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138B1 -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138B1
KR100531138B1 KR10-2003-0091732A KR20030091732A KR100531138B1 KR 100531138 B1 KR100531138 B1 KR 100531138B1 KR 20030091732 A KR20030091732 A KR 20030091732A KR 100531138 B1 KR100531138 B1 KR 10053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hole
lower body
locking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447A (ko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김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국 filed Critical 김용국
Priority to KR10-2003-009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1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누름버튼에 상부커버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하고, 상부커버의 걸림돌기에는 하부몸체에 설치된 누름버튼이 걸리도록 하며, 하부몸체의 후방벽에는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팔찌 및 시계줄에 사용하는 잠금장치에 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부주의로 누름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도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아니하여 하부몸체와 상부커버가 개방되지 않아서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설치한 시계나 팔찌를 분실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는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의 잠금상태를 록킹, 해제하는 누름버튼(20)과, 누름버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일정한 범위에서 출몰되게 하는 스톱퍼(30)와, 하부몸체(1)의 후방벽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50)와, 타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며 하부몸체(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상부커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Fastener for a wristlet and a watch chain}
본 발명은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누름버튼에 상부커버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하고, 상부커버의 걸림돌기에는 하부몸체에 설치된 누름버튼이 걸리도록 하며, 하부몸체의 후방벽에는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팔찌 및 시계줄에 사용하는 잠금장치에 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부주의로 누름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도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아니하여 하부몸체와 상부커버가 개방되지 아니하여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설치한 시계나 팔찌를 분실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시계줄 잠금장치의 잠금구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공개번호 96-12009호(1996. 4. 17 공개)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선출원 된 시계줄 잠금장치의 잠금구는, 양단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조립측벽이 형성되며 활주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조립측벽에 대응하여 끼워맞춤 조립되는 조립측벽이 형성된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외량으로 탄력지지되며 상기 상판의 활주홈 내에서 감합되는 감합돌기가 형성된 누름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계줄 잠금장치의 2방향 누름편식 잠금구를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제조되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편리함을 지니고 있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누름편이 눌려지는 경우에 상판과 하판의 잠금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손목에 찬 시계가 손목에서 쉽게 빠지면서 땅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시계줄에는 잠금장치의 일측과 시계줄의 사이에 힌지식으로 절첩되는 연결편을 설치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연결편이 펼쳐지면서 시계가 손목에 걸려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순간적으로 해제되면서 연결편이 펼쳐질 때 잠금장치와 연결편, 그리고 시계본체를 포함한 시계의 전체 내경이 확대되면서 손목에서 시계가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몸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누름버튼에 상부커버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하고, 상부커버의 걸림돌기에는 하부몸체에 설치된 누름버튼이 걸리도록 하며, 하부몸체의 후방벽에는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팔찌 및 시계줄에 사용하는 잠금장치에 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부주의로 누름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도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아니하여 하부몸체와 상부커버가 개방되지 아니하여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설치한 시계나 팔찌를 분실하지 않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하부몸체와 상부커버의 잠금상태를 록킹 및 해제하는 누름버튼과, 누름버튼의 상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이 일정한 범위에서 출몰되게 하는 스톱퍼와, 하부몸체의 후방벽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와, 타측단이 반대편 시계줄과 연결되며 하부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상부커버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단이 시계줄 또는 팔찌(이하 시계줄이라 통칭함)가 연결되는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의 잠금상태를 록킹 및 해제하는 누름버튼(20)과, 누름버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일정한 범위에서 출몰되게 하는 스톱퍼(30)와, 하부몸체(1)의 후방벽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50)와, 타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며 하부몸체(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상부커버(40)로 이루어 진다.
상기 하부몸체(1)는 일측에 시계줄이 연결될 연결부(2)가 형성되고 이 하부몸체(1) 상부의 전후방에는 전방벽(4)과 후방벽(5)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4)에는 누름버튼(20)이 삽입될 폭만큼 개구부(3)를 형성하고 전,후방벽(4,5) 사이에는 좌우측벽(6,7)이 형성되어 좌우측벽(6,7)의 사이에 누름버튼삽입부(9)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와 근접한 우측벽(7)에는 내측으로 절곡하여 누름버튼(20)를 지지하는 절곡부(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벽(6)과 연결부(2) 사이의 후방벽(5)에는 잠금구의 힌지부(51)가 설치될 잠금구설치홈(10)이 형성되고, 좌우측벽(6,7) 사이의 후방벽(5)에는 누름버튼(20)의 핀부(21)가 삽입될 핀구멍(11)과 잠금구의 돌기핀부(52)가 삽입될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20)은 후방에 후방벽(5)의 핀구멍(11)에 삽입될 핀부(2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누름버튼(20)의 후방측에는 하단부에 걸림턱(22)을 형성한 통공(23)이 형성되고 이 통공(23) 전방의 누름버튼(20) 상면에는 걸림부가 전방을 향하는 걸이구(24)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걸이구(24) 일측의 누름버튼(20) 측면에는 절곡부(8)가 얹혀지는 경사부(25)가 절곡부(8)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튼(20)은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21)에 스프링(26)을 삽입시킨 상태로 이 핀부(21)가 후방벽(5)의 핀구멍(11)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30)는 누름버튼삽입부(9)에 누름버튼(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측벽(6,7)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 스톱퍼(30)의 전방에는 누름버튼(20)의 걸이구(24)가 삽입되는 걸림홈(31)이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스톱퍼(30)의 후방에는 누름버튼(20)의 통공(23)과 대응하는 통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구(50)는 일측에 후방벽(5)의 잠금구설치홈(10)에 힌지식으로 삽입되는 힌지부(51)가 형성되고 타측에 후방벽(5)의 통공(12)으로 삽입되는 돌기핀부(5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40)는 일측에 손잡이부(41)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또 다른 시계줄과 연결될 연결부(42)가 형성되며, 중심하방에는 스톱퍼(30)의 통공(32)과 누름버튼(20)의 통공(23)을 관통하여 누름버튼(20)의 걸림턱(22)에 걸리는 걸림돌기(43)가 하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커버(40)의 중앙부 전방에는 스톱퍼(30)의 걸림홈(31)을 통과하여 상향 돌출된 누름버튼(20)의 걸이구(24)가 상향 관통하여 걸리는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20)의 핀부(21)에 스프링(2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누름버튼(20)의 핀부(21)를 하부몸체(1)의 후방벽(5)에 형성된 핀구멍(11)에 삽입시키면서 이 누름버튼(20)을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시킨다.
이때 이 누름버튼(20)을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시 걸이구(24)가 상측을 향하도록 삽입시켜야 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된 누름버튼(20)은 좌우측벽(6,7)의 사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우측벽(7)의 전방측에 형성된 절곡부(8)를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누름버튼(20)측으로 절곡시키면, 이 절곡부(8)이 누름버튼(20) 측으로 휘어지면서 휘어진 절곡부(8)가 누름버튼(20)의 경사부(25)에 얹혀지게 된다. 이때 절곡부(8)와 경사부(25)는 미세한 틈새를 두고 있어야 누름버튼(2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그리고, 이 경사부(25)의 폭이 절곡부(8)의 폭 보다 넓어서 누름버튼(20)이 경사부(25)의 폭 범위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절곡부(8)가 경사부(25) 측으로 휘어져 있으므로 좌우측벽(6,7)의 사이에서 누름버튼(2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과, 전방벽(4)의 개구부(3)을 통하여 누름버튼(20)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삽입부(9)에 누름버튼(20)을 탄력적으로 설치한 뒤에는 도 1 및 도 3, 도 6에서와 같이 좌우측벽(6,7)의 상부에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된 누름버튼(20)를 덮는 형태로 스톱퍼(30)를 덮어 씌운상태에서 땜작업으로 좌우측벽(6,7)과 스톱퍼(30)를 고정설치한다. 이때 스톱퍼(30)의 걸림홈(31)에는 누름버튼(20)의 걸이구(24)가 상향 관통되게 설치해야 한다.
그 뒤, 하부몸체(1)의 후방벽(5) 외측에서 잠금구(50)의 힌지부(51)를 후방벽(5)에 형성된 잠금구설치홈(10)에 끼워 넣은 뒤에, 중앙부가 절개된 힌지부(51)를 살짝오므려서 힌지부(51)가 잠금구설치홈(10)에서 힌지식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50)의 힌지부(5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부(51)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틈새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2개의 구멍으로 형성된 잠금구설치홈(10)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며, 잠금구설치홈(10)으로 힌지부(51)가 삽입된 뒤에는 힌지부(51)를 살짝 오므려서 잠금구설치홈(10)에서 힌지부(51)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하부몸체(1)에 누름버튼(20)과, 스톱퍼(30), 그리고 잠금구(50)의 설치를 완료함에 따라 하부몸체(1)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하부몸체(1)의 연결부(2)에 시계줄이나 팔찌의 단부를 핀이나 나사봉으로 연결하면 시계줄이나 팔찌의 일측단부에 하부몸체(1)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며, 시계줄이나 팔찌의 타측단부에는 하부몸체(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될 상부커버(40)의 연결부(42)를 핀이나 나사봉으로 연결하여 상부커버(40)의 조립도 완료한다.
이렇게 잠금장치의 조립이 시계줄이나 팔찌의 단부에 각각 완료된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설치된 시계나 팔찌를 손목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가 하부몸체(1)의 통공(12)에 삽입되지 않도록 이탈시킨다.
이는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가 하부몸체(1)의 후방벽(5)에 형성된 통공(12)에 삽입되어 있으면, 통공(12)으로 삽입된 돌기핀부(52)의 선단부에 누름버튼(20)의 후방부분이 걸려서 누름버튼(20)을 누를 수 없으므로 돌기핀부(52)가 통공(12)에 삽입되어 있으면 아니되는 것이다.
그 뒤, 상부커버(40)의 걸림돌기(43)를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톱퍼(30)의 통공(32)과 누름버튼(20)의 통공(23)으로 삽입시키면, 상부커버(40)에 하향 형성된 걸림돌기(43)가 위치가 고정된 스톱퍼(30)의 통공(32)으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걸림돌기(43)의 후방측 선단부가 통공(23)의 후방측 입구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상부커버(40)의 걸림돌기(43)를 각각의 통공(32,23)으로 삽입시킬 때 상부커버(40)의 걸림돌기(43)를 하측으로 내리 누르기 때문에, 걸림돌기(43)를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후방에 스프링(2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태의 누름버튼(20)이 후방으로 살짝 밀려들어가면서 걸림돌기(43)가 통공(23)으로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걸림돌기(43)가 누름버튼(20)의 통공(23)으로 완전히 삽입된 뒤에는 통공(23)의 하단부에 도 5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20)의 살두께의 절반만큼 단턱지게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43)의 하단에는 상기 단턱진 걸림턱(22)으로 삽입되어 걸릴 걸림부(43a)가 형성되어서 스프링(26)의 탄력으로 후방으로 밀려 들어갔던 누름버튼(20)이 전방으로 탄력적으로 복귀함에 따라 걸림턱(22)에 걸림돌기(43)의 걸림부(43a)가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43)가 스톱퍼(30)의 통공(32)과 누름버튼(20)의 통공(23)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부커버(40)을 하부몸체(1)의 위로 닫을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20)에 상향 돌출된 걸이구(24)의 상부로 상부커버(40)의 걸림홈(44)에 걸리게 되나, 상기 걸림돌기(43)를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후방에 스프링(2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누름버튼(20)이 후방으로 살짝 밀려들어갈 때 걸이구(24)도 후방으로 살짝 밀려나기 때문에 그 때 걸림홈(44)에 걸이구(24)가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44)으로 걸이구(24)가 완전히 삽입된 뒤에는 위에서와 같이 누름버튼(20)이 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걸이구(24) 선단의 걸림구(24a)에 걸림홈(44)이 걸려서 하부몸체(1)의 상부에 상부커버(40)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 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가 통공(12)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를 통공(12)에 끼워 넣으면, 도 7에서와 같이 통공(12)으로 삽입하여 관통한 돌기핀부(52)의 선단부가 누름버튼(20)의 후방에 맞닫은 상태로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의 닫힘동작이 완료된다.
이상태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누름버튼(20)이 눌린다고 하여도 누름버튼(20)의 후방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공(12)으로 삽입된 돌기핀부(52)의 선단부가 접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아주 강하게 강제적으로 눌리지 아니하는 이상 돌기핀부(52)가 통공(12)에서 빠지지 아니하여 누름버튼(20)이 눌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서 부주의로 누름버튼(20)이 눌리는 경우에도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와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핀부(52)와 통공(12)과의 삽입시 돌기핀부(52)가 통공(12)에 헐렁하게 끼워지는 것이 아니고 조금은 끼이는 듯하게 끼워져야 누름버튼(20)이 눌리는 경우에도 돌기핀부(52)가 통공(12)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를 너무 빡빡하게 끼워지는 경우에는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의 잠금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를 통공(12)에서 빼내기가 어려우면 안되는 것이므로 적당한 공차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계나 팔찌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같이 하부몸체(1)의 후방벽(5)에 형성된 통공(12)에 끼워져 있는 돌기핀부(52)를 빼내면, 이 잠금구(50)는 힌지부(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잠금구(50) 선단부의 돌기핀부(52)가 통공(12)에서 빠져서 누름버튼(20)을 후방으로 눌렀을 때 누름버튼(20)의 후방에 걸리는 것이 없으므로 이 누름버튼(20)은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누름버튼(20)의 선단부를 누름에 따라 누름버튼(20)이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면, 누름버튼(20)의 통공(23)에 단턱지게 형성된 걸림턱(22)에서 걸림돌기(43)의 걸림부(43a)가 빠져서 걸림돌기(43)에 대한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그와 동시에 누름버튼(20)에 상향 돌출된 걸이구(24)의 걸림부(24a) 또한 상부커버(40)의 걸림홈(44)에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부커버(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걸림돌기(43)와 걸이구(24)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하부몸체(1)에서 상부커버(40)를 분리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시계 및 팔찌를 풀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잠금장치에 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 되어 있다고 설명한 것은, 첫째 잠금구(50)의 돌기핀부(52)가 통공(12)으로 삽입되어 누름버튼(20)이 후방으로 눌려지지 않도록 한 것이고, 둘째는 상부커버(40)의 걸림돌기(43)가 누름버튼(20)의 통공(23)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린 것을 말하는 것이며, 셋째는 누름버튼(20)의 상면에 상향돌출된 걸이구(24)가 상부커버(40)의 걸림홈(44)에 걸린 것을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3개 부분에서 서로 잠금기능을 하여 삼중의 안전장치라고 표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는, 하부몸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누름버튼에 상부커버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하고, 상부커버의 걸림돌기에는 하부몸체에 설치된 누름버튼이 걸리도록 하며, 하부몸체의 후방벽에는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팔찌 및 시계줄에 사용하는 잠금장치에 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부주의로 누름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도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아니하여 하부몸체와 상부커버가 개방되지 아니하여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설치한 시계나 팔찌를 분실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및 작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E-E선 방향에서 본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누름버튼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몸체 2 : 연결부 3 : 개구부
4 : 전방벽 5 : 후방벽 6 : 좌측벽
7 : 우측벽 8 : 절곡부 9 : 누름버튼삽입부
10 : 잠금구설치홈 11 : 핀구멍 12 : 통공
20 : 누름버튼 21 : 핀부 22 : 걸림턱
23 : 통공 24 : 걸이구 25 : 경사부
26 : 스프링 30 : 스톱퍼 31 : 걸림홈
32 : 통공 40 : 상부커버 41 : 손잡이부
42 : 연결부 43 : 걸림돌기 44 : 걸림홈
50 : 잠금구 51 : 힌지부 52 : 돌기핀부

Claims (1)

  1. 일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는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하부몸체(1)와 상부커버(40)의 잠금상태를 록킹 및 해제하는 누름버튼(20)과, 누름버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일정한 범위에서 출몰되게 하는 스톱퍼(30)와, 하부몸체(1)의 후방벽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누름버튼(20)이 눌려지지 않게 하는 잠금구(50)와, 타측단이 시계줄과 연결되며 하부몸체(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상부커버(40)로 시계줄잠금장치가 이루어 지고,
    상기 하부몸체(1)는 일측에 시계줄이 연결될 연결부(2)가 형성되고 하부몸체(1) 상부의 전후방에는 전방벽(4)과 후방벽(5)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4)에는 누름버튼(20)이 삽입될 폭만큼 개구부(3)를 형성하고, 전후방벽(4,5) 사이에는 좌우측벽(6,7)이 형성되어 좌우측벽(6,7)의 사이에 누름버튼삽입부(9)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와 근접한 우측벽(7)에는 내측으로 절곡하여 누름버튼(20)를 지지하는 절곡부(8)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벽(6)과 연결부(2) 사이의 후방벽(5)에는 잠금구의 힌지부(51)가 설치될 잠금구설치홈(10)이 형성되고, 좌우측벽(6,7) 사이의 후방벽(5)에는 누름버튼(20)의 핀부(21)가 삽입될 핀구멍(11)과 잠금구의 돌기핀부(52)가 삽입될 통공(12)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20)은 후방에 후방벽(5)의 핀구멍(11)에 삽입될 핀부(2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누름버튼(20)의 후방측에는 하단부에 걸림턱(22)을 형성한 통공(23)이 형성되고 이 통공(23) 전방의 누름버튼(20) 상면에는 걸림부가 전방을 향하는 걸이구(24)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걸이구(24) 일측의 누름버튼(20) 측면에는 절곡부(8)가 얹혀지는 경사부(25)가 절곡부(8)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20)은 누름버튼삽입부(9)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21)에 스프링(26)을 삽입시킨 상태로 이 핀부(21)가 후방벽(5)의 핀구멍(11)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30)는 누름버튼삽입부(9)에 누름버튼(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측벽(6,7)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 스톱퍼(30)의 전방에는 누름버튼(20)의 걸이구(24)가 삽입되는 걸림홈(31)이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스톱퍼(30)의 후방에는 누름버튼(20)의 통공(23)과 대응하는 통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구(50)는 일측에 후방벽(5)의 잠금구설치홈(10)에 힌지식으로 삽입되는 힌지부(51)가 형성되고 타측에 후방벽(5)의 통공(12)으로 삽입되는 돌기핀부(5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40)는 일측에 손잡이부(41)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또 다른 시계줄과 연결될 연결부(42)가 형성되며, 중심하방에는 스톱퍼(30)의 통공(32)과 누름버튼(20)의 통공(23)을 관통하여 누름버튼(20)의 걸림턱(22)에 걸리는 걸림돌기(43)가 하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커버(40)의 중앙부 전방에는 스톱퍼(30)의 걸림홈(31)을 통과하여 상향 돌출된 누름버튼(20)의 걸이구(24)가 상향 관통하여 걸리는 걸림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KR10-2003-0091732A 2003-12-16 2003-12-16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KR10053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732A KR100531138B1 (ko) 2003-12-16 2003-12-16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732A KR100531138B1 (ko) 2003-12-16 2003-12-16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47A KR20040010447A (ko) 2004-01-31
KR100531138B1 true KR100531138B1 (ko) 2005-11-25

Family

ID=3731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732A KR100531138B1 (ko) 2003-12-16 2003-12-16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1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47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7506B2 (ja) 帯状装身具の長さ調節装置
US5305503A (en) Buckle for watch bands
JP3593044B2 (ja) 時計ストラップを時計ケーシング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装置
US5485659A (en) Buckle for watch bands
JPH06124U (ja) 時計バンドの中留具
JP200517691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6112373A (en) Clasp assembly
US4648161A (en) Jewelry clasp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0695704B1 (ko) 밴드형 장신구용 버클 및 밴드형 장신구
US5991978A (en) Bar for attaching a watch wristlet and watch fitted with such a bar
JP5785305B2 (ja) 装身具又は腕時計用の留め金
KR100531138B1 (ko) 팔찌 및 시계줄의 잠금장치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JP3569034B2 (ja) 観音開き型プッシュ中留構造
KR200234608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JP3203156U (ja) 腕時計バンドの連結具
KR102512902B1 (ko) 간편한 체결구조를 갖는 손목시계용 시계줄
CN217446900U (zh) 一种表扣组件
KR100456609B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JP3690850B2 (ja) 装身具の中留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