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543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543B1
KR100532543B1 KR10-2003-0041034A KR20030041034A KR100532543B1 KR 100532543 B1 KR100532543 B1 KR 100532543B1 KR 20030041034 A KR20030041034 A KR 20030041034A KR 100532543 B1 KR100532543 B1 KR 10053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sotropic conductive
liquid crystal
sealing material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120A (ko
Inventor
마스모또요시후미
구사노마나부
와따나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조시 이방성 도전시일재의 검사를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성능도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기판 (10,20) 과, 각 기판 (10,20) 에 형성된 투명전극 (15,25) 과, 기판 (10) 에 형성된 차광층 (11a) 과, 차광층 (11a) 상에 형성된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구비하고, 차광층 (11a) 과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사이에는 인출배선 (7) 이 설치되고, 기판 (20) 과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사이에는 투명전극 (25) 의 일부 (25a) 가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통하여 인출배선 (7) 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투명전극 (25) 에는 차광성 금속도전층 (25b) 이 적층되는 동시에 비차광부 (25c)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채택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광누출방지용 차광층에 겹침으로써 유효표시영역으로의 광누출을 방지하여 액정표시의 표시성능 (돋보임) 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저비용화에 대응하기 위해 STN 형 (Super-Twisted Nematic) 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IC 를 2 개에서 1 개로 통합한 것이 채택되고 있다. 즉, 종래의 코먼측 및 세그먼트측의 각 투명전극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던 2 개의 구동 IC 를 패널의 일측면측으로 모아, 이 2 개의 구동 IC 를 1 개의 구동 IC 로 치환하여 구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도 6,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100) 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1 기판 (110) 과 제 2 기판 (120)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기판 (110) 의 액정층측 면에는 액정층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투명전극 (세그먼트전극) 이 형성되고, 제 2 기판 (120) 의 액정층측 면에는 액정층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투명전극 (코먼전극)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기판 (110,120) 사이에는 도전입자를 포함한 이방성 도전시일재 (이방성 도전수지) (140) 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액정층이 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각 기판 (110,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내측 영역이 유효표시영역 (D) 으로 되고, 이 유효표시영역 (D) 내에 앞서의 세그먼트전극 및 코먼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10) 에는 제 2 기판 (120) 과 겹치지 않게 노출되는 단자부 (110a) 가 형성되고, 이 단자부 (110a) 상에 구동 IC (150) 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 (110) 에는 구동 IC (150) 와 세그먼트측의 투명전극을 연결하는 제 1 인출배선 (106) 과, 구동 IC (150) 와 코먼측의 투명전극을 연결하는 제 2 인출배선 (10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출배선 (106) 은 구동 IC (150) 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를 가로질러 유효표시영역 (D) 내의 세그먼트전극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인출배선 (107) 은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일변부 (140a) 와 제 1 기판 (110) 사이에 형성되고, 일변부 (140a) 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 제 1, 제 2 인출배선 (106,107) 은 ITO 배선과 이 ITO 배선에 적층된 금속배선의 2 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7 에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일변부 (140a) 근방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 에는 도 6 및 도 7 의 A-A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10) 의 액정층 (130) 측 면에는 컬러필터층 (111) 과, 앞서의 세그먼트전극을 포함하는 회로층 (112) 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컬러필터층 (111) 의 외주에는 광누출방지용 차광층 (111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기판 (110) 의 액정층 (130) 측 면에는 앞서의 코먼전극 (125)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 코먼전극 (125…) 은 ITO 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근방에는 Cr 등의 차광성 금속도전층 (125a…) 이 적층되어 있다. 이 차광성 금속도전층 (125a) 에 의해 코먼전극 (125…) 전체의 비저항이 저감되고 있다.
또, 제 2 인출배선 (107) 은 전술한 바와 같이, ITO 배선 (107a) 과 금속배선 (107b) 이 적층 구성되고, 금속배선 (107b) 에 의해 제 2 인출배선 (107…) 전체의 비저항이 저감되고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출배선 (107…) 의 각 선단부 (107c) 와, 세그먼트전극 (125…) 의 각 선단부 (125c…) 가 1 대 1 의 관계로 상호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선단부 (107c,125c) 의 중복 부분에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가 개재되어 있고, 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에 의해 제 2 인출배선 (107…) 과 코먼전극 (125…) 이 각각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를 를 스크린인쇄 등의 수단으로 미리 제 1 기판 (110) 에 환형상으로 도포하고 나서 제 2 기판 (120) 을 부착하고, 그 후 제 2 기판 (1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도포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검사하고 있다.
제 2 기판 (1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와 그 주변을 관찰하면,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자체는 투명한 유백색이며,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에 중복 배치된 제 2 인출배선 (107) 및 코먼전극 (125) 은 금속막의 존재에 의해 불투명한 흑색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가령 차광층 (111a) 이 이방성 도전수지 (140) 의 하측에 형성되면, 차광층 (111a) 의 색과 제 2 인출배선 (107) 및 코먼전극 (125) 의 색이 겹쳐 제 2 기판 (1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를 시인하는 것이 완전히 곤란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차광층 (111a) 을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내측에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그러나, 도 8 과 같이 차광층 (111a) 을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의 내측에 배치한 경우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140) 를 투과하는 광을 차광할 수 없어 이 광의 일부가 유효표시영역 (D) 내에 침입하여 표시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시 이방성 도전시일재의 검사를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성능이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 및 타방의 기판과, 각 기판의 유효표시영역에 각각 형성된 일방 및 타방의 투명전극과, 상기 일방 기판의 유효표시영역의 외주에 형성된 차광층과, 상기 차광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액정층을 시일링하는 환형상의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층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 사이에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에 구동신호를 보내는 인출배선이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기판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 사이에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의 일부가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통하여 상기 인출배선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와의 겹침부분에 비차광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유효표시영역에서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과 액정층의 사이, 상기 유효표시영역과 상기 유효표시영역의 외측영역과의 경계부분에, 차광성 금속도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차광층 상에 이방성 도전시일재가 중복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투과시키고자 하는 광이 차광층에 의해 차단되어 유효표시영역으로 누출될 우려가 없어 표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타방의 투명전극의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와의 겹침부분에 비차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층과 이방성 도전시일재가 겹친 상태에서도 비차광부를 통하여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시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앞에 기재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상기 비차광부는 상기 차광성 금속도전층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차광성 금속도전층이 제거되어 비차광부가 형성되므로, 타방의 기판측으로부터 타방의 투명전극을 통하여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검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앞에 기재한 액정표시장치로, 상기 인출배선은 ITO 배선과 금속배선이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인출배선의 비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구동전압이 저하되지 않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액정표시장치 (1) 의 전체 구성을 도 1 내지 도 2 에 나타낸다. 도 1 은 액정표시장치 (1)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 는 액정표시장치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1 기판 (일방 기판) (10) 과 제 2 기판 (타방 기판) (20)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기판 (10) 의 액정층측 면에 액정층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투명전극 (일방 투명전극) 이 형성되고, 제 2 기판 (20) 의 액정층측 면에는 액정층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투명전극 (타방 투명전극)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전입자를 포함한 이방성 도전시일재 (이방성 도전수지) (40) 가 각 기판 (10,20)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정층은 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내측에 시일링된 상태에서 각 기판 (10,20)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내측 영역이 유효표시영역 (D) 으로 되고, 이 유효표시영역 (D) 내에 앞서의 일방 및 타방 투명전극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 (20) 의 일변 길이가 제 1 기판 (10) 의 일변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이로 인해 각 기판 (10,20) 을 중첩시킬 때, 제 1 기판 (10) 의 액정층측 면의 일부 (단자부) (10a) 가 노출되게 되어 있다. 이 단자부 (10a) 상에는 구동 IC (50) 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0) 상에 도시하고 있지 않은 컬러필터층과, 액정층을 구동시키는 복수 투명전극 (15) (일방 투명전극) 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고, 투명전극 (15) 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배향막이 적층되어 있다.
또, 제 2 기판 (20) 에는 액정층을 구동시키는 복수 투명전극 (25) (타방 투명전극) 과, 도시하고 있지 않은 배향막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판 (20) 의 투명전극 (25) 측 반대측에 위상차판 (17) 과 편광판 (18)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편광판 (18) 의 외측면은 표시면 (1a)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 (10) 의 투명전극 (15) 측 반대측에는 위상차판 (27) 과 편광판 (28)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편광판 (28) 외측에는 액정표시장치 (1) 에서 투과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광원으로서의 백라이트 (5) 가 설치되어 있다.
투명전극 (15,25) 은 ITO (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모양의 평면형상인 것을 다수 정렬 형성한 것으로, 구동 IC (50) 에 각각 접속되어 액정층 (30) 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전극 (15,25) 은 서로 평면에서 보아 직각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 (1) 가 패시브 매트릭스형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0) 에는 구동 IC (50) 와 투명전극 (15) 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인출배선 (6) 과, 구동 IC (50) 와 투명전극 (25) 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인출배선 (7)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출배선 (6) 은 구동 IC (50) 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가로질러 유효표시영역 (D) 내의 투명전극 (15) 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인출배선 (7) 은 구동 IC (50) 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일변부 (40a) 를 향해 연장되고, 또한 일변부 (40a) 의 하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일변부 (40a) 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 제 1, 제 2 인출배선 (6,7) 은 ITO 배선과 이 ITO 배선에 적층된 금속배선의 2 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로써, 제 1, 제 2 인출배선 (6,7) 의 비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구동전압이 저하되지 않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에는 도 1 및 도 2 의 B-B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 에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일변부 (40a) 근방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 에는 도 1 및 도 4 의 C-C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0) 의 액정층 (30) 측 면에는 컬러필터층 (11) 과, 앞서의 투명전극 (15)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회로층 (12) 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컬러필터층 (11) 의 외주에는 광누출방지용 차광층 (1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광층 (11a) 은 유효표시영역 (D) 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기판 (10) 의 액정층 (30) 측 면에는 앞서의 투명전극 (25)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일변부 (40a) 와 차광층 (11a) 사이에 제 2 인출배선 (7) 이 설치되고, 이 제 2 인출배선 (7) 이 일변부 (40a) 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2 인출배선 (7) 은 전술한 바와 같이, ITO 배선 (7a) 과 금속배선 (7b) 이 적층 구성되고, 이 금속배선 (7b) 에 의해 제 2 인출배선 (7…) 전체의 비저항이 저감되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전극 (25…) 의 일부가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에 겹쳐지고, 그 선단부 (25a) 가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와 제 2 기판 (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내측에서는 투명전극 (25) 의 일부에 Cr 등의 차광성 금속도전층 (25b…) 이 적층되어 있다. 이 차광성 금속도전층 (25b) 에 의해 투명전극 (25…) 전체의 비저항이 저감되고 있다. 또한, 투명전극 (25) 과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차광성 금속도전층 (25b) 이 제거되고, 투명전극 (25) 에 비차광부 (25c) 가 형성된다. 이 비차광부 (25c) 에 의해 제 2 기판 (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관찰한 경우에, 투명전극 (25) 의 하측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출배선 (7c…) 의 각 선단부 (7c…) 와, 투명전극 (25…) 의 각 선단부 (25a…) 가 1 대 1 의 관계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선단부 (7c,25a) 의 중복 부분에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가 개재되어 있고, 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에 의해 제 2 인출배선 (7…) 과 투명전극 (25…) 이 각각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를 제조하는 경우는,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스크린인쇄 등의 수단으로 미리 제 1 기판 (10) 에 환형상으로 도포하고, 이 제 1 기판 (10) 에 제 2 기판 (20) 을 부착하고, 그 후 제 2 기판 (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도포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검사한다.
제 2 기판 (20) 측으로부터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와 그 주변을 관찰하면,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는 차광층 (11a) 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자체는 투명한 유백색으로 보이고, 또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에 중복 배치된 제 2 인출배선 (7) 은 금속막의 존재에 의해 불투명한 흑색으로 보이고, 또한 투명전극 (25) 은 비차광부 (25c) 의 존재에 의해 무색 투명으로 보인다.
따라서, 흑색 차광층 (11a) 및 제 2 인출배선 상에 유백색의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를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고, 제조시에서의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검사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가 차광층 (11a) 에 중복 형성되기 때문에,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에 대한 백라이트광의 투과가 방지되고, 이로써 백라이트광이 이방성 도전시일재 (40) 의 내측 유효표시영역 (D) 으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이로써, 액정표시장치 (1) 의 표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투과형에 한정되지 않고, 유효표시영역에 확산반사성 반사층을 내장시킴으로써 반사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반사층을 반투과성, 예컨대 고반사성 메탈반사층을 100㎚ (1000Å) 이상의 막두께로 하고, 여기에 소정 개구율 (예컨대 화소피치의 면적에 대해 미소 개구부를 10%∼30% 의 면적비율이 되도록 형성함) 로 개구부를 형성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차광층 상에 이방성 도전시일재가 중복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투과시키고자 하는 광이 차광층에 의해 차단되어 유효표시영역으로 누출될 우려가 없어 표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타방 투명전극의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와의 겹침부분에 비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광층과 이방성 도전시일재가 겹친 상태에서도 비차광부를 통하여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시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B-B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의 이방성 도전시일재의 일부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
도 5 는 도 1 및 도 4 의 C-C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이방성 도전시일재의 일부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과 평면도.
도 8 은 도 7 의 A-A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액정표시장치
6: 제 1 인출배선
7: 제 2 인출배선 (인출배선)
7a: ITO 배선
7b: 금속배선
10: 제 1 기판 (일방 기판)
11a: 차광층
15: 투명전극 (일방 투명전극)
20: 제 2 기판 (타방 기판)
25: 투명전극 (타방 투명전극)
25a: 선단부 (타방 투명전극의 일부)
25b: 차광성 금속도전층
25c: 비차광부
30: 액정층
40: 이방성 도전시일재
D: 유효표시영역

Claims (3)

  1.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 및 타방의 기판과,
    각 기판의 유효표시영역에 각각 형성된 일방 및 타방의 투명전극과,
    상기 일방 기판의 유효표시영역의 외주에 형성된 차광층과,
    상기 차광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각 기판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액정층을 시일링하는 환형상의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층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 사이에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에 구동신호를 보내는 인출배선이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기판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 사이에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의 일부가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를 통하여 상기 인출배선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효표시영역의 외측영역에서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과 상기 이방성 도전시일재와의 겹침부분에 비차광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유효표시영역에서는, 상기 타방의 투명전극과 액정층의 사이, 상기 유효표시영역과 상기 유효표시영역의 외측영역과의 경계부분에, 차광성 금속도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차광부는 상기 차광성 금속도전층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배선은 ITO 배선과 금속배선이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41034A 2002-07-24 2003-06-24 액정표시장치 KR10053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5701A JP2004061548A (ja) 2002-07-24 2002-07-24 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215701 2002-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120A KR20040010120A (ko) 2004-01-31
KR100532543B1 true KR100532543B1 (ko) 2005-12-01

Family

ID=3188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034A KR100532543B1 (ko) 2002-07-24 2003-06-2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61548A (ko)
KR (1) KR100532543B1 (ko)
CN (1) CN1218211C (ko)
TW (1) TW200410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1057B2 (en) 2018-08-24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prevents light lea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318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0412625C (zh) * 2005-03-17 2008-08-20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检测方法
KR101476276B1 (ko) 2008-12-02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4882B1 (ko) * 2010-06-15 2012-08-17 주식회사 엔씰텍 평판 표시 장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평판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제조 방법
JP2012011665A (ja) * 2010-06-30 2012-01-19 Sharp Corp フレキソ印刷装置、および当該フレキソ印刷装置に用いるフレキソ印刷版
KR102261761B1 (ko) 2013-12-12 2021-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572953A (zh) * 2015-12-22 2016-05-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109240003A (zh) * 2018-09-30 2019-01-18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制造方法
CN113009723B (zh) * 2019-12-20 2023-12-1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视角控制装置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
CN113093413B (zh) * 2019-12-23 2023-11-2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视角控制单元及具有该视角控制单元的显示装置
CN115167039A (zh) * 2022-07-11 2022-10-11 广州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196A (ja) * 1992-02-17 1993-09-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5241139A (ja) * 1992-02-27 1993-09-21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10197880A (ja) * 1996-12-28 1998-07-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ール剤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242229A (ja) * 1998-02-25 1999-09-07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196A (ja) * 1992-02-17 1993-09-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5241139A (ja) * 1992-02-27 1993-09-21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10197880A (ja) * 1996-12-28 1998-07-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ール剤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242229A (ja) * 1998-02-25 1999-09-07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1057B2 (en) 2018-08-24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prevents light lea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120A (ko) 2004-01-31
CN1218211C (zh) 2005-09-07
TW200410020A (en) 2004-06-16
CN1477423A (zh) 2004-02-25
JP2004061548A (ja)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7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7613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688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pacer in the sealant
US57398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JP5165169B2 (ja) 液晶表示装置
EP1914590A2 (en) Display panel
US20120306797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20010005572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및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방법
KR20030078795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532543B1 (ko) 액정표시장치
US11841590B2 (en) Display device
US20230273487A1 (en) Display apparatus
KR20000048089A (ko) 액정 표시 장치
JPH10325951A (ja) 液晶表示装置
JP2012203348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53286B1 (ko)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반사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 및반사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WO2019208552A1 (ja) 表示装置
KR200500787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769989B2 (ja) 表示装置
JP7094810B2 (ja) 表示装置
KR20050000447A (ko) 액정 표시 장치
CN216792621U (zh) 一种液晶显示屏及显示装置
JP200707201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00312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8106056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