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496B1 - 장기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장기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496B1
KR100531496B1 KR10-2003-0069711A KR20030069711A KR100531496B1 KR 100531496 B1 KR100531496 B1 KR 100531496B1 KR 20030069711 A KR20030069711 A KR 20030069711A KR 100531496 B1 KR100531496 B1 KR 10053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d
coupled
rotating
coupl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979A (ko
Inventor
홍대희
이규백
전훈재
전종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3-006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4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49Needle-like instruments having hook or barb-like gripping means, e.g. for grasping suture or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관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몸체부에 결합되는 회전봉과,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회전부와; 신체 내부를 봉합하는 바늘을 잡고 놓음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그리퍼부와; 그리퍼부를 회전부에 결합시키고 동작시키는 링크부와; 시술할 부위를 꿰어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회전하는 회전봉을 지지하기 위하여 결합관 내부로 인입되는 회전봉 끝단에 접촉되도록 결합관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뭉치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봉합동작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수술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봉합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기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기 봉합장치 {Apparatus for stitching internal organ}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체 내부를 수술하는 내시경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봉합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剖檢)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病變)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氣管支鏡)·식도경(食道鏡)·위경(胃鏡)·십이지장경(十二指腸鏡)·직장경(直腸鏡)·방광경(膀胱鏡)·복강경(腹腔鏡)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는 흉강경(胸腔鏡)·종격경(縱隔鏡)·심장경(心臟鏡) 등이 있다.
또한, 내시경에는 직달경(直達鏡)이라 하여 1개의 통(筒)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胃 카메라)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최근 위암의 조기발견 진단에 위카메라·위파이버스코프 등이 크게 활용되고 있다. 위카메라는 위 안으로 소형 카메라를 삽입하여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기록하여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파이버스코프는 해상력(解像力)이 좋고,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을 절단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 특히 위(胃)에 관한 내시경의 고도발달로 인해 보통 내시경이라고 하면 위카메라·위파이버스코프를 가리킨다.
또한, 최근에는 봉합이 가능한 수술기구를 내시경에 부착하여 환자의 장기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를 절개하지 아니하고서도 장기 내부를 시술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수술기구가 고안되어왔다.
미국특허번호 5,431,666에 이와 같은 봉합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바늘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들은 도구의 원방 종단에서 봉합사의 상응하는 종단을 집어 올리게 된다.
바늘 포획 기구는 페룰이라고 하는 두개의 바늘 수용부를 제공하며, 상기 바늘 수용부들 사이에 한올의 봉합재를 갖는다. 상기 바늘 수용부들은 도구내에서 바늘들로 약간의 갭을 두고 떨어져 있다. 사용시에는, 봉합될 조직이 바늘들과 페룰이라고 하는 바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바늘이 조직을 관통하고, 상기 봉합사의 한쪽 끝을 잡은 다음 그것을 조직을 뚫고 나오도록 잡아당긴다. 상기 도구는 그런 다음 조직의 다른 위치로 옮겨지고, 제2 바늘은 조직을 관통하여 봉합사의 다른 쪽 끝을 집어서 끌어당긴다. 다음으로 조직을 봉합하기 위해 상기 봉합재를 단단히 묶거나 조여 적당한 곳에 매듭을 짓는다. 이러한 도구를 이용할 때 외과의는 일반적으로 수술 부위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봉합도구는 봉합이 요구되는 부위를 한 땀씩 꿰맨 후 매듭장치를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수술이 매우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한 번 사용된 도구들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봉합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봉합 시술을 함에 있어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므로 시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수술 시간의 장기화로 인하여 환자의 고통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시경과 함께 신체 내부로의 인입이 가능하고, 봉합동작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봉합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기 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신체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관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몸체부에 결합되는 회전봉과,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회전부와; 신체 내부를 봉합하는 바늘을 잡고 놓음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그리퍼부와; 그리퍼부를 회전부에 결합시키고 동작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퍼부는,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 상단에 바늘의 안착이 가능한 형상의 바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아래턱과, 바늘 안착홈이 형성된 부위의 아래턱 상단면에 결합되며 바늘 안착홈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바늘 안착홈에 밀착 가능한 형상의 바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위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링크부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회전봉과 아래턱을 연결하는 회전링크와, 일측 끝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위턱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링크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아래턱과 제 1 결합링크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링크와, 바늘 고정돌기가 바늘 안착홈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턱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과, 한쪽 끝단이 제 1 결합링크 일부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외부로 인출되는 그리퍼 구동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봉은, 회전링크와 결합되는 편의 끝단 일부에 그리퍼 구동선이 관통 가능한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리퍼 구동선은 일측 끝단이 위턱과 결합되는 반대편의 제 1 결합링크 일측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관통구를 관통하여 회전봉 및 결합관 내부를 거쳐 외부로 인출된다.
회전봉은, 외주면 중단부에 링 형상의 제 1 격리돌기, 제 2 격리돌기, 제 3 격리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회전수단은, 일측 끝단이 제 1 격리돌기와 제 2 격리돌기 사이의 회전봉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1 격리돌기와 제 2 격리돌기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결합관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회전선과, 일측 끝단이 제 2 격리돌기와 제 3 격리돌기 사이의 회전봉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2 격리돌기와 제 3 격리돌기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결합관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회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관는, 제 1 회전선 및 제 2 회전선이 감겨지는 부위와 대응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제 1 회전선 및 제 2 회전선이 인출 가능한 형상의 제 1 인출구와 제 2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관 외부로 인출된 제 1 회전선 및 제 2 회전선이 회전봉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결합관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회전봉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지점에 제 1 인입구 및 제 2 인입구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시술할 부위를 꿰어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회전하는 회전봉을 지지하기 위하여 결합관 내부로 인입되는 회전봉 끝단에 접촉되도록 결합관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뭉치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고정뭉치가 결합관 내부면 전주에 걸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고정뭉치에는 제 1 회전선 및 제 2 회전선, 그리퍼 구동선의 관통이 가능한 형상으로 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뭉치홀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고정핀은 일측 끝단이 회전봉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를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뭉치에 결합될 수도 있고, 회전봉의 회전축을 따라 시술 부위를 향하는 회전봉의 끝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신체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관(110)과, 결합관(110) 일측에 결합되며 굴절 각도가 변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신체 내부로의 결합관(110)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관절관(12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관(110) 내부에 결합되는 회전봉(210)과, 회전봉(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을 포함하는 회전부(200)와; 신체 내부를 봉합하는 바늘을 잡고 놓음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그리퍼부(300)와; 그리퍼부(300)를 회전부(200)에 결합시키고 동작시키는 링크부(400)와; 시술할 부위를 꿰어 고정시키는 고정핀(510)과, 회전하는 회전봉(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결합관(110) 내부로 인입되는 편의 회전봉(210) 끝단에 접촉되도록 결합관(11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뭉치(520)로 구성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퍼부(300)는, 회전봉(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 상단에 바늘의 안착이 가능한 형상의 바늘 안착홈(312)이 형성되는 아래턱(310)과, 바늘 안착홈(312)이 형성된 부위의 아래턱(310) 상단면에 결합되며 바늘 안착홈(312)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바늘 안착홈(312)에 밀착 가능한 형상의 바늘 고정돌기(322)가 형성되는 위턱(3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바늘 안착홈(312)의 상단면과 바늘 고정돌기(322)의 하단면은, 바늘의 안착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위턱(320)은, 하단부가 아래턱(310)에 결합되며 아래턱(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 또는 리벳 등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을 이용한 결합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각 부품의 형상 및 결합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고자 핀의 형상을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위턱(320)이 아래턱(310)과 이격된 상태에서 아래턱(3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바늘 안착홈(312) 상단면에 바늘이 안착되면, 위턱(320)은 바늘 고정돌기(322)가 바늘 안착홈(312)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늘을 고정시킨다. 이때, 아래턱(310)과 위턱(320)의 사이로 인입되는 바늘(20: 도 5a 참조)이 바늘 고정돌기(322)의 측면에 간섭되어 바늘 안착홈(312)과 바늘 고정돌기(322)의 사이에 위치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바늘 고정돌기(322)의 측면은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40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일측 끝단이 회전봉(210)의 측면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아래턱(310)에 결합되는 회전링크(410)와, 일측 끝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위턱(3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링크(42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아래턱(310)의 중단부와 제 1 결합링크(420)의 중단부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링크(430)와, 바늘 고정돌기(322)가 바늘 안착홈(312)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턱(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440)과, 한쪽 끝단이 제 1 결합링크(420) 일부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외부로 인출되는 그리퍼 구동선(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링크(410), 제 1 결합링크(420), 제 2 결합링크(430)의 결합방법은 아래턱(310)과 위턱(320) 간의 결합방법과 마찬가지로 핀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판스프링(440)과 그리퍼 구동선(450)은 아래턱(310)과 제 1 결합링크(420)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결합링크(420)가 제 2 결합링크(430)와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결합링크(430)는 아래턱(310)과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위턱(320)은 아래턱(310)과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래턱(310)에 밀착된다. 또한, 제 1 결합링크(420)가 제 2 결합링크(430)와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결합링크(430)는 아래턱(310)과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위턱(320)은 아래턱(310)과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래턱(310)과 이격된다. 이와 같은 위턱(320)의 동작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판스프링(440)은 일측 끝단이 아래턱(310)에 고정 결합되어 제 2 결합링크(4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2 결합링크(43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위턱(320)은 판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래턱(310)과 이격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판스프링(440)은 위턱(320)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기타 여러 가지 스프링 및 탄성체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회전봉(2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 중단부에 링 형상의 제 1 격리돌기(214), 제 2 격리돌기(215), 제 3 격리돌기(216)가 각각 형성되고, 회전링크(410)와 결합되는 편의 곡면부에는 그리퍼 구동선(450)이 관통 가능한 형상의 관통구(212)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리퍼 구동선(450)은 일측 끝단이 위턱(320)과 결합되는 반대편의 제 1 결합링크(420) 일측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관통구(212)를 관통하여 회전봉(210) 및 결합관(110) 내부를 거쳐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로 인출된 그리퍼 구동선(450)을 조절하여 위턱(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회전봉(2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측 끝단이 제 1 격리돌기(214)와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의 회전봉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1 격리돌기(214)와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회전선(220)과, 일측 끝단이 제 2 격리돌기(215)와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의 회전봉(210)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2 격리돌기(215)와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회전선(230)을 구비한다.
이때, 결합관(110)은,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이 감겨지는 부위와 대응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이 인출 가능한 형상의 제 1 인출구(111)와 제 2 인출구(112)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된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이 회전봉(210)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회전봉(210)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지점에 제 1 인입구(115) 및 제 2 인입구(116)가 각각 형성된다. 즉, 회전봉(210)이 결합관(110)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제 1 격리돌기(214)와 제 2 격리돌기(215) 사이 지점과 대응되는 부위의 결합관(110) 일부에 제 1 인출구(111)가 형성되고, 제 2 격리돌기(215)와 제 3 격리돌기(216) 사이 지점과 대응되는 부위의 결합관(110) 일부에 제 2 인출구(112)가 형성되며, 제 1 격리돌기(214)와 대응되는 부위보다 안쪽 지점에 제 1 인입구(115) 및 제 2 인입구(116)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는, 시술할 부위를 꿰어 고정시키는 고정핀(510)과, 회전하는 회전봉(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결합관(110) 내부로 인입되는 회전봉(210) 끝단에 접촉되도록 결합관(11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뭉치(520)를 포함하는 고정부(500)를 추가로 구비한다.
고정뭉치(520)가 결합되는 위치의 결합관(110) 일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고정홀(118)이 형성되며, 고정뭉치(520)에는 제 1 회전선(220), 제 2 회전선(230), 그리퍼 구동선(450)이 동시에 관통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의 고정뭉치홀(522)이 결합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고정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홀(118)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돌기(524)가 형성된다.
고정핀(510)은 회전봉(21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회전봉(2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고, 반대편 끝단은 고정뭉치(520)에 고정 결합된다.
회전봉(210)에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이 감겨진 후 결합관(110)의 내부로 인입되면, 제 1 회전선(220)은 제 1 인출구(111)를 통하여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되어 제 1 인입구(115)를 통하여 다시 인입된 후 고정뭉치홀(522)을 관통하여 관절관(120) 외부로 인출되고, 제 2 회전선(230)은 제 2 인출구(112)를 통하여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되어 제 2 인입구(116)를 통하여 다시 인입된 후 고정뭉치홀(522)을 관통하여 관절관(120)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은 서로 간섭되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회전봉(210)과의 간섭도 발생하지 아니하게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장기 봉합장치가 조립이 완료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형상은 위턱(320)이 아래턱(310)에 밀착되도록 그리퍼 구동선(450)이 당겨진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리퍼 구동선(45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판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2 결합링크(4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위턱(3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아래턱(310)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회전봉(210)의 끝단 일부와, 그리퍼부(300)와, 링크부(400)와, 고정핀(510)의 일부만 결합관(110)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회전봉(210)의 회전을 위한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은 제 1 인출구(111)와 제 1 인입구(115) 사이, 제 2 인출구(112)와 제 2 인입구(116) 사이에서만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리퍼 구동선(450)은 관통구(212)를 거쳐 회전봉(210) 내부를 관통하고, 고정뭉치홀(522)과 관절관(12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그리퍼 구동선(450)은 회전봉(210)이 회전하더라도 부품 사이에 끼이거나 손상되지 아니하게된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선(220)은 제 1 인출구(111)를 통하여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되어 제 1 인입구(115)를 통하여 다시 인입된 후 고정뭉치홀(522)을 관통하여 관절관(120) 외부로 인출되고, 제 2 회전선(230)은 제 2 인출구(112)를 통하여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되어 제 2 인입구(116)를 통하여 다시 인입된 후 고정뭉치홀(522)을 관통하여 관절관(120)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회전봉(210)의 외측면과 결합관(110)의 내측면 사이로 인입되는 제 1 회전선(220) 및 제 2 회전선(230)이 고정뭉치(5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뭉치홀(522)은 고정뭉치(520)에 접촉되는 편의 회전봉(210) 끝단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신체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부(300)와 링크부(400)가 결합관(110)의 길이방향으로 곧게 뻗어지는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기 봉합장치는 식도와 같은 좁은 구역을 지나 신체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된다.
이때, 신체 내부에 상처를 발생시키지 아니하며 좁은 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그리퍼부(300)와 링크부(400)의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고정핀(510)의 끝단은 결합관(11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 하다.
도 3b는 그리퍼부가 들어 올려진 형상을 도시하고,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위턱이 아래턱에 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리퍼 구동선(450)을 잡아당기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410)는 회전봉(210)과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그리퍼부(300)의 위치는 상향으로 이동된다.
회전링크(41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에 그리퍼 구동선(45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판스프링(44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제 1 결합링크(420)는 제 2 결합링크(430)와의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되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턱(320)이 아래턱(310)에 밀착된다.
도 4a는 회전봉에 제 1 회전선과 제 2 회전선이 감겨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선(220)은 제 1 격리돌기(214)와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에 감겨지고, 제 2 회전선(230)은 제 2 격리돌기(215)와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에 감겨지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한다.
이때,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진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선이 잡아당겨진 형상을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2 회전선이 잡아당겨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선(220)을 잡아당기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210)에 감겨진 제 1 회전선(220)의 일부가 풀려짐과 동시에 회전봉(210)은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제 1 회전선(220)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 2 회전선(230)은 제 1 회전선(220)이 풀려진 길이만큼 더 감기게 되고, 회전봉(210)에 결합되어있는 그리퍼부(300)와 링크부(400) 역시 회전봉(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2 회전선(230)을 잡아당기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210)에 감겨진 제 2 회전선(220)의 일부가 풀려짐과 동시에 회전봉(210)은 도 4b에 도시된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2 회전선(230)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제 1 회전선(220)은 제 2 회전선(230)이 풀려진 길이만큼 더 감기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 수술을 실시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자상(刺傷:12)이 생긴 환부(10)에 장기 봉합장치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510)을 이용하여 환부(10)를 고정시키고, 위턱(320)과 아래턱(310)을 이용하여 바늘(20)을 잡아 고정시킨다.
환부(10) 및 바늘(20)의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을 조작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210)을 회전시킨다. 회전봉(210)이 회전함에 따라 바늘(20)을 잡고 있는 그리퍼부(300) 역시 회전하게 되므로, 바늘(20)은 환부(10)를 뚫고 삽입된다.
바늘(20)이 환부(10)를 관통하여 끝단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면,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턱(320)을 들어 바늘(20)을 놓은 후 제 1 회전선(220)과 제 2 회전선(230)을 조작하여 회전봉(2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퍼부(300)가 외부로 돌출된 바늘(20)의 끝단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부(300)로 바늘(20)을 잡은 후, 바늘(20)이 환부(10)를 관통하도록 회전봉(210)을 회전시킨다.
바늘(20)의 환부(10) 관통이 완료되면, 자상(12)이 형성된 반대편 환부(10')에 고정핀(510)을 꽂고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상(12)은 봉합시킬 수 있게된다.
도 6은 고정핀이 회전봉에 결합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510)의 위치는 회전봉(210)의 끝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510)이 회전봉(210)의 끝단에 결합되는 경우, 회전봉(210)이 회전을 하더라도 고정핀(51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핀(510)은 회전봉(210)의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핀(510)의 위치만 변경되었을 뿐 기타 부품의 구조 및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사용하면, 내시경과 함께 신체 내부로의 인입이 가능하고, 봉합동작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수술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봉합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동작을 시술자가 직접 조절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장기 봉합장치가 조립이 완료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가 신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b는 그리퍼부가 들어 올려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위턱이 아래턱에 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회전봉에 제 1 회전선과 제 2 회전선이 감겨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선이 잡아당겨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2 회전선이 잡아당겨진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장기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봉합 수술을 실시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고정핀이 회전봉에 결합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결합관
120 : 관절관 200 : 회전부
210 : 회전봉 220 : 제 1 회전선
230 : 제 2 회전선 300 : 그리퍼부
310 : 아래턱 320 : 위턱
400 : 링크부 410 : 회전링크
420 : 제 1 결합링크 430 : 제 2 결합링크
440 : 판스프링 450 : 그리퍼 구동선
500 : 고정부 510 : 고정핀
520 : 고정뭉치

Claims (12)

  1. 신체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관(11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회전봉(210)과, 상기 회전봉(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회전부(200)와;
    신체 내부를 봉합하는 바늘(20)을 잡고 놓음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그리퍼부(300)와;
    상기 그리퍼부(300)를 상기 회전부(200)에 결합시키고 동작시키는 링크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1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 중단부에 링 형상의 제 1 격리돌기(214), 제 2 격리돌기(215), 제 3 격리돌기(21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격리돌기(214)와 상기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의 상기 회전봉(210)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1 격리돌기(214)와 상기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회전선(220)과, 일측 끝단이 상기 제 2 격리돌기(215)와 상기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의 상기 회전봉(210)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격리돌기(215)와 상기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회전선(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110)은,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감겨지는 부위와 대응되는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인출 가능한 형상의 제 1 인출구(111)와 제 2 인출구(1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상기 회전봉(210)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봉(210)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지점에 제 1 인입구(115) 및 제 2 인입구(11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10)의 회전축을 따라 시술 부위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봉(210)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핀(51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부(300)는,
    상기 회전봉(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 상단에 바늘(20)의 안착이 가능한 형상의 바늘 안착홈(312)이 형성되는 아래턱(310)과, 상기 바늘 안착홈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아래턱(310) 상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 안착홈(312)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바늘 안착홈(312)에 밀착 가능한 형상의 바늘 고정돌기(322)가 형성되는 위턱(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40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전봉(210)과 상기 아래턱(310)을 연결하는 회전링크(410)와, 일측 끝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위턱(32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링크(42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아래턱(310)과 상기 제 1 결합링크(420)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링크(430)와, 상기 바늘 고정돌기(322)가 상기 바늘 안착홈(312)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턱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440)과, 한쪽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링크(420) 일부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외부로 인출되는 그리퍼 구동선(4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봉(210)은,
    상기 회전링크(410)와 결합되는 편의 끝단 일부에 상기 그리퍼 구동선(450)이 관통 가능한 형상의 관통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 구동선(450)은,
    일측 끝단이 상기 위턱(320)과 결합되는 반대편의 상기 제 1 결합링크(420) 일측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관통구(212)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210) 및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거쳐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6. 신체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관(11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회전봉(210)과, 상기 회전봉(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회전부(200)와;
    신체 내부를 봉합하는 바늘(20)을 잡고 놓음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그리퍼부(300)와;
    상기 그리퍼부(300)를 상기 회전부(200)에 결합시키고 동작시키는 링크부(400)와;
    시술할 부위를 꿰어 고정시키는 고정핀(510)과,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관(110)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회전봉(210) 끝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결합관(11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뭉치(5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뭉치(520)는,
    상기 결합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뭉치홀(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1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 중단부에 링 형상의 제 1 격리돌기(214), 제 2 격리돌기(215), 제 3 격리돌기(21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격리돌기(214)와 상기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의 상기 회전봉(210)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1 격리돌기(214)와 상기 제 2 격리돌기(215)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회전선(220)과, 일측 끝단이 상기 제 2 격리돌기(215)와 상기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의 상기 회전봉(210)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격리돌기(215)와 상기 제 3 격리돌기(216) 사이에 일부가 감겨지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회전선(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110)은,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감겨지는 부위와 대응되는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인출 가능한 형상의 제 1 인출구(111)와 제 2 인출구(1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110)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 1 회전선(220) 및 상기 제 2 회전선(230)이 상기 회전봉(210)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봉(210)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지점에 제 1 인입구(115) 및 제 2 인입구(11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0)은,
    상기 회전봉(210)의 회전축을 따라 시술 부위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봉(210)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0)은,
    일측 끝단이 상기 회전봉(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시술 부위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뭉치(5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부(300)는,
    상기 회전봉(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 상단에 바늘(20)의 안착이 가능한 형상의 바늘 안착홈(312)이 형성되는 아래턱(310)과, 상기 바늘 안착홈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아래턱(310) 상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 안착홈(312)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바늘 안착홈(312)에 밀착 가능한 형상의 바늘 고정돌기(322)가 형성되는 위턱(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40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전봉(210)과 상기 아래턱(310)을 연결하는 회전링크(410)와, 일측 끝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위턱(32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링크(42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아래턱(310)과 상기 제 1 결합링크(420)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링크(430)와, 상기 바늘 고정돌기(322)가 상기 바늘 안착홈(312)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턱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440)과, 한쪽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링크(420) 일부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외부로 인출되는 그리퍼 구동선(4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봉(210)은,
    상기 회전링크(410)와 결합되는 편의 끝단 일부에 상기 그리퍼 구동선(450)이 관통 가능한 형상의 관통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 구동선(450)은,
    일측 끝단이 상기 위턱(320)과 결합되는 반대편의 상기 제 1 결합링크(420) 일측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관통구(212)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210) 및 상기 결합관(110) 내부를 거쳐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봉합장치.
KR10-2003-0069711A 2003-10-07 2003-10-07 장기 봉합장치 KR10053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11A KR100531496B1 (ko) 2003-10-07 2003-10-07 장기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11A KR100531496B1 (ko) 2003-10-07 2003-10-07 장기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79A KR20050033979A (ko) 2005-04-14
KR100531496B1 true KR100531496B1 (ko) 2005-11-29

Family

ID=3723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711A KR100531496B1 (ko) 2003-10-07 2003-10-07 장기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343A (ko) 2014-12-08 2016-06-16 육상수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83B1 (ko) * 2007-02-23 2008-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장기흡인용 진공캡 및 이를 이용한 장기봉합장치
KR101153306B1 (ko) * 2009-10-26 2012-06-05 국립암센터 수술용 봉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343A (ko) 2014-12-08 2016-06-16 육상수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79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8190B2 (ja) 縫合装置
US5855312A (en) Flexible annular stapler for closed surgery of hollow organs
KR100551740B1 (ko)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JP4898709B2 (ja) 経自然開口的または経皮的な医療システム
US6338737B1 (en) Flexible annular stapler for closed surgery of hollow organs
US20170215872A1 (en) Medical instrument to place a pursestring suture, open a hole and pass a guidewire
JP4533695B2 (ja) 処置用内視鏡
US8784438B2 (en) Perforation suturing method
US20070073319A1 (en) Method for suturing perforation and suture instrument
US20030176880A1 (en) Biopsy forceps device and method
US20070167676A1 (en) Overtube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using the same
JP2010057895A (ja) 処置用内視鏡
WO2007081039A2 (en)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pening
US20070167675A1 (en) Overtube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using the same
US10390818B2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EP3216404B1 (en) Towing device for endoscopy
JP5372301B1 (ja) 医療用ポート
KR100531496B1 (ko) 장기 봉합장치
JP2012024607A (ja) 縫合器
JPH10262907A (ja) 内視鏡ガイド装置
JP4276832B2 (ja) 内視鏡装置
US20240081796A1 (en) Full-thickness resection method
JP3555356B2 (ja) 可撓コードを持った医療器具のガイド装置
KR101979294B1 (ko) 내시경 구조체
KR101667111B1 (ko) 내시경용 연속 봉합장치 및 연속 봉합 기능을 갖는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