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753B1 - 리드프레임금형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753B1
KR100530753B1 KR1019980012856A KR19980012856A KR100530753B1 KR 100530753 B1 KR100530753 B1 KR 100530753B1 KR 1019980012856 A KR1019980012856 A KR 1019980012856A KR 19980012856 A KR19980012856 A KR 19980012856A KR 100530753 B1 KR100530753 B1 KR 10053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nch
holder
die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941A (ko
Inventor
송익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7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리드 프레임 금형이 개시된다.
개시된 리드 프레임 금형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의 저면에 설치되는 펀치 백킹과; 상기 펀치 홀더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펀치 플레이트와;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펀치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펀치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리퍼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공용화 내지 표준화를 극대화하여 금형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금형{Lead frame pressing mold}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lead frame)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리드 프레임 금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크게 스템핑(stamping)에 의한 방법과, 에칭(etching)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된다. 상기 스템핑 방식은 프레스 금형에 의해 소재를 타발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제품을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에칭 방식은 식각에 의한 화학적 부식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미세한 패턴의 반도체 리드프레임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10)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펀치 홀더(punch holder)(11)와, 상기 펀치 홀더(11)의 하부에 소정의 연결핀에 의해 설치된 펀치 백킹(punch backing)(12)과, 펀치 플레이트(punch plate)(1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펀치 플레이트(13)에는 소재를 타발할 수 있는 다수개의 펀치(14)가 설치되며, 상기 펀치(14)의 하측으로는 스트리퍼 홀더(stripper holder)(15)와 스트리퍼 플레이트(16)가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가공되어지는 소정의 소재가 지지되는 다이(die)(17)와, 상기 다이(17)의 일측에 설치된 다이 플레이트(18)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18)의 하부에 설치된 다이 백킹(19)과,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지지하며 고정 설치된 다이 홀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10)은, 이 리드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제품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품마다 설계 및 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제작된 금형 부품들이 제품별로 각각 다르기 때문에 공용성이 적다.
그리고, 각각의 플레이트별로 크기가 서로 달라 부품의 종류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금형 제작비가 상승되며, 상기 펀치(14)의 삽입 방법이 펀치 플레이트(13)에 직접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제품 형상에 제약을 받는다. 또한, 상기 다이(20) 삽입 방법이 다이 플레이트(18)에 포켓(pocket) 형식으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형상에 제약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형상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며, 부품 공용화 내지 표준화를 극대화하여 금형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드 프레임 금형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의 저면에 설치되는 펀치 백킹과; 상기 펀치 홀더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펀치 플레이트와;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펀치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펀치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리퍼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펀치 홀더와 외곽크기가 동일한 다이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치 홀더와 상기 다이 홀더는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 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리퍼 홀더와 동일한 두께로 구비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이 소정 길이의 피치로 일정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다이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길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두 개의 평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퍼 홀더, 상기 다이 플레이트, 상기 펀치백킹,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는, 각각 조합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정한 세팅 표준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세팅 표준형은 상기 스트리퍼 홀더, 상기 다이 플레이트, 상기 펀치백킹,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일측 길이에 따라 정한 500형, 450형, 400형, 및 300형을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퍼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30)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펀치 홀더(31)와, 상기 펀치 홀더(31)에 다수의 연결핀에 의해 설치된 펀치 백킹(32)과, 상기 펀치 백킹(32)과 동일 폭으로 펀치 플레이트(33)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 백킹(32)의 하부에는 상기 펀치 플레이트(33)에 착탈 가능하도록 서브펀치 플레이트(subpunch plate)(34)가 설치되며,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에는 리드 프레임 소재를 타발할 수 있는 다수개의 펀치(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의 하단으로 스트리퍼 홀더(36)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리퍼 홀더(36)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37)가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37)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이(38)와, 상기 다이(38)가 설치되고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37) 하단으로 리드 프레임 소재가 위치하여 펀치(35)가 승강되며 타발될 수 있는 구조로 다이 플레이트(39)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 플레이트(39)의 하단에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39)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다이 홀더(40)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30)의 특징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의 평면도와 같이,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를 적용하여 제품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반면에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가 설치되는 펀치 플레이트(33)는 제품 형상에 관계없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홀더(31)와 다이 홀더(40)는 서로 그 외곽크기가 동일하므로 길이에 따라 종류가 대별되고, 또한 상기 펀치 홀더(31)와 다이 홀더(40)는 그 두께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홀더(36)와 다이 플레이트(39) 두께를 동일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펀치 홀더(31)와 다이 홀더(40) 두께를 같이 55㎜로 하고, 상기 스트리퍼 홀더(36)와 다이 플레이트(39) 두께를 33㎜로 한다. 이로서, 각각의 플레이트 종류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홀더(36), 다이 플레이트(39), 펀치 백킹(32), 및 펀치 플레이트(33)를 각각 조합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일정한 세팅 표준형을 정한다. 상기의 세팅 표준형은 상기 스트리퍼 홀더(36), 다이 플레이트(39), 펀치 백킹(32), 및 펀치 플레이트(33)를 일측의 길이에 따라 각각 500형, 450형, 400형 및 300형을 미리 설계 및 제작해 놓는다. 도 4a에는 이와 같은 세팅 표준형 중에서 일예로 상기 스트리퍼 홀더의 세팅 표준형인 500형(36a), 450형(36b), 400형(36c) 및 300형(36d)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기의 세팅 표준형을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에 적용하면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800형(36')의 스트리퍼 홀더(36)를 제작하고자 할 때는 상기의 세트 표준형 중에서 400형(36c) 두 개를 각각 조립하면 용이하게 800형(36')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 스트리퍼 플레이트(37), 및 다이(38)는 가공되는 제품의 형상 변화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34), 스트리퍼 플레이트(37), 및 다이(38)는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품의 형상변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30)으로부터 교체되는 부품 중에서 그 일예로 도 5a에 도시하였다. 도 5a에는 상기 다이(38)가 다이 플레이트(39)에 인서트(insert)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5a의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다이(38)는 다이 플레이트(39)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의 체결수단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39)에 일정한 길이의 피치(pitch)(P)로 조립된다. 이는, 형상이 다른 제품을 제작하고자 할 때 교체되는 다른 부품 예컨대, 다른 다이 및 다이 플레이트가 동일 위치에 조립 가능하도록 서로 동일한 치수의 피치로 가공한다.
상기의 체결수단은, 상기 다이(38)의 가장자리에 단차가 형성되며, 이 단차에 맞게 크기가 서로 다른 너트(nut)부재(41, 41')를 각각 끼운다. 상기 두 개의 너트부재(41, 41')는 다이(38)가 다이 플레이트(39)에 고정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기 너트부재(41, 41')를 소정의 체결부재(42)를 관통시켜 다이 플레이트(39)에 나사 결합시킨다. 상기 너트부재(41, 41')는 체결부재(4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관통홀이 각각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2)는 통상적으로 탭 볼트(tap bolt), 삽입 볼트(insert bolt), 및 세트 볼트(set bolt)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41, 41')는 단차에 각각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통상의 평판부재 또는 평판 플레이트로서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30)은, 상기의 각각의 플레이트별로 외곽크기 및 가공요소의 위치를 통일하여 각각의 조합으로 리드 프레임 금형(30)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품별로 표준 금형을 미리 설계 및 가공해 놓은 상태로 재고로서 보유하고, 제품형상이 결정되면 형상에 관계되는 부품만을 추가 가공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금형 비용 및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공용성을 확대시킨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동일 형태의 부품을 제작하므로 즉, 부품의 표준화가 가능함으로서 가공비용이 절감되고, 이로서 코스트 다운의 효과가 있다.
둘째; 제작된 부품들은 다른 리드 프레임 금형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하나의 리드 프레임 금형에 대하여 이 리드 프레임 금형을 일부 교체함으로써 서로 다른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넷째; 리드 프레임 금형의 대부분의 부품을 미리 가공함으로서 납기단축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에서 서브펀치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에서 스트리퍼 홀더의 세팅 표준형 종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스트리퍼 홀더의 세팅 표준형을 조합하여 제작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금형에서 다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1...펀치 홀더 32...펀치 백킹
33...펀치 플레이트 34...서브펀치 플레이트
35...펀치 36...스트리퍼 홀더
37...스트리퍼 플레이트 38...다이
39...다이 플레이트 40...다이 홀더
41, 41'...너트부재 42...체결부재

Claims (3)

  1.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의 저면에 설치되는 펀치 백킹과;
    상기 펀치 홀더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펀치 플레이트와;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펀치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펀치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펀치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리퍼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와 외곽크기가 동일한 다이 홀더와;
    상기 다이 홀더에 설치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스트리퍼 홀더, 상기 다이 플레이트, 상기 펀치백킹, 및 상기 펀치 플레이트는 각각 조합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정한 세팅 표준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퍼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상기 스트리퍼 홀더와 동일한 두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금형.
KR1019980012856A 1998-04-10 1998-04-10 리드프레임금형 KR10053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856A KR100530753B1 (ko) 1998-04-10 1998-04-10 리드프레임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856A KR100530753B1 (ko) 1998-04-10 1998-04-10 리드프레임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41A KR19990079941A (ko) 1999-11-05
KR100530753B1 true KR100530753B1 (ko) 2006-01-27

Family

ID=3717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856A KR100530753B1 (ko) 1998-04-10 1998-04-10 리드프레임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7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551A (en) * 1981-03-17 1982-09-22 Toshiba Corp Manufacturing device of cor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890004609Y1 (ko) * 1986-07-14 1989-07-15 이명권 변기뚜껑 및 시트 개폐 장치
KR920015751U (ko) * 1991-01-04 1992-08-1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리드 프레임 제조 장치
JPH06142783A (ja) * 1992-11-11 1994-05-24 Kitsuda:Kk 金属プレス用金型におけるプレス加工方法
KR970033191A (ko) * 1995-12-22 1997-07-22 정몽원 프레스금형 조립방법
JPH1085858A (ja) * 1996-09-18 1998-04-07 Hitachi Cable Ltd パンチ荷重を調整可能なリードフレームのデプレス金型
KR19980084564A (ko) * 1997-05-23 1998-12-05 이대원 반도체 리드프레임 금형의 가공방법
KR19990010199U (ko) * 1997-08-28 1999-03-15 김영환 프레스 금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551A (en) * 1981-03-17 1982-09-22 Toshiba Corp Manufacturing device of cor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890004609Y1 (ko) * 1986-07-14 1989-07-15 이명권 변기뚜껑 및 시트 개폐 장치
KR920015751U (ko) * 1991-01-04 1992-08-1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리드 프레임 제조 장치
JPH06142783A (ja) * 1992-11-11 1994-05-24 Kitsuda:Kk 金属プレス用金型におけるプレス加工方法
KR970033191A (ko) * 1995-12-22 1997-07-22 정몽원 프레스금형 조립방법
JPH1085858A (ja) * 1996-09-18 1998-04-07 Hitachi Cable Ltd パンチ荷重を調整可能なリードフレームのデプレス金型
KR19980084564A (ko) * 1997-05-23 1998-12-05 이대원 반도체 리드프레임 금형의 가공방법
KR19990010199U (ko) * 1997-08-28 1999-03-15 김영환 프레스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41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0553C (zh) 柔性电路板的冲切方法
CN201493386U (zh) 一种标准化通用冲切模具
KR100530753B1 (ko) 리드프레임금형
CN215790402U (zh) 冲切模具
WO2022189903A1 (en) Punching die
CN210788848U (zh) 一种可更换模芯的隔离片加工模具
KR20120005239A (ko) 파인 블랭킹 펀치
CN112140472A (zh) 模块化3d打印模具及其制作方法
CN206226136U (zh) 定子冲片
JP3825464B1 (ja) 加工板、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210173764U (zh) 模具复用上模座、模具复用下模座、pcb板冲切模具上模及pcb板冲切模具下模
CN213797735U (zh) 一种定型模具
CN214639680U (zh) 一种快速换模底板及模具成型加工装置
CN216371781U (zh) 一种十字定位板
JP5265901B2 (ja) 金型
CN217701095U (zh) 一种铁芯冲齿装置
CN216435696U (zh) 电容器引脚加工工装
KR100479917B1 (ko) 포밍및피어싱공정동시성형금형및이를이용한열교환기용냉각판제조방법
CN108835941B (zh) 密集架底架轴承梁及其制作方法
CN209982284U (zh) 一种定子模具及其定子铁芯
CN215845184U (zh) 一种法兰盘精冲模具
KR200391345Y1 (ko) 코어 제조용 피어싱 펀치
JP3496835B1 (ja) 母板加工用金型及び加工板の製造方法
KR100288809B1 (ko) C형스냅링의제조방법
JP3915982B2 (ja) 加工板及びその製造方法、母板加工用金型、並びに、プッシュバック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