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668B1 -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668B1
KR100528668B1 KR1020050026062A KR20050026062A KR100528668B1 KR 100528668 B1 KR100528668 B1 KR 100528668B1 KR 1020050026062 A KR1020050026062 A KR 1020050026062A KR 20050026062 A KR20050026062 A KR 20050026062A KR 100528668 B1 KR100528668 B1 KR 10052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gas discharge
cab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규
Original Assignee
박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규 filed Critical 박태규
Priority to KR102005002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빔(Low Beam)/주행빔(High Beam) 전환동작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의 유동이 방지되어 케이블 간섭에 따르는 안전성이 확보되며, 하우징 지지캡에 대한 열손 및 전조등의 반사면 오염이 방지되고, 쉴드의 고정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며 고정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마치 필라멘트가 두 개소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처럼 교차빔 작동시에는 램프의 빛이 반사경에서 하향 굴절되어 비로소 진정한 교차빔의 구실을 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방전 발광유니트가 마운트 전방에 설치되고 마운트 후미에는 마그네트가 일체로 결합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발광유니트가 이동가능토록 수용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유니트의 외부 인출을 위한 통공이 전면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지지캡과 상기 본체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지지캡에 고정되며 발광빔의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 및 상기 발광부 마그네트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코일과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유니트 및 코일에 연결되며 전후진 유동되는 케이블이 수용되고 케이블의 인출공이 상기 발광유니트의 전후진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인 주연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챔버가 구비된 후방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캡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출공에는 케이블이 고정되기 위한 수축튜브가 복수 부여되고, 상기 지지캡은 발광유니트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이 반사경의 중심선인 광축선상에서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반사경 소켓에 고정되는 지지캡의 고정편 중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하측에 위치되는 것에 비하여 전조등 소켓 장착면인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A GAS DISCHARGE LAMP MODULE FOR HEADLIGHT OF CARS}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스방전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차빔(Low Beam)/주행빔(High Beam) 전환동작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의 유동이 방지되어 케이블 간섭에 따르는 안전성이 확보되며, 하우징 지지캡에 대한 열손 및 전조등의 반사면 오염이 방지되고, 쉴드의 고정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며 고정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마치 필라멘트가 두 개소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처럼 교차빔 작동시에는 램프의 빛이 반사경에서 하향 굴절되어 비로소 진정한 교차빔의 구실을 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은 가능한 멀리까지 시야를 확장토록 하는 주행빔(상향빔 또는 High Beam)과 대향하는 차량 운전자에 눈부심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느정도 전방의 시야를 확보 수 있도록 하는 교차빔(하향빔 또는 Low Beam)으로의 전환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고휘도 조사가 가능한 가스방전램프가 전조등의 광원으로서 더욱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비용문제로 인하여 고급승용차가 아닌 일반승용차에는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채로 출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고휘도의 가스방전램프를 일반승용차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승용차에도 보다 고도한 야간운전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397537호 "가스방전램프의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 등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선등록 기술(1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방전 발광유니트(111)가 마운트(113) 전방에 설치되고 마운트(113) 후미에는 마그네트(115)가 일체로 결합되는 발광부(110), 상기 발광부(110)의 발광유니트(111)가 이동가능토록 수용되는 원통형의 본체(121)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유니트(111)의 외부 인출을 위한 통공(123a)이 전면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고정편(123b)이 형성되는 지지캡(123)과 상기 본체(121)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125)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의 지지캡(123)에 고정되며 발광빔의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130) 및 상기 발광부 마그네트(115)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20) 내에 설치되는 코일(151)과 복귀스프링(15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의 작용상태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차빔(Low Beam) 상태에서 딤머스위치를 주행빔(High Beam)으로 인가시키면 코일(151)에 전류가 흘러 자장이 형성되고 이 자장에 의해 마운트(113)에 결합된 마그네트(115)가 코일(151)의 안내공으로 흡인되면서 발광부(110)가 이동됨에 따라 발광유니트(111)의 발광초점이 도 6b와 같이 후진되어 보다 멀리 고휘도의 빔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를 다시 교차빔 상태로 복귀시키면 코일에 공급된 전류가 차단되면서 자장이 소멸되고 복귀스프링(153)에 의하여 발광부(110)가 이동되어 발광초점이 도 6a와 같이 전진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은 하나의 발광유니트를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 마치 2개의 발광유니트를 가진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지지캡(123)을 이용하여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기존의 차량에 구조적 변형 없이 간단히 고휘도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구성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발광부(11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하우징 후방으로 노출되는 발광유니트의 고전압 케이블(C)도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유동되도록 되어 있어 케이블 후진 위치에 여유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고압 케이블이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의 전후진 동작이 불가능하고 또한 고압선이므로 위험성이 대단히 클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움직임이 노출상태에서 보여져 외관상으로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와 같이 발광부(110)가 전후진됨으로써 후진시에는 발광유니트(111)와 하우징(120)측에 결합되는 지지캡(123)과의 거리가 극히 가까워져 발광유니트의 발열이 수지재로 되는 지지캡(123)을 녹여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전조등의 반사면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쉴드(130)가 복수의 스크류(161)를 이용하여 지지캡(123)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공수가 낭비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넷째, 상기 구성은 주행빔과 교차빔의 전환이 단지 발광유니트의 전진 또는 후진으로 발광초점을 평행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할로겐램프에서와 같이 빛이 하향굴절되는 것과는 거리가 있어서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할로겐 램프 발광부(210)의 경우에는 주행빔과 교차빔의 필라멘트의 배치가 전/후/상/하로 각각 다르게 안배되어 있다(도 7a 참조).
즉, 교차빔 필라멘트(213)는 주행빔 필라멘트(211)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높낮이상으로 반사경의 중심선인 광축선(L)상에 배치되는 주행빔 필라멘트(211) 비하여 광축선(L) 상에서 0.8㎜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교차빔 점등시 빔이 반사경으로부터 하향굴절되어 직진굴절하는 주행빔에 비하여 대향 주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하향빔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은 교차빔의 광초점(P2)이 주행빔의 광초점(P1)과 동일 광축선(L) 상에서 전진될 뿐이어서 주행빔에 비하여 빛의 확산도를 넓힐 뿐 하향반사가 아닌 평행반사되어 실제에 있어서는 하향빔이 아니었던 것이다(도 7b 참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차빔(Low Beam)/주행빔(High Beam) 전환동작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의 유동이 방지되어 후방에 여유공간이 없어도 케이블 간섭이 배제되고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유니트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하우징 지지캡에 대한 열손 및 전조등의 반사면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쉴드의 고정에 스크류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며 고정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치 필라멘트가 두 개소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처럼 교차빔 작동시에는 램프의 빛이 반사경에서 하향 굴절되어 비로소 진정한 교차빔의 구실을 하도록 하는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은, 가스방전 발광유니트가 마운트 전방에 설치되고 마운트 후미에는 마그네트가 일체로 결합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발광유니트가 이동가능토록 수용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유니트의 외부 인출을 위한 통공이 전면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지지캡과 상기 본체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지지캡에 고정되며 발광빔의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 및 상기 발광부 마그네트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코일과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유니트 및 코일에 연결되며 전후진 유동되는 케이블이 수용되고 케이블의 인출공이 상기 발광유니트의 전후진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인 주연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챔버가 구비된 후방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후방캡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출공에는 케이블이 고정되기 위한 수축튜브가 복수 부여되고, 상기 지지캡은 발광유니트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이 반사경의 중심선인 광축선상에서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반사경 소켓에 고정되는 지지캡의 고정편 중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하측에 위치되는 것에 비하여 전조등 소켓 장착면인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종단면도,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4b,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지지캡 측면도이며, 도 5a는 도 4b가 장착된 전체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1)은, 가스방전 발광유니트(11)가 마운트(13) 전방에 설치되고 마운트(13) 후미에는 마그네트(15)가 일체로 결합되는 발광부(10), 상기 발광부(10)의 발광유니트(11)가 이동가능토록 수용되는 원통형의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외부 인출을 위한 통공(23a)이 전면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고정편(23b)이 형성되는 지지캡(23)과 상기 본체(21)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25)으로 구성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지지캡(23)에 고정되며 발광빔의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30) 및 상기 발광부 마그네트(15)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내에 설치되는 코일(51)과 복귀스프링(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발광유니트(11) 및 코일(51)에 연결되며 전후진 유동되는 케이블(C)이 수용되고 케이블의 인출공(25b)이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전후진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인 주연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챔버(25a)가 구비된 후방캡(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캡(25)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출공(25b)에는 케이블(C)이 고정되기 위한 수축튜브(25c)가 복수 부여되고, 상기 지지캡(23A)은 발광유니트(11)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P2)이 반사경의 중심선인 광축선(L)상에서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반사경 소켓(2)에 고정되는 지지캡의 고정편(23b) 중 상측에 위치되는 것(23ba)이 하측에 위치되는 것(23bb)에 비하여 전조등 소켓 장착면인 전면(F)이 전방으로 돌출 위치되는 것이다.여기서, 상기 수축튜브(25c)는 발광유니트(11)에 연결되는 고압케이블 입/출선을 위한 각 1개씩과 상기 코일(51)에 인입/인출용으로 1개를 더하여 3개가 부여되어도 무방하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케이블챔버(25a)에는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전후진이 자유롭도록 하는 충분한 길이의 케이블(C)이 굽혀져 수용되며, 하우징(20)의 전체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C)을 나비모양으로 굽혀 배치한다. 상기 후방캡(25)은 마구리(25d)가 분리형성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의 지지캡(23) 전면에는 상기 발광유니트(11)로부터 발생되는 빔 및 열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7)이 추가로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캡(23)의 전면에는 상기 반사판(27)으로서 알미늄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쉴드(30)는 발광유니트(11)의 일측에 호형으로 둘러쳐지는 본체부(31)의 후미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지지캡(23)에 꽂혀 고정되기 위한 고정편(33)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캡(23)에는 상기 쉴드의 길이방향 고정편(33)에 대응하는 고정홀(23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쉴드의 고정편(33)은 지지캡의 고정홀(23c)에 삽입후 탈거가 방지되도록 화살촉 타입의 요철(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30)는 본체부 전방에 캡(35)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지지캡(23A)은 발광유니트(11)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P2)이 광축선(L) 상에서 0.8㎜. 상부에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편(23ba)의 전면(F)이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편(23bb)에 비하여 소정치수(t) 전방으로 돌출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이동거리가 6㎜ 일 경우, 상기 돌출되는 소정치수(t)는 2.86㎜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먼저 상기 하우징(20)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25)에 케이블챔버(25a)를 형성하여 발광유니트(11)의 전후진에 필요한 길이의 케이블(C)을 예치해두고 케이블의 인출은 후방캡(25)의 주연부로 이루어지며, 주연부의 케이블인출공에 부여되는 수축튜브(25c)에 의하여 케이블이 고정됨으로 발광부(10)의 전후진에 따른 케이블 유동은 케이블챔버(25a) 내에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차빔 및 주행빔 전환을 위하여 발광유니트(11) 전환동작시 하우징(20)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에는 전혀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가스방전램프 모듈이 설치되는 후방으로 여유공간이 없어도 고압케이블의 외부 간섭이 배제되고 안전성이 확보된다(도 3a, 도 3b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 지지캡(23)의 전면에 반사판(27)이 부여됨으로써 발광유니트(1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반사 및 차단하여 지지캡에 대한 열손 및 전조등의 반사면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쉴드(3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편(33)은 선단부에 화살촉 타입의 요철(33a)이 형성되고 지지캡에 형성된 고정홀(23c)에 끼움 삽입되어 삽입된 후에는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쉴드(30) 고정을 위하여 스크류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며 고정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점으로서 반사경 소켓(2)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캡(23)의 상부 고정편(23ba)이 하부 고정편(23bb)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모듈이 전조등의 반사경 소켓(2) 및 광축선(L)에 대하여 소정 각도(θ)가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 기울기로 인하여 발광유니트(11)가 후진시 즉 주행빔시의 광초점(P1)은 광축선(L) 상에 위치되고, 전진하는 교차빔 동작시 에는 주행빔 작동시에 비하여 광초점(P2)이 광축선(L)으로부터 0.8㎜ 높게 배치되고 따라서 램프의 빛이 반사경에서 하향 굴절되어 대향하는 주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됨으로써 비로소 진정한 교차빔의 구실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은,
첫째, 하우징 후방캡에 케이블챔버를 형성하여 발광유니트 전후진시 발생되는 케이블 유동이 케이블챔버 내에서만 일어나도록 하여 하우징 외부에의 고압케이블의 유동 및 간섭이 배제되고 안전성이 확보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발광유니트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하우징 지지캡에 대한 열손 및 전조등의 반사면 오염을 방지하여 품질향상 및 수명을 극대화시킨다.
셋째, 쉴드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선단부에 화살촉 타입의 요철이 형성되는 고정편이 형성됨으로써 고정을 위하여 스크류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며 고정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중요한 한가지 효과로서 본 발명이 반사경 소켓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여 마치 필라멘트가 두 개소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처럼 교차빔 작동시에는 램프의 빛이 반사경에서 하향 굴절되어 비로소 진정한 교차빔의 구실을 하는 가스방전램프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동작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캡의 측면도
도 4b, 도 4c는 도 4a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지지캡의 측면도
도 5a는 도 4의 지지캡이 적용된 전체 구성의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개념도
도 6a는 종래 기술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동작 상태도
도 7a는 할로겐램프의 빔 조사를 보이는 도면
도 7b는 종래 기술의 빔 조사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2: 반사경 소켓
10: 발광부 11: 발광유니트 13: 마운트
15: 마그네트 20: 하우징 21: 본체
23, 23A: 지지캡 23b: 고정편 23ba: 상부 고정편
23bb: 하부 고정편 23c: 고정홀 25: 후방캡
25a: 케이블챔버 25b: 케이블인출공 25c: 수축튜브
30: 쉴드 31: 본체부 33: 고정편
33a: 요철부 35: 캡 51: 코일
53: 복귀스프링 100: 선행기술 210: 할로겐렘프 발광부
211: 주행빔 필라멘트 213: 교차빔 필라멘트
P1: 주행빔(High Beam) 광초점 P2: 교차빔(Low Beam) 광초점

Claims (10)

  1. 삭제
  2. 가스방전 발광유니트(11)가 마운트(13) 전방에 설치되고 마운트(13) 후미에는 마그네트(15)가 일체로 결합되는 발광부(10), 상기 발광부(10)의 발광유니트(11)가 이동가능토록 수용되는 원통형의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외부 인출을 위한 통공(23a)이 전면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고정편(23b)이 형성되는 지지캡(23)과 상기 본체(21)의 후미에 결합되는 후방캡(25)으로 구성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지지캡(23)에 고정되며 발광빔의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30) 및 상기 발광부 마그네트(15)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내에 설치되는 코일(51)과 복귀스프링(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발광유니트(11) 및 코일(51)에 연결되며 전후진 유동되는 케이블(C)이 수용되고 케이블의 인출공(25b)이 상기 발광유니트(11)의 전후진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인 주연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챔버(25a)가 구비된 후방캡(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캡(25)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출공(25b)에는 케이블(C)이 고정되기 위한 수축튜브(25c)가 복수 부여되고,
    상기 지지캡(23A)은 발광유니트(11)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P2)이 반사경의 중심선인 광축선(L)상에서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반사경 소켓(2)에 고정되는 지지캡의 고정편(23b) 중 상측에 위치되는 것(23ba)이 하측에 위치되는 것(23bb)에 비하여 전조등 소켓 장착면인 전면(F)이 전방으로 돌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25)은 마구리(25d)가 분리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지지캡(23) 전면에는 상기 발광유니트(11)로부터 발생되는 빔 및 열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7)이 추가로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23)의 전면에는 상기 반사판(27)으로서 알미늄시트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30)는 발광유니트(11)의 일측에 호형으로 둘러쳐지는 본체부(31)의 후미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지지캡(23)에 꽂혀 고정되기 위한 고정편(33)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캡(23)에는 상기 쉴드의 길이방향 고정편(33)에 대응하는 고정홀(23c)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7.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의 고정편(33)은 지지캡의 고정홀(23c)에 삽입후 탈거가 방지되도록 화살촉 타입의 요철(3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8.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30)는 본체부 전방에 캡(35)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9. 삭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23A)은 발광유니트(11)가 교차빔으로 이동시 광초점(P2)이 광축선 상에서 0.8㎜ 상부에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편(23ba)의 전면(F)이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편(23bb)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KR1020050026062A 2005-03-29 2005-03-29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KR10052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62A KR100528668B1 (ko) 2005-03-29 2005-03-29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62A KR100528668B1 (ko) 2005-03-29 2005-03-29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582U Division KR200388763Y1 (ko) 2005-03-29 2005-03-29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668B1 true KR100528668B1 (ko) 2005-11-16

Family

ID=3730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062A KR100528668B1 (ko) 2005-03-29 2005-03-29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4284A (ja) * 2019-08-28 2021-03-01 株式会社 秩父イワサキ 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4284A (ja) * 2019-08-28 2021-03-01 株式会社 秩父イワサキ ラ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931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개량 램프
JP5607634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車両ヘッドランプ
JPH0782761B2 (ja)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3260975A (ja) 自動車のための前照システム
JPS60258802A (ja) 自動車両用照明装置
US10605427B1 (en) Light source module and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80163940A1 (en) Vehicular headlamp
TWM536321U (zh) 照明結構
JP2007173034A (ja) 車両用灯具の発光装置
KR100528668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KR200388763Y1 (ko)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US6913367B2 (en) Vehicle headlamp
EP2141732A2 (en) Automotive lamp and reflector for low beam and advanced forward lighting system
JP3740635B2 (ja) 車両用照明灯具
US6709140B2 (en) Vehicle headlamp unit and vehicle headlight with the headlamp unit
JP7354003B2 (ja) 灯具ユニット
JPS62254355A (ja) 自動車等のヘツドライト
JP4556943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0158328B1 (en) Lighting module for motor vehicle lighting system
CN218510785U (zh) 一种车辆前照灯
JP2002140904A (ja) 2灯式照明装置
KR100769046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에치 아이 디 램프
KR100385542B1 (ko) 가스방전등의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
JP3223751B2 (ja) 放電灯を設けた自動車用前照灯
KR200355339Y1 (ko) 자동차 전조등용 에치 아이 디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