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880A -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880A
KR20040092880A KR1020030027303A KR20030027303A KR20040092880A KR 20040092880 A KR20040092880 A KR 20040092880A KR 1020030027303 A KR1020030027303 A KR 1020030027303A KR 20030027303 A KR20030027303 A KR 20030027303A KR 20040092880 A KR20040092880 A KR 2004009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unction
handset
cal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880A/ko
Publication of KR2004009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된 경우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으로 자동 절환하여 음성신호를 중계하는 베이스셋과; 상기 베이스셋의 중계에 따라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셋과 음성신호 송수신하거나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수화기 또는 메인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핸드셋을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그 베이스셋 내의 제어부에서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하고, 무선스피커기능이 설정된 경우 베이스셋 내의 오디오잭을 통해 외부의 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핸드셋으로 송신하며, 상기 음향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되면 통화기능으로 절환하여 착신벨신호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에 장착된 수화기 또는 메인스피커를 선택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전화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CORDLESS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IN HAVING MUSIC OUTPUT MODE}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의 베이스셋(Baseset) 내에 통화기능과 무선스피커기능을 절환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의해 상기 각 기능을 변경하여 유선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Handset)을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화기는 크게 유선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전화기들 중에서 무선 전화기는 편리한 이동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정용, 상업용, 경찰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선 전화기는 고정장치에 해당하는 베이스셋(Baseset)과 휴대장치에 해당하는 핸드셋(Handset)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핸드셋을 휴대한 상태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공간의 제약없이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전화선에 상기 베이스셋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셋과 핸드셋간에 무선신호를 통한 통화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셋이 상기 핸드셋과 외부 전화선을 통해 호가 연결된 제3자를 중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 전화기의 크기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소형화 되는 추세에 있고, 그 기능에 있어서도 발신번호 표시기능, 혼선을 방지하는 기능 등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무선 전화기의 중요 장점인 통화기능에 있어서 소정 거리의 범위 내의 통화 가능 영역에서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한 기능은 제한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었다.
즉, 사용자가 무선 전화기의 통화 가능 영역 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음악을 듣고자 하는 경우, 통상은 음향기기의 출력을 높이거나 음향기기의 음향출력수단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무선 전화기의 중요 장점인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자유롭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무선 전화기는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전화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 음악을 청취하고자 하는 음향기기, 또는 음향기기의 음향출력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곳에서 전화통화와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서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베이스셋 내에 통화기능과 무선스피커기능을 절환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의해 상기 각 기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셋 내의 제어부가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무선스피커기능이 설정된 경우 베이스셋 내의 오디오잭을 통해 외부의 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핸드셋으로 송신하고, 상기 음향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되면 통화기능으로 절환하여 핸드셋과 통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 전화기 또는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에서, 핸드셋의 전면 및 후면의 간략한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4는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핸드셋의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의 출력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셋 11 : 브릿지 다이오드부
12 : 링신호 검출부 13 : 스피치부
14 : 제어부 15 : 스위치부
16 : RF 변환기 17 : RF 증폭기
18 : 안테나 19 : 오디오잭
20 : 핸드셋 21 : 수화기
22 : 키패드 22-1 : 기능전환버튼
22-2 : 출력전환버튼 23 : 메인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된 경우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으로 자동 절환하여 음성신호를 중계하는 베이스셋과; 상기 베이스셋의 중계에 따라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셋과 음성신호 송수신하거나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수화기 또는 메인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핸드셋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스피커기능이 설정된 경우 입력된 음향신호를 핸드셋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향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되면, 통화기능으로 절환하여 착신벨신호 및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통화로를 통해 유무선망에 위치한 제3자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오디오잭(Audio Jack)(19)을 통해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고, 그 송수신된 음성신호 및 입력된 음향신호를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핸드셋(Handset)(20)으로 선택적으로 중계하는 베이스셋(Baseset)(10)과; 상기 베이스셋(10)의 중계에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셋(10)과 음성신호 송수신하거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핸드셋(20)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는 통화기능 및 무선스피커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의해 상기 각 기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각 기능을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셋(10)의 키패드(미도시) 또는 핸드셋(20)의 키패드(22)를 통해 상기 각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의 판단에 의해 기능을 변경하는 경우, 시스템에서 베이스셋(10) 내의 제어부(14)는 각 기능 중 통화기능에 우선 순위를 두어, 무선스피커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링신호(RING)가 감지된 경우 시스템을 통화기능으로 자동 절환하여 통상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셋(10) 내의 제어부(14)에서 통화기능으로 자동 절환하는 경우에는 핸드셋(20) 역시 통화기능으로 절환되어 베이스셋(10)으로부터 수신된 착신벨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베이스셋(10)의 키패드(미도시) 또는 핸드셋(20)의 키패드(22)을 통해 통화기능을 선택한 경우, 통상의 무선 전화기에서의 호연결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부(11)는 팁신호(TIP) 및 링신호(RING) 각각에 대해 선로를 갖는 유선 통화로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파하고, 링신호 검출부(12)는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부(11)에서 검파된 신호로부터 링신호(RING)를 감지하여 제어부로(13)로 음성신호가 착신되었음을 보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베이스셋(10)의 키패드(미도시) 또는 핸드셋(20)의 키패드(22)를 통해 통화기능 또는 무선 스피커 기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0,S31), 상기와 같이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스위치부(15)를 통화기능위치(A)로 절환하여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한다(S32).
그리고, 링신호 검출부(12)로부터 음성신호가 착신되었음을 보고받으면, 제어부(13)는 착신벨신호를 RF(Radio Frequency) 변환기(16), RF 증폭기(17), 안테나(18)를 통해 RF 신호로 변환 및 그 크기를 증폭하여 핸드셋(20)으로 전송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핸드셋(20) 혹은 베이스셋(10)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여호가 연결되면, 유선통화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브릿지 다이오드부(11)에서 검파하여 스피치(Speech)부(13)에서 소정의 처리를 한 음성신호에 대하여, 제어부(14)는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절환된 스위치부(15)를 통해 RF 변환기(16)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RF 변환기(16)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의 대역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로 변환하고, RF 증폭기(17)는 이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안테나(18)를 통해 핸드셋(20)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핸드셋(20)과 베이스셋(10)간에 음성신호를 변환한 RF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베이스셋(10)의 키패드(미도시) 또는 핸드셋(20)의 키패드(22)를 통해 무선스피커기능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4)는 스위치부(15)를 스피커기능위치(B)로 절환한다.
그리고, 오디오잭(Audio Jack)(19)을 통해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절환된 스피커기능위치(B)에 따라 RF 변환기(16) 및 RF 증폭기(17)로 유도함으로써,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입력된 음향신호를 안테나(18)를 통해 RF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핸드셋(20)으로 송신한다(S33).
여기서, 상기 오디오잭(19)은 컴퓨터나 음향기기 등에 연결하여 음향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타입(Type)의 잭으로서, 상기 컴퓨터나 음향기기 등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스위치부(15)의 스피커기능위치(B)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가 무선스피커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링신호 검출부(12)로부터링신호(RING)가 감지되면(S34), 베이스셋(10) 내의 제어부(14)는 통화기능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으므로, 스위치부(15)를 스피커기능위치(B)에서 통화기능위치(A)로 자동으로 절환하여(S35), 착신벨신호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핸드셋(40)으로 송신하여 시스템이 통상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36).
한편, 핸드셋(20)은 도2와 같이, 키패드(22)의 기능전환버튼(22-1)을 통해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출력전환버튼(22-2)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핸드셋(20) 전면의 수화기(21) 또는 핸드셋(20) 후면의 메인스피커(23)로 출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핸드셋(20)은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출력전환버튼(22-2)이 동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메인스피커(23)로 출력하거나(S40,S41),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수화기(21)로 출력한다(S44).
그 다음, 상기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도중에 베이스셋(10)으로부터 착신벨신호가 수신되면(S42), 출력전환버튼(22-2)에 의해 선택된 수화기(21) 또는 메인스피커(23)로 상기 수신된 착신벨신호를 출력하고, 이후에 상기 베이스셋(10)으로부터 RF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S43).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20)에 장착된 수화기(21) 또는 메인스피커(23)를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전화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그 베이스셋 내의 제어부에서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하고, 무선스피커기능이 설정된 경우 베이스셋 내의 오디오잭을 통해 외부의 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핸드셋으로 송신하며, 상기 음향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되면 통화기능으로 절환하여 착신벨신호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에 장착된 수화기 또는 메인스피커를 선택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전화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계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된 경우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으로 자동 절환하여 음성신호를 중계하는 베이스셋과; 상기 베이스셋의 중계에 따라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셋과 음성신호 송수신하거나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수화기 또는 메인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핸드셋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2.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기능이 설정된 경우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스피커기능이 설정된 경우 입력된 음향신호를 핸드셋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향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링신호가 감지되면, 통화기능으로 절환하여 착신벨신호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통화기능 또는 무선스피커기능을 수행할 시출력전환버튼이 동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메인스피커 또는 수화기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27303A 2003-04-29 2003-04-29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92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03A KR20040092880A (ko) 2003-04-29 2003-04-29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03A KR20040092880A (ko) 2003-04-29 2003-04-29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80A true KR20040092880A (ko) 2004-11-04

Family

ID=3737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303A KR20040092880A (ko) 2003-04-29 2003-04-29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88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467A (en) * 1996-05-10 1997-12-02 Hewlett Packard Company Integrated sound/telephone headset system
KR19990007517A (ko) * 1998-08-28 1999-01-25 윤광원 오디오 청취형 전화기
KR20000016970A (ko) * 1998-08-28 2000-03-25 한명수,한영수 외부오디오연결형전화기
KR20010007904A (ko) * 2000-10-20 2001-02-05 임용국 무선송수신장치를 이용한 소형전화기 및 그 통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467A (en) * 1996-05-10 1997-12-02 Hewlett Packard Company Integrated sound/telephone headset system
KR19990007517A (ko) * 1998-08-28 1999-01-25 윤광원 오디오 청취형 전화기
KR20000016970A (ko) * 1998-08-28 2000-03-25 한명수,한영수 외부오디오연결형전화기
KR20010007904A (ko) * 2000-10-20 2001-02-05 임용국 무선송수신장치를 이용한 소형전화기 및 그 통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056B1 (ko)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US557257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speaker phone function
KR20000010415A (ko)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KR100475441B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H0491523A (ja) 無線電話装置
JPH05103070A (ja)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US20060276165A1 (en) Dual 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US605530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KR20040092880A (ko)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72986A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KR200254222Y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벨 발생 장치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1272A (ko) 인터넷폰 겸용 전화기
KR0148893B1 (ko) 무선 전화기의 발신음 송출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326728B1 (ko)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368027A (ja) 携帯電話機
JP2000134356A (ja) 回線選択装置
JP3594508B2 (ja) 電話装置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