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717B1 -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717B1
KR100527717B1 KR10-2003-0046687A KR20030046687A KR100527717B1 KR 100527717 B1 KR100527717 B1 KR 100527717B1 KR 20030046687 A KR20030046687 A KR 20030046687A KR 100527717 B1 KR100527717 B1 KR 10052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plate
passage
plate bal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753A (ko
Inventor
황경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7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섀클(5)의 안쪽 측면과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갭(G,G')으로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이 각각 배치되면서 이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은 그 일측면이 상기 섀클(5)의 안쪽 측면과 결합되면서 설치되고, 섀클핀(9)은 상기 섀클(5)에 구비된 사이드와셔(15,15')를 통해 상기 섀클(5)과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 및 스프링부시(7)의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섀클(5)의 일측면에는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니플(31)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니플(31)과 연결되는 윤활통로(35)는 상기 섀클(5)을 통해 일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9)을 통해 스프링부시(7)의 내주면과 타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도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섀클(5)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F)이 감소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마모현상이 예방되고 작동소음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더나아가 리이프스프링(1)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mounting structure of leaf spring}
본 발명은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섀클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을 감소시켜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및 스프링부시의 마모를 예방하고 이에 따라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여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인 바, 보통 상용차의 리어부에는 리이프스프링이 함께 구성되어 차량의 현가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용차의 리어부에 장착되는 리이프스프링(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3)의 아래쪽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에 해당하는 엔드부(1a)가 각각의 섀클(5)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사이드프레임(3)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양단에 해당하는 엔드부(1a)의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는 원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부(1a)내에는 스프링부시(7)가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는 요크(york)모양으로 형성된 섀클(5)의 끝단부로 삽입되어 이들을 일체로 관통하는 섀클핀(9)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섀클(5)은 사이드프레임(3)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브라켓트(11)를 매개체로 하여 사이드프레임(3)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섀클핀(9)의 내부에는 윤활통로(9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윤활통로(9a)의 일단은 섀클핀(9)의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스프링부시(7)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반대편의 타단은 상기 섀클핀(9)의 단부로 관통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섀클핀(9)의 단부로 관통되어 외부와 연결된 윤활통로(9a)의 타단에는 윤활유의 주입을 위한 니플(13)이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섀클핀(9)이 관통하는 섀클(5)의 관통구멍(도시않됨)으로는 각각 사이드와셔(15,15')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섀클핀(9)은 사이드와셔(15,15')와 스프링부시(7)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결합구조는, 각 부품의 가공오차 및 조립상의 공차로 인해 상기 섀클(5)의 안쪽 측면과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양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갭(G,G'; gap)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상기와 같은 갭(G,G')에 의해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가 마모되어 심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에 도 3(a)와 같이 섀클핀(9)의 축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축력(F)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는 섀클(5)과의 갭(G,G')에 의해 도 3(b)와 같이 좌우방향으로의 불규칙한 병진운동(T; Translation)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가 병진운동(T)을 할 때 상기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양측면은 상기 섀클(5)의 안쪽면을 타격하면서 면접촉을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은 면접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결국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의 각 모서리부는 도 3(c)와 같이 마모되게 되며, 이와 같은 마모를 통해 결국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는 도 3(d)와 같이 병진운동(T)과 함께 회전운동(R; Rotation)도 함께 하게 되어 심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병진운동(T)과 함께 회전운동(R)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결국 리이프스프링(1)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약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현가기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섀클과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및 스프링부시사이에 형성된 갭내에 플레이트 볼베어링을 설치하여,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섀클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엔드부와 스프링부시의 마모를 예방하고 더불어 상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섀클의 안쪽 측면과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및 스프링부시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플레이트 볼베어링이 각각 배치되면서 이 플레이트 볼베어링은 그 일측면이 상기 섀클의 안쪽 측면과 결합되면서 설치되고, 섀클핀은 상기 섀클에 구비된 사이드와셔를 통해 상기 섀클과 플레이트 볼베어링 및 스프링부시의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섀클의 일측면에는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니플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니플과 연결되는 윤활통로는 상기 섀클을 통해 일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과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을 통해 스프링부시의 내주면과 타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과도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용차의 리어부에 장착되는 리이프스프링(1)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3)의 아래쪽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에 해당하는 엔드부(1a)는 각각의 섀클(5)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사이드프레임(3)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양단에 해당하는 엔드부(1a)의 결합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는 원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부(1a)내에는 스프링부시(7)가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는 요크(york)모양으로 형성된 섀클(5)의 끝단부로 삽입되어 이들을 일체로 관통하는 섀클핀(9)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섀클(5)은 사이드프레임(3)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브라켓트(11; 도1에 도시됨)를 매개체로 하여 사이드프레임(3)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섀클핀(9)이 관통하는 섀클(5)의 소정부위에는 와셔결합구멍(5a)이 형성되고, 이 와셔결합구멍(5a)으로는 각각 사이드와셔(15,15')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섀클핀(9)은 사이드와셔(15,15')와 스프링부시(7)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는 각 부품의 가공오차 및 조립상의 공차로 인해 상기 섀클(5)의 안쪽 측면과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양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갭(G,G'; gap)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이와 같은 갭(G,G')을 방치하여 둘 경우 상기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가 마모되면서 심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갭(G,G')내에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이 각각 설치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갭(G,G')내에는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이 각각 배치되며, 이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은 그 일측면이 상기 섀클(5)의 안쪽 측면과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섀클핀(9)은 상기 섀클(5)에 구비된 사이드와셔(15,15')를 통해 상기 섀클(5)과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 및 스프링부시(7)의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섀클(5)의 일측면에는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니플(31)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니플(31)과 연결되는 윤활통로(35)는 상기 섀클(5)을 통해 일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9)을 통해 스프링부시(7)의 내주면과 타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도 연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섀클(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와셔(15,15')가 끼워지면서 결합됨과 더불어 이 사이드와셔(15,15')를 통해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와셔결합구멍(5a)이 형성되고, 이 와셔결합구멍(5a)의 외측으로는 상기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섀클통로(35a)가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의 일면과 대면하는 안쪽 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과의 결합시 이용되는 복수개의 키홈(5b)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갭(G,G')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은 크게 내측플레이트(21)와 외측플레이트(23) 및 다수개의 볼베어링(2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의 내측플레이트(21)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핀구멍(21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핀구멍(21a)의 외측으로는 상기 섀클통로(35a)와 연결되는 윤활구멍(3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섀클(5)과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키홈(5b)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결합키(21b)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섀클(5)과 대면하지 않는 반대면에는 상기 윤활구멍(35b)과 연결되면서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통로(35c)가 반원의 오목한 모양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측플레이트(23)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플레이트(21)와 중첩을 이루면서 결합될 때 서로의 외곽테두리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핀구멍(23a)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플레이트(21)와 대면하는 안쪽면에는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통로(35d)가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된 플레이트통로(35c)와 동일한 모양으로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플레이트 볼베어링(20)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2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플레이트(21)와 외측플레이트(23)가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형성된 플레이트통로(35c,35d)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플레이트통로(35c,35d)를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된 윤활구멍(35b)은 상기 섀클통로(35a)와 대면하도록 설치된 어느 한 개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중에서 내측플레이트(21)에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에 형성되는 윤활통로(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클(5)에 형성된 섀클통로(35a)와, 이 섀클통로(35a)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된 어느 한 개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중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윤활구멍(35b)과, 이 윤활구멍(35b)과 연결되도록 플레이트 볼베어링(20)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통로(35c,35d)와, 이 플레이트통로(35c,35d)와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9)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부시(7)의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출구(35e) 및 반대편에 설치된 다른 한 개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으로 연결되는 출구(35f)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섀클핀통로(35g)와, 이 섀클핀통로(35g)와 연결되도록 반대편에 설치된 플레이트 볼베어링(20')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통로(35h,35i)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에는 섀클(5)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섀클핀의 축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힘; F ; 도 3(a)에 도시됨)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축력(F)은 도 2를 참조로 전술하였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대폭적으로 줄어든 힘으로서 전달되어 오게 된다.
즉, 종래의 구조에서 상기 엔드부(1a)와 스프링부시(7)는 섀클(5)과의 갭(G,G')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불규칙한 병진운동(T; 도 3(b)에 도시됨))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양측면은 상기 섀클(5)의 안쪽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됨으로써 비교적 큰 축력(F)이 전달되어 왔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는 섀클(5)과 연결되는 내측플레이트(21) 및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그리고 스프링부시(7)와 연결되는 외측플레이트(23)가 다수의 볼베어링(25)을 통해 서로 점접촉으로 연결됨으로써, 섀클(5)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F)은 종래에 비해 대폭적으로 줄어든 힘이 전달되어 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에 의해 섀클(5)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F)이 줄어들게 되면, 이 축력(F)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불규칙한 병진운동(T)도 크게 감소되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불규칙한 병진운동(T)이 예방되면 더 나아가 회전운동(R; 도 3(d)에 도시됨)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상기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마모현상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결국 리이프스프링(1)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현가기능을 증대시키는 잇점으로도 작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섀클과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및 스프링부시사이에 플레이트 볼베어링이 설치되어져, 상기 섀클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이 감소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엔드부 및 스프링부시의 마모현상이 예방되고 작동소음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더나아가 리이프스프링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현가기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상용차에 적용되는 리어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의 종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섀클 및 플레이트 볼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플레이트 볼베어링을 구성하는 내측플레이트 및 외측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과 도 9는 도 5의 Ⅰ-Ⅰ선 및 Ⅱ-Ⅱ선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엔드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이프스프링 1a - 엔드부
5 - 섀클 7 - 스프링부시
9 - 섀클핀 15,15' - 사이드와셔
20,20' - 플레이트 볼베어링 21 - 내측플레이트
23 - 외측플레이트 25 - 볼베어링
31 - 니플 35 - 윤활통로

Claims (5)

  1. 섀클(5)의 안쪽 측면과 리이프스프링(1)의 엔드부(1a) 및 스프링부시(7)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된 갭(G,G')으로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이 각각 배치되면서 이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은 그 일측면이 상기 섀클(5)의 안쪽 측면과 결합되면서 설치되고, 섀클핀(9)은 상기 섀클(5)에 구비된 사이드와셔(15,15')를 통해 상기 섀클(5)과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 및 스프링부시(7)의 중앙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섀클(5)의 일측면에는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니플(31)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니플(31)과 연결되는 윤활통로(35)는 상기 섀클(5)을 통해 일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9)을 통해 스프링부시(7)의 내주면과 타측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과도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섀클(5)에는 사이드와셔(15,15')가 끼워지면서 결합됨과 더불어 이 사이드와셔(15,15')를 통해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와셔결합구멍(5a)이 형성되고, 이 와셔결합구멍(5a)의 외측으로는 상기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섀클통로(35a)가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의 일면과 대면하는 안쪽 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볼베어링(20,20')과의 결합시 이용되는 복수개의 키홈(5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볼베어링(20)은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핀구멍(21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핀구멍(21a)의 외측으로는 상기 섀클통로(35a)와 연결되는 윤활구멍(35b)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섀클(5)과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키홈(5b)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결합키(21b)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섀클(5)과 대면하지 않는 반대면에는 상기 윤활구멍(35b)과 연결되면서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통로(35c)가 반원의 오목한 모양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내측플레이트(21)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1)와 중첩을 이루면서 결합될 때 서로의 외곽테두리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섀클핀(9)이 관통되는 핀구멍(23a)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플레이트(21)와 대면하는 안쪽면에는 윤활통로(35)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통로(35d)가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된 플레이트통로(35c)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외측플레이트(23)와;
    상기 플레이트통로(35c,35d)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2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된 윤활구멍(35b)은 상기 섀클통로(35a)와 대면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 볼베어링(20)의 내측플레이트(21)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통로(35)는 상기 섀클(5)에 형성된 섀클통로(35a)와, 이 섀클통로(35a)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된 어느 한 개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중 내측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윤활구멍(35b)과, 이 윤활구멍(35b)과 연결되도록 플레이트 볼베어링(20)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통로(35c,35d)와, 이 플레이트통로(35c,35d)와 연결되면서 상기 섀클핀(9)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부시(7)의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출구(35e) 및 반대편에 설치된 다른 한 개의 플레이트 볼베어링(20')으로 연결되는 출구(35f)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섀클핀통로(35g)와, 이 섀클핀통로(35g)와 연결되도록 반대편에 설치된 플레이트 볼베어링(20')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통로(35h,35i)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KR10-2003-0046687A 2003-07-10 2003-07-10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KR10052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87A KR100527717B1 (ko) 2003-07-10 2003-07-10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87A KR100527717B1 (ko) 2003-07-10 2003-07-10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53A KR20050006753A (ko) 2005-01-17
KR100527717B1 true KR100527717B1 (ko) 2005-11-09

Family

ID=3722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687A KR100527717B1 (ko) 2003-07-10 2003-07-10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7349A1 (de) 2015-10-12 2017-04-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efestigungsschäkel zur befestigung einer blattfeder an einem fahrzeugaufbau
KR102506765B1 (ko) * 2018-04-17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53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662B2 (en) Rolling guide unit
US20100284733A1 (en) Axial Ball Joint with Impact Damping Mechanism
KR20180079332A (ko)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JP2008506908A (ja) 軸受装置
KR100527717B1 (ko)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CN101749326A (zh) 转动轴承装置
KR100907518B1 (ko) 구동축용 감속기
KR20010003228A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US5882028A (en) Shock absorptive support structure
US6074318A (en) Low-noise roller chain having rollers which include elastic member protrusions to prevent collision of the rollers with inner plates
JP200221343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10088931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080032565A (ko) 허브용 트러스트 와셔
JP4106904B2 (ja) 直動案内軸受装置のスライダー及び直動案内軸受装置
KR20210062133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바의 부시 장치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JP2007191111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構造
KR100412865B1 (ko)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KR20070045604A (ko)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부의 변형방지 구조
KR100853922B1 (ko) 차량용 허브 조립체의 결합구조
KR100527777B1 (ko) 유니버셜 조인트
KR100514223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부쉬
KR950001828Y1 (ko) 차량용 시트 리크라이너의 구형 힌지장치
JP2005133780A (ja) 転がり案内ユニット
KR960007946Y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