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874B1 -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암제 - Google Patents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874B1
KR100528874B1 KR10-2001-7010750A KR20017010750A KR100528874B1 KR 100528874 B1 KR100528874 B1 KR 100528874B1 KR 20017010750 A KR20017010750 A KR 20017010750A KR 100528874 B1 KR100528874 B1 KR 10052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reaction
unsaturated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4211A (ko
Inventor
야마자키타카유키
수가와라후미오
오타케이수케
마사키카즈요시
나카야마코타로
사카구치켄고
사토노리유키
사하라히로에키
후지타타츠야
Original Assignee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polyol, i.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free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including the hydroxy group involved in the glycosidic linkage, e.g. monoglucosyldiacylglycerides, lactobionic aci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C07H15/06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being a hydroxyalkyl group esterified by a fatty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다음 일반식 (1) :
(식중, R101은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고, R102는 수소원자 또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Description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암제{Drugs Containing Sulfopyranosylacylglycerol Derivatives With Cancer Treating Activity}
본 발명은 신규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조류(藻類), 고등 식물 등의 천연물에 함유된 유황함유 당지질에는 생리활성을 갖는 것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오오타 등의 문헌(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6(4), (1998))에는, 홍조 돌가사리에서 얻어진 특정 술포퀴노보실디아실글리세롤유도체가 고등생물DNA 합성효소α 및 β의 저해활성 및 HIV에서 유래한 역전사효소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오오타 등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술포퀴노보실디아실글리세롤유도체는, 글리세롤 부분의 1번째 위치의 탄소에 에스테르결합하는 지방산이 이중결합 5개를 포함하는 탄소수 20의 불포화지방산이고, 2번째 위치의 탄소에 결합하는 지방산이 탄소수 16의 포화지방산이다.
또, 미즈시나 등의 문헌(Biochemical Pharmacology, 55, 537-541,(1998))에는, 양치류식물로부터 얻어지는 특정 술포퀴노보실디아실글리세롤유도체의 혼합물이, 송아지 DNA 합성효소 α형 및 생쥐 DNA 합성효소 β형으로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데, HIV에서 유래한 역전사효소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사와라 등의 문헌(British Journal of Cancer, 75(3), 324-332, (1997))에는, 성게의 장관으로부터의 아세톤추출물에 함유된 술포퀴노보실모노아실글리세롤 획분이 인비보 및 인비트로에서 제암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사와라 등이 제암작용을 발견한 술포퀴노보실모노아실글리세롤 획분은 탄소수 16의 포화지방산이 에스테르결합한 술포퀴노보실모노아실글리세롤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다. 이 술포퀴노보실모노아실글리세롤 획분중, 지방산의 아실부분이 불포화지방산의 아실잔기인 것은 지극히 미량뿐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사와라 등은 제암활성을 발견한 술포퀴노보실모노아실글리세롤 혼합물이 함유하는 개개의 성분에 대한 제암활성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않았다.
또한, 일본국 특표평5-501105호에는 술포퀴노보실디아실글리세롤유도체가 항바이러스활성, 구체적으로는 항인면역부전바이러스활성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DNA 합성효소 저해활성이나 항암활성을 갖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약의 세포를 이용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약의 동물시험법에 의한 제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 의약활성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1) :
(식중, R101은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고, R102는 수소원자 또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호기인 "탄소수"란, 해당 보호기를 비치환으로 간주했을 경우의 탄소원자의 수를 말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R6으로 나타내어지는 기가 치환 알킬기인 경우, 그 탄소수란, 해당 알킬기에 치환하는 치환기의 탄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알킬기의 골격부분의 탄소원자의 수를 말한다. 보호기가 알킬기 이외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우선, 본 발명의 의약이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 있어서, 필라노시드를 구성하는 당골격인 필라노오스에는, α-D-퀴노보오스(6-데옥시-α-D-글루코오스), β-D-퀴노보오스(6-데옥시-β-D-글루코오스), α-D-푸코오스(6-데옥시-α-D-갈락토오스), β-D-푸코오스(6-데옥시-β-D-갈락토오스), α-D-람노오스(6-데옥시-α-D-만노오스), β-D-람노오스(6-데옥시-β-D-만노오스) 등이 포함된다.
글리세롤 부분의 2번째 위치의 탄소(부제탄소)에 있어서의 절대배치는 S 또는 R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필라노시드의 당골격은, 보트형과 의자형 중 어느 배치라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의자형의 것이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 있어서, R101은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
R101로 나타내어지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제공하는 지방산에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불포화고급지방산이 포함되는데, 일반식(1)로 나타낸 화합물을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관점에서 직쇄상의 불포화고급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직쇄상의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는, 탄소수 14∼26(바람직하게는, 14∼26의 짝수), 불포화결합수 1∼6을 갖는 것이다. 즉, 직쇄상의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는, 식 : R-C(=O)-{식 중, R은 탄소수 13∼25(바람직하게는, 13∼25의 홀수)의, 직쇄상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이 탄화수소기에는 불포화 결합이 1∼6개 포함된다.}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일반식(1)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 있어서, R102는 수소원자 또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 특히, 제암활성의 관점에서 R102는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102가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인 경우에는, 그 아실잔기를 제공하는 지방산으로서 R101과 동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R101 및 R10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한 아실잔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는 다음 스킴1에 나타낸 반응식에따라 (공정A)∼(공정J)를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공정A) 필라노오스의 C1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2-프로페닐화한다. (공정B) 필라노오스의 C6탄소의 수산기를 보호한다. (공정C) 필라노오스의 C2, C3 및 C4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한다. (공정D) 먼저 보호한 C6탄소의 보호기를 탈보호한다. (공정E) C6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카르보닐티오기로 변환할 수 있는 기(예를 들면, 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로 치환한다. (공정F) C6탄소를 카르보닐티오화한다. (공정G) C1탄소에 결합하는 2-프로페닐기를 디올화한다. (공정H) 얻어진 디올의 양측 또는 첫번째 위치의 수산기만을 원하는 불포화고급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한다. (공정I) C6탄소의 카르보닐티오기를 술폰산염화한다. (공정J) 얻어진 술폰산염의 C2, C3 및 C4탄소의 보호기를 탈보호하므로써 염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은, 염산 등의 산에 의해 적정하므로써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로 만들 수 있다.
상기 공정A∼J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A의 2-프로페닐화는, 필라노오스와 아릴알콜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등의 강산의 존재하에 통상 실온에서 100℃, 바람직하게는 80℃∼90℃의 온도로, 통상 한나절에서 2일간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B에 있어서, C6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하고, C6탄소에 -OR6를 결합시킨다(여기서, R6는 알킬기 또는 치환 시릴기를 나타낸다.).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로는 R6로 나타내어지는 기가 알킬기 또는 치환 시릴기가 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R6로 나타내어지는 알킬기에는 바람직하게는 부피가 큰 치환 알킬기가 포함된다. 치환기에는 메틸기, 페닐기 등이 포함된다. 치환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t-부틸기, 트리틸기(trityl radical) 등을 들 수 있다.
R6로 나타내어지는 기가 치환 시릴기인 경우, 치환 시릴기의 치환기에는 저급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및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인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이 포함된다. R6로 나타내어지는 치환 시릴기는 바람직하게는 3치환 시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부틸디페닐시릴기 등이 포함된다.
공정B에 있어서 수산기의 보호는 R6가 알킬기인 화합물 3을 얻을 경우, 건조피리딘 등의 유기촉매에 용해한 화합물 2의 용액에, R6-X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식중, R6는 상기에서 규정한 알킬기, X는 염소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을 첨가하고, p-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화합물R6-X로서는 트리틸클로라이드가 제조코스트, 반응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R6가 치환 시릴기인 화합물 3을 얻을 경우, 화합물 R6-X로서 t-부틸디페닐시릴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하여, 이미다졸 등의 촉매 존재하에 실온에서 통상 한나절에서 2일간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C에 있어서는, C2, C3 및 C4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하여 각각 -OR1, -OR2 및 -OR3(여기서, R1∼R3는 서로 독립해서 알킬기 또는 치환 시릴기를 나타낸다.)로 한다. 이들 수산기의 보호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화합물 3의 C2, C3 및 C4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수소화나트륨 등에 의해 활성화하고,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을 실온에서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는 벤질브로마이드, p-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t-부틸디메틸시릴클로라이드, 트리에틸시릴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의 반응은, 각각의 보호기에 적절한 반응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D에 있어서의 C6탄소에 결합하는 보호기의 탈보호는,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화합물 4의 용액을 p-톨루엔술폰산 등의 촉매 존재하에 실온에서 통상 12시간에서 1일간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E에 있어서는, 화합물 5의 C6탄소의 수산기에, R4, 즉 알킬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결합시키므로써, 해당 수산기를 -OR4로 전화(轉化)하여 화합물 6을 얻는다.
이 -OR4기로의 반응은, 유기용매에 용해한 화합물 5의 용액에 알킬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알킬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의 알킬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비치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급알킬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식 : R4'-X(식중, R4'는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예를 들면,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에탄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아릴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의 아릴기로서는, 비치환기 또는 치환 아릴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인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가 포함된다. 치환된 아릴기의 경우, 그 치환기로서는 p-메틸기, p-메톡시기 등이 포함된다. 아릴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식 : R4"-X (식중, R4"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를 들면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p-메톡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알킬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갖는 화합물 중, 토실기를 가지는 것이 반응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정E의 반응에 있어서, 유기용매로서는, 피리딘,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필요에 따라서 DMAP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통상 2시간에서 1일간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서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F에 있어서 화합물 6의 술포닐옥시기(-OR4)를 카르보닐티오기{-SC(=O)R5(여기서, R5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치환한다.
이 반응에서는 유기용매 중의 화합물 6의 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를 카르보닐티오기로 치환할 수 있는 화합물(이하,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이라고도 함.)을 반응시키므로써 화합물 7이 얻어진다.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에는, 티오카르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류금속염이 포함된다. 티오카르본산에는 티오포름산 그리고 저급티오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탄산수1∼5의 지방족 탄화수소가 치환된 지방족 티오카르본산(예를 들면, 티오초산, 티오프로피온산) 및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의 방향족탄화수소가 치환된 방향족 티오카르본산(예를 들면, 티오안식향산)등이 포함된다.
이들 티오카르본산과 염을 형성하는 알칼리금속에는 칼륨, 나트륨 등이 포함되고, 알칼리토류금속에는 마그네슘, 칼슘 등이 포함된다.
상기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 중, 티오초산의 염은, 반응의 안정성면 및 나중 공정에 있어서 유황원자를 산화하기 쉬운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응에 사용하는 유기용매에는, 알콜 바람직하게는 저급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에 있어서, 통상 1시간∼1일간 교반하므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G의 디올화는 t-부탄올 및 물 등의 용매혼합액에 용해한 화합물 7의 용액에, 사산화오스뮴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고, 트리메틸아민N-옥시드 등의 재산화제를 공존시켜, 실온에서 통상 1시간∼1일간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달라진다.
공정H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원하는 지방산이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결합한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이 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등의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한 화합물 8의 용액에 최종 생성물에 대응하는 불포화지방산을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에틸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I)-DMAP계 등의 적당한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공정H의 반응에 있어서, 첨가해야 될 지방산으로서는, 상기한 일반식 (I)의 R101로 나타내어지는 아실잔기를 갖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공정H의 반응에 의해, 화합물 9에 있어서, R101 및 R102가 첨가한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인 본 발명의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아실에스테르와, R101에만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가 결합한 모노아실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공정H의 반응에 있어서는, 원하는 바에 따라, 첨가해야 될 불포화고급지방산을 2종류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R101 및 R102가 동일한 아실잔기 또는 다른 아실잔기인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디아실에스테르와, R101가 서로 다른 아실잔기인 모노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들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크로마토크래피에 의해 각각 에스테르로 단리하여 다음 공정I의 반응에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공정H에서 얻어진 모노에스테르에 대해서 R101의 아실잔기와는 다른 아실잔기를 갖는 지방산을 반응시키므로써, R102와 R101이 다른 아실잔기인 디에스테르를 얻을 수도 있다. 이 또 다른 에스테르화의 반응조건은 지방산이 다른 것 이외에는 공정H의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정I의 술폰산염화는 초산 및 초산칼륨을 사용하여 완충한 유기용매 중의 화합물 9의 용액에, OXONE(2KHSO5, KHSO4, K2SO4), 몰리부덴계 산화제(예를 들면, 7몰리부덴산6암모늄)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므로써 행할 수 있다.
공정J의 C2∼C4탄소에 결합하는 보호기의 탈보호는, 사용한 보호기에 맞는 탈보호 방법으로, 또한 불포화지방산의 2중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릴계의 보호기의 경우는, 산촉매(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초산)로 탈보호할 수 있다.
또, 출발물질인 필라노오스는 용액중에서 α-아노머 및 β-아노머의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각 공정의 생성물은 α 및 β-아노머의 혼합물이 된다. 이들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또, 당의 종류에 따라서는, 공정A 후에 벤질리덴화하므로써 결정화시켜서 분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성분인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에는 필라노오스가 퀴노보오스, 람노오스, 푸코오스인 것이나, 필라노오스와 글리세롤의 결합이 α결합 또는 β결합인 이성체, 글리세롤의 C2탄소(부제탄소)에 있어서의 이성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은 그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이들 이성체를 단독으로 함유할 수도, 2종류 이상의 이성체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으로서의 용도에는 DNA 합성효소 저해제 및 제암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예를 들면,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은 1가의 양이온염이 포함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의 화합물을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은, 예를 들면 경구투여, 비경구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은, 이들 투여경로에 따라서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 조합하므로써 약학적 제제(製劑)로 할 수 있다.
경구투여에 적절한 제형으로는,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상태의 것이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용액제, 현탁제, 시롭제, 엘릭서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용액제, 현탁제 등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바인더, 정제붕괴제, 윤활제 등과 혼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희석제, 완충제, 침윤제, 보존제, 후레이버제 등과 혼합하므로써 행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바인더에는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유도체, 콘스타치, 젤라틴 등이, 정제붕괴제에는 콘스타치, 감자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윤활제에는 타르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이 포함되고, 또한 락토오스, 만니톨 등과 같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은 액체, 미세분말 형태의 것을, 기체 또는 액체 분무제와 함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침윤성 부여제와 같은 이미 알려진 조제와 함께, 에어로졸 용기, 네브라이저와 같은 비가압용기에 충전하고, 에어로졸제 또는 흡입제의 형태로 투여할 수도 있다. 분무제로서는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프로판, 질소 등의 가압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비경구투여할 경우, 예를 들면, 직장투여 및 주사 등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직장투여에는, 예를 들면, 좌약으로서 투여할 수가 있다. 좌약은, 그 자체는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체온으로 융해하나 실온에서는 고체화하고 있는 카카오버터, 카본왁스,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부형제와 혼합하여 성형하므로써 제제화할 수 있다.
주사에 의한 투여로서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등에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주사용 제제는, 그 자체는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식물성유, 합성지방산글리세리드, 고급지방산의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매 중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가용화제, 침투압조절제, 유화제, 안정제 및 보존료와 같은 종래 사용되어지던 첨가제와 함께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용액, 현탁액, 시롭, 엘릭서제 등의 형태로 하기 위해서는, 주사용 멸균수나 규정 생리식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활성을 갖는 화합물과 병용하여 약학적 제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은, 투여형태, 투여경로, 대상으로 하는 질병의 정도나 단계 등에 따라 적정 투여량을 설정, 조절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경구투여하는 경우에는 의약활성물질로서, 1∼10mg/kg 체중/일, 주사제로서 투여할 경우에는, 의약활성물질로서 1∼5mg/kg 체중/일, 직장투여하는 경우에는, 의약활성물질로서 1∼5mg/kg 체중/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을 제암제로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이 효과를 볼 수 있는 암에는 악성 종양으로서의 성질을 갖는 것이 포함되는데, 예를 들면,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샘암, 상피암, 육종, 신경교종, 흑색종, 임파종 등과 같은 고형암 및 백혈병 등과 같은 액성암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의 제조 공정을 술포퀴노보실아실글리세롤α유도체를 예로 들어 다음 스킴2에 나타낸다.
상기 스킴 2는, 상기한 스킴 1의 공정 B∼공정 E를 제외하면 스킴 1과 동일한 것이다. 즉, 스킴 2에는 스킴 1의 공정 B 대신에 화합물(Ⅱ)와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키므로써 벤질리덴 유도체를 얻는다(공정 m). 이 반응에 의해 α-아노머를 결정화시켜 분리할 수 있다.
스킴 2의 반응에서는, 공정 p에서 C6탄소에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토실기를 결합시킨 후, C2, 3, 4탄소를 t-부틸디메틸시릴기로 보호하는(공정q) 경로를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토실기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스킴 1의 반응에 있어서의 C6탄소의 알킬기 또는 치환시릴기에 의한 보호(공정 B), 탈보호(공정 D)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공정 h에 의해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얻어지고, 이것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고, 각각을 공정 i에 공급할 수 있다.
<예1>
경로 a ; 1-0-(2-프로페닐)-D-글루코오스(Ⅱ)
D-클루코오스(Ⅰ) 100g을 아릴알콜 250mL에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하고, 그 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0.8mL를 서서히 첨가한다. 그런 다음, 유욕하에서 80℃로 교반하면서 3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충분히 진행된 단계에서 트리메틸아민 1mL에서 중화한 후, 감압농축했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60∼70%의 수율을 확인했다.
경로 m ; 1-0-(2-프로페닐)-4, 6-0-벤질리덴-α-D-글루코오스(Ⅲ)
화합물(Ⅱ) 37.5g을 벤즈알데히드 210mL에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하고, 그 용액에 염화아연 98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액을 헥산 500mL에 첨가하고, 또한 희석 탄산수소화나트륨용액 100mL를 첨가하여, 0℃, 30분간 방치하여 결정화시켰다. 결정을 흡인여과한 후, 에탄올 50mL에 용해하고, 0℃, 30분간 방치하여 재결정화시켰다.(수량(收量) 21g 68.1mmol, 수율(收率) 40.0%)
1H NMR(300MHz, CDCl3+TMS) ; 7.51∼7.49(2H, m, Ar), 7.38∼7.33(3H, m, Ar), 5.98∼5.85(1H, m, -CH=CH2), 5.51(1H, s, Ar-CH), 5.31(1H, dd, J=1.5 & 15.9, -CH=CH 2), 5.23(1H, dd, J=1.2 & 10.4, -CH=CH 2), 4.90(1H, d, J=3.9, H-1), 4.28∼4.19(2H, m, -CH 2-CH=CH2), 4.06∼4.00(1H, m, H-5), 3.93(1H, t, J=9.3, H-3), 3.87∼3.78(1H, m, H-6a), 3.70(1H, t, J=10.2, H-2), 3.60(1H, dd, J=3.8 & 9.2, H-6b), 3.47(1H, t, J=9.3, H-4)
경로 n ; 1-0-(2-프로페닐)-α-D-글루코오스(Ⅳ)
화합물(Ⅲ) 10.7g(34.7mmol)을 초산 : 물 = 8 : 5의 용액 260mL에 용해하고, 100℃, 1시간 반응 후,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6 : 1)로 정제했다.(수량 6.3g 28.6mmol, 수율 82.4%)
1H NMR(300MHz, CD3OD+TMS) ; 5.92∼5.79(1H, m, -CH=CH2), 5.26∼5.18(1H, m, -CH=CH 2), 5.07∼5.03(1H, m, -CH=CH 2), 4.23∼3.23(7H, m)
경로 p ; 1-0-(2-프로페닐)-6-0-(4-트릴술포닐)-α-D-글루코오스(Ⅴ)
화합물(Ⅳ) 6.3g(28.6mmol)을 건조피리딘 200mL에 용해하고, p-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195mg,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7.0g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6시간 반응했다. 그런 다음, 냉증류수 2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200ml×3회)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1.0M 및 0.1M 염산으로 pH4까지 중화하고, 포화식염수로 세정(200mL×2회)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20 : 1)로 정제했다(수량 8.6mg 23.0mmol, 수율 83.8%)
1H NMR(300MHz, CDCl3+TMS) ; 7.77(2H, d, J=8.3, TsCH3측의 Ar), 7.30(2H, d, J=8.1, TsSO2측의 Ar), 5.90∼5.77(1H, m, -CH=CH2), 5.24(1H, dd, J=1.4 & 17.2, -CH=CH 2), 5.11(1H, dd, J=1.2 & 12.4, -CH=CH 2), 4.79(1H, d, J=3.3, H-1), 4.38∼3.38(8H, m), 2.40(3H, s, TSCH 3)
경로 q ; 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1-0-(2-프로페닐)-6-0-(4-트릴술포닐)-α-D-글루코오스(Ⅵ)
화합물(Ⅴ) 11.2g(29.9mmol)을 건조디클로로메탄 25mL에 용해하고, t-부틸디메틸시릴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23.8g, 2,6-루티딘 14.4g을 첨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16시간을 반응했다. 그런 다음, 디클로로메탄 15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포화식염수로 세정(100mL×2회)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초산에틸 = 30 : 1)로 정제했다.(수량 19.6g 27.4mmol, 수율 91.6%)
1H NMR(300MHz, CDCl3+TMS) ; 7.83(2H, d, J=8.3, TsCH3측의 Ar), 7.29(2H,d, J=8.0, TsSO2측의 Ar), 5.92∼5.79(1H, m, -CH=CH2), 5.21(1H, dd, J=1.5 & 17.2, -CH=CH 2), 5.11(1H, d, J=10.4, -CH=CH 2), 4.67(1H, d, J=2.8, H-1), 4.30∼3.44(8H, m), 2.41(3H, s, TSCH 3), 0.91∼0.78(27H, m, t-Bu의 CH 3), 0.13∼-0.02(18H, m, Si-CH 3)
경로 f ; 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1-0-(2-프로페닐)-6-데옥시-6-아세틸티오-α-D-글루코오스(Ⅶ)
화합물(Ⅵ) 7.9g (11.0mmol)을 건조에탄올 20ml에 용해하고, 티오초산칼륨 1.8g을 첨가하고, 환류조건하에서 교반하면서 3시간 반응했다. 그런 다음, 냉증류수 10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200mL×3회)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식염수로 세정(200mL×2회)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초산에틸 = 50 : 1)로 정제했다(수량 5.6g 9.02mmol, 수율 82.0%).
1H NMR(300MHz, CDCl3+TMS) ; 5.97∼5.81(1H, m, -CH=CH2), 5.26(1H, dd, J=1.6 & 17.2, -CH=CH 2), 5.13(1H, dd, J=1.6 & 10.4, -CH=CH 2), 4.73(1H, d, J=3.2, H-1), 4.32∼3.42(7H, m), 2.83(1H, dd, J=9.8 & 13.3, H-6b), 2.30(3H, s, SCOCH 3), 0.91∼0.82(27H, m, t-Bu의 CH 3), 0.12∼-0.03(18H, m, Si-C H 3)
경로 g ; 3-0-[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6-데옥시-6-아세틸티오-α-D-글루코필라노실]-글리세롤(Ⅷ)
화합물(Ⅶ) 5.6g (9.02mmol)을 t-부탄올 : 물 = 4 : 1용액에 용해하고, 트리메틸아민 N-옥시드이수화물 1.5g, 사산화오스뮴-t-부탄올용액(0.04M) 15mL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22시간 반응했다. 그런 다음, 활성탄 15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5시간 방치하고, 사산화오스뮴을 흡착시킨 후 흡인 여과했다. 다음으로 냉증류수 20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200mL×3회)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식염수로 세정(300mL×2회)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초산에틸 = 3 : 1→2 : 1)로 정제했다(수량 5.2g 7.94mmol, 수율 88.0%).
1H NMR(300MHz, CDCl3+TMS) ; 4.73(1H, m, H-1(R 및 S)), 4.12∼3.40(10H, m), 2.86(1H, dd, J=9.2 & 13.6, H-6b), 2.32(3H, s, SCOCH 3), 0.88∼0.79(27H, m, t-Bu의 CH 3), 0.08∼-0.03(18H, m, Si-CH 3)
경로 h ; 3-0-[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6-데옥시-6-아세틸티오-α-D-글루코필라노실]-1-0-올레오일-글리세롤(Ⅸ) 및 3-0-[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 -6-데옥시-6-아세틸티오-α-D-글루코필라노실]-1,2-디-0-올레오일-글리세롤(Ⅸ’)
화합물(Ⅷ) 1.37g (2.09mmol)을 건조디클로로메탄 20mL에 용해하고, EDCI 600mg, DMAP 26mg, 올레인산 660m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6시간 반응했다. 그런 다음, 디클로로메탄 20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포화식염수로 세정(100mL×2회)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 초산에틸 = 20 : 1→10 : 1→7 : 1)로 정제했다(수량 디에스테르 772mg(652μmol) ; 모노에스테르 895mg(974μmol), 수율(양쪽을 합하여) 78.0%).
1H NMR (300MHz, CDCl3+TMS) ; 5.32∼5.28(2H, m, -CH=CH-), 4.68(1H, m, H-1(R 및 S)), 3.98∼3.36(10H, m), 2.81(1H, dd, J=9.5 & 13.4, H-6b), 2.32∼2.27(5H, m, OCOCH 2 & SCOCH 3), 1.98∼1.93(4H, m, CH 2-CH=CH-CH 2), 1.61∼1.56(2H, m, OCOCH2CH 2), 1.28∼1.23(20H, br, -CH 2-), 0.88∼0.79(30H, m, t-Bu의 CH 3 & Acyl의 CH 3), 0.09∼-0.04(18H, m, Si-CH 3)(모노에스테르의 NMR)
경로 i ; 3-0-[2,3,4-트리-0-(t-부틸디메틸시릴)-6-데옥시-6-술포-α-D-글루코필라노실]-1-0-올레오일-글리세롤·나트륨염(Ⅹ)
화합물(Ⅸ ; 모노에스테르) 21.4mg (23.2μmol)을 빙초산 3.5mL에 용해하고, 초산칼륨 500mg, OXONE 35.4m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6시간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냉증류수 15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20mL×5회)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탄산수소나트륨용액으로 중화(70mL×5회)한 후, 포화식염수로 세정(60mL×2회)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50 : 1→20 : 1)로 정제한 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ODS칼럼, 메탄올 : 물 = 80 : 20)으로 다시 정제했다. (수량 3.3mg 3.49μmol, 수율 15.0%). 1H NMR (300MHz, CDCl3+TMS) ; 5.16∼5.14(2H, br, -CH=CH-), 4.60(1H, br, H-1(R 및 S)), 4.31∼2.88(11H, m), 2.17∼2.13(2H, br, OCOCH 2), 1.82∼1.80(4H, br, CH 2 -CH=CH-CH 2), 1.42(2H, br, OCOCH2CH 2), 1.11(20H, br, -CH 2-), 0.72(30H, m, t-Bu의 CH 3 & Acyl의 CH 3),-0.08(18H, br, Si-CH 3)
경로 j ; 3-0-(6-데옥시-6-술포-α-D-글루코필라노실)-1-0-올레오일-글리세롤·나트륨염(XI)
화합물(Ⅹ) 358.4mg (378μmol)을 초산 : 테트라히드로퓨란 : 트리플루오로초산 : 물 = 3 : 1 : 0.4 : 1의 용액 7mL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6시간 반응했다. 초산에틸로 추출(10mL×3회)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식염수로 세정(20mL×2회)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10 : 1→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물 = 65 : 25 : 4)로 정제했다.(수량 138.1mg 229μmol, 수율 62.7%)
1H NMR (300MHz, CD3OD+TMS) ; 5.24∼5.17(2H, m, -CH=CH-), 4.69(1H, m, H-1(R 및 S)), 4.18∼2.75(11H, m), 2.29∼2.21(2H, m, OCOCH 2), 1.94∼1.90(4H, m, CH 2-CH=CH-CH 2), 1.49(2H, br, OCOCH2CH 2), 1.20(20H, br, -CH 2-), 0.78(3H, t, J=6.3, CH 3)
<예2>
상기 예1의 공정h에 있어서 사용한 올레인산 대신에, 미리스톨레인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1과 동일한 공정 h∼j의 반응을 행하고, 3-0-(6-데옥시-6-술포-α-D-글루코필라노실)-1-0-미리스톨레오일-글리세롤·나트륨염을 합성했다(수량 118.7mg 217μmol, 수율 59.8%)
<예3>
상기예2와 동일하고, 올레인산 대신에, 팔미톨레인산을 사용하므로써, 3-0-(6-데옥시-6-술포-α-D-글루코필라노실)-1-0-팔미톨레오일-글리세롤·나트륨염을 합성했다.(수량 142mg 247μmol, 수율 67.7%)
<예4>
상기 예1의 화합물(Ⅸ)로부터 화합물(Ⅹ)를 제조하는 경로(i)에 있어서, 화합물(Ⅸ : 모노에스테르) 대신에 화합물(Ⅸ’: 디에스테르)을, 또, OXONE 대신에 몰리부덴계 산화제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화합물(Ⅸ’: 디에스테르) 13.1mg(11.0μmol)을 디클로로메탄 0.5mL 및 메탄올 0.5mL에 용해하고, 30% 과산화수소수에 0.06M 7몰리부덴산6암모늄4수화물 (NH4)6Mo7O24·4H2O를 용해한 용액을 50μL 첨가하여 50시간 실온에서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액에 초산에틸 10mL를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용액(5mL×2회) 및 포화식염수로 세정(5mL×2회)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고,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50 : 1→10 : 1)로 정제하고, 무색 유상물질을 얻었다.(수량 7.8mg 6.4μmol, 수율 58.2%)
본 발명의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대한 생리학적 시험을 행했다.
<시험1>
DNA 합성효소 α형에 대한 저해효과검정을 다음 방법에 의해 행했다.
소의 흉선에서 항체칼럼에 의해 단일하게 정제된 DNA 합성효소 α형 0.05U 및 시험대상 화합물(DMSO에 용해한, 하기 표1에 나타낸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이하, "SQAG"로 생략하여 표기함) SQAG1, SQAG2, SQAG3)을 각각 혼합하고, 또한 효소반응에 필요한 무기염류 완충액, [3H] 라벨된 dTTP, 주형 DNA쇄를 포함하는 반응용 콤파운드를 첨가하고, 37℃에서 60분간 인큐베이트했다.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 후 생성물을 전용필터에 정착시키고, 액체신틸레이션 계수기로 측정했다. 효소합성된 dTTP량을 [3H]방사선량(cpm)으로써 결과를 산출했다. 또, 사용한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는 모두 글리세롤의 2번째 위치의 탄소에 있어서의 절대배치가 S인 것과 R인 것의 혼합물이다.
얻어진 결과를 IC50이라 하여 다음 표1에 함께 나타낸다.
표1: DNA합성효소α형에 대한 저해효과
DNA합성효소저해활성
화합물 R101 IC50 (μg/mL)
SQAG1(14:1) CH3(CH2)3-(CH=CH-CH2)1-(CH2)6-CO- 9.0
SQAG2(16:1) CH3(CH2)5-(CH=CH-CH2)1-(CH2)6-CO- 5.5
SQAG3(18:1) CH3(CH2)7-(CH=CH-CH2)1-(CH2)6-CO- 2.0
상기 표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험한 화합물은 모두 DNA합성효소α형에 대한 유의할 만한 저해활성을 갖고 있다.
다음 2개의 시험에 있어서 사용한 대장암 및 위암세포는,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암세포의 일예이다. 즉, 이들 시험은, 본 발명의 의약활성물질이 효과를 볼 수 있는 암세포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2>
대장암 배양세포에 대한 제암테스트를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대장암세포 DLD-1을, RPMI 1640배지 (10% 송아지혈청 함유)로 유지, 계대했다. 시험대상 화합물(상기 표1에 나타낸 화합물 SQAG2 및 SQAG3)을 각각 배지에 현탁, 희석하고, 3×103개/웰의 세포와 함께, 96홀 샤알레로 배양했다. 48시간 배양 후, MTT시험(Mosmann, T :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 65, 55-63(1983))을 행하고, 생존율을 비교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1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1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으로 연결되는 흰색 사각은, SQAG2를 나타낸다. 실선으로 연결되는 흰색 원은 SQAG3를 나타낸다.
도1의 그래프로부터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는, 사용한 대장암 세포에 대한 제암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3>
위암배양세포에 대한 제암테스트를, 대장암세포 DLD-1 대신에 위암세포NUGC-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2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1의 그래프에 함께 나타낸다.
도1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으로 연결되는 흑색 사각은 SQAG2를 나타낸다. 실선으로 연결되는 흑색 원은 SQAG3을 나타낸다.
도1의 그래프로부터, 본 발명의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는, 사용한 위암세포에 대한 제암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4>
사람의 암세포 이식 마우스에 대한 테스트를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누드 마우스 BALB/cAc1-nu에, 5%의 소의 태아혈청을 포함하는 MEM배지로 배양한 사람의 폐암세포 A-549를 마우스 한 마리당 5×105개씩 이식했다. 종양형성부위의 크기를 정기적으로 계측하여, 30∼50mm3에 이른 시점(이식 후 42일째)에서 투여시험에 사용했다.
시험구, 대조구 모두에 5마리의 마우스를 랜덤하게 배분하고, 시험구에는, 100μg/100μL의 농도가 되도록 PBS에 현탁한 시험대상 화합물(상기 표1에 나타낸 화합물 SQAG1, SQAG2 및 SQAG3)을, 대조구에는 PBS를 각각 10μL씩 3일간격으로 8회투여하고, 매회 종양형성부위의 크기를 측정했다. 종양의 체적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했다.
종양의 체적 = 종양부위의 길이×(종양부위의 폭)2×0.5
얻어진 결과를 시험대상 화합물마다 도2(SQAG1), 도3(SQAG2), 도4(SQAG3)에 나타낸다.
각 도에 있어서 횡축은 암세포 이식 후의 사육일수, 종축은 종양의 체적을 나타낸다.
모든 시험대상 화합물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종양 형성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투여량에서의 시험구의 마우스의 상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특히 변화는 인정되지 않고, 대조구의 마우스와 동일한 상태로 생존하고 있다.
<시험5>
체중20∼22g, 7주령의 암컷 누드 마우스 BALB/cAc1-nu에 배양폐암세포A-549를 5×105세포씩 피하주사하고, 이식 37일 후부터 3일마다 종양의 크기를 측정했다. 이식 43일 후, 암세포를 이식한 모든 마우스에 있어서 종양의 크기가 25∼35mm3에 달한 지점에서, 각각의 마우스를 4마리씩 7개의 그룹으로 랜덤하게 분리하고, 그 중 하나의 그룹을 대조구로서 PBS를 100μL 피하주사했다. 나머지 6그룹에는 SQAG1(14 : 1), SQAG2(16 : 1), SQAG3(18 : 1)을 각각 체중 1kg당 4mg 및 20mg의 투여량이 되도록 PBS 100μL에 용해시켜 피하주사했다. 주사는 암세포 이식 43일 후에서 64일 후까지 3일마다 합계 8회 행했다. 종양의 크기는 이식 70일 후까지 3일마다 측정했다. 종양의 체적은 시험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산출했다.
얻어진 결과를, 피시험 화합물마다 도5(SQAG1), 도6(SQAG2), 도7(SQAG3)에 나타낸다.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종양의 형성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시험 완료 후, 각각의 투여구의 마우스에 관하여, 폐, 심장, 위, 간장, 췌장, 신장, 소장, 뇌 등 주요 장기의 병리조직학적인 평가를 행한 바, 어느 장기에도 이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이 제공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다음 일반식 (1) :
    (식중, R101은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고, R102는 수소원자 또는 불포화고급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일반식 (1)의 R101이 식 : R-C(=O)-(식중, R은 탄소수 13∼25의, 직쇄상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해당 탄화수소기에는 불포화결합이 1∼6개 포함된다.)이고, R102가 수소원자 또는 식 : R’-C(=O)-(식중, R’는 탄소수 13∼25의, 직쇄상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해당 탄화수소기에는 불포화결합이 1∼6개 포함된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일반식 (1)의 R102가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필라노오스가 퀴노보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퀴노보오스가, α-퀴노보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KR10-2001-7010750A 1999-02-26 2000-02-21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암제 KR100528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51397 1999-02-26
JP5139799 199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211A KR20010114211A (ko) 2001-12-31
KR100528874B1 true KR100528874B1 (ko) 2005-11-15

Family

ID=1288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750A KR100528874B1 (ko) 1999-02-26 2000-02-21 술포필라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암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6770629B2 (ko)
EP (1) EP1172107B1 (ko)
JP (1) JP3771445B2 (ko)
KR (1) KR100528874B1 (ko)
CN (1) CN1151795C (ko)
AT (1) ATE348623T1 (ko)
AU (1) AU764246B2 (ko)
BR (1) BR0008516A (ko)
CA (1) CA2365359C (ko)
DE (1) DE60032470T2 (ko)
EA (1) EA003094B1 (ko)
NO (1) NO329209B1 (ko)
WO (1) WO2000051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461B2 (ja) 1998-09-04 2006-11-29 東洋水産株式会社 ピラノシ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0008516A (pt) * 1999-02-26 2001-11-06 Toyo Suisan Kaisha Medicamento contendo um derivado sulfo piranosil acil glicerol
DE60003795T2 (de) 1999-02-26 2004-06-17 Toyo Suisan Kaisha, Ltd. Sulfofukosylacylglycerin-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medikamente
KR100625690B1 (ko) * 2001-07-09 2006-09-20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면역 억제제
FR2840318B1 (fr) * 2002-05-29 2004-12-03 Quoc Kiet Pham Nouveaux sulfolipides antiretroviraux extraits de spirulines, leur procede d'obtention, les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la transcriptase inverse des virus vih
NO20025738D0 (no) * 2002-11-29 2002-11-29 Amersham Health As Metode
JPWO2005020960A1 (ja) * 2003-08-29 2007-11-01 佐藤製薬株式会社 直腸投与用製剤
CN1972955B (zh) * 2004-06-24 2010-08-25 东洋水产株式会社 放射增敏剂
EP2130834A4 (en) 2007-07-20 2012-09-05 Toyo Suisan Kaisha NEW SULFONATED SUGAR DERIVATIVE AND ITS USE FOR A MEDICINAL AGENT
AU2010205223B2 (en) * 2009-01-16 2013-03-14 Toyo Suisan Kaisha, Ltd. Compound retained in tumor
WO2011101408A1 (en) 2010-02-18 2011-08-2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 for preventing cancer metastasis
US10842494B2 (en) 2011-10-17 2020-11-2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nnecting nerves
EP2768425B1 (en) 2011-10-17 2018-11-1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nnecting nerves
DE102015011780A1 (de) * 2015-09-16 2017-03-16 Hochschule Anhalt Neue Glutaminylcyclase-lnhibitoren
JP6903273B1 (ja) 2020-09-25 2021-07-14 株式会社エム・ティー・スリー 化合物又はその塩、及び放射性増感剤
CN113476610A (zh) * 2021-08-13 2021-10-08 云南中医药大学 甘油衍生物与抗真菌药物组成的抗真菌药物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21A1 (en) * 1989-08-15 1991-03-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U.S. Department Of Commerce Antiviral compositions containing sulfoquinovosyl glycerol derivatives and analogs thereof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0996A (en) * 1979-03-30 1980-10-11 Rikagaku Kenkyusho Novel maltos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JPS6040159A (ja) * 1983-08-15 1985-03-02 Nissan Motor Co Ltd 強化形防錆ワツクス
JP2872694B2 (ja) * 1989-07-19 1999-03-17 エーザイ株式会社 血管内血液凝固症候群の治療剤
JP2872695B2 (ja) * 1989-07-19 1999-03-17 エーザイ株式会社 腎炎の治療剤
JPH0366603A (ja) * 1989-08-04 1991-03-22 Mikio Nakanishi 界面活性剤を用いる赤潮プランクトンの駆除方法
JPH03246203A (ja) * 1990-02-20 1991-11-01 Mikio Nakanishi 赤潮プランクトンの駆除方法
US5695752A (en) * 1992-09-11 1997-12-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eating inflammation via the administration of specific sulfatase enzymes and/or sulfation inhibitor
WO1995013819A1 (en) * 1993-11-19 1995-05-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lfated ligands for l-selectin and methods of preventing sulfate addition
US5783693A (en) * 1993-11-19 1998-07-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synthesizing sulfated disaccharide inhibitors of selectins
JPH07149786A (ja) 1993-11-26 1995-06-13 Sagami Chem Res Center グリセロ糖脂質及び発癌プロモーター阻害剤
JPH07242691A (ja) 1994-01-17 1995-09-19 Sankyo Co Ltd 1位にカルボキシメチレン基を有する4−ホスホノグルコサミン類
JPH09268198A (ja) 1996-04-02 1997-10-14 Sanei Touka Kk DNAポリメラーゼα阻害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SE9601677D0 (sv) * 1996-05-02 1996-05-02 Scotia Lipidteknik Ab New use
JP4454051B2 (ja) * 1997-01-24 2010-04-21 東洋水産株式会社 新規な糖脂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3851461B2 (ja) * 1998-09-04 2006-11-29 東洋水産株式会社 ピラノシ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003795T2 (de) 1999-02-26 2004-06-17 Toyo Suisan Kaisha, Ltd. Sulfofukosylacylglycerin-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medikamente
US6518410B2 (en) * 1999-02-26 2003-02-11 Toyo Suisan Kaisha, Ltd. Sulfoquinovosylacylglycerol derivative, and use thereof as medicaments
JP3740017B2 (ja) 1999-02-26 2006-01-25 東洋水産株式会社 新規なスルホラムノシルアシルグリセロ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としての用途
BR0008516A (pt) * 1999-02-26 2001-11-06 Toyo Suisan Kaisha Medicamento contendo um derivado sulfo piranosil acil glicerol
DE60016908T2 (de) 1999-03-11 2005-12-08 Toyo Suisan Kaisha, Ltd. Verwendung von Sulfoquinovosylglycerol-Derivativen als Immunosuppressiv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21A1 (en) * 1989-08-15 1991-03-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U.S. Department Of Commerce Antiviral compositions containing sulfoquinovosyl glycerol derivatives and analogs thereof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2107A1 (en) 2002-01-16
EA003094B1 (ru) 2002-12-26
EP1172107B1 (en) 2006-12-20
NO329209B1 (no) 2010-09-13
DE60032470T2 (de) 2007-10-11
ATE348623T1 (de) 2007-01-15
BR0008516A (pt) 2001-11-06
US20040067893A1 (en) 2004-04-08
DE60032470D1 (de) 2007-02-01
NO20014119L (no) 2001-10-24
CA2365359C (en) 2007-09-18
JP3771445B2 (ja) 2006-04-26
KR20010114211A (ko) 2001-12-31
US7148200B2 (en) 2006-12-12
EA200100916A1 (ru) 2002-02-28
US7378398B2 (en) 2008-05-27
WO2000051622A1 (fr) 2000-09-08
NO20014119D0 (no) 2001-08-24
AU764246B2 (en) 2003-08-14
CN1151795C (zh) 2004-06-02
US6770629B2 (en) 2004-08-03
US20060252703A1 (en) 2006-11-09
AU2575500A (en) 2000-09-21
CN1341025A (zh) 2002-03-20
CA2365359A1 (en) 2000-09-08
EP1172107A4 (en) 2003-07-23
US20020028776A1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8398B2 (en)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6670361B2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KR100435417B1 (ko) 신규 술포람노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의약으로서의용도
KR100473935B1 (ko) 신규 면역 억제제
KR100435416B1 (ko) 신규 술포푸코실아실글리세롤유도체 및 그 의약으로서의용도
JP4224429B2 (ja) スルホキノボシルアシルグリセロール
JP4866539B2 (ja) 制癌剤
KR100625690B1 (ko) 신규 면역 억제제
JP2009067770A (ja) 制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