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25B1 -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 Google Patents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25B1
KR100527925B1 KR10-2003-0079844A KR20030079844A KR100527925B1 KR 100527925 B1 KR100527925 B1 KR 100527925B1 KR 20030079844 A KR20030079844 A KR 20030079844A KR 100527925 B1 KR100527925 B1 KR 10052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ard
box
luggage
flo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684A (ko
Inventor
김석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9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상면에서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프론트 커버와 리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멀티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Multi-stage type luggage floor box}
본 발명은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가 다단계로 절첩 및 확장되어 멀티 스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물품 수납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에 장착되어 있는 러기지 박스(L')는 단순한 트레이 구조이거나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몇 개의 격벽(파티션)으로 나뉘어져 물품을 수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수납물을 정리 정돈할 공간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또, 기존의 자동차 트렁크에 장착되어 있는 러기지 박스는 트렁크 자체의 공간에 비하여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며, 러기지 커버 상단에 수납물을 올려 놓을 경우에는, 파티션이 없어 차량 주행시 수납물의 유동으로 불안정하고, 소음이 발생하며 러기지 박스 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러기지 플로어 박스를 다중 절첩 및 확장 가능한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납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적절한 스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면에서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프론트 커버와 리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멀티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부로는 보드와, 상기 보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는 전방보드가 위치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리어 커버의 하부로는 보드와, 상기 보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는 중앙보드가 위치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전방보드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는 수납 공간이 더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러기지 플로어 박스(L;이하, '러기지 박스'라 한다.)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L)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100)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규정되어 있다. 프레임(100)은 전면(도면의 좌측), 후면(도면의 우측), 하면 및 좌우 양 측벽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101)은 뒤로 갈수록 높이가 크게 하여 박스 전체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부여하고 있다. 측벽(101)은 도시한 것과 같이 두 개소에서 다층으로 높이가 커지는데, 이들 개소를 중심으로 나뉘어지는 구간(a)는 후술하는 프론트커버가 위치하는 구간이며, 구간(b)는 리어커버가 위치하는 구간이고, 구간(b)에 속하는 구간(c)는 커버수납부가 위치하는 공간이다.
러기지 박스(L)는 그 상부를 덮는 커버에 의하여 외부와 밀폐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구조와 작용면에서는 구간(a)에 위치한 프론트커버(1)와 구간(b)에 위치한 리어커버(2)로 이루어진다. 프론트커버(1)는 전면 중앙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후면은 절첩라인(10)에 의해 리어커버(2)와 경계지워져 있다. 절첩라인의 양 측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기구에 의해 측벽(101)과 연결되어 있어, 프론트커버(1)는 절첩라인을 기준으로 상부로 열려 최대 180도 까지, 즉 리어커버(2)에 포개어 접혀지는 지점까지 회동할 수 있다. 리어커버(2)는 전면이 절첩라인(10)과 접하고 후면은 프레임(100)의 후면과 대향하고 있다. 리어커버(2)의 후단부를 가로질러서는 점선으로 도시한 회전축(22)이 삽입 통과되어 있어 리어커버(2)는 회전축(22)을 경계선 삼아 회동하여 러기지 박스(L)의 내부 쪽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분(24)이 러기지 박스 내부로 수납되는 영역이 된다.
프론트커버(1)와 리어커버(2)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커버의 상면은, 프레임의 상면과 면일(面一)을 이루도록 같은 높이로 설치하여도 좋고, 이 보다 다소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커버상에 위치하는 물품이 프레임과 커버가 제공하는 공간내에서 안정감 있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또, 프레임의 측면부에 후크를 설치하여 부피가 큰 물품인 경우 후크 사이에 네트를 드리워 물품을 고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커버를 제외한 상태에서 러기지 박스(L)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러기지 박스(L)의 내부는 전방에서부터 크게 세 부분, 즉 전방보드(4), 중앙보드(3) 및 커버수납부(6)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보드(4)는 가로벽(43)에 의하여 중앙보드(3)와 구획되고, 중앙보드(3)는 가로벽(33)에 의하여 커버수납부(6)와 구획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상기 전방보드(4)는 상기 프론트커버(1)의 하면에 위치하고, 중앙보드(3)는 상기 커버수납부(6)에 삽입되는 후단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리어커버(2)의 하면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먼저, 전방보드(4)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슬릿홈을 형성한 보드(40)와,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양편에 설치된 파티션(41,42)으로 이루어진다. 파티션(41)은 힌지점(41',41')을 기준으로 우측(도면의 아래쪽)으로 회동가능하며, 파티션(42)은 힌지점(42',42')을 기준으로 역시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파티션(41,42)의 후면(도면의 오른쪽)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프론트커버(1)의 기립 상태에서 그 뒷면과 맞닿아 접촉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두 파티션이 모두 기립한 상태에서 전방보드(4)는 세 개의 물품 수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 3b는 보드(40)를 제거한 상태에서 전방보드(4)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보드(40)의 하부로는 2차 수납공간(400)이 제공되어 있다. 수납공간(400)의 하면은 상술한 프레임(100)의 하면이 바닥면으로서 위치하여 공간을 폐쇄하고 있으며, 수납공간(400)은 두 고정 파티션(410,420)에 의하여 세 개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중앙보드(3)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슬릿홈을 형성한 보드(30)와,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양편에 설치된 파티션(31,32)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전방보드(4)와 동일하다. 그러나, 보드(30)는 보드(40)보다 약간 더 깊은 위치에서 러기지 박스(L)내부를 커버하도록 가로 질러 설치되는데, 이는 파티션(31,32)이 기립한 상태에서, 중앙보드(3)가 제공하는 수납 공간의 깊이가 전방보드(4)가 제공하는 공간의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보다 높이가 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드(3,4)간의 높이 차이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프레임(100)의 측벽이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것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드간의 높이 차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L)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두 보드를 동일 면상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보드(30)의 하부쪽으로는 상술한 프레임(100)의 하면이 바닥면으로서 위치하여 하부를 페쇄하고 있다.
커버수납부(6)는 가장 깊이가 깊은 공간으로서 상술한 것과 같이 커버부가 접혀져 수납되는 공간이다. 커버수납부(6)의 하면은 프레임(100)의 하면이 바닥면으로서 커버수납부(6)를 폐쇄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L)의 다양한 절첩 및 확장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L)는 모두 5단계로 이루어지는 멀티형 수납 구조를 제공한다.
제1단계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부피가 큰 물건을 커버 상면에 적재하여 수납하는 것이다.
제2단계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커버중의 프론트커버(1)를 절첩라인(10)을 중심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기립시키는 것이다. 프론트커버(1)의 하단부는 절첩라인(10)을 매개로 러기지 박스(L)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트림부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프론트커버(1)의 뒷면에는 슬릿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슬롯(1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러기지 박스(L)는 중간 정도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두 개의 공간을 제공한다.
제3단계는 도 4로부터 도 5와 같이, 전방보드(4)중의 파티션(41,42)을 각각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90도 회전시켜 기립시킴으로써 전방의 공간을 작은 세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 때, 파티션의 후면은 프론트 커버(1)의 걸림슬롯(11,11)에 끼워져 안착됨으로써 파티션의 위치가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파티션(41,42)을 프론트커버(1)의 뒷면과 맞닿아 접하는 상태로 강제 회동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슬롯(11,11)내에 그 후면이 들어가도록 절첩 하는 과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는 도 5로부터 도 6과 같이, 전방보드(4)의 보드(40)를 프론트커버(1)가 위치하는 곳까지 개방시켜 고정파티션(410,420)에 의하여 구획된 2차 수납공간(400)을 활용하는 것이다. 보드(40)의 회동 및 위치 고정 방법은 프론트커버(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 2차 수납 공간(400)은 전방보드(4)가 제공하는 공간보다 파티션의 높이가 낮으므로 높이가 낮은 물품을 적재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론트 커버(1)를 후방으로 90도, 따라서 처음 폐쇄 위치로부터는 180도 회동시켜 리어커버(2)와 접하게 한 후, 두 커버부를 회전축(22)을 중심으로 기립시켜 커버부의 후단이 커버 수납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중앙보드(3)에서 보드(30)상의 파티션(31,32)을 오른쪽으로 90도 회동시켜 기립시킴으로써 전방의 중간 정도의 공간과 후방의 세 개의 분할된 소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리어커버(2)의 후면에도 걸림슬롯(21,21)을 형성하여 파티션(31,32)의 후면이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 파티션(31,32,41,42)의 형상과 커버와의 결합 태양은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러기지 플로어 박스를 다중 절첩 및 확장 가능한 멀티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납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선행기술의 러기지 박스를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를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를 커버를 제외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의 전방부를, 전방보드를 제외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의 제2단계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의 제3단계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의 제4단계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러기지 박스의 제5단계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4)

  1. 자동차에 장착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로서,
    상기 박스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면에서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프론트 커버와 리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멀티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부로는 보드와, 상기 보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는 전방보드가 위치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전방보드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파티션을 가지는 수납 공간이 더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의 하부로는 보드와, 상기 보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는 중앙보드가 위치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소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
  4. 삭제
KR10-2003-0079844A 2003-11-12 2003-11-12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10052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44A KR100527925B1 (ko) 2003-11-12 2003-11-12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44A KR100527925B1 (ko) 2003-11-12 2003-11-12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684A KR20050045684A (ko) 2005-05-17
KR100527925B1 true KR100527925B1 (ko) 2005-11-09

Family

ID=3724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844A KR100527925B1 (ko) 2003-11-12 2003-11-12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9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47B1 (ko) * 2006-10-12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101141860B1 (ko) 2009-08-24 2012-05-08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박스
KR101470080B1 (ko) * 2012-09-19 2014-12-10 주식회사 이룸 차량용 러기지 박스 커버에 구비된 물품 수납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23B1 (ko) * 2005-12-05 2007-01-16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박스 조립체
KR101459926B1 (ko) * 2013-07-09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분할 러기지 박스
CN103786653B (zh) * 2014-01-21 2015-08-26 谭震 一种汽车后备箱用收纳盒
CN107914648B (zh) * 2017-11-21 2021-01-12 浙江邝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底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47B1 (ko) * 2006-10-12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101141860B1 (ko) 2009-08-24 2012-05-08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박스
KR101470080B1 (ko) * 2012-09-19 2014-12-10 주식회사 이룸 차량용 러기지 박스 커버에 구비된 물품 수납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68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123B1 (en) Vehicle rear storage drawer
US5484091A (en) Vehicle cargo organizer
US6241137B1 (en) Removable deck/platform apparatus with storage access for sport utility vehicles, pickup trucks and mini vans
US7806453B2 (en) Stowable cover with storage feature for vehicle cargo area and method
KR100405322B1 (ko) 자동차의 짐칸의 분할장치
CA2398799A1 (en) Vehicle tailgate with storage capacity
JP2006513089A (ja) 可動荷物支持アームを有する車両荷物管理装置
CN206933608U (zh) 行李箱和行李物品
JPH09193716A (ja) 荷物室構造
US20020145022A1 (en) Foldable utility container / carrier
KR100527925B1 (ko)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EP0667260A1 (en) Vehicle cargo organizer
JP4380023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20020062714A (ko) 접철식 운반상자
JP2003515493A (ja) 自動車積荷管理システム
JP4655998B2 (ja) 車両の荷室構造
KR101141860B1 (ko) 러기지 박스
JPS6117694B2 (ko)
KR102263380B1 (ko)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101063237B1 (ko) 차량용 멀티 러기지 박스
JP3283006B2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ルーム構造
KR102257810B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캠핑 장치
KR200194102Y1 (ko) 트렁크용 가변적재함
KR20010064432A (ko)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JP3469635B2 (ja) テーブルを備えたラゲージルームトレ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