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46Y1 -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46Y1
KR960007946Y1 KR2019940023917U KR19940023917U KR960007946Y1 KR 960007946 Y1 KR960007946 Y1 KR 960007946Y1 KR 2019940023917 U KR2019940023917 U KR 2019940023917U KR 19940023917 U KR19940023917 U KR 19940023917U KR 960007946 Y1 KR960007946 Y1 KR 960007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connecting rod
bush
connecting structu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59U (ko
Inventor
박헌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3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946Y1/ko
Publication of KR960010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연결구조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종래구조로서, 제1도에 대응하는 부분단면 정면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레버2, 5 : 고정단
3, 6 : 삽입홀4 : 연결로드
7 : 삽입부쉬8 : 플랜지
9 : 고정부쉬
본 고안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의 연결부위에 고정부쉬가 삽입되어 진동시 연결부위의 틈새로 인한 간섭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변속을 하기 위한 수동변속장치의 변속레버는 트랜스미션측과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연결되는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01)에는 구형상으로 되어 양측면을 절단시키고 중앙에 삽입홀(103)을 갖춘 고정단(102)이 구비되어 고정샤프트(107)를 매개로 연결로드와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샤프트(107)에는 한쪽 끝단부위에 동심원으로 플랜지(108)가 형성되어 삽입홀(103, 106)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레버(101)의 삽입홀(103)에는 고정샤프트(107)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니들(109)이 삽입되고, 상기 변속레버(101)와 연결로드의 고정단(102, 105)의 사이에는 접촉부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0링(110)이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01)와 연결로드가 고정샤프트(107)를 매개로 상호 고정되어 상기 변속레버(101)를 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연결로드가 직선왕복운동되면서 트랜스미션(도시되어 있지 않음)측에 변속레버(101)의 조작력을 전달시켜 변속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변속레버(101)와 연결로드가 고정샤프트(107)를 매개로 상호 고정되고, 베어링니들(109)이 상기 고정샤프트(107)와 변속레버(101)의 삽입홈(106)사이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결합부위의 누적공차로 인해 틈새가 발생되어 진동시 간섭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여러부품을 조립하게 되어 조립공정이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레버와 연결로드를 고정부쉬와 삽입부쉬를 매개로 결합되어 틈새의 발생이 방지되어 진동을 흡수하고 조립공정을 절감시키도록 된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속레버와 연결로드가 고정샤프트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의 삽입홀(3)과 죠인트(5)의 사이로 플랜지(8)를 갖춘 고정부쉬(9)가 한쌍으로 각각 삽입되고, 플랜지(8)의 외측으로 상기 죠인트(5)의 내경으로는 삽입부쉬(7)를 끼워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연결구조의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상기 변속레버(1)에는 구형상으로 되어 양측면을 절단시키고 중앙에 삽입홀(3)을 갖춘 고정단(2)이 구비되어, 고정부쉬(9)를 매개로 선단부위에서 중앙을 개수시킨 삽입홀(6)을 형성한 죠인트(5)을 갖춘 연결로드(4)와 상호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부쉬(9)에는 동심원으로 형성된 플랜지(8)가 갖추어져 상기 변속레버(1)의 고정단(2)에 한쌍으로 대향지게 플랜지(8)가 외측을 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고정부쉬(9)에는 연결로드(4)의 삽입홀(6)에 끼워진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쉬(7)를 갖춘 개구된 죠인트(5)사이에 삽입되어 마찰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와 연결로드(4)가 고정부쉬(9)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변속레버(1)를 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연결로드(4)가 직선왕복운동 되면서 트랜스미션(도시되어 있지 않음)측에 변속레버(1)의 조작력을 전달시켜 변속을 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쉬(9)와 삽입부쉬(7)에 의해 연결부위의 진동이 흡수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쉬를 매개로 변속레버와 연결로드가 결합되어 연결부위의 틈새가 제거되어 결합부위의 진동이 흡수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을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정정) 변속레버와 연결로드가 고정샤프트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의 삽입홀(3)과 죠인트(5)의 사이로 플랜지(8)를 갖춘 고정부쉬(9)가 한쌍으로 각각 삽입되고, 플랜지(8)의 외측으로 상기 죠인트(5)의 내경으로는 삽입부쉬(7)를 끼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KR2019940023917U 1994-09-15 1994-09-15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KR960007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917U KR960007946Y1 (ko) 1994-09-15 1994-09-15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917U KR960007946Y1 (ko) 1994-09-15 1994-09-15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59U KR960010459U (ko) 1996-04-12
KR960007946Y1 true KR960007946Y1 (ko) 1996-09-19

Family

ID=1939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917U KR960007946Y1 (ko) 1994-09-15 1994-09-15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9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59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6556B2 (ja) 弾性軸継手
JP2855737B2 (ja) チェンジレバーと変速機の連結構造
JPH0924049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弾性継手
JPH1089373A (ja) 弾性軸継手
US5366413A (en) Elastic universal coupling
KR960007946Y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GB2362688A (en) Axially adjustable steering shaft assembly with ball spline
CA1271148A (en) Synchronizer hollow spring pin
MXPA97004125A (en) Flexi gear coupling
JPH04215525A (ja) 自動車における切換ロッドの接続装置
KR100417964B1 (ko)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JP2000074081A (ja) スプライン装置
KR100380244B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JP2544823Y2 (ja) 防振プロペラシャフト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200324493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JPH0880704A (ja) ドライブシャフト
JPH0640363Y2 (ja) 防振シフトレバー
KR200155060Y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어셈블리
KR200285623Y1 (ko) 유니버셜 조인트용 스플라인축이음의 유격보상장치
JPS6271725A (ja) 前輪駆動車輌の中間軸支持構造
KR100501389B1 (ko) 변속기용 쉬프트 케이블의 연결구조
JPH0518528Y2 (ko)
KR100792820B1 (ko) 축연결용 세레이션장치
KR200160089Y1 (ko)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