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15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158B1
KR100533158B1 KR10-2003-0091548A KR20030091548A KR100533158B1 KR 100533158 B1 KR100533158 B1 KR 100533158B1 KR 20030091548 A KR20030091548 A KR 20030091548A KR 100533158 B1 KR100533158 B1 KR 10053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key
dom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832A (ko
Inventor
민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9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1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돔과 맞닿는 액추에이터의 하단 부분의 형상을 돔에 흡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키버튼 간에 갭이 없이 형성된 키패드가 유동없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키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및 상기 돔과 접촉하며, 하단이 빨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착이 용이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Key-button fixing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돔과 맞닿는 액추에이터의 하단 부분의 형상을 돔에 흡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키버튼 간에 갭이 없이 형성된 키패드가 유동없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a 내지 도3b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내부단면도이며, 도1c는 도1a에 도시된 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발 맞추어 키버튼 사이의 갭을 줄이거나 아얘 갭을 두지 않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도1a 내지 도1b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숫자키(20)만 서로 갭(gap)이 없이 연속적으로 위치되어 있고, 네이비키(30) 및 기타 기능키(40)들은 소정의 갭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숫자키(20)들을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위치표시용 홀(11)을 형성시키고 상기 홀(11)이 표시하는대로 숫자키(20)를 위치시키고, 상부에 보통 고정용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하여 숫자키(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도1c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의 하단에 형성된 액추에이터(50)는 그 하단이 편평한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10) 상에 형성된 돔에 부착되기가 어려운 구조이므로 숫자키(20)의 이탈에 대한 방지 수단이 될 수 없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가 손상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중앙부위에 위치된 숫자키(20)들은 단말기 본체에서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3a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3b는 도3a에 도시된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키버튼 사이에 갭이 없는 경우는, 키버튼 하단 양측으로 플랜지(21)를 형성시켜 본체부(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경향에 비추어보면 키버튼 사이에 갭을 두지 않는 방법은 타당하지 않고, 또한 플랜지(21)의 형성으로 인해 본체부(60)의 내부를 지지하는 리브(미도시)의 두께가 가늘어지므로 본체부(60) 구조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율적인 본체부 공간 사용을 위해 키버튼 을 서로 갭 없이 위치시키면 중앙 부위에 위치된 키버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에 구성된 돔과 맞닿는 키버튼의 액추에이터의 하단 부분의 형상을 돔에 흡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키버튼 간에 갭이 없이 형성된 키패드가 유동없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 시 키버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키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및 상기 돔과 접촉하며, 하단이 빨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착이 용이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는, 액추에이터의 하단을 빨판형상으로 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의 돔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키버튼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4a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내부단면도이고, 도5a는 도4a에 도시된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5b는 도4a에 도시된 키버튼의 장착구조와 그에 대응하는 돔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는,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구비되어 키버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110); 및 상기 돔(110)과 접촉하며, 하단이 빨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착이 용이한 액추에이터(210)를 구비하는 키버튼(200)을 포함한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다양한 키버튼(200), 즉 숫자키, 기능키, 네이비키 등의 키버튼(200) 등이 모두 서로 간에 갭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단말기 본체 상에 공간의 사용을 극대화하였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110)은 인쇄회로기판(100) 상의 소정 부위, 즉 키버튼(200)에 대응하는 부위에 키버튼(200)의 개수에 맞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키버튼(200)을 향해 볼록하게 솟아오른 형상이다.
또한, 상기 돔(110)은 키버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볼록 형상이 변형되면서 인쇄회로기판(100)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그 형상이 다시 복원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돔(110)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돔(110)의 회전반경 및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한 형상을 가진 빨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돔(110)에 흡착되어 키버튼(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액추에이터(210)의 재질은, 흡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는, 인쇄회로기판에 구성된 돔과 맞닿는 키버튼의 액추에이터의 하단 부분의 형상을 돔에 흡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키버튼 간에 갭이 없이 형성된 키패드가 유동없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어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키버튼이 이탈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내부단면도.
도1c는 도1a에 도시된 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가 손상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3a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3b는 도3a에 도시된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내부단면도.
도5a는 도4a에 도시된 키버튼 장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5b는 도4a에 도시된 키버튼의 장착구조와 그에 대응하는 돔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쇄회로기판 110: 돔
200: 키버튼 210: 액추에이터

Claims (2)

  1.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키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및
    상기 돔과 접촉하며, 하단이 빨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착이 용이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키버튼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KR10-2003-0091548A 2003-12-15 2003-12-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KR10053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48A KR100533158B1 (ko) 2003-12-15 2003-12-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48A KR100533158B1 (ko) 2003-12-15 2003-12-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32A KR20050059832A (ko) 2005-06-21
KR100533158B1 true KR100533158B1 (ko) 2005-12-01

Family

ID=3725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548A KR100533158B1 (ko) 2003-12-15 2003-12-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58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유동방지 키버튼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32A (ko)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7494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036103B2 (ja) 携帯用通信機
US6591088B1 (en) Assembly structure of housing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6876837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05331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착구조
US8063329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173730A1 (zh) 一种侧键和终端
JP4666998B2 (ja) 通信機器
JP3570939B2 (ja) 防水型携帯電話機
JP2007207686A (ja) キーラバー、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KR1006513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JP2006270035A (ja) 携帯電子機器
JP3099977U (ja) 携帯電話機の入力キー部材
JPH0615249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013168890A (ja) 携帯端末
KR102491847B1 (ko) 마그넷 탈락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JP2006066157A (ja) キー入力装置構造及びこの構造を有する携帯用通信機器
JP4545693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JP2000030562A (ja) パネルスイッチ
KR100628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JPH08298386A (ja) 防水型電子機器
JP2021057541A (ja) 携帯機
JPH11353972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KR200267737Y1 (ko) 금속판이 장착된 핸드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