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804B1 -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804B1
KR100211804B1 KR1019970047993A KR19970047993A KR100211804B1 KR 100211804 B1 KR100211804 B1 KR 100211804B1 KR 1019970047993 A KR1019970047993 A KR 1019970047993A KR 19970047993 A KR19970047993 A KR 19970047993A KR 100211804 B1 KR100211804 B1 KR 10021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cker
knock
plate
inkjet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042A (ko
Inventor
김동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8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급지부에 종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녹업플레이트의 상승 속도를 서서히 지연시켜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충돌할 때 녹업플레이트의 충돌음과 충격이 최대한 적게 발생되도록 한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급지부의 구동축과 인접된 측면부에 곡선형의 로커를 설치하고, 캠과 일체로 된 구동축의 상단 일측에 픽업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천천히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기 위한 돌출캠을 형성하며, 로커의 끝단부와 측면부 사이에 로커스프링을 체결한 것으로, 구동축의 회전으로 캠이 캠부의 상단에서 이탈하여 녹업플레이트가 상승할 때 돌출캠이 로커와 마찰되므로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서서히 충돌하고, 이로인하여 충돌음 및 충격량이 적게 발생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본 발명은 자동급지부에 종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축의 회전으로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최대한 줄임과 더불어 녹업플레이트의 충격을 감쇄하도록 한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컴퓨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컴퓨터 모니터상에 있는 자료를 용지 등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잉크젯프린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잉크젯프린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급지 장치부(20)와, 용지 급지 장치부(20)로부터 용지(25)를 급지받아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장치부(30)와, 이송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25)에 인쇄하는 인쇄장치부(40)와, 인쇄장치부(40)에서 인쇄된 용지(25)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 장치부(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장착용틀(11)에 설치되어 있다.
인쇄장치부(40)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미도시됨)이 부착된 잉크카트리지(42)가 캐리지(41)에 설치되어 캐리지(41)의 좌, 우 이동에 따라 노즐을 통해 이송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된 용지(25) 위에 인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캐리지(41)는 장착용틀(11) 옆면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된 이탈방지부(13)와 안내봉(14)에 지지 및 장착되고, 장착용틀(11) 옆면의 중간에 구동타이밍풀리(미도시됨)와 종동타이밍풀리(45)가 설치되며, 구동타이밍풀리와 종동타이밍풀리(45)의 외주면에는 타이밍벨트(43)가 감겨져 설치되고, 구동타이밍풀리는 모터(46)와 연결되어 있다.
즉,모터(46)가 구동되면 구동타이밍풀리가 회전되면서 이와 연결된 타이밍벨트(43)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캐리지(41)가 이탈방지부(13) 및 안내봉(14)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용지 급지 장치부(20)는 용지를 수납하는 자동급지부(21)와, 자동급지부(21)에 수납된 용지를 이송장치부(30)에 전달하는 픽업로울러(26)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급지부(21)는 그 상단 일측에 안내홈(28)이 형성되고, 여기에 용지고정구(27)가 설치되어 자동급지부(21)에 수납된 용지를 한쪽으로 가지런히 정돈하여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예시도면 도 2는 잉크젯프린터에 의해 인쇄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자동급지부(21)에 수납 적재된 용지(25)는 픽업로울러(26)를 통해 낱장으로 이송장치부(30)의 프릭션로울러(32)와 피드로울러(31) 사이로 공급되어 인쇄를 위한 이송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이송된 용지는 안내프레임(53) 위를 통과하여 용지 배출 장치부(50)에 도달 되면 배지로울러(51)와 원고 접촉 휠(52) 사이로 이송되면서 잉크젯프린터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구동로울러(33)는 배지로울러(51)와 피드로울러(31) 사이에 맞물려 설치된 상태에서 피드로울러(31)가 회전되면 이 동력을 구동로울러(33)가 전달받아 배지로울러(51)에 전달시키므로서 배지로울러(51)가 회전되는 것이다.
용지 급지 장치부(20)는 용지(25)를 수납하는 자동급지부(21)와 자동급지부(21)에 수납 적재된 용지(25)를 한 장씩 빼내어서 이송장치부(30)로 급송하는 픽업로울러(26)로 구성되어 있고, 자동급지부(21)는 메인프레임(22)과 용지(25)를 한 곳으로 모아 가지런히 수납하는 녹업플레이트(23)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프레임(22)의 상단과 녹업플레이트(23)의 하단 사이에는 녹업스프링(24)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캐리지(41)의 후면측에 벨트걸이부(44)가 형성되고, 벨트걸이부(44)에 타이밍벨트(43)의 일측이 체결되어 있어서 타이밍벨트(43)가 움직이면 캐리지(41)가 따라서 움직이고, 캐리지(41)에 장착된 잉크카트리지(42)의 하단에는 잉크를 용지에 분사시키는 노즐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용틀(11)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잉크젯프린터의 앞에는 덮개(12)가 장착되어 케이스(10)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3은 종래 자동 급지부를 보인 것으로, 종이를 끼워 장착하는 녹업플레이트(23)와 녹업플레이트 구동캠(29b)과 동력절환부(29m)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절환부(29m)는 픽업기어(29l)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스토퍼스프링(29r) 및 스프링클러치(29n)의 스프링이 밀착되어 스토퍼(29P) 및 모터(46)로부터의 동력 절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 자동 급지부의 동작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4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a와 같이 스토퍼(29P)가 스프링클러치(29n)의 진행을 막고 있던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풀어주는 상태로 움직인다.
다시 모터(46)가 정회전으로 구동하게 되면 스토퍼(29P)가 내려오기 전에 스프링클러치(29n)를 감으면서 돌리게 되므로 스프링클러치(29n)와 연결된 구동축(29a)이 구동된다.
이때 구동축(29a)의 끝단부에 설치된 캠(29b)이 녹업플레이트(23)의 캠부(29c)를 벗어나게 되고, 녹업플레이트(23)는 상승하여 용지(25)와 픽업로울러(26)가 밀착된다.
이때 녹업플레이트(23)는 픽업로울러(26)와 빠르게 부딪혀서 충돌음이 크게 발생된다.
상기 모터(46)가 정회전하게 됨에 따라 용지(25)는 픽업로울러(26)의 반원 길이 만큼 급지되고,구동축이 1회전 완료되는 시점에서 스프링클러치(29n)의 진행이 스토퍼에 의해 차단되며, 이 상태에서는 계속 용지(25)를 (이때는 이미 다른 피드로울러에 물려서 종이가 공급되는 상태임) 정방향으로 공급시켜도 스프링클러치(29n)가 감기지 않고, 풀리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자동급지장치에는 다시 역방향 구동이 일어나지 않는 한 변화가 없게 된다.
한편 녹업플레이트(23)는 1회전 완료 직전에 상술한 캠(29b) 및 녹업플레이트(23)의 캠부에 의해 아래로 내려간다.
그리고 예시도면 도 5a,5b는 캠(29b)이 캠부(29c)를 벗어나는 동작 과정을 보인 것으로 캠(29b)의 형상을 조정하거나 모터(46)의 구동 속도를 조정하더라도 녹업플레이트(23)의 상승력에 의해 회전토크(T)를 받게 된다.
이때 회전 방향이 스프링클러치(29n)를 풀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모터(46)가 아무리 천천히 돌더라도 스프링클러치(29n)와 픽업기어(29l)의 몸통 사이에 동력이 끊어져 미끌어지면서 캠(29b)이 무부하 상태에서 녹업플레이트(23)의 상승력에 아무 저항없이 돌어버리고 픽업로울러(26)와의 충돌시 경사면의 각도 및 모터(46)의 회전속도와 무관하게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잉크젯프린터는 인쇄장치부에 의해 용지(25)위에 인쇄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캠(29b)이 녹업플레이트(23)의 캠부(29c)와 수직으로 맞물려 녹업플레이트(23)가 하강되고, 이때 상기 맞물렸던 캠(29b)이 회전되어 캠부(29c)에서 벗어날 때 하강되었던 녹업플레이트(23)가 빠르게 상승되면서 픽업로울러(26)와 세게 충돌되므로 충돌음이 크게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녹업플레이트(23)와 픽업로울러(26)가 세게 부딪히면서 녹업플레이트(23)에 충격량이 전달되어 녹업플레이트(23)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선하려고 하는 것으로, 녹업플레이트의 상승 속도를 서서히 지연시켜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충돌시 충돌음이 최대한 작게 발생되도록 한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충돌시 녹업플레이트에 충격이 최대한 적게 전달되어 녹업플레이트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급지부의 구동축과 인접된 측면부에 곡선형의 로커를 설치하고, 캠과 일체로 된 구동축의 상단 일측에 픽업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녹업플레이트를 서서히 상승시키기 위한 돌출캠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캠이 캠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45°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캠이 캠부에서 이탈될 때 상기 돌출캠이 로커와 맞물려 지지되고, 녹업플레이트의 캠부가 캠의 우측면에 맞물려 지지된 상태에서 캠에 로커와 녹업플레이트의 캠부가 상호간에 힘이 균형되게 작용되어 녹업플레이트가 상승되지 않는 또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잉크젯프린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쇄 과정을 나타낸 잉크젯프린터의 우측면도,
도 3은 종래 자동급지부의 구성도,
도 4a, 4b는 도 3의 도시된 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클러치스프링의 진행차단을 보인 구성도,
도 4b는 클러치스프링의 풀어준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a,5b는 캠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5a는 캠이 캠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b는 캠이 캠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는 자동급지부를 보인 사시도,
도 7a, 7b는 도 6 캠의 작동에 따른 로커의 움직임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7a는 로커의 미작동 상태도,
도 7b는 로커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3 : 녹업플레이트 24 : 녹업스프링
26 : 픽업로울러 29 : 측면부
29a : 구동축 29b : 캠
29c : 캠부 29d : 로커
29e : 회전중심부 29f : 힌지축
29g : 걸림부 29h : 걸림편
29i : 돌출캠 29j : 로커스프링
29k : 차단구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내지 도 7a,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예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커(29d)가 자동급지부(21)의 측면부(29)에 설치되고, 돌출캠(29i)이 구동축(29a)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로커(29d)는 곡선형으로 로커(29d)의 일측과 측면부(29)에 걸쳐 힌지축(29f)이 체결되어서 로커(29d)가 설치되어 힌지축(29f)을 중심으로 로커(29d)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로커(29d)의 전체적인 형상은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힌지축(29f)이 끼워지는 로커(29d)의 홀(미도시됨) 주변인 회전중심부(29e)는 로커(29d)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고, 회전중심부(29e)에서 걸림편(29h)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로커(29d)의 전체 무게를 최대한 줄여 로커(29d)가 힌지축(29f)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상세하게 설명하면, 힌지축(29f)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회전중심부(29e)는 로커(29d) 중에서 가장 많은 힘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로커(29d)가 각운동되므로 로커(29d)의 다른 부위에 비해서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이고, 걸림편(29h)은 회전중심부(29e)와 반대쪽(즉 로커(29d)의 우측 끝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서 그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편(29h)의 인접 부위에 로커스프링(29j)의 상측부가 체결되고, 로커스프링(29j)의 하측부는 자동급지부(21)의 측면부(29)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로커(29d)가 녹업스프링(24)의 수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어느 한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중간에서 차단시켜 로커(29d)의 회전을 멈추기 위해 차단구(29k)를 구동축(29a)과 인접한자동급지부(21)의 측면부(29)에 장착한다.
따라서 녹업스프링(24)의 수축력에 영향을 받아 로커(29d)가 하방으로 어느 정도 회전해도 로커(29d)의 우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29h)이 차단구(29k)에 접촉되면서 걸리는 상태에 놓이게 되어 로커(29d)는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걸림편(29h)은 전체적으로 곡선형인 로커(29d)에 있어서, 로커(29d)의 우측 끝단부가 수평으로 꺾어져 형성된 것이고,걸림편(29h)의 크기는 로커(29d)가 로커스프링(29j)의 작용으로 회전되어서 걸림편(29h)이 차단구(29k)에 접촉되었을 때 로커(29d)의 회전을 완전히 차단하는 정도의 크기면 된다.
또한, 로커(29d) 하측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돌출캠(29i)의 회전을 방해하여 캠(29b)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걸림부(29g)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해 도 6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캠(29b)의 하측부가 캠부(29c)의 상단에 맞물려 캠(29b)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녹업플레이트(23)가 하방으로 최대한 하강된 상태이고, 이때 녹업스프링은 최대로 압축상태에 있게 되어 녹업플레이트(23)를 상부로 밀어내는 힘이 최대에 있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로커(29d)의 동작 상태를 도 7a,7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이 회전하여 캠(29b)의 하측면이 캠부(29c)의 상단면과맞물려 캠(29b)이 수직으로(캠(29b)의 가장 긴 최대폭(a)이 수직으로 됨) 세워지면 녹업플레이트(23)는 하방으로 최대한 내려가 있게 되며, 이때 녹업스프링(24)은 최대한 좁혀져 반발력이 최대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녹업스프링(24)의 탄성력이 최대에 있게 되어 녹업스프링(24)의 작용으로 녹업플레이트(23)와 캠(29b)에 미치는 힘이 최대로 작용하게 되며, 이상태에서 구동축의 회전으로 캠(29b)이 캠부(29c)에서 이탈되면, 최대로 압축된 녹업스프링(24)에 의해 녹업플레이트(23)는 순간적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픽업로울러(26)와 충돌되었을 때는 소음이 크게 들리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캠(29b)이 캠부(29c)의 상단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캠(29b)의 최대폭(a)이 수직으로 있을 때 캠(29b)의 상단부와 로커(29d)의 걸림부(29g) 사이에는 떨어진 상태에서 좁은 간극이 형성되고, 돌출캠(29i) 또한 로커(29d)의 하단부 및 걸림부(29g)와 떨어져 있게 되며, 로커(29d)의 걸림편(29h)은 로커스프링(29j)의 작용으로 차단구(29k)에 멈춰서 지지되어 있다.
이상태에서 캠(29b)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29b)의 하단부가 캠부(29c)의 상단부에서 벗어남과 더불어 캠(29b)이 45°정도 기울어지면(즉, 캠(29b)의 최대폭(a)이 45°정도 기울어짐) 돌출캠(29i)은 걸림부(29g)에 접촉되어 걸리게 되고, 이때 녹업플레이트(23)는 녹업스프링(24)의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어느정도 상승되며, 캠부(29c)의 직각 모서리가 캠(29b)의 우측 일측면과 밀착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돌출캠(29i)이 걸림부(29g)와 접촉에 의해 로커(29d)는 힌지축(29f)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승되고, 걸림편(29h)은 차단구(29k)와 떨어지게 되며, 녹업스프링(24)은 늘어나 로커(29d)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캠(29i)은 걸림부(29g)와 접촉되면서 하중을 받게 되고, 캠(29b)은 로커(29d)와 녹업플레이트(23)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있어서 캠(29b)을 중심으로 캠(29b)에 서로 작용하는 로커(29d)와 녹업플레이트(23)의 힘이 균형을 이루어 모터(46)의 구동력을 받지 않으면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모터(46)가 구동되어 캠(29b)이 회전되면 돌출캠(29i)이 걸림부(29g)와 마찰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캠(29b)의 회전이 천천히 이루어지고, 캠(29b)의 측면과 접촉된 캠부(29c) 또한 마찰되면서 상승되므로 결국 녹업플레이트(23)는 천천히 상승되어 픽업로울러(26)와 천천히 접촉되어 발생되는 충격이 약하고, 충돌음 또한 적게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를 1장씩 인쇄할 때 발생하는 녹업플레이트와 픽업로울러와의 충격이 약하여 충돌음이 적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녹업플레이트가 픽업로울러와 천천히 부딪히므로 픽업로울러에 의한 충격량이 녹업플레이트에 적게 전달되어 녹업플레이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잉크카트리지를 캐리지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인쇄장치부와;
    용지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부의 측면부에 녹업플레이트가 서서히 상승되도록 구동시키는 로커 및 로커스프링을 설치함과 더불어 구동축의 일측에 돌출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로커의 회전중심부에 힌지축을 매개로 자동급지부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로커의 끝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걸림편과 대응하여 로커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구가 측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캠은 캠과 일체로 된 구동축의 상단 일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회전중심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서 그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회전중심부에서 걸림편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며, 로커의 하단부 가운데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캠은 캠의 하단이 캠부의 상단과 수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캠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벗어나 캠의 최대폭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질 때 걸림부와 최대로 마찰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KR1019970047993A 1997-09-22 1997-09-22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KR10021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93A KR100211804B1 (ko) 1997-09-22 1997-09-22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93A KR100211804B1 (ko) 1997-09-22 1997-09-22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42A KR19990026042A (ko) 1999-04-15
KR100211804B1 true KR100211804B1 (ko) 1999-08-02

Family

ID=1952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993A KR100211804B1 (ko) 1997-09-22 1997-09-22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764B1 (ko) 2010-10-25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방향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816B2 (ja) * 2005-06-27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85931B1 (ko) * 2005-06-28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764B1 (ko) 2010-10-25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방향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42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52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017422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배출장치
JP5938875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86728A (ko) 용지 분리용 마찰 패드
KR100211804B1 (ko) 소음방지용 자동급지부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JPH0521807B2 (ko)
KR100331700B1 (ko) 프린터의 픽업장치
JP4802743B2 (ja) ロール紙プリンタ
KR19990038204A (ko)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JP2002249242A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362491Y1 (ko)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JP3085909B2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装置
KR101085931B1 (ko)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KR100506401B1 (ko) 종이받이장치
KR100530226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200168094Y1 (ko)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100209501B1 (ko) 잉크젯프린터의 페이퍼잼제거용 이젝트휠장치
KR100942315B1 (ko) 용지 처리장치
JPH04298433A (ja) 給紙装置
KR200228037Y1 (ko) 프린터의 용지 픽업장치
KR200169048Y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KR200150346Y1 (ko) 기록지 걸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19990017830U (ko) 완충용 축이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