함에서 매체(M)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도시되지 않음), 상기 피드모듈을 지나온 매체(M)를 이송하는 딜리버리모듈(3)과, 딜리버리모듈(3)를 통과한 매체(M)를 모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고객접근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3)과 피드모듈등에서는 매체(M)를 이송롤러(5)와 벨트(7) 등을 사용하여 이송한다.
여기서, 고객접근모듈(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객접근모듈(10)의 외관을 프레임(1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2)은 매체자동지급기(1) 전체의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에 의해서는 고객접근모듈(10)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2)에는 도어(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14)는 고객접근모듈(10) 내부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부(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상기 도어(14)는 그 회전중심에 설치된 도어모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15)는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4)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에는 베이스트레이(16)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12)측에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양단 중간부에는 구동돌기(1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17')는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되는 가이드채널(18)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구동을 위한 트레이모터(20)가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모터(2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2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게 종동기어(22)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22)에는 구동링크(2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종동기어(22)의 회전중심과 동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구동돌기(17')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트레이(16)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하부에는 회수되는 매체(M)를 모으는 회수함(26)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함(26)에는 상기 베이스트레이(16)로 전달되었으나 고객이 가져가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8은 베이스트레이(16)의 초기위치 및 매체(M)를 회수함(26)으로 비운 후 리턴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28'는 베이스트레이(16)가 매체(M)를 비우기 위해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매체보관함에서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을 통과하여 전달된 매체(M)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트레이(16) 상에 적층된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에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적층되면, 상기 도어모터(15)가 구동하여 상기 도어(14)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4)가 상부로 회전되어 올라가면 상기 입구부(13)가 개방되면서 상기 베이스트레이(16)에 적층된 매체(M)에 고객의 손이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트레이(16)에 적층된 매체(M)를 고객이 일정 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게 되면, 상기 도어(14)가 폐쇄된다.(도 2c 참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트레이(16)에 적층된 매체(M)는 상기 회수함(26)으로 보낸다.
즉, 상기 도어(14)를 닫은 후, 상기 트레이모터(2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링크(24)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트레이(16)를 상기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24)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돌기(17')가 상기 연동슬롯(24')과 가이드채널(18)을 동시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트레이(16)를 회전시킨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회전은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계속되고,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M)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함(26)으로 낙하된다.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회전이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모터(20)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트레이모터(20)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트레이(16)는 힌지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e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시 상기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에 의해 전달되는 매체(M)를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베이스트레이(16)가 매체(M)를 회수함(26)으로 비우기 위해 최고로 회전된 것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함(26)의 입구 단면에 대해 약간 수직이 되지 않는 정도이므로, 특히 한 두장의 매체(M)가 회수함(26)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베이트레이(16)에 부착되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회전중심이 양측 일단부에 있어 회전각도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트레이(16)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것으로 일단부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17)을 중심으로 양단의 구동돌기(17')가 상기 가이드채널(18)과 구동링크(24)의 연동슬롯(24')을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돌기(17')가 상기 가이드채널(18)과 연동슬롯(24')에 걸려서 상기 베이스트레이(16)에 좌우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기어(21,22)와 트레이모터(15)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순간적으로 부하가 크게 걸리게 되면 상기 베이스트레이(16)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심한 경우 상기 기어(21,22)가 파손되거나 상기 트레이모터(15)가 고장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베이스트레이(16)의 구동을 위한 구성에 순간적인 부하가 발생했을 때,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댐퍼와 같은 기능이 없고, 단지 기어속도비로 이를 구현하고 있어 특히 상기 기어(21,22)등의 내구성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도어(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매체(M)가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내에 있어,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기 위해서는 손을 상기 매체(M)가 놓여진 공간까지 삽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기계의 내부로 손을 집어 넣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는 고객들이 많이 있어 고객불만요인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기계의 내부로 손을 넣어 매체(M)를 수취하는 구조이고, 매체(M)가 집적되는 구조의 특성에 따라 상기 도어(14)가 상대적으로 많이 개방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어(14)가 많이 개방되어 기계의 내부가 많이 보이게 되면 기계의 보안안전성에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의 일단부가 세워지는 트레이의 회전을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를 고객쪽으로 보다 돌출되게 하여 고객이 매체의 수취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매체를 수취할 수 있는 개방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접근모듈로 배출된 매체의 회수가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입구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도어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공간으로 전달되는 매체가 집적되는 부분으로 선단이 상기 입구부를 향하도록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적프론트와, 상기 집적프론트에 집적된 매체의 일단부가 세워지는 베이스부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집적프론트에서 매체를 분리하는 매체분리핑거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정역회전되면서 집적프론트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입구부로 들어올리거나 분리하여 내는 매체트레이와, 상기 매체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적프론트의 매체가 집적되는 면과 마주보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달되는 매체를 집적프론트에 차폐로 적층되게 안내하는 집적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매체분리핑거는 상기 매체트레이의 베이스부의 일단에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예각이 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적프론트에는 상기 매체분리핑거의 통과를 위한 통과부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은 도어구동원의 회전축에 직결된다.
상기 트레이구동원의 구동력은 기어열을 통해 상기 매체트레이로 전달된다.
상기 매체트레이의 하방에 해당되는 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취되지 않은 매체가 모아지는 회수함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와 매체트레이의 회전중심에는 각각 회전감지휠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휠의 감지슬롯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들이 상기 회전감지휠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도어와 매체트레이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은 그 동작신뢰성이 높고, 고객이 고객접근모듈의 내부로 손을 넣지 않고도 매체를 보다 용이하게 수취할 수 있으며, 매체를 남기지 않고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매체를 수취하는 입구부를 상대적으로 좁게 할 수 있어 보안안전성이 높아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구성이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30)의 선단 측에 고객접근모듈(50)이 설치된다. 매체자동지급기(30)에는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보관부, 매체보관부에 보관된 매체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40)이 구비된다.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40)에서의 매체의 이송은 이송롤러와 벨트 등을 사용하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 구비된 이송롤러(42)와 벨트(43)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서 매체가 배출되는 방향은 아래에서 설명될 입구부(53) 방향이다.
고객접근모듈(50)은 고객이 원하는 매체를 상기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40)을 통해 공급받아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50)에는 프레임(52)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52)은 일반적으로 판상의 것으로 적어도 2장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52)과 그 사이의 공간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52) 사이의 공간은 입구부(53)를 제외한 부분은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프레임(52)의 선단 상부 사이에는 입구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53)는 고객접근모듈(50)의 내부와 매체자동지급기(30)의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구부(53)는 실제로 상기 프레임(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집적프론트(54)와 집적가이드(54')의 선단 사이 틈새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집적프론트(54)는 매체의 표면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입구부(53)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상기 집적프론트(54)는 매체가 안착되는 면이 수평면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연직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집적가이드(54')는 상기 딜리버리모듈(40)을 빠져나오는 매체를 상기 집적프론트(54)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적프론트(54)와 집적가이드(54')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집적프론트(54)와 집적가이드(54')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입구부(53)를 향해 가면서 이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된다.
상기 입구부(53)는 도어(5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55)는 도어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56)는 상기 프레임(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55)를 회전시켜 상기 입구부(53)를 개폐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모터(56)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55)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도어(55)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도어회전감지휠(58)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회전감지휠(58)에는 그 가장자리 일측에 감지슬롯(58')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회전감지휠(58)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9,59')가 상기 도어회전감지휠(58)의 가장자리 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59,59')는 상기 감지슬롯(58')이 자신의 위치오면 이를 감지하여 도어(55)의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59)는 도어(55)가 닫혀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59')는 도어(55)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집적가이드(54')와 집적프론트(54) 사이의 내측, 즉 입구부(35)반대쪽에는 매체트레이(60)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트레이(60)는 회전중심(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회전중심(61)은 매체트레이(6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62)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매체트레이(60)는 상기 집적가이드(54')와 집적프론트(54) 내측 사이에 위치되는 베이스부(6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62)에는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되는 매체의 일단부가 세워진다. 상기 매체트레이(60)의 베이스부(62) 선단은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서 매체가 배출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매체트레이(60)에는 상기 베이스부(62)의 표면에 대해 직각보다 약간 작은 예각을 형성하도록 돌출되게 매체분리핑거(63)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분리핑거(63)는 매체를 회수할 때, 상기 집적프론트(54)의 중간을 통과하여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된 매체 전체가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함(70)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집적프론트(54)에는 매체분리핑거(63)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체트레이(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은 트레이모터(64)가 제공한다. 상기 트레이모터(64)는 상기 프레임(52)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축에 구동기어(6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65)와 치합되게 종동기어(66)가 프레임(52)에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65)는 상기 매체트레이(60)의 회전중심(61)과 동축으로 된다.
한편, 상기 매체트레이(60)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트레이회전감지휠(67)이 구비된다. 트레이회전감지휠(67)은 상기 매체트레이(60) 또는 상기 종동기어(65)측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회전감지휠(67)의 가장자리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감지센서(68a,68b,68c)들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68a,68b,68c)들은 상기 트레이회전감지휠(67)에 구비된 감지슬롯(67')이 자신의 위치에 온 것을 감지하여 매체트레이(60)의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68a)는 매체트레이(60)가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센서(68b)는 매체트레이(60)가 회전되어 매체를 상기 입구부(53)로 밀어올린 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68c)는 매체트레이(60)가 회전되어 매체가 회수함(70)으로 보내는 상태를 감지한다.
고객접근모듈(50)의 하부에는 회수함(70)이 설치된다. 상기 회수함(70)은 그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회수하여 모아두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는 매체(M)가 딜리버리모듈(40)의 이송롤러(42)와 벨트(43)에 의해 전달되어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상기 벨트(43)에 의해 이송된 매체(M)는 벨트(43)사이를 빠져나와 상기 집적가이드(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집적프론트(54)상에 차례로 집적된다.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되는 매체(M)의 일단부는 상기 집적프론트(54)의 표면이 거의 연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상기 매체트레이(60)의 베이스부(62) 상에 세워진다.
매체(M)가 집적프론트(54) 상에 고객이 요청한 매수만큼 집적되고 나면, 상기 도어(55)가 개방된다. 즉, 상기 도어모터(56)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55)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모터(56)의 회전은 상기 도어회전감지휠(58)이 도어(55)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감지슬롯(58')이 상기 감지센서(59')에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M)를 고객이 수취하기 쉽도록 상기 매체트레이(60)가 동작된다. 즉, 상기 트레이모터(64)가 구동되어 상기 매체트레이(60)를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매체트레이(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매체트레이(60)의 베이스부(62)에 일단부가 세워져 있던 매체(M)들은 들어올려져 상기 입구부(53)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매체트레이(60)의 회전은 상기 트레이회전감지휠(67)의 감지슬롯(67')이 감지센서(68b)에 의해 감지될 때 까지 진행된다. 상기 감지센서(68b)에 의해 감지슬롯(67')이 감지되면 상기 매체트레이(60)의 회전이 멈추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객은 매체(M)를 입구부(53) 내부로 손을 삽입하지 않고도 수취할 수 있다. 도 5d에는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여 가져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M)의 수취가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도어(55)가 상기 입구부(53)를 폐쇄한다. 즉, 상기 도어모터(5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55)가 입구부(53)를 폐쇄하게 한다. 상기 도어(55)의 회전은 상기 감지센서(59)에 의해 상기 도어회전감지휠(58)의 감지슬롯(58')이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거래대기상태라고 한다.
한편,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매체(M)를 상기 회수함(70)으로 보낸다. 즉, 도 5c의 상태에서 고객이 일정 시간이상 매체(M)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매체트레이(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매체트레이(60)의 회전은 상기 트레이회전감지휠(67)의 감지슬롯(67')을 감지센서(68c)가 감지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체트레이(60)는 도 5c의 상태에서 약 180°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매체트레이(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62)의 표면에 대해 대략 직각에 가까운 예각으로 돌출되어 있는 매체분리핑거(63)가 상기 집적프론트(54)의 통과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매체분리핑거(63)가 집적프론트(54)의 통과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M)가 집적프론트(54)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M)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던 베이스부(62)로 함께 회전하여 하강되므로 상기 집적프론트(54)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M)는 모두 상기 회수함(70)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매체(M)를 회수함(70)으로 보내고 난 후에는 상기 트레이모터(64)가 상기 매체트레이(60)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매체트레이(60)는 상기 트레이회전감지휠(67)의 감지슬롯(67')을 상기 감지센서(68a)가 감지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체트레이(60)는 거래대기 상태로 된다. 물론 상기 도어(55)역시 상기 도어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입구부(53)를 닫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먼저, 매체트레이가 트레이모터와 기어열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고 매체트레이의 회전중심이 상기 기어열중 하나와 동축으로 되게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있으므로 매체트레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매체트레이가 매체를 입구부로 돌출되게 하여 고객이 매체를 손쉽게 수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매체가 집적프론트에 집적되고 매체트레이의 베이스부에 매체의 일단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매체트레이의 구동에 의해 매체가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입구부로 전달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부를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고객접근모듈의 개방부가 최소화되어 보안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체트레이가 매체분리핑거를 구비하여 매체트레이가 매체를 회수함으로 보내기 위해 회전할 때,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프론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회수함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매체가 회수함으로 전달되지 않고 집적프론트에 남아 있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이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를 회수함으로 보내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매체자동지급기 40: 딜리버리모듈
42: 이송롤러 43: 벨트
50: 고객접근모듈 52: 프레임
53: 입구부 55: 도어
56: 도어모터 58: 도어회전감지휠
60: 매체트레이 62: 베이스부
63: 매체분리핑거 64: 트레이모터
65: 구동기어 66: 종동기어
67: 트레이회전감지휠 70: 회수함

Claims (7)

  1. 내부에 입구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도어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공간으로 전달되는 매체가 집적되는 부분으로 선단이 상기 입구부를 향하도록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적프론트와,
    상기 집적프론트에 집적된 매체의 일단부가 세워지는 베이스부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집적프론트에서 매체를 분리하는 매체분리핑거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정역회전되면서 집적프론트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입구부로 들어올리거나 분리하여 내는 매체트레이와,
    상기 매체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트레이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프론트의 매체가 집적되는 면과 마주보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달되는 매체를 집적프론트에 차폐로 적층되게 안내하는 집적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분리핑거는 상기 매체트레이의 베이스부의 일단에 베이스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예각이 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적프론트에는 상기 매체분리핑거의 통과를 위한 통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은 도어구동원의 회전축에 직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구동원의 구동력은 기어열을 통해 상기 매체트레이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6. 제 1 항, 4 항,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트레이의 하방에 해당되는 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취되지 않은 매체가 모아지는 회수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매체트레이의 회전중심에는 각각 회전감지휠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휠의 감지슬롯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들이 상기 회전감지휠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도어와 매체트레이의 회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2003-0073539A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053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539A KR100533279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539A KR100533279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81A KR20050038281A (ko) 2005-04-27
KR100533279B1 true KR100533279B1 (ko) 2005-12-05

Family

ID=3724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539A KR100533279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76B1 (ko) 2008-12-10 2010-09-13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2127B (zh) * 2017-07-28 2019-11-1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发放方法及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76B1 (ko) 2008-12-10 2010-09-13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81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175B2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KR100235851B1 (ko) 지폐처리기
CN101925933B (zh)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50903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053327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JP5695755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232988B1 (ko) 지폐 자동 지불장치
KR10086640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및 방법
KR1010946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JP3751519B2 (ja) 紙幣処理装置
KR102152898B1 (ko) 링크 개폐식 빌 스토퍼를 구비한 금융 자동화 기기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0981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060040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셔터걸림 감지장치 및 그방법
KR1006035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장치
KR19980053115U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잼 자동제거장치
JP2543178B2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KR20050116657A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301477B2 (ja) 硬貨搬送装置
JPH0962896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異物排除方法
JP2001126111A (ja) 貨幣入出金機
JP2006260485A (ja) 紙葉類収納装置
KR20060080085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