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589B1 - 자기 헤드 - Google Patents

자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589B1
KR100531589B1 KR10-2003-0010129A KR20030010129A KR100531589B1 KR 100531589 B1 KR100531589 B1 KR 100531589B1 KR 20030010129 A KR20030010129 A KR 20030010129A KR 100531589 B1 KR100531589 B1 KR 10053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erminal
coil
magnetic 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223A (ko
Inventor
아끼야마도오루
세끼구찌아끼라
사꾸라이겐이찌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580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570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01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3088804U/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코일(18)을 감은 보빈(13)과, 보빈(13)에 일체로 형성되고, 코일(18)에 도통하는 단자(16)와, 단자(16)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20)을 구비하고, 보빈(13)에 구멍(13a)을 형성하고, 구멍(13a)내에 단자(16)의 선단을 삽입하고, 리드선(20)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21)를 구멍(13a)내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부(21)와 단자(16)가 끼워 맞춰지도록 하였다. 또는 코일(18)을 감은 보빈(13)과, 보빈(13)과 코어(12, 14)를 수납하는 케이스(11)를 구비하고, 보빈(13)의 플랜지부에 돌기부(13a)를 형성하고, 코일(18)의 일부를 돌기부(13a)에 걸고, 코일(18)의 단부를 연장하여 케이스(11)의 외부에 도출하도록 하였다. 이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메인기판에 소켓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는 자기 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헤드{MAGNETIC HEAD}
본 발명은 자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헤드의 전기적인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VTR 장치(이하, 「장치」라고 함) 등에 탑재되는 전폭소거(全幅消去) 헤드인 종래의 자기 헤드를 도 16,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자기 헤드(31)의 헤드부(32)는 프런트 코어(33)와, 코일보빈(도시하지 않음)과, 이 코일보빈에 일체화된 접속단자(34)와, 백 코어(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32)는 프런트 코어(33)의 연마 마무리된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33a)이 케이스(35)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수납되며, 헤드부(32)가 케이스(35)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32)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보빈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도선을 감은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또, 코일보빈의 하측에는 대략 L자형의 한 쌍의 접속단자(34, 34)가 인서트 성형 또는 압입 등으로 코일보빈에 일체화되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34)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가늘고 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보빈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일단부(34a)와, 코일보빈으로부터 도시 좌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타단부(34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5)내에 수납되는 코일보빈은 코일이 감기며, 이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를 접속단자(34)의 타단부(34b)에 납땜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5)의 하측에는 장착 아암(35a)이 수평(가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아암(35a)의 하면에는 도 16에 나타낸 위치결정핀(35b)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 아암(35a)의 도시 하측에는 접속단자(34)의 일단부(34a)의 연장방향과 동방향으로 케이스(35)가 연장형성되며, 접속단자(34)의 일단부(34a)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단자홀더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자기 헤드(31)는, 예컨대 VTR 장치(도시하지 않음)측의 회전 실린더나 테이프 주행 시스템이 설치되는 섀시상에 배치되며, 테이프 카세트(도시하지 않음)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테이프 로딩되어 회전 실린더에 장착된 상태로 자기 테이프의 상류측이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33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자기 테이프가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33a)에 맞닿은 상태에서 자기 헤드(31)는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전폭데이터의 소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기 헤드(31)를, 장치측 섀시(37)상에 배치한 것을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자기 헤드(31)는 장착 아암(35a)의 위치결정핀(35b)으로 섀시(37)에 위치결정하여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섀시(37)에 장착된다. 섀시(37)의 하측에는 메인기판(38)이 설치되며, 메인기판(38)에는 소켓부(3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소켓부(39)에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며, 이 커넥터에 접속단자(34)의 일단부(34a)가 삽입되면, 커넥터와 접속단자(3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기 헤드(31)는 접속단자(34)의 일단부(34a)를 소켓부(39)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메인기판(38)과 전기적인 접속을 행할 수 있어 장치의 조립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기 헤드(31)는 메인기판(38)에 소켓부(39)와 커넥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이 자기 헤드(31)를 위한 특수한 커넥터이고, 고가이므로, 비용절감의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 이 소켓부(39)는 메인기판(38)상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메인기판(38)상의 이 소켓부(39)의 위치는 자기 헤드(31)의 위치에 따라 고정되므로, 장치를 소형으로 하기 위해 메인기판(38)을 소형화하고자 할 때 설계의 자유도가 방해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을 소형화하기 쉬운 자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자기 헤드는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導通)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단자가 끼워 맞춰지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부를 보빈의 구멍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선과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메인기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에는 리드선의 접속부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또, 소켓 등의 커넥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렴해진다.
또,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단자가 끼워 맞춰지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부를 케이스의 구멍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선과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메인기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에는 리드선의 접속부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또, 소켓 등의 커넥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렴해진다.
또,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단자에 탄성을 유지시키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을 상기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드선과 상기 단자를 탄성가압하여 장착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드선의 선단을 보빈의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선과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메인기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에는 리드선의 접속부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하면 되므로,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또, 리드선이 직접 자기 헤드의 단자와 접속되므로, 리드선 이외의 부재가 필요없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 수용한 상기 보빈의 단자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단자에 탄성을 유지시키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을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드선과 상기 단자를 탄성가압하여 장착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드선의 선단을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선과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메인기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에는 리드선의 접속부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하면 되므로,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자기 헤드는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과 코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플랜지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를 상기 돌기부에 걸고, 상기 코일의 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도출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빈에는 특별한 접속단자가 필요없게 된다. 또, 코일의 단부를 연장하여 케이스의 외부에 도출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외부와 접속할 수 있다.
또,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과 코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를 상기 돌기부에 걸고, 상기 코일의 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도출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빈에는 특별한 접속단자가 필요없게 된다. 또, 코일의 단부를 연장하여 케이스의 외부에 도출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외부와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코일의 단부를 상기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되접어 꺾어 묶었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는 코일이라도 코일의 단부와 돌기부 사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돌기부에 상기 코일의 일부를 납땜하고, 도통시켜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 헤드 단품의 검사시, 돌기부를 검사용 단자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돌기부는 도전성 금속인 것이 통전을 정확하게 하고, 저항을 낮추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코일의 단부를 외부회로기판에 직접 납땜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회로기판에는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코일의 단부로의 접속부가 있는 것만으로 되고, 이 코일의 단부의 접속부는 위치를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되므로, 외부회로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또, 외부회로기판에는 소켓이 필요없고, 소켓이 있거나 없거나 접속이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자기 헤드를 도 1 ∼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를 도 1 ∼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헤드(10)는 홀드케이스(11)내의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홀드케이스(11)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으며, 내부에 프런트 코어(12), 보빈(13), 백 코어(14) 및 가압부재(15)가 차례로 삽입되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홀드케이스(11)의 전방 단은 프런트 코어(12)의 전면의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슬라이딩접촉면에 맞춰 만곡 볼록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보빈(1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단자(16, 16)가 상기 프런트 코어(12)의 삽입방향과 동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2개의 관통구멍(17, 17)이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코어(12)는 중앙에 갭(12a)을 갖도록 하여 완성품으로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보빈(13)은 합성수지를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성형한 것이며, 각통부분에 코일(18)이 감겨 있다. 보빈(13)의 정상부에는 L자형의 2개의 단자(16, 16)가 각각의 수평부분을 후측을 향하게 하여 삽입고착되어 있고, 상기 코일(18)의 권선 단부가 각각 단자(16)의 수평부분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의 측면 일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13)내 각각의 단자(16)의 수평부분 주위에는 구멍(13a)이 형성되며, 이 구멍(13a)의 입구에 돌기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백 코어(14)는 한 쌍의 전방 멤버(14a, 14a)를 갖는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의 전방 멤버(14a)를 보빈(13)의 코일(18)내에 끼워 통과시킴과 동시에, 각 전방 멤버(14a)의 전방 단면을 프런트 코어(12)의 후측 단면에 접합시킨다.
가압부재(15)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백 코어(14), 보빈(13) 및 프런트 코어(12)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15a)를 갖고 있으며, 4개의 걸어맞춤용 돌기(15b)를 홀드케이스(11)의 측면부분에 뚫어 형성한 걸어맞춤용 구멍(19)에 탄력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기 헤드(10)의 전기적인 접속방법을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인출용 리드선(20)의 선단에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21)를 장착한다.
이 커넥터(21)는 선단(21a)이 단자(16)의 삽입이 가능하게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선단(21a)으로부터 약간 중간정도에 돌기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21)를 보빈(13)의 구멍(13a)내에 삽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1)의 선단(21a)의 중공부에 단자(16)가 삽입된다.
이 구멍(13a)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21) 삽입의 가이드가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21)의 돌기(21b)와 보빈(13) 구멍(13a)내의 돌기부(13b)가 끼워 맞춰져 빠지지 않고, 리드선(20)과 단자(16)는 커넥터(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조립작업이 간단해져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헤드(10)를 장치측 섀시(22)상에 배치한 것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자기 헤드(10)는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섀시(22)에 장착된다. 섀시(22)의 하측에는 메인기판(23)이 배치되며, 메인기판(23)에는 리드선(20)을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접속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접속부(24)는 메인기판(23)상에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또 메인기판(23) 위이면 어디에 배치해도 되며, 2개가 떨어져 있어도 되므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선(20)과 접속부(24)를 땜납 등으로 접착하면, 메인기판(23)과 단자(1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메인기판(23)상에 커넥터인 접속부(24)를 형성하여 리드선(20)과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메인기판(23)상에 커넥터의 스페이스는 필요하게 되지만, 리드선(20)의 자유도에 의해 메인기판(23)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예로서 보빈(13)의 구멍(13a)과 돌기부(13b) 대신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드케이스(11)에 구멍(11a)과 돌기부(11b)를 형성하고, 홀드케이스(11)와 커넥터(21)를 끼워 맞추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를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와의 차이는 보빈(13)의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내에서 단자(16)가 가압부재가 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16)가 「<」형상, 또는 「ㄴ」자형 등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홀드케이스(11)에는 단자(16)에 대응하여 관통구멍(17)이 형성되고, 이 홀드케이스(11)의 관통구멍(17)을 통해 보빈(13)의 구멍에 선단의 도체를 노출시킨 리드선(20)을 삽입하면, 리드선(20)의 선단의 도체가 절곡된 단자(16)에 가압되어 장착되며, 리드선(20)과 단자(1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자기 헤드(10)의 장치측 섀시(22)로의 장착법은 제 1 실시 형태의 도 5와 동일하다.
이 제 2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는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에 비해 커넥터(21)가 필요없어 더욱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를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10)와의 차이는 홀드케이스(11)에는 단자(16)를 삽입한 관통구멍(17)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단자(16)가, 홀드케이스(11)내에서 단자(16)가 가압부재가 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16)가 「<」형상, 또는 「ㄴ」자형 등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17)에 선단의 도체를 노출시킨 리드선(20)을 삽입하면, 리드선(20)의 선단의 도체가 절곡된 단자(16)에 가압되어 장착되며, 리드선(20)과 단자(1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자기 헤드(10)의 장치측 섀시(22)로의 장착법은 제 1 실시 형태의 도 5와 동일하다.
이 제 3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는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에 비해 커넥터(21)가 필요없어 더욱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를 도 9 ∼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헤드(10)는 홀드케이스(11)내의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자기 헤드(10)는 전폭소거 헤드인데, 이 전폭소거 헤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홀드케이스(11)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으며, 내부에 프런트 코어(12), 보빈(13), 백 코어(14) 및 가압부재(15)가 차례로 수납되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드케이스(11)의 전방 단은 프런트 코어(12)의 전면의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으로 이루어지는 매체 슬라이딩접촉면에 맞춰 만곡 볼록면이 되고, 상면에는 보빈(13)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13a)가 프런트 코어(12)의 삽입방향과 동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코어(12)는 중앙에 갭(12a)을 갖도록 하여 완성품으로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보빈(13)은 합성수지를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성형한 것이고, 각통부분의 외주에 코일(18)이 감기며, 보빈(13)의 플랜지부에는 2개의 돌기부(13a, 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3a)는 보빈(13)과 동일한 재질의 수지 또는 금속제 원주형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백 코어(14)는 한 쌍의 다리부(14a, 14a)를 갖는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다리부(14a)를 보빈(13)의 코일(18)내에 끼워 통과시킴과 동시에, 각 다리부(14a)의 전방 단면을 프런트 코어(12)의 후방 단면에 접합시켜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가압부재(15)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백 코어(14), 보빈(13) 및 프런트 코어(12)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15a)를 갖고 있으며, 4개의 걸어맞춤용 돌기(15b)를 홀드케이스(11)의 측면부분에 뚫어 형성한 걸어맞춤용 구멍(11a)에 탄력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장착된다.
코일(18)은 선직경이 φ0.1㎜보다 굵고, 예컨대 φ0.16㎜의 폴리우레탄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기 헤드(10)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13)의 돌기부(13a, 13a)에 각각 코일(18)의 일부를 수회 감아 걸고, 코일(18)의 단부를 연장하여 길게 인출해 둔다.
이 때, 보빈(13)의 돌기부(13a)에서 코일(18)의 일단을 납땜하도록 하면, 코일(18)의 일단의 피복이 열에 의해 용해되어 보빈(13)의 돌기부(13a)에서 코일(18)로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되고, 자기 헤드 단품의 검사시, 돌기부(13a)를 검사용 단자로서 사용할 수 있어 검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돌기부(13a)가 도전성 금속재료인 것이 돌기부(13a)와 코일(18)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므로, 통전을 정확하게 하고, 저항을 낮출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드케이스(11)내에 미리 완성품이 되어 있는 프런트 코어(12)를,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도시하지 않음)을 앞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한다.
다음으로, 코일(18)이 도출된 보빈(13)과 백 코어(14)를 일체로 한 상태 또는 별개로 홀드케이스(11)내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가압부재(15)를, 스프링부(15a)에 의해 백 코어(14), 보빈(13) 및 프런트 코어(12)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가압하면서 삽입시키고, 각 걸어맞춤용 돌기(15b)가 홀드케이스(11)의 각 걸어맞춤용 구멍(11a)에 탄력적으로 걸어맞춰질때까지 압입한다.
이에 의해 홀드케이스(11)내로의 구성요소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는 각각 적정위치에 장착된다.
예컨대, 프런트 코어(12)는 그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의 단 가장자리부를 홀드케이스(11)의 맞닿음부에 맞닿게 하여 테이프 슬라이딩접촉면을 적정하게 홀드케이스(11)로부터 노출시키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자기 헤드는 동작특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매우 높은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자기 헤드(10)를 장치측 섀시(17)상에 배치한 것을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자기 헤드(10)는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섀시(22)에 장착된다.
섀시(22)의 하측에는 외부회로기판(23)이 배치되며, 외부회로기판(23)에는 코일(18)의 단부를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접속부(19, 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접속부(19, 19)는 소켓부가 필요없고, 배선 패턴만으로 되므로, 외부회로기판(23)상에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또 코일(18)의 단부는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외부회로기판(23) 위이면 어디에 배치해도 되므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13)의 돌기부(13a)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코일(18)의 단부와 접속부(19)를 직접 땜납 등으로 접착하면, 외부회로기판(23)과 자기 헤드(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접속된 코일(18)은 선직경이 φ0.1㎜보다 굵은 것이므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코일(18)의 연장된 부분을 비닐튜브 등으로 덮으면, 더욱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술한 코일(18)은 선직경이 φ0.1㎜보다 굵은 것이었는데, 선직경에 관계없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18)의 단부를 보빈(13)의 돌기부(13a)와의 사이에서 수회 되접어 꺾어 왕복시키고, 권선기(20)에 의해 묶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코일(18) 단부의 묶인 복수의 선과 외부회로기판(23)의 접속부(19)를 땜납 등으로 접착하면, 코일(18) 단부의 피복이 열에 의해 용해되어 외부회로기판(23)과 자기 헤드(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일(18)의 연장부분의 강도도 충분히 유지된다.
또, 보빈(13)의 돌기부(13a)는 보빈(13)의 상면에 형성하도록 설명했는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13)의 배면 등 보빈(13)의 어디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13a)는 보빈(13)의 플랜지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보빈(13) 대신에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에 케이스(11)와 동일한 재질의 수지 또는 금속제로 이루어지는 돌기부(11b)를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자기 헤드를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는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 경로의 평면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M)는 VTR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 실린더(100)에 테이프 릴(110)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 매체(T)가 감겨 이루어지는 테이프 로딩 경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테이프 로딩 경로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릴(110)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 매체(T)를 안내하여 회전 실린더(100)에 감기 위해 회전 실린더(100)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포스트(130a, 130b)와, 자기 테이프 매체(T)를 주행시키기 위해 회전 실린더(100)의 하류측에 설치된 캡스턴(140)과, 회전 실린더(100)의 상류측에 구비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소거용 자기 헤드(m)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 1 ∼ 4의 자기 헤드는 테이프 로딩 경로에 구비되어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로서 사용된다.
즉, 도 15의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M)에서는 송출측 테이프 릴(110)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 매체(T)가 소거용 자기 헤드(m)의 매체 슬라이딩면 위를 슬라이딩한 후 가이드포스트(130a)에 안내되어 회전 실린더(100)에 소정각도로 감기고, 또한 가이드포스트(130b)에 안내되고, 캡스턴(140)과 핀치롤러(150) 사이에 끼워져, 캡스턴(140)의 회전에 의해 도시 화살표방향으로 주행되고, 최종적으로 이 자기 테이프 매체(T)는 도시를 생략한 권취측 테이프 릴(120)에 권취된다. 또, 회전 실린더(100)에는 영상용 자기 헤드(310, 410)가 탑재되어 있어 회전 실린더(100)에 감긴 자기 테이프 매체(T)의 영상 트랙에 대해 영상신호를 기록ㆍ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포스트(130b)와 캡스턴(140)의 사이에는 음성용 자기 헤드(510)가 배치되어 있어 자기 테이프 매체(T)의 음성 트랙에 대해 음성신호를 기록ㆍ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헤드는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 또는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단자가 끼워 맞춰지도록 했기 때문에, 리드선의 선단을 보빈 또는 케이스의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선과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메인기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메인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메인기판에는 리드선의 접속부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하면 되므로, 메인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또, 본 발명의 자기 헤드는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과 코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플랜지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를 상기 돌기부에 걸고, 상기 코일의 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빈에는 접속단자가 필요없게 되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외부회로기판에 직접 납땜하도록 했기 때문에, 외부회로기판에는 소켓이 필요없게 되어 저렴하게 외부회로기판과 접속할 수 있고, 또 외부회로기판에는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코일의 단부로의 접속부가 있는 것만으로 되고, 이 코일 단부의 접속부는 위치를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되므로, 외부회로기판을 소형화할 때의 설계가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 리드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 리드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기 헤드를 장치측 섀시에 장착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자기 헤드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자기 헤드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기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기 헤드를 장치측 섀시에 장착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자기 헤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자기 헤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자기 헤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자기 헤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자기 헤드를 사용한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자기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자기 헤드를 장치측 섀시에 장착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스 12 : 프런트 코어
13 : 보빈 13a : 보빈의 구멍
14 : 백 코어 15 : 가압부재
16 : 단자 17 : 관통구멍
18 : 코일 20 : 리드선
21 : 커넥터 22 : 섀시
23 : 메인기판

Claims (20)

  1.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단자가 끼워 맞춰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2.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부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단자가 끼워 맞춰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3.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내에 상기 단자의 선단을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단자에 탄성을 유지시키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을 상기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드선과 상기 단자를 탄성가압하여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4. 코일을 감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 도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외부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 수용한 상기 보빈의 단자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단자에 탄성을 유지시키고,
    상기 리드선의 선단을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드선과 상기 단자를 탄성가압하여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기재된 자기 헤드를 테이프 로딩 경로에 구비한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
  16. 제 2 항에 기재된 자기 헤드를 테이프 로딩 경로에 구비한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
  17. 제 3 항에 기재된 자기 헤드를 테이프 로딩 경로에 구비한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
  18. 제 4 항에 기재된 자기 헤드를 테이프 로딩 경로에 구비한 테이프 매체 기록재생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03-0010129A 2002-03-04 2003-02-18 자기 헤드 KR100531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8074A JP2003257005A (ja) 2002-03-04 2002-03-04 磁気ヘッド
JPJP-P-2002-00058074 2002-03-04
JPJP-U-2002-00001585 2002-03-25
JP2002001585U JP3088804U (ja) 2002-03-25 2002-03-25 磁気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223A KR20030072223A (ko) 2003-09-13
KR100531589B1 true KR100531589B1 (ko) 2005-11-28

Family

ID=2780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129A KR100531589B1 (ko) 2002-03-04 2003-02-18 자기 헤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31589B1 (ko)
CN (2) CN165828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0974C (zh) 2005-09-28
CN1442846A (zh) 2003-09-17
CN1658284A (zh) 2005-08-24
KR20030072223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4366B1 (en) Magnetic head-support assembly and access mechanism for a disk drive
US8018688B2 (en) Head stack assembly with spacers to partition drive arms
JP2872892B2 (ja) 磁気テープ装置用fpc及び磁気テープ装置
KR910005618Y1 (ko) 가요성 디스크용 자기헤드
JPH0755687Y2 (ja) 磁気ディスクのための磁気ヘッド装置
KR100531589B1 (ko) 자기 헤드
KR900006069Y1 (ko) 자기 헤드의 코일보빈
KR19980023812A (ko) 브이씨알의 전폭소거헤드 전원접속구조
US6943983B2 (en) Flexible disk drive including sub circuit board with a hall element mounted thereon
JP3088804U (ja) 磁気ヘッド
JP365845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088721U (ja) 磁気ヘッド
JP410707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3257005A (ja) 磁気ヘッド
JP2567884Y2 (ja) 磁気ヘッド装置
KR100498428B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자기헤드신호선커넥팅구조
US6028747A (en) Head drum assembly having a member locating and fixing video heads on an upper drum
KR100200596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3522530B2 (ja) 磁気ヘッドおよびこの組立方法
KR10032725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 소거 헤드 결합체
KR200153001Y1 (ko) 브이씨알의 전폭소거헤드 전원접속구조
US6650500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tation Transmission Coil for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a Cassette Transponder
US531334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085342U (ja) 磁気テープ装置
JP3109202B2 (ja) 磁気ヘッド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