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056B1 -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056B1
KR100531056B1 KR1019970051981A KR19970051981A KR100531056B1 KR 100531056 B1 KR100531056 B1 KR 100531056B1 KR 1019970051981 A KR1019970051981 A KR 1019970051981A KR 19970051981 A KR19970051981 A KR 19970051981A KR 100531056 B1 KR100531056 B1 KR 10053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de
communication device
momentar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722A (ko
Inventor
제임스 브이. 포타라
로버트 비. 포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8003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장치(100)는 자동 구성 다중 모드 토크 스위치(154)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00)는 수신 또는 송신 동작을 위한 단방향 통신 모드(simplex communication mode), 동시 수신 및 송신 동작을 위한 양방향 통신 모드(duplex communication mode)로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단방향 통신 모드(232, 235)로 동작될 경우 스위치(154)는 푸쉬-투-토크 모멘터리(push-to-talk-momentary) 스위치로서 자동적으로 구성되고, 통신 장치가 양방향 통신 모드(242, 245)로 동작될 경우 스위치(154)는 온-후크/오프-후크 스위치로 자동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구성 다중 모드 토크 스위치를 갖는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장치용 제어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헤드셋(headset),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유사한 오디오 액세서리들은 휴대용 전화기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통신 장치의 동작을 편리하게 해준다.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송수신 음성 신호 라인들을 결합하는 포트를 경유하여 통신 장치에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은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듣고 반응 가능케 하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헤드셋은 볼륨, 온/오프 동작, 및 다른 기능을 위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콜(call)을 개시하고 응답하기 위한 통신 장치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의 제어 영역으로의 액세스를 필요로 한다.
핸드헬드(handheld)형 스피커 마이크로폰들은 종종 디스패치(dispatch) 또는 단방향 모드로 동작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다. 이 액세서리는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는 주 통신 유닛에 대하여 핸드헬드 제어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에 인기가 있다. 스피커 마이크로폰상의 푸쉬-투-토크 버튼(push-to-talk button:누름식 말하기 버튼)은 마이크로폰을 작동시키며 관련된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통신을 개시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통신 장치를 편리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그 밖의 제어기들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현재의 통신 장치들에 나타나는 특성들의 결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핸드-프리 또는 원격 동작들과 같은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제어에 이용될 수 있는 기능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제어에 대한 간단한 접근이 직관적인 동작을 가능케한다. 따라서, 개선된 무선 통신 제어 액세서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자동 구성 다중 모드 토크 스위치(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를 갖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전송 또는 수신 동작을 위한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동시 송수신 동작을 위한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단방향 통신 모드는 특히 디스패치 또는 즉석 회의 콜에 적합하며, 양방향 통신 모드는 전화기 상호접속 콜에 적합하다. 통신 장치가 단방향 모드로 동작될 때, 스위치는 자동적으로 모멘터리 토크(momentary talk) 스위치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에서, 스위치가 연속적으로 눌러져(engaged) 동안 통신 장치에 의한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해지고, 스위치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이 불가능해진다. 통신 장치가 양방향 모드로 동작할 경우, 스위치는 온-후크/오프-후크 스위치로서 자동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는 순간 누름(momentary engagement)에 의해 연속 전송을 가능케하고, 후속하고 연속되는 순간 누름에 의해 연속 전송을 불능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어셈블리(100)의 블럭도이다. 어셈블리(100)는 양방향 통신 장치(110),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RF) 채널 통신용 통신 회로를 갖는 이동 무선 송수신기(11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10)는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기(112)를 갖는다. 수신기(114)는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안테나(115)를 경유해서 통신 신호들을 수신한다. 유사하게, 송신기(130)는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안테나(115)를 경유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기(112)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들에 따라 동작한다. 메모리(120)는 동시 송수신 동작을 가능케하는 양방향 통신 모드와 특정 시간에 수신 또는 송신 동작을 가능케하는 단방향 통신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하기 위한 명령(124, 122)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방향 통신 모드는 무선 디스패치 모드에 대응하고, 양방향 통신 모드는 전화기 상호접속 모드에 대응한다. 포트(145)는 무선 통신 제어 기능을 오디오 또는 다른 액세서리에 결합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어셈블리(100)는 원격 동작의 통신 기능을 가능케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10)에 포트를 통하여 결합되는 오디오 액세서리(150)를 포함한다. 오디오 액세서리는 바람직하게는 핸드-프리 동작을 촉진시키기에 적합한 헤드셋이다. 오디오 액세서리(150)는 스피커(152), 마이크로폰(156), 및 작동자 동작 구성 가능한 모멘터리 제어 스위치(15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에 결합될 때, 스위치(154)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에 연관하여 스피커(152) 및 마이크로폰(156)의 동작 및 비동작을 야기한다. 제어 스위치(154)는 무선 통신 장치가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될때 푸쉬-투-토크 모멘터리 스위치로서 자동으로 구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될때는 온-후크/오프-후크 스위치로서 자동으로 구성된다. 단방향 동작들에 대응하는 구성 모드에서, 스위치가 연속적으로 눌러져 있는 동안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야기하고 무선 통신 장치(110)에 의한 연속적인 전송을 가능케한다. 양방향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 모드에서, 스위치는 순간 누름에 연속적인 전송을 가능케하고 후속하는 연속되는 순간 누름에 연속적인 전송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 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한 절차(200)의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즉석 음성 회의를 위한 단방향 통신 모드 및 전화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모드로 양자 택일적으로 동작한다(단계 210). 무선 통신 장치는 즉석 음성 회의 또는 디스패치 콜용의 단방향 모드와 같은 특정 모드로 지정될 수 있다. 특정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는 착신 또는 발신콜을 검출하기 위하여 모니터링한다(단계 220). 착신 또는 발신 콜이 단방향 모드가 요구된다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이 모드를 선택하고 그 제어 스위치를 모멘터리 푸쉬-투-토크 스위치로서 구성한다(단계 230, 232, 235). 착신 또는 발신 콜이 양방향 모드가 요구된다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이 모드를 선택하고 그 제어 스위치를 온/오프 후크 스위치로서 구성한다(단계 240, 242, 24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어 스위치의 동작 절차(300)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스위치는 모멘터리 푸쉬-투-토크 스위치로서 적절하게 구성된다. 스위치가 활성화되면(activated), 음성 입력 신호들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단계 310, 320) 전송 동작들이 이루어지도록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된다(단계 325). 이들 단계는 스위치가 동작되는 동안 반복된다. 스위치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 동작이 가능해지고(단계310, 330), 음성 신호는 스피커로 출력된다(단계 33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제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이다(400). 여기서, 스위치는 온/오프 스위치로 적절하게 구성된다. 스위치가 순간적으로(momentarily) 활성화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온-후크일 때, 즉 양방향 통신에 결합되지 않을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오프-후크 모드로 배치되어 동시 송수신 동작이 가능해진다(단계 410, 420, 430, 435). 이 경우에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둘 다 작동한다. 스위치가 순간적으로 활성화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오프-후크일 때 즉, 이미 양방향 통신으로 결합된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온-후크 모드로 배치되어 동시 송수신 동작을 불능시킨다(단계 410, 420, 440, 445).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다중 모드 단일 제어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제어로의 간단한 접근 방식이 직관적 동작을 가능케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스위치는 헤드셋, 핸드-프리 또는 다른 원격 동작과 같은 오디오 액세서리상의 무선 제어로 포함되면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관련된 오디오 액세서리의 단순화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제어용 제어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제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제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제어기
114 : 수신기
120 : 메모리
122 : 단방향 모드 명령
124 : 양방향 모드 명령
130 : 송신기
145 : 포트
152 : 스피커
154 : 구성 가능한 모멘터리 스위치
156 : 마이크로폰

Claims (5)

  1. 통신 장치에 있어서,
    동시 송수신 동작을 가능케하는 양방향 통신 모드 및 특정 시간에 수신 또는 송신 동작을 가능케하는 단방향 통신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상기 양방향 통신 장치에 결합된 오디오 액세서리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액세서리는, 상기 양방향 통신 장치가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 푸쉬-투-토크 모멘터리(push-to-talk momentary) 스위치로서 자동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방향 통신 장치가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 온-후크/오프-후크 스위치 모드로서 자동으로 구성되는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통신 모드 중에서 양자 택일적으로 동작 가능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구성 모드를 갖는 모멘터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계속적으로 눌러져 있는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 의한 계속적인 송신을 가능케하고, 상기 제2 구성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는 순간 누름시 계속적인 전송을 가능케하고, 후속하고 연속되는 순간 누름시 계속 전송을 불능케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모드는 푸쉬-투-토크 스위치로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구성 모드는 온-후크/오프-후크 스위치로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
  4. 단방향 통신 모드 및 양방향 통신 모드를 갖고 작동자 동작 제어 스위치를 갖는 무선 전화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통신 모드 및 상기 양방향 통신 모드중 하나로 상기 무선 전화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단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스위치를 모멘터리 토크 스위치(momentary talk switch)로서 자동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모멘터리 토크 스위치를 온/오프 후크 스위치로 자동으로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화의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착신 전화 콜을 검출하도록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착신 전화 콜 검출시 상기 양방향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착신 디스패치 콜을 검출하도록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디스패치 콜 검출시 상기 단방향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화의 통신 방법.
KR1019970051981A 1996-10-28 1997-10-10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KR100531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39,473 1996-10-28
US8/739,473 1996-10-28
US08/739,473 US5881370A (en) 1996-10-28 1996-10-28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22A KR19980032722A (ko) 1998-07-25
KR100531056B1 true KR100531056B1 (ko) 2006-01-27

Family

ID=2497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981A KR100531056B1 (ko) 1996-10-28 1997-10-10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1370A (ko)
KR (1) KR100531056B1 (ko)
GB (1) GB2318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842B1 (ko) * 1996-09-13 1999-06-15 윤종용 무선통신시스템의 전력조절 회로 및 방법
US6650897B2 (en) 1997-12-11 2003-11-18 At&T Wireless Services, Inc. Aircraft cockpit telephony
US6141540A (en) * 1998-06-15 2000-10-31 Motorola, Inc.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JP2002535912A (ja) * 1999-01-20 2002-10-22 エリ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半二重機能を備えた全二重無線通信装置
JP2000270363A (ja) * 1999-03-15 2000-09-29 Fujitsu Ltd 通信形態制御方式及びその装置
US6522894B1 (en) * 1999-07-27 2003-02-18 Ericsson Inc. Simplified speaker mode sel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O2001037524A1 (en) * 1999-11-12 2001-05-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nfigurable headset switch
WO2001037526A1 (en) * 1999-11-19 2001-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to-talk fea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9929634D0 (en) * 1999-12-16 2000-02-09 Davies Ind Communications Limi Remote switch in the univers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6801524B2 (en) 2000-01-31 2004-10-05 Sonim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ispatching information packets and method therefor
US6625476B1 (en) * 2000-06-01 2003-09-23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hands-free operation of a radio device
JP4424572B2 (ja) * 2000-09-19 2010-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ループ登録機能付き通信装置
KR100379836B1 (ko) * 2001-04-13 2003-04-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US7158502B2 (en) * 2001-06-14 2007-01-02 Motorola, Inc. Slot cycle assignment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70727B1 (en) 2001-08-17 2005-11-29 Klein Electronics, Inc. Hands-free device with button for cellular telephone send/end and two-way radio push-to-talk
US7254420B1 (en) 2001-08-17 2007-08-07 Klein Electronics, Inc. Hands-free device
ES2211300B1 (es) * 2002-08-02 2005-10-01 Sociedad Hispana De Comunicaciones, S.L. S.H.C. Equipo de radiotransmision.
US7103394B2 (en) * 2003-01-28 2006-09-05 Morphy William F Motorcycle audio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SE0300555D0 (sv) * 2003-02-24 2003-02-24 Ericsson Telefon Ab L 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sh-to-talk services
US7224992B2 (en) * 2003-10-10 2007-05-29 Motorola, Inc. Four pole stereo headset with push to talk capability in a duplex radio
US7343171B2 (en) * 2004-05-11 2008-03-1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rupting a dispatch call
EP1612660A1 (en) * 2004-06-29 2006-01-04 GMB Tech (Holland) B.V. Sound record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1612659A1 (en) * 2004-06-29 2006-01-04 GMB Tech (Holland) B.V. Sound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19698A1 (en) 2004-07-23 2006-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KR101113861B1 (ko) * 2005-02-28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중 울림현상을 줄이는 푸쉬-투-토크 단말 및 통신 방법
US8578046B2 (en) * 2005-10-20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edia bundling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applications
US7933561B2 (en) * 2006-12-11 2011-04-26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simultaneous receive capabiliti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306534B2 (en) * 2007-03-02 2012-1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rvice status displa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818029B2 (en) * 2007-04-11 2010-10-19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antenna sharing capabiliti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254993B2 (en) 2009-03-06 2012-08-28 Apple Inc. Remote messag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8140116B2 (en) 2009-03-06 2012-03-20 Apple Inc.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8219157B2 (en) * 2009-03-26 2012-07-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multiband antenna and antenna diversity circuitry
US8208867B2 (en) * 2009-04-09 2012-06-26 Apple Inc. Shared multiband antennas and antenna diversity circuitry for electronic devices
JP6206103B2 (ja) * 2013-11-07 2017-10-04 アイコム株式会社 音声通信端末装置
US9678909B1 (en) * 2016-05-19 2017-06-1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of exchanging data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accesso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547A (en) * 1986-12-15 1990-05-01 Nec Corporation Microphone circuit
JPH0697852A (ja) * 1992-09-14 1994-04-08 Hitachi Denshi Ltd 単信・複信切換無線機
JPH07322347A (ja) * 1994-05-20 1995-12-08 Fujitsu Ltd 基地局および移動局における待受け制御方法およびその移動局
JPH0983406A (ja) * 1995-09-19 1997-03-28 Hitachi Denshi Ltd 無線機
KR0162836B1 (ko) * 1995-12-30 1998-12-01 김광호 핸즈프리 키트의 키입력회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0965B2 (en) * 1983-10-14 1986-04-10 Dow Chemical Company, The Coextruded multi-layered articles
JPS6068734U (ja) * 1983-10-18 1985-05-15 株式会社岩田エレクトリツク 送受話器
US4790002A (en) * 1986-08-08 1988-12-06 Dictaphone Corporation Telephon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lephone device
US4969180A (en) * 1989-05-18 1990-11-06 I.I.N.V. Computing Ltd. Cordless pen telephone handset
US5191602A (en) * 1991-01-09 1993-03-02 Plantronics, Inc. Cellular telephone headset
US5450618A (en) * 1992-04-30 1995-09-12 Motorola, Inc. Full duplex and half duplex communication unit with volume setting
US5557653A (en) * 1993-07-27 1996-09-17 Spectralink Corporation Headset for hands-free wireless telephone
JPH0898237A (ja) * 1994-09-21 1996-04-12 Sanin Denpa:Kk 無線通信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547A (en) * 1986-12-15 1990-05-01 Nec Corporation Microphone circuit
JPH0697852A (ja) * 1992-09-14 1994-04-08 Hitachi Denshi Ltd 単信・複信切換無線機
JPH07322347A (ja) * 1994-05-20 1995-12-08 Fujitsu Ltd 基地局および移動局における待受け制御方法およびその移動局
JPH0983406A (ja) * 1995-09-19 1997-03-28 Hitachi Denshi Ltd 無線機
KR0162836B1 (ko) * 1995-12-30 1998-12-01 김광호 핸즈프리 키트의 키입력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22004D0 (en) 1997-12-17
KR19980032722A (ko) 1998-07-25
GB2318706A (en) 1998-04-29
US5881370A (en) 1999-03-09
GB2318706B (en)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056B1 (ko)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US7418276B2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JPH1115499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19990005402A (ko) 라디오 청취기능을 갖는 무선헤드폰전화기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KR20020091644A (ko) 무선 통신기기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KR200179158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200228526Y1 (ko)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950011081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핸드프리 통화장치
JPS61214643A (ja) ボタン電話装置
JP259045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36594A (ko)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KR19990026918A (ko) 무선전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세트
KR20020095622A (ko)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226853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40092880A (ko)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89815A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JPH07183940A (ja) 自動車電話装置
JPH06338927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