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815A -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815A
KR20030089815A KR1020020027695A KR20020027695A KR20030089815A KR 20030089815 A KR20030089815 A KR 20030089815A KR 1020020027695 A KR1020020027695 A KR 1020020027695A KR 20020027695 A KR20020027695 A KR 20020027695A KR 20030089815 A KR20030089815 A KR 2003008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dapter
cellular phone
headse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형
손명기
김창희
Original Assignee
앳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앳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앳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815A/ko
Publication of KR2003008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통화연결, 통화종료, 재다이얼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핸드프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하는 헤드셋과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이들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하는 어뎁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 어뎁터{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n Adapter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장치 및 그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다양한 원격 제어 기능이 가능한 무선 핸드프리장치 및 그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를 들 수 있다. 현재 널리 보급된 휴대전화기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 304(도 1 참조)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중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소리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편리를 제공하고 있으나, 특히 운전중에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을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운전중이나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손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위 "핸드프리(Hands-Free)" 장치가 제공된 바 있다. 통상적인 핸드프리 장치의 일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별도의 스피커와 고성능 마이크를 설치한 후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가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연결잭 302(도 1 참조)을 통해 휴대전화기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운전중에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지 않고도 상대 통화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프리 장치는 고가이면서도 복잡한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며, 또한 상대 통화자와의 통화내용이 차량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차내에 다른 사람이 탑승하고 있을 때에는 통화의 기밀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어폰과 마이크로 구성된 이어마이크가 핸드프리장치로서 제공된 바 있다. 즉, 이어마이크의 접속부를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연결잭 302에 접속하여 통화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통화 내용이 이어폰으로 출력되므로 통화의 기밀이 어느 정도까지는 유지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어마이크는 일정한 길이의 전선에 의해 휴대전화기과 접속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를 항상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시켜야 하고, 나아가 운전중에는 이어마이크와 휴대전화기를 연결하는 전선이 핸들의 조작이나 그밖의 동작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무선 송수신장치를 구비한 무선 핸드프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무선 핸드프리장치는,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동안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무선으로 수행한다는 점 이외에는 어떠한 부가적인 기능도 제공하지 못한다. 즉, 인입호가 있는 경우의 통화 연결(connect), 통화 완료후 통화 종료(disconnect), 직전에 다이얼링했던 전화번호로의 재다이얼(redial) 등과 같은 동작을 구사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휴대전화기를 손으로 조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유선 핸드프리 장치로부터 전선을 제거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기를 사용자의 주변에 휴대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통화연결, 통화종료, 재다이얼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핸드프리장치와 이것이 적용된 휴대전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무선 핸드프리장치의 동작 상태 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의 기호의 설명
100 : 헤드셋200 : 어뎁터300 : 핸드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셋과,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어뎁터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셋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명령을 내리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어뎁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과 접속된 안테나; 및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되어 휴대전화기와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유닛; 상기 접속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중 음성신호만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음성 코덱;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상기 헤드셋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과 접속된 안테나; 및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에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로서 상기한 휴대전화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휴대전화기로의 응용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컨대, 현재 보급율이 증가되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ataAssiatant ; PDA)에 이동통신기능이 부가된 제품이 선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무선 핸드프리 장치가 상기 이동통신기능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핸드프리장치와 이것이 적용된 휴대전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핸드프리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귀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헤드셋 100과,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즉 휴대전화기 300과 접속시켜 사용하는 어뎁터 200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 100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명령을 내리기 위한 버튼(도시되지 않음)이나 다이얼(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102와, 각종 소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108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110과, 상기 어뎁터 2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 106과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106과 접속된 안테나 108 및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 1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과 접속되어 휴대전화기 300과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유닛 206과, 상기 접속유닛 206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중 음성신호만을 분리하여 재생하는 음성 코덱(Voice CODEC) 204와, 상기 접속 유닛 206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휴대전화기 300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210과,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210과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기300의 고주파 송출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 218과, 상기 헤드셋 106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 202와,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202와 접속된 안테나 216과,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 208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 100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10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튼 또는 다이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에 의하여 해석되고 해석된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106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108을 통해 상기 어뎁터 200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접속중인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 때, 특정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 종료 명령을 내린다고 하자. 이때,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는 통화 종료 명령이 내려졌음을 검출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106을 통하여 통화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어뎁터 200로 전송한다. 상기 어뎁터 200의 무선 송수신유닛 202에서는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이것이 통화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임을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은 통화 종료에 대응하는 키 에뮬레이션 신호(Key Emulation Signal)를 상기 접속유닛 206을 통해 휴대전화기 300으로 전송한다. 이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된다. 재다이얼 명령을 포함하는 기타 명령들도 이와 유사한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은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106과 독립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106과 통합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 104가 수행하는 각 동작들은 통상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어유닛 104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를 생략한다.
한편, 상기 어뎁터 200의 접속유닛 206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연결잭 302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전화기 300의 데이터 포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접속유닛 206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도 하며, 상기 어뎁터 200의 내부로부터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신호를 전송하기도 한다.
상기 음성코덱 204는 접속유닛 206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무선 송수신유닛 202에 의하여 전송되기에 적합하게 처리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202는 상기 어뎁터 200와 상기 헤드셋 10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202는, 상기 헤드셋 100의 무선 송수신유닛 106과 무선 고주파 송수신이 가능한 RF 송수신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루투스(Bluetooth) 송수신 장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 장치의 구조와 동작에 관한 상세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를 생략한다.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210은 상기 접속유닛 206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과,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안테나 304의 송출전력을 감시함으로써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동작 상태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기 212와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안테나 304로부터 송출되는 송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 2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도,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에 관하여 상기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 208은,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202와 독립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 202와 통합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 208이 수행하는 각 동작들은 통상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어유닛 208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이 수행하는 기능과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가 수행하는 기능은 상호간에 구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 및 상기 헤드셋 100의 양자와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어뎁터 200과의 통신만을 수행하는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의 동작과는 다른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들 동작의 각각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그러나, 이들 동작중에서,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은, 특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기 300을 제어하기 위한 키 에뮬레이션 신호(Key Emulation Signal)을 생성한다.키에뮬레이션 신호라 함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특정 키를 누른 경우에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내부에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핸드프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핸드프리장치의 동작 상태 테이블이다. 도 2의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200가 상기 휴대전화기 300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 상기 휴대전화기 300로부터 음성신호가 검출되는가의 여부, 및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안테나 304로부터 송출 전력이 검출되는가의 여부의 세 가지 변수를 사용하여 휴대전화기 300의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300의 키를 누르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여 발신중인 경우 또는 현재 통화 중인 경우 등에 음성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휴대전화기 300으로의 인입호가 있는 경우,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여 발신중인 경우 또는 현재 통화 중인 경우 등에 송출 전력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신호는 상기 접속유닛 206을 통하여 검출되므로 연결잭 302에 접속된 상태(도 2에서 "접속중"으로 표시하였음)에서만 검출할 수 있지만, 휴대전화기 300의 안테나 304로부터의 송출전력은 전파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연결잭 302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도 2에서 "접속해제"로 표시하였음)에서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변수의 조합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6가지 상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한 상태들의 각각을 일련번호로 표시하였으며, 상태 1 내지상태 6이 도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판별될 수 있는 휴대전화기 300의 동작 상태는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즉,
1. 아이들(IDLE) :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
2. 다이얼링(DIALING) : 사용자가 숫자키를 조작하거나 리다이얼 키를 조작하여 전화 번호를 누르고 통화(SEND)키까지를 누른 상태
3. 호발신(CALLING) : 다이얼링 후에 발신음을 송출하는 상태
4. 통화중(TALKING) : 통화가 성립되어 현재 통화중인 상태
5. 벨울림(RINGING) : 인입호가 수신되어 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
또한, 상기 어뎁터 200의 동작 상태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1. 아이들(IDLE) :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
2. 벨울림(RINGING) : 상기 휴대전화기 300에 인입호가 수신됨을 상기 헤드셋 100에 통지하기 위하여 벨울림 신호를 상기 헤드셋 100으로 전송하는 상태
3. 음성접속(VOICE CONNECTION) 및/또는 음성접속해제 :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형성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상태
이제, 상태 1 내지 상태 6의 각각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태 1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200이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음성신호 검출기 212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송출 전력이 검출되지 않는 것은 현재 휴대전화기 300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휴대전화기 300의 현재 동작 상태는 아이들(IDLE)로 판별된다.
한편, 상태 5로부터 상태 1로 전이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어뎁터 200이 이미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예컨대, 휴대전화기 300이 상기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중이던 경우). 이 경우, 상기 어뎁터 200과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는 더 이상의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소정 시간 경과후 음성 접속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이하, "타임아웃(TIMEOUT)"이라 함)을 이용하여 상기 어뎁터 200과 상기 헤드셋 100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어뎁터 200은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상태 2에 있어서는, 상기 어뎁터 200이 뽑혀 있는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의 송출 전력이 검출되므로, 이 경우는 상기 어뎁터 20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는 경우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태 1 -> 상태 2, 상태 4 -> 상태 2 또는 상태 6 -> 상태 2 등의 상태 전이에 의하여 발현될 수 있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어뎁터 200이 음성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타임아웃을 이용하여, 상기 어뎁터 200과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어뎁터 200은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상태 3에서는, 상기 어뎁터 200이 상기 휴대전화기 300과 접속되어 있지만, 송출 전력과 음성신호가 모두 검출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상태 3은, 상태 4 -> 상태 3, 상태 5 -> 상태 3 또는 상태 6 -> 상태 3 등의 상태 전이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어뎁터 200은 이들 모든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므로 타임아웃에 의하여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상태 4에서는, 상기 어뎁터 200이 상기 휴대전화기 300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송출 전력은 검출되나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로서, 이것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전화가 오고 있는 상태(즉, 인입호가 수신되는 상태)로서, 그 인입호의 수신에 의하여 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로 판별된다. 이 경우에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으로 인입호가 수신되고 있음(즉, 전화가 오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태 5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전화기 300의 통화(SEND)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는 발신 전파를 송출하지 않으므로 송출 전력은 검출되지 않고,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키 톤의 발생으로 인해 음성신호가 검출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상기 휴대전화기 300이 상기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중인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을 통하여 키 톤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태 6은, 상기 어뎁터 200이 상기 휴대전화기 300과 접속된 상태에서 송출전력과 음성신호가 모두 검출되는 상태이므로, 이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 10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화를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는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6가지 상태들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태 전이 경로들에 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어뎁터 200이 수행하는 동작들의 예들을 설명한다.
(1) 상태 1 -> 상태 2(어뎁터 2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지 않다가 전화 걸거나 받는 경우) : 송출 전력이 검출되면서 상기 어뎁터 200이 준비 상태로 진입했다가,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다시 아이들 상태로 복귀한다.
(2) 상태 1 -> 상태 3(어뎁터 2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지 않다가, 어뎁터 200만 접속시킨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3) 상태 1 -> 상태 5(어뎁터 2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얼링을 수행하다가 어뎁터 200만 접속시킨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한다.
(4) 상태 2 -> 상태 1(어뎁터 2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100을 사용하다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송출전력과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타임아웃에 의하여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접속을 해제한다.
(5) 상태 2 -> 상태 4(어뎁터 2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으로 인입호가 수신되어 벨을 울리는 것을 듣고 어뎁터 200을 휴대전화기 300에 접속시킨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송출전력을 검출하므로 헤드셋 100으로 벨울림 신호를 전송한다.
(6) 상태 2 -> 상태 6(어뎁터 200을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를 걸거나 통화 중인 도중에 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음성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한다.
(7) 상태 3 -> 상태 1(어뎁터 200을 접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지 않다가 어뎁터 200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 : 어뎁터 200은 어떠한 동작도 취하지 않는다.
(8) 상태 3 -> 상태 4(어뎁터 200을 접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으로 인입호가 수신되는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송출 전력을 검출하여 상기 헤드셋 100으로 벨울림 신호를 전송한다.
(9) 상태 3 -> 상태 5(어뎁터 200을 접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을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경우) : 이 경우에는 다음의 두 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9-1)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300의 버튼을 조작하여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접속을 형성한다.
9-2) 사용자가 헤드셋 100의 버튼을 눌러서 재다이얼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 음성 접속을 형성하고,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전송한다(상기 휴대전화기 300은 직전에 다이얼링되었던 전화번호를 다시 다이얼링하고 이어서 호발신 동작까지 수행하게 된다.)
(10) 상태 4 -> 상태 2(어뎁터 200을 접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인입호가 수신되는 도중에 어뎁터 200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계속하여 상기 헤드셋 100에 벨울림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타임아웃을 위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헤드셋 100의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어뎁터 200은타임아웃에 의하여 벨울림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그러나, 타임아웃을 위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헤드셋 100의 버튼이 눌리면, 상기 어뎁터 200은 헤드셋 100과 음성접속을 형성하고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휴대전화기 300으로 전송하지만, 휴대전화기 300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한다. 이어서, 키 에뮬레이션 신호의 전송후에 타임아웃이 될 때까지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어뎁터 200은 헤드셋 100과의 음성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1) 상태 4 -> 상태 3(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가 오다가 끊어진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송출전력을 검출하지 못하므로 상기 헤드셋 100으로 벨울림 신호를 전송하던 것을 멈추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2) 상태 4 -> 상태 6(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300으로 전화가 올 때, 전화를 받은 경우) : 이 경우에는 다음의 두 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12-1) 헤드셋 100의 버튼을 눌러서 전화를 받은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형성하고, 휴대전화기 300으로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전송하여 통화를 시작한다.
12-2) 휴대전화기 300의 버튼을 눌러서 전화를 받은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형성한다.
(13) 상태 5 -> 상태 1(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를 걸기 위해 다이얼링을 하다가 어뎁터 200의 접속을 해제한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4) 상태 5 -> 상태 3(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를 걸기 위해 다이얼링을 수행하다가 멈추는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음성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5) 상태 5 -> 상태 6(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를 걸기 위해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전화를 걸고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 : 이 경우에는 다음의 세 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15-1) 휴대전화기 300의 통화(SEND) 버튼을 누른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계속 유지한다.
15-2) HS의 버튼을 누른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전송하여 전화를 걸고,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계속 유지한다.
15-3) 헤드셋 100의 버튼으로 재다이얼을 해서 상태 5번으로 진입한 후 상태 6으로 진입한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전송하여 전화를 걸고,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 접속을 계속 유지한다.
16) 상태 6 -> 상태 2(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를 하다가 어뎁터 200의 접속을 해제시킨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7) 상태 6 -> 상태 3(어뎁터 200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전화를 하다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 또는 통화가 끊어진 경우) : 이 경우에는 다음의 두 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17-1) 헤드셋 100의 버튼을 누른 경우 : 상기 어뎁터 200은 상기 휴대전화기 300으로 키 에뮬레이션 신호를 전송하여 전화를 끊고,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17-2) 휴대전화기 300의 종료(END) 버튼을 누르거나 통화가 끊어진 경우 : 상기 헤드셋 100과의 음성접속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로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의 다양한 부가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개별 상태 및 상태 전이 경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동작들을 상기 어뎁터 200의 제어유닛 208과 상기 헤드셋 100의 제어유닛 104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에 구비된 헤드셋 100은, 현재 이미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소위 "블루투스 타입 헤드셋"을 활용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는, 상기 어뎁터 200을 상기 통상적인 블루투스 타입 헤드셋과 연동되어 상기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어뎁터 200을 상기 통상적인 블루투스 타입 헤드셋과 연동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어뎁터 200과 상기 헤드셋 100 사이의 무선 송수신 동작이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도록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있으므로, 그 상세는 이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 어뎁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셋과,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어뎁터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셋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명령을 내리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어뎁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과 접속된 안테나; 및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되어 휴대전화기와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유닛;
    상기 접속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중 음성신호만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음성 코덱;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상기 헤드셋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과 접속된 안테나; 및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에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는,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성신호 검출기; 및
    상기 휴대전화기의 송출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검출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상기 전력검출기와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방출되는 고주파 송출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어뎁터의 접속유닛이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음성신호가 검출되는가의 여부, 및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송출 전력이 검출되는가의 여부를 변수로서 사용하여 휴대전화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변수를 사용하여 판단하는 휴대전화기의 동작 상태로서,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인 아이들(IDLE) 상태,
    사용자가 숫자키를 조작하거나 리다이얼 키를 조작하여 전화 번호를 누르고 통화(SEND)키까지를 누른 상태인 다이얼링(DIALING) 상태,
    다이얼링 후에 발신음을 송출하는 상태인 호발신(CALLING) 상태,
    통화가 성립되어 현재 통화중인 상태인 통화중(TALKING) 상태, 및
    인입호가 수신되어 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인 벨울림(RINGING) 상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태들을 판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핸드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판단된 휴대전화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인 아이들(IDLE) 상태,
    상기 휴대전화기로 인입호가 수신됨을 상기 헤드셋에 통지하기 위하여 벨울림 신호를 전송하는 상태인 벨울림(RINGING) 상태, 및
    상기 헤드셋과 음성 접속을 형성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상태인 음성접속(VOICE CONNECTION) 또는 음성접속해제 상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태들로 진입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7. 이어폰 및 마이크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셋과 연동되어 동작하되, 사용자의 이동통신기기에 접속시켜 사용되는 무선 핸드프리 장치용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되어 휴대전화기와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유닛;
    상기 접속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중 음성신호만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음성 코덱;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
    상기 헤드셋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과 접속된 안테나; 및
    상기 휴대전화기 상태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휴대전화기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에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용 어뎁터.
KR1020020027695A 2002-05-20 2002-05-20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KR20030089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695A KR20030089815A (ko) 2002-05-20 2002-05-20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695A KR20030089815A (ko) 2002-05-20 2002-05-20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815A true KR20030089815A (ko) 2003-11-28

Family

ID=323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695A KR20030089815A (ko) 2002-05-20 2002-05-20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8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8457614B2 (en) Wireless multi-unit conference phone
GB2382952A (en)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JPH0424335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JP39314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30089815A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위한 무선 핸드프리 장치 및 그어뎁터
US6895260B2 (en) Hands-free handset for a cordless telephone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28473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마이크
JP3691991B2 (ja) 無線通話装置
KR20020091644A (ko) 무선 통신기기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321204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956346B2 (ja) 電話装置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36594A (ko)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JPH0546141U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JPH04160854A (ja) コードレス電話付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4120126A (ja) Bluetooth音声通信装置
JPH0319524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