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226B1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226B1
KR100530226B1 KR10-2003-0070830A KR20030070830A KR100530226B1 KR 100530226 B1 KR100530226 B1 KR 100530226B1 KR 20030070830 A KR20030070830 A KR 20030070830A KR 100530226 B1 KR100530226 B1 KR 10053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ear
support plate
paper support
pape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08A (ko
Inventor
양천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2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는, 카세트 본체와, 적어도 일측단부가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용지받침판과, 용지받침판의 승강운동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카세트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스윙기어 조립체와, 스윙기어 조립체의 회전속도를 줄이도록 스윙기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플라이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받침판이 상승운동할 때 스윙기어 조립체의 회전속도가 플라이휠 조립체에 의해 감속되고, 이에 의해, 스윙기어 조립체가 용지받침판의 상승운동 속도를 줄이기 때문에, 용지받침판이 급속하게 상승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Paper feed cassett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나 도 1은 이들 중 프린터를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200)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200)의 카세트 본체(210) 내부에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받침판(220)이 상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용지받침판(220)은 적재된 용지를 픽업 가능한 높이로 위치시킨다. 다수의 용지가 적재된 카세트 본체(2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최상부의 용지가 카세트 본체(210)에 설치된 용지분리핑거(230)에 밀착된다. 그리고, 용지는 픽업롤러(110)와 용지분리핑거(230)의 작용에 의해 한 장씩 픽업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헤드부 측으로 차례로 이송된다.
상기 종래의 급지카세트(200)는, 급지카세트(200)의 외관을 이루는 카세트 본체(210)와, 탄성부재(24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카세트 본체(210) 내부에 설치된 용지받침판(220)과, 용지받침판(220)을 홀딩시키는 홀딩장치(250)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장치(250)는 사용자가 용지를 카세트 본체(21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용지받침판(220)을 일시적으로 홀딩하여 용지받침판(220)이 카세트 본체(210)의 하부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용지받침판(220)이 카세트 본체(210)의 하부로 가압되면, 용지받침판(220)의 상부후크(251)가 카세트 본체(210)의 하부후크(252)에 걸린다. 이때, 용지받침판(220)은 카세트 본체(210)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로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지를 카세트 본체(21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용지가 적재된 후, 카세트 본체(21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하부후크(252)와 일체로 되어 지지스프링(253)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는 버튼(254)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접하여 밀리게 된다. 이때, 상부후크(251)가 하부후크(252)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용지받침판(220)은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픽업롤러(110) 측으로 상승되고 용지받치판(220)에 적재된 최상부의 용지는 용지분리핑거(230)에 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지카세트(200)는, 용지받침판(220)이 홀딩장치(250)에서 벗어날 때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용지받침판(220)이 급속하게 상승된다. 이렇게 용지받침판(220)이 급속하게 상승되면 용지받침판(220)에 적재된 용지가 용지분리핑거(230)에 강하게 부딪치게 된다. 이때,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적재된 용지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지받침판이 홀딩장치로부터 벗어날 때 용지받침판이 서서히 상승되어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는, 카세트 본체와, 적어도 일측단부가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용지받침판과, 상기 용지받침판의 승강운동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스윙기어 조립체와,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의 회전속도를 줄이도록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플라이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받침판이 상승운동할 때 스윙기어 조립체의 회전속도가 플라이휠 조립체에 의해 감속되고, 이에 의해, 스윙기어 조립체가 용지받침판의 상승운동 속도를 줄이기 때문에, 용지받침판이 급속하게 상승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는, 치형부를 갖는 스윙기어 몸체와,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스윙기어피봇과, 상기 스윙기어피봇이 삽입되며 상기 스윙기어 몸체가 상기 스윙기어피봇을 중심으로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윙기어 몸체에 형성된 장홈과, 상기 스윙기어 몸체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그 일단이 상기 스윙기어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세트 본체에 연결된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장홈 내의 상기 스윙기어피봇의 삽입 위치가 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윙기어 몸체와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는 상기 용지받침판이 상승운동할 때만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에 연결됨으로써 용지받침판의 하강운동시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가 용지받침판의 하강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는, 상기 스윙기어 몸체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스윙기어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용지받침판에 설치된 스윙기어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는, 상기 스윙기어 몸체와 치합되는 휠기어 및 상기 휠기어와 연동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는, 상기 용지받침판이 상기 카세트 본체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지받침판을 홀딩시키는 홀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휠과 휠기어 사이에는 클러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지받침판이 상승하여 정점에 도달된 시점에서 클러치장치를 통해 플라이휠과 상기 휠기어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플라이휠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스윙기어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300)는, 카세트 본체(310)와, 카세트 본체(310)에 설치된 용지받침판(320)과, 용지받침판(320)을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장치(330)와, 용지받침판(320)의 상승운동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윙기어 조립체(340) 및 플라이휠 조립체(350)를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 본체(310)의 상부 일측에는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용지분리핑거(311)가 설치된다. 이 용지분리핑거(311)는 통상의 것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도 1참조)에 설치된 픽업롤러(110)가 용지를 픽업할 때 용지의 단부를 가압하여 용지가 낱장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지받침판(320)은 그 일단부가 카세트 본체(3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카세트 본체(310) 내부에 설치된다. 용지받침판(320)의 하부측에는 용지받침판(320)을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360)이 결합된다. 이 스프링(360)에 의해 용지받침판(320)은 적재된 최상부의 용지가 픽업 가능한 높이에 도달되도록 상승된다. 용지받침판(320)의 단부에는 스윙기어 가압부재(321)가 설치된다.
상기 홀딩장치(330)는 카세트 본체(310)의 하부 측으로 하강된 용지받침판(320)을 홀딩하기 위한 것으로, 용지받침판(320)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후크(331)와, 상부후크(331)를 홀딩하도록 카세트 본체(310)에 설치된 하부후크(332)를 포함한다. 하부후크(332)에는 버튼(333)이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후크(332)의 또다른 일측에는 버튼(333)을 카세트 본체(310)의 외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53;도 1참조)이 연결된다. 이러한 홀딩장치(3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것과 같으나, 본 발명의 홀딩장치(330)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홀딩장치(330)는 용지받침판(320)을 홀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340)는 플라이휠 조립체(350)와 함께 용지받침판(320)의 상승운동을 억제하여 용지받침판(320)이 서서히 상승되도록 한다. 스윙기어 조립체(340)는, 스윙기어 몸체(341)와, 카세트 본체(310)에 설치된 스윙기어피봇(345)과, 스윙기어 몸체(341)에 연결된 복원스프링(34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윙기어 몸체(341)는 플라이휠 조립체(350)에 연결되는 치형부(342)와, 장홈(341a)이 형성된 지지부(343)와, 지지부(343)에서 연장된 연장부(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윙기어 몸체(341)는 장홈(341a)에 스윙기어피봇(345)이 삽입되도록 스윙기어피봇(345)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관계에 의해 스윙기어 몸체(341)는 스윙기어피봇(345)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장홈(341a)의 길이가 스윙기어피봇(345)의 폭 보다 크기 때문에, 스윙기어 몸체(340)는 장홈(341a)의 길이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윙기어 몸체(340)의 이동에 의해 치형부(342)가 플라이휠 조립체(3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344)는 용지받침판(320) 단부의 스윙기어 가압부재(321)에 이르도록 지지부(343)에서 연장 형성된다. 용지받침판(320)이 상승될 때 스윙기어 가압부재(321)가 연장부(344)를 밀어올리면 스윙기어 몸체(340)는 스윙기어피봇(34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복원스프링(346)은 스윙기어 가압부재(321)에 의해 상승된 스윙기어 몸체(341)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복원스프링(346)의 일단은 카세트 본체(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윙기어 몸체(341)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350)는 관성모멘트가 큰 회전체(351)와, 회전체(351)의 일측에 설치된 휠기어(352)와, 회전체(351) 및 휠기어(3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카세트 본체(310)에 설치된 회전축(353)을 포함한다. 휠기어(352)에 스윙기어 몸체(341)의 치형부(342)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이를 통해 스윙기어 몸체(341)와 플라이휠 조립체(350)는 서로 연결된다. 회전체(351)와 휠기어(352)의 사이에는 클러치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장치를 통해 회전체(351)와 휠기어(352)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끊어줌으로써 회전체(351)에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이 스윙기어 몸체(341)에 불필요한 하중을 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회전체(351)는 관성모멘트의 값이 큰 원형의 금속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이나 재질은 적절한 관성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3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용지 적재시 급지카세트(300)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용지받침판(320)이 카세트 본체(310)의 하부 측으로 하강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세트 본체(310)의 하부후크(332)가 용지받침판(320)의 상부후크(331)를 홀딩하고 있으며, 스프링(360)은 압축된 상태이다. 또한, 복원스프링(346)이 스윙기어 본체(341)를 플라이휠 조립체(3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고 있어서 스윙기어피봇(345)은 스윙기어 몸체(341)의 장홈(341a) 내에서 A 방향으로 상대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기어 몸체(341)는 휠기어(352)와 이격된다.
용지받침판(320)에 다수의 용지가 적재된 후, 카세트 본체(31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도 1참조) 내부로 밀어넣으면, 하부후크(332)의 버튼(333)이 카세트 본체(310)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부후크(331)가 하부후크(332)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용지받침판(320)이 상부 방향으로 상승되고, 용지받침판(320) 단부에 설치된 스윙기어 가압부재(321)가 스윙기어 몸체(341)의 연장부(344)에 부딪친다. 이때 스윙기어피봇(345)은 순간적으로 장홈(341a) 내에서 B 방향 상대운동 하면서 스윙기어 몸체(341)가 플라이휠 조립체(350) 측으로 이동되고, 스윙기어 몸체(341)의 치형부(342)는 휠기어(352)에 치합된다.
그리고, 용지받침판(320)이 상승하려는 힘에 의해 스윙기어 몸체(341)에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스윙기어 몸체(341)가 휠기어(352)에 치합되어 있기때문에, 스윙기어 몸체(341)는 급속하게 회전되지 못하고 회전체(352)의 회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스윙기어 몸체(341)에 접한 용지받침판(320)은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110)에 의해 픽업될 수 있는 높이가 되도록 상승된다. 그리고,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110)에 의해 차례로 픽업되며, 용지가 모두 픽업되고 나면 용지받침판(320)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상승 높이에 이르게 된다.
급지카세트(300)에 다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해서 카세트 본체(31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도 1참조)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용지받침판(320)을 홀딩장치(330)에 홀딩시키기 위해 하강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기어 가압부재(321)가 스윙기어 몸체(341)의 연장부(344)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이때 복원스프링(346)이 스윙기어 몸체(341)를 플라이휠 조립체(3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스윙기어피봇(345)의 삽입 위치가 장홈(341a)의 A 방향 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스윙기어 몸체(341)는 휠기어(352)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스윙기어피봇(34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용지받침판(320)이 홀딩장치(330)에 의해 홀딩되면 스윙기어 몸체(341)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윙기어 몸체(341)가 휠기어(352)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플라이휠(350)에 클러지장치를 설치할 경우 스윙기어 몸체(341)와 휠기어(352)가 항상 치합되어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200)는 상기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프린터 이외에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성모멘트가 큰 플라이휠을 이용하여 용지받침판이 서서히 상승되도록 하여 용지받침판 및 용지받침판에 적재된 용지가 다른 구성부품과 충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충돌에 의해 구성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용지받침판에 적재된 용지가 용지받침판의 급속한 상승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카세트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급지카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급지카세트 310;카세트 본체
320;용지받침판 321;스윙기어 가압부재
330;홀딩장치 331;상부후크
332;하부후크 333;버튼
340;스윙기어 조립체 341;스윙기어 몸체
342;치형부 343;지지부
344;연장부 345;스윙기어 피봇
346;복원스프링 350;플라이휠 조립체
351;회전체 352;휠기어

Claims (5)

  1. 카세트 본체;
    적어도 일측단부가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용지받침판;
    상기 용지받침판의 승강운동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스윙기어 조립체; 및
    상기 용지받침판의 상승시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플라이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는,
    치형부를 갖는 스윙기어 몸체;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설치된 스윙기어피봇;
    상기 스윙기어피봇이 삽입되며, 상기 스윙기어 몸체가 상기 스윙기어피봇을 중심으로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윙기어 몸체에 형성된 장홈;
    상기 스윙기어 몸체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그 일단이 상기 스윙기어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세트 본체에 연결된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장홈 내의 상기 스윙기어피봇의 삽입 위치가 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윙기어 몸체와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 조립체는,
    상기 스윙기어 몸체와 치합되는 휠기어; 및
    상기 휠기어와 연동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스윙기어 조립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용지받침판에 설치된 스윙기어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판이 상기 카세트 본체의 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지받침판을 홀딩시키는 홀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10-2003-0070830A 2003-10-11 2003-10-11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10053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30A KR100530226B1 (ko) 2003-10-11 2003-10-11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30A KR100530226B1 (ko) 2003-10-11 2003-10-11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08A KR20050035008A (ko) 2005-04-15
KR100530226B1 true KR100530226B1 (ko) 2005-11-22

Family

ID=3723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30A KR100530226B1 (ko) 2003-10-11 2003-10-11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2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08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53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US8231122B2 (en) Paper-stopp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JP6381359B2 (ja) 給紙装置
JP3131122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321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100331700B1 (ko) 프린터의 픽업장치
JP452981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30226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US20080023904A1 (en) Sheet pick-up device
JP4275544B2 (ja) 給紙装置およ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3279365B2 (ja) 給紙装置
JP5124011B2 (ja) シートピックアップモジュール
JP3732608B2 (ja) 画像形成装置
EP0924093A2 (en) Device for feeding a recordable paper in an ink jet printer
AU743178B2 (en) Paper-feeding apparatus
KR100211804B1 (ko)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JP4045221B2 (ja) 給紙装置
KR101085931B1 (ko)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KR200228037Y1 (ko) 프린터의 용지 픽업장치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100574055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H0558480A (ja) 給紙カセツトの底板押上げ機構
JP2007238234A (ja) 給紙装置
JP3312794B2 (ja) 用紙給送装置
KR200169048Y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