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380B1 -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380B1
KR102263380B1 KR1020200070990A KR20200070990A KR102263380B1 KR 102263380 B1 KR102263380 B1 KR 102263380B1 KR 1020200070990 A KR1020200070990 A KR 1020200070990A KR 20200070990 A KR20200070990 A KR 20200070990A KR 102263380 B1 KR102263380 B1 KR 10226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rm
vehicle
shaped member
extended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비스 filed Critical (주)하비스
Priority to KR102020007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60P3/39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expansible, collapsible or repositionable elements adapted to support a bed, e.g. wall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차량의 후열 트렁크 공간에 마련되어 침상의 일부 면적을 구성하고 캠핑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후열 의자를 접어 마련된 공간에 펼쳐 침상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확장 베드부가 마련된 캠핑 장치.

Description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CAMPING DEVICE INCLUDING A EXTENDIBLE BED}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캠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캠핑카는 대부분 차량의 후미의 적재 공간에 캠핑을 위한 하우스 본체를 적재하여 이동하다가 캠핑 장소에 도착하면 차량과 캠핑용 하우스 본체를 분리한다. 캠핑용 하우스 본체는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트럭형 차량의 적재부에 캠핑용 하우스 본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18011호에는 탈착형 캠핑카 지지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캠핑 수단이 외부에 드러난 차량의 짐칸에 실린 상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캠핑에 필요한 침상 및 식탁 등을 제공하는 차량 탑재형 캠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캠핑 장비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확장 베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차량의 후열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확장 베드부는 접혀진 상태로서 최소의 면적을 점유하는 제1 상태 및 펼쳐진 상태로서 최대의 면적을 점유하는 제2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확장 베드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대면되며,
상기 확장 베드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확장시킨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차량의 후열 의자를 접어 마련된 상기 후열 의자의 배면에 대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탑재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된 캠핑 장치에 의해 캠핑과 상관없던 기존 차량이 캠핑카로 탈바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하게 누울 수 있는 진정한 풀플랫(full flat)의 침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트렁크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캠핑 장치가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서랍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아암부가 펼쳐진 상태의 사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아암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확장 베드부가 펼쳐지는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전면 받침 및 측면 받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전면 받침 및 측면 받침을 차량에 설치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부 및 확장 베드부를 모두 펼쳤을 때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1)에 설치되는 캠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트렁크 공간과 후열 의자(3)를 접을 수 있는 일반적인 승합차, 밴 또는 해치백 형태의 차량(1)에 착탈될 수 있고, 기존의 차량(1)에 후 작업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동일한 두께의 합판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시킨 나무 재질의 가구와 같은 개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얇은 두께의 목재 판으로 모든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한편, 차량(1) 내부에 설치될 때 점유 공간을 줄여야 하므로 목재 판의 프레임 구조를 도입하여 강성 증가 구조의 최적화 설계를 도모하였다.
본 발명은 차량(1)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차량(1)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보관할 수 있으며 야외 캠핑시에 본 발명의 캠핑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동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차량(1)의 후열 트렁크 도어에 대면되고 침상의 일부 면적을 구성하며 캠핑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몸체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캠핑 시 차량(1) 내 휴식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차량(1)의 트렁크 공간에 마련된 몸체부(100) 상면에 눕기에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공간 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차량(1) 외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면 캠핑 장비의 추가 설치 및 수납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여 차량(1) 내에 캠핑 장치 설치 및 수납을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차량(1) 내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캠핑 장비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차량(1)의 후열 트렁크 공간에 마련되는 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판상 부재를 활용하여 공간 사용 측면에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확장 베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트렁크와 차량의 후열 의자(3)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형태의 차량(1) 트렁크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정 높이를 가지며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사이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수납을 위한 서랍(400)을 탈착할 수 있고 또는 자체를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몸체부(100) 상면은 하나 이상의 판상 부재 조합으로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차량(1)의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 몸체부(100)는 그 면적이 침상으로 활용하기에는 좁을 수 있다. 차량(1)의 내부 면적을 활용하여 침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확장 베드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차량의 후열 의자(3)를 접었을 때 생성되는 빈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에서 확장 베드부(200)를 받쳐주는 아암부가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펼쳤을 때 차량(1) 내측벽과 확장 베드부(200) 사이 공간을 메워주는 측면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를 지지하는 측면 받침(540)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받침(540)의 일면에 체결되어 확장 베드부(2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받침(530)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캠핑 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판상 부재를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차량(1) 내에서 캠핑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동 및 설치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접었을 때 만일 어느 하나의 판상 부재의 폭이 길거나 짧다면 캠핑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곧 공간 사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베드부(200)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확장 베드부(200) 일면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확장 베드부(200)는 동일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1 판상 부재(201), 제2 판상 부재(202) 및 제3 판상 부재(203)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판상 부재는 제1 면(206), 제2 면(207) 및 제3 면(208)을 구비하며, 제1 면(206)은 각 판상 부재의 상면이며 제2 면(207)은 제1 면(206)의 배면이고, 제3 면(208)은 제1 면(206)과 제2 면(207)의 단부를 연결하는 각각의 판상 부재의 측면일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구성하는 각 판상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힌지 유니트(205)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유니트(205)는 판상 부재의 제1 면(206) 또는 제2 면(207)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판상 부재의 제3 면(208)은 인접한 다른 판상 부재의 제3 면(208)에 밀착될 수 있다. 힌지 유니트(205) 결합으로 인해서 확장 베드부(200)에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해 각 판상 부재에 힌지 유니트(205)가 결합되는 위치는 힌지 유니트(205)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홈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펼쳤을 때 각 판상 부재는 서로 밀착되며 동일 두께를 이룰 수 있고, 등에 걸리는 돌출부가 없을 수 있다.
각 판상 부재와 힌지 유니트(205)의 결합 시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판상 부재 단부 차이가 발생한다면 판상 부재 사이에 높낮이 차이로 인한 단턱으로 확장 베드부(200)에 누웠을 때 등이 배길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펼쳤을 때 각 판상 부재의 단부로 인해 높이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 판상 부재(201)의 단부와 제2 판상 부재(202)의 단부를 대면시키고 여기에 힌지 유니트(205)를 체결하여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판상 부재(202)의 단부와 제3 판상 부재(203)의 단부도 높이 단차없이 서로 대면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3 판상 부재(203)의 단부와 몸체부(100)의 단부도 높이 단차없이 서로 대면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판상 부재가 펼쳐져 이어진 확장 베드부(200)는 평면을 구성하고 돌출 부분이 없을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펼치고 접는 전개 과정을 설명한다. 제1 판상 부재(201) 및 제2 판상 부재(20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니트(205)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유니트(205) 일측 및 타측은 제1 판상 부재(201)의 제1 면(206) 및 제2 판상 부재(202)의 제1 면(206)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판상 부재(202) 및 제3 판상 부재(203)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니트(205)의 일측 및 타측은 제2 판상 부재(202)의 제2 면(207) 및 제3 판상 부재(203)의 제2 면(207)에 고정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접었을 때 제1 판상 부재(201)의 제1 면(206)과 제2 판상 부재(202)의 제1 면(206)이 대면 및 밀착될 수 있다. 제2 판상 부재(202)의 제2 면(207)과 제3 판상 부재(203)의 제2 면(207)이 대면 및 밀착될 수 있다. 제3 판상 부재(203)의 제1 면(206)은 몸체부(100) 상면과 대면 및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베드부(200)는 완전히 접히고 몸체부(100) 상면에 포개어질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후열 의자(3)를 접어 마련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나 몸체부(100) 상면의 높이와 후열 의자(3)가 접혀서 마련된 공간은 높이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등받이가 평면으로 접혀지지 않고 경사면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에 대하여 확장 베드부(200)가 평면으로 지지되는 아암부가 마련될 수 있다.
아암부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힌지(560) 결합되는 제1 아암부(510)와 몸체부(100)의 타측에 힌지(560) 결합되는 제2 아암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암부가 펼쳐지면 아암부는 차량(1)의 후열 도어 내측과 대면될 수 있다. 아암부의 하면은 후열 의자(3) 등받이 배면에 대면될 수 있다. 아암부의 상면은 확장 베드부(2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 경사면을 반영한다면 아암부의 하면은 아암부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아암부는 힌지(560) 결합으로 인해 차량(1)의 바닥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회동될 수 있다. 아암부는 차량(1)의 내측 벽면과는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아암부가 차량(1)의 내측 벽과 밀착된다면 아암부를 펼칠 때 차량(1) 도어 내측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 베드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확장 베드부(200) 중심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암부는 확장 베드부(200)를 펼쳐 사용할 때에는 아암부를 후열 의자(3) 등받이 배면에 대면되도록 펼쳐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몸체부(100)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아암부와 대면되는 몸체부(100)는 서로 평행을 이루며 포개질 수 있다.
아암부는 몸체부(100)에 밀착시킬 때 몸체부(100)의 제1 프레임(310) 일측과 타측에 각 제1 아암부(510)와 제2 아암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아암부(510)와 제2 아암부(520)는 확장 베드부(200)를 동일 높이에서 받쳐줘야 하므로 제1 프레임(310)의 동일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암부(510)와 제2 아암부(520)를 몸체부(100)에 밀착시켜 접을 경우, 제1 아암부(510)의 일단이 제2 아암부(520)와 제1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아암부(510)의 두께로 인해서 제2 아암부(520)가 제1 프레임(310)에 밀착되는 것에 간섭을 받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아암부(510)와 제2 아암부(520)가 몸체부(100)에 밀착되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아암부는 아암 회동 중심(570)과 몸체부(100)와의 거리에 소정 간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2 아암부(520)는 아암 회동 중심(570)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게 힌지(5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의 차이는 적어도 아암부인의 두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아암부(510)는 제1 프레임(310)에 힌지(560)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아암부(510)는 회동되어 제1 프레임(310)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아암부(520)의 힌지(560) 결합부는 제1 프레임(310)에서 적어도 제1 아암부(510)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아암부(520)는 힌지(560)의 아암 회동 중심(57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제2 아암부(520)의 힌지(560)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아암부(510)와 제2 아암부(520)는 몸체부(100)에 밀착시킬 때 상호 간섭 없이 몸체부(100)에 서로 평행하게 밀착될 수 있다.
차량(1)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확장 베드부(200)는 보관 또는 설치시에 차량(1)내 공간과 부딪히는 부분이 없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확장 베드부(200)의 면적을 정함에 있어 제약이 있을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를 펼쳤을 때 확장 베드부(200)의 주변에 잔여 공간이 발생할 수 있고, 잔여 공간을 메울 수 있는 부재를 마련하여 확장 베드부(200)를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차량(1)내 돌출된 부분과 부딪힘 없이 설치할 수 있는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확장 베드부(200)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측면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는 확장 베드부(200)와 측면 도어 내측 사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는 확장 베드부(200)와 결합되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와 결합 이후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이 돌출 형성된 걸림턱(541)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는 측면부(210) 걸림턱(541)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와 측면부(210)가 맞닿는 경계가 어긋나 평면 일부가 돌출되거나 낮게 형성된다면 캠핑 시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부(210)와 확장 베드부(200)가 접하는 경계에 측면부(210)가 확장 베드부(200)를 받치는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는 확장 베드부(200) 측부에 마련되고 이를 받쳐주는 측면 받침(540)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받침(540)은 후열 도어 내측에 대면될 수 있다. 측면 받침(540)은 측면부(210) 및 확장 베드부(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 받침(540) 상단은 측면부(210)와 체결되어 측면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 받침(540)은 측면부(210)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는 측면 받침(540)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210)는 체결 부재 또는 체결 부재 자체의 두깨로 인해 측면부(210) 상면에 돌출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보통의 차량(1) 후열 도어는 뒷바퀴 휀더(fender)로 인해서 개구부 일측이 볼록한 형상을 띄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에도 뒷바퀴 휀더 형상이 반영된 측면 받침(540)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받침(540)에는 곡면 및 측면이 마련될 수 있다. 뒷바퀴 휀더의 볼록 형상과 대면되는 곡면이 측면 받침(5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이 차량(1) 도어 개구부 휀더에 대면 및 지지되고 하단은 차량(1)의 바닥면에 놓일 수 있다.
측면 받침(540)은 차량(1)의 후열 도어 내측과 대면되게 마련될 수 있다. 후열 도어와 전열 도어 사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측면 받침(540) 타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확장 베드부(200)와 측면부(210)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요인으로서 양 측면 받침(540)에 체결되는 전면 받침(530)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 받침(530)의 양단에는 걸림 부재(531)가 마련될 수 있고, 걸림 부재(531)는 걸림턱(541)이 끼워지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 받침(530)은 후열 공간상에 폭방향으로 놓이며 일단과 타단이 각 측면 받침(540) 내측에 마련된 걸림턱(541)에 걸릴 수 있고, 전면 받침(530)과 측면 받침(540)이 'ㄷ'형상을 유지하여 확장 베드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전면 받침(530) 일면에 힌지(560)가 마련되어 수납 시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받침(530)에 힘이 가해질 때 힌지(560) 결합 부위 강성을 유지하고 이탈되지 않도록 전면 받침(530) 타면에 고정 부재(521)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부재(521)는 하나 이상의 체결용 볼트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차량(1) 운행 중에는 트렁크 용도로서 몸체부(100) 상면에 캠핑 용품을 적재할 수 있고, 캠핑시에는 몸체부(100)에 마련된 확장 베드부(200)를 설치하여 침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판상 부재 조합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후열 의자(3) 등받이에 대면되고 상면에 확장 베드부(200)가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일단이 확장 베드부(200)와 접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타단에 서랍(400) 공간을 여닫는 서랍 플레이트(130)가 체결될 수 있다. 서랍 플레이트(130)는 서랍(400) 공간을 여닫을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힌지(560)로 결합되어 몸체부(100) 상면으로 회동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서랍 플레이트(130)의 측부에는 차량(1) 내부 측부에 밀착되는 측면 플레이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0) 측부 하단에 수납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측면 플레이트(140)는 수납 공간 덮개로 활용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차량(1)내에서 몸체부(100)가 일정 높이를 갖게 하며 몸체부(100)를 지지해주는 몸체부(100)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폭 방향을 제1 방향, 차량(1)의 길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때,
몸체부(100)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후열 의자(3) 등받이에 대면되는 제1 프레임(310), 제1 방향으로 차량(1)의 후면 트렁크 개구부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320) 및 제2 방향으로 차량(1) 측벽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3 프레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은 차량(1)의 바닥면에 수직을 이루며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310) 바닥면과 측벽에 이르기까지 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의 전면에는 아암부가 힌지(560)로 결합되어 아암부를 접으면 제1부재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의 상단에는 몸체부(100) 상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놓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제1 프레임(310) 상단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 접합되어 몸체부(100) 평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 상단과 베이스 플레이트(120) 일측의 접합면은 돌출 부분없이 동일한 수직면을 구성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면 일측에 확장 베드부(2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0)은 트렁크 개구부 내측에 밀착되게 마련되며, 제2 프레임(320) 전면에 제3 프레임(330) 일단이 접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0) 프레임 내부에 구성된 수납 공간에 서랍(400)이 마련될 수 있고, 서랍(400) 사용에 필요한 개구부가 제2 프레임(3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30)은 바닥면과 수직으로 구성되며 제2 방향으로 하나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30)은 제1 프레임(310) 배면에 일단이 접합되고 제2 프레임(320) 전면에 타단이 접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30)은 차량(1) 측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부(100) 프레임 내부에 수납 공간 구획이 구분 지어질 수 있다. 제3 프레임(330) 상단은 몸체부(100) 평면 중 일부를 구성하는 측벽 플레이트가 놓일 수 있다.
몸체부(100) 프레임은 제1 프레임(310), 제2 프레임(320), 제3 프레임(330)의 결합으로 차량(1)의 트렁크 공간상에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0) 프레임은 각 부재의 교차 결합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0) 프레임 상면은 복수의 판상부재를 조합하여 몸체부(100) 상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프레임(310) 상단면과 일단이 접합되며 상단에 확장 베드부(200)가 포개어져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 측에 위치하며 여닫을 수 있는 측면 플레이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타단에 힌지(560) 결합되며 몸체부(100) 상면으로 회동되어 여닫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랍 플레이트(1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서랍(400)이 몸체부(100) 프레임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서랍(400)은 차량(1)의 트렁크 개구부로 몸체부(100)와 평행하게 꺼내어 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00) 프레임에 슬라이드(440)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440)는 제3 프레임(330)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서랍(400)은 차량(1)의 후방으로 꺼내어질 수 있고 내부에 캠핑 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캠핑 용품을 구분 지어 수납할 수 있도록 구획을 나눌 수 있는 칸막이가 마련될 수 있다. 서랍(400)은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 홈이 마련되어 칸막이 구획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랍(400) 덮개가 마련되어 수납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고 서랍(400)을 꺼내어 상면을 선반(410)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서랍(400) 덮개는 하면 각 모서리에 상다리가 부착되어 있어 좌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캠핑시에 서랍(400)을 선반(410)으로 사용하는 것에 더해 서랍(400)의 하부에 평행하게 인출되는 선반(410)이 마련되어 캠핑을 위한 식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서랍(400)과 선반(410)을 모두 꺼내어 사용하게 되면 서랍(400)과 선반(410)의 하중이 슬라이드(440)에 집중될 우려가 있다. 서랍(400) 사용시 안정성을 갖출 수 있도록 선반(410) 하면에 받침 다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 다리는 선반(410) 하부에 결합되어 선반(410)을 서랍(400) 하면에 수납시에 함께 수납될 수 있고, 또는 별도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랍(400)과 제2 프레임(320) 일면에 잠금 장치(5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1)의 운행 또는 캠핑시에 서랍(400)이 열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1...차량 3...후열 의자
100...몸체부 120...베이스 플레이트
130...서랍 플레이트 140...측면 플레이트
200...확장 베드부 201...제1 판상 부재
202...제2 판상 부재 203...제3 판상 부재
205...힌지 유니트 206...제1 면
207...제2 면 208...제3 면
210...측면부 310...제1 프레임
320...제2 프레임 330...제3 프레임
400...서랍 410...선반
440...슬라이드 510...제1 아암부
520...제2 아암부 521...고정 부재
530...전면 받침 531...걸림 부재
540...측면 받침 541...걸림턱
550...잠금 장치 560...힌지
570...아암 회동 중심

Claims (18)

  1. 캠핑 장비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확장 베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차량의 후열 트렁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확장 베드부는 접혀진 상태로서 최소의 면적을 점유하는 제1 상태 및 펼쳐진 상태로서 최대의 면적을 점유하는 제2 상태로 절환되고,
    아암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베드부를 펼치는 경우,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확장 베드부의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펼쳐지며,
    상기 확장 베드부를 접는 경우,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캠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는 몸체부에 각각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아암부의 힌지 결합부는 몸체부에 적어도 상기 제1 아암부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를 접는 경우,
    상기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면시킬 때 상호 간섭 없이 몸체부에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힌지의 아암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상기 제2 아암부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캠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베드부는 차례대로 제1 판상 부재, 제2 판상 부재 및 제3 판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상 부재 및 상기 제2 판상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 유니트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제1 판상 부재의 제1 면 및 상기 제2 판상 부재의 제1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판상 부재 및 상기 제3 판상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유니트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제2 판상 부재의 제2 면 및 상기 제3 판상 부재의 제2 면에 고정되는 캠핑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베드부는 복수의 판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힌지 유니트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 유니트는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 유니트가 함몰된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히며,
    상기 힌지 유니트가 일단부 및 타단부 두 곳에 설치되는 판상 부재의 경우, 상기 판상 부재의 상면에 제1 힌지 유니트가 설치되고, 상기 판상 부재의 배면에 제2 힌지 유니트가 설치되는 캠핑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베드부는 복수의 판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동일한 두께이며,
    상기 확장 베드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의 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는 높이 단차없이 서로 대면되는 캠핑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베드부는 복수의 판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힌지 유니트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배면이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의 측면이며,
    상기 힌지 유니트는 상기 판상 부재의 상기 제1 면 또는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의 상기 제3 면은 인접한 다른 판상 부재의 상기 제3면에 밀착되는 캠핑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베드부는 복수의 판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판상 부재는 힌지 유니트로 연결되며,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몸체부도 힌지 유니트로 연결되는 캠핑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가 펼쳐지면,
    상기 아암부의 하면은 상기 차량의 후열 의자를 접어서 마련된 상기 후열 의자의 배면에 대면되고,
    상기 아암부의 상면은 상기 확장 베드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캠핑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제1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상기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확장 베드부가 펼쳐지면,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상기 확장 베드부를 지지하는 캠핑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부의 표면은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아암부의 표면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의 차이는 적어도 상기 아암부의 두께 이상인 캠핑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가 펼쳐지면 상기 아암부의 배면은 상기 차량의 후열 의자의 배면에 대면되고, 상기 아암부의 상면은 상기 확장 베드부의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아암부의 배면은 상기 아암부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인 캠핑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몸체부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차량의 후열 도어 내측에 대면되며,
    상기 아암부 상면은 모두 동일 높이를 가지며 상기 아암부 상면에 상기 확장 베드부를 펼쳤을 때 상기 확장 베드부와 상기 몸체부 상면은 경사면이 없는 캠핑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면되는 한 쌍의 측면 받침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받침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면 받침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받침은 상기 차량의 바닥에 접촉되며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전면 받침은 그 양단부가 상기 측면 받침에 걸쳐지고, 상기 걸침에 의하여 상기 전면 받침의 하중이 지지되며,
    상기 전면 받침과 상기 측면 받침은 상기 확장 베드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캠핑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면되는 한 쌍의 측면 받침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받침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면 받침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와 확장 베드부 사이에 측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부 또는 확장 베드부는 상기 측면 받침 및 상기 전면 받침에 의하여 하중이 지지되는 캠핑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면되는 한 쌍의 측면 받침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받침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면 받침이 마련되고,
    상기 전면 받침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에 힌지 결합 부위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받침은 상기 힌지 결합 부위 보강을 위한 고정 부재가 상기 힌지 결합 부위 배면에 마련되는 캠핑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면되는 한 쌍의 측면 받침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받침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면 받침이 마련되고,
    상기 전면 받침 및 상기 측면 받침은 상호 결합되는 걸림 부재 및 걸림턱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와 확장 베드부 사이에 측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확장 베드부 또는 상기 측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캠핑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가로 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차량 후열 도어에 대면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차량의 후면 트렁크 개구부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차량 측벽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3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은 상기 차량 바닥면과 수직으로 마련되고,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 및 인출되는 서랍이 마련되고,
    상기 서랍에는 캠핑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 캠핑 장치.
KR1020200070990A 2020-06-11 2020-06-11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10226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90A KR102263380B1 (ko) 2020-06-11 2020-06-11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90A KR102263380B1 (ko) 2020-06-11 2020-06-11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380B1 true KR102263380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90A KR102263380B1 (ko) 2020-06-11 2020-06-11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611U (ja) * 1997-09-30 1998-04-24 國政 彭 車内用折り畳みベッド
KR101938640B1 (ko) * 2018-07-12 2019-01-16 (주)하비스 캠핑 장치
KR101992688B1 (ko) * 2018-07-12 2019-06-25 (주)하비스 캠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611U (ja) * 1997-09-30 1998-04-24 國政 彭 車内用折り畳みベッド
KR101938640B1 (ko) * 2018-07-12 2019-01-16 (주)하비스 캠핑 장치
KR101992688B1 (ko) * 2018-07-12 2019-06-25 (주)하비스 캠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725A (en) Multi-compartment organizer for minivan
US6241137B1 (en) Removable deck/platform apparatus with storage access for sport utility vehicles, pickup trucks and mini vans
US3492042A (en) Vehicle body
US6676182B2 (en) Vehicle bed storage extender
US6481773B1 (en) Remov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20090102231A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expandable living area
US20020005649A1 (en) Under seat storage system
KR100706392B1 (ko)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CN104972976A (zh) 用于机动车辆的可旋转并且可收纳的置物板组件
US7152913B2 (en) Modular sleeper units
KR102269683B1 (ko) 확장 유니트를 포함한 캠핑 장치
CA2385504C (en) Modular sleeping compartment for trucks
JP2003291732A (ja) 自動車用荷室の仕切構造
KR102263380B1 (ko)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US4300797A (en) Compactly foldable recreation enclosure
KR20220127015A (ko)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100527925B1 (ko)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JP2003515493A (ja) 自動車積荷管理システム
KR102263383B1 (ko) 캠핑 장치
RU203010U1 (ru) Платформа-трансформер багажного 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й автомобиля
JP3283006B2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ルーム構造
KR102310203B1 (ko) 캠핑카에 배치되는 고정형 사이드 씽크 설비
KR102633258B1 (ko) 차량 의자 뒷면에 지지되는 확장판을 구비한 캠핑 장치
KR102379780B1 (ko) 조립식 후방소파가 설치된 캠핑카
KR101541240B1 (ko) 침대판겸용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