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134B1 -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134B1
KR100527134B1 KR10-2003-0081614A KR20030081614A KR100527134B1 KR 100527134 B1 KR100527134 B1 KR 100527134B1 KR 20030081614 A KR20030081614 A KR 20030081614A KR 100527134 B1 KR100527134 B1 KR 10052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opening angle
rail
slid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14A (ko
Inventor
조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후드(10)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16)이 구비된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지지수단의 타측이 끼워지는 로드 마운팅 홀(15)이 형성된 슬라이더(14)와, 일측 선단이 상기 걸림턱(16)에 끼워지거나 그 걸림턱(16)에서 빠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14)에 장착된 스토퍼(18)와, 상기 스토퍼(18)가 걸림턱(16) 쪽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후드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Hood opening angle regulation structure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후드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는 엔진 룸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장치들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차단하여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이들 장치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후드는 차량 정비, 세차 등의 필요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대개 후드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내면 양측이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후드가 개방되었을 때 그 후드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드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후드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 개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차체(1)에 후드(2)의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긴 길이의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차체(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지지수단인 후드 스테이 로드(3)가 구비되며, 상기 후드(2)의 일측 하면에는 상기 후드 스테이 로드(3)의 타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로드 마운팅 홀(4)이 설치된다.
즉, 후드(2)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고, 운전자 등이 한 손으로 후드(2)의 선단부를 상부로 들어 올린 후 다른 한 손으로 후드 스테이 로드(3)를 로드 마운팅 홀(4)에 끼우면 그 후드 스테이 로드(3)에 의해 후드(2)가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후드(2)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후드 스테이 로드(3)를 로드 마운팅 홀(4)에서 뺀 후, 후드(2)를 닫으면 된다.
그리고, 로드 마운팅 홀(4)을 후드(2)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소에 형성시켜 후드 스테이 로드(3)를 어느 로드 마운팅 홀(4)에 끼우는가에 따라 후드(2)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로드 마운팅 홀(4)을 여러 개 형성시킨 경우, 어느 하나의 로드 마운팅 홀(4)에 후드 스테이 로드(3)를 끼워 후드(2)를 소정 각도로 개방시킨 다음, 운전자 등이 필요에 의해 후드(2)의 개방 각도를 다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 후드(2)를 잡고 다른 손으로 후드 스테이 로드(3)를 로드 마운팅 홀(4)에서 빼낸 후 다른 로드 마운팅 홀(4)에 끼우는 과정이 필요하여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게다가, 여러 개의 로드 마운팅 홀(4)을 형성시킴에 의하여 후드(2) 하면의 미관이 불량한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드 스테이 로드가 끼워지는 부위를 후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후드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후드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지지수단의 타측이 끼워지는 로드 마운팅 홀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일측 선단이 상기 걸림턱에 끼워지거나 그 걸림턱에서 빠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걸림턱 쪽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드 지지수단은 긴 길이를 갖는 후드 스테이 로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후드 개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차체(1)에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10)의 내면에 그 후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레일(12)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12)에는 그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14)가 장착된다.
상기 레일(12)과 슬라이더(14)의 구조는 도3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상기 레일(12)에는 걸림턱(16)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16)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블록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레일(12)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그 슬라이더(14)에는 후드 지지수단인 후드 스테이 로드(3)가 끼워질 수 있는 로드 마운팅 홀(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에는 선단이 걸림턱(16)에 끼워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스토퍼(18)가 레일(12)의 좌, 우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18)는 그 선단이 걸림턱(16) 쪽으로 이동되도록 스프링(17)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8)에는 운전자 등의 손으로 그 스토퍼(18)를 스프링(17)의 탄성 반발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스토퍼(18)를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19)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후드(10)를 개방하려면 후드(1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해제시킨 후, 운전자 등은 한 손으로 후드(10)의 선단부를 상부로 들어 올려 후드(10)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다른 한 손으로 후드 스테이 로드(3)를 슬라이더(14)에 형성된 로드 마운팅 홀(4)에 끼우면 후드 스테이 로드(3)에 의해 후드(1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후드(10)의 개방각도는 그 후드(10)에 설치된 레일(12)의 어느 위치에 슬라이더(14)가 유지되어 있는가에 따라 결정되는바, 이하에서는 후드(10)의 개방각도 조절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드(1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려면, 후드 스테이 로드(3)가 로드 마운팅 홀(15)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드(10)를 한 손으로 잡아 후드(10)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스토퍼(18)를 그 선단이 걸림턱(16)에서 이탈되도록 힘을 가하여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는 슬라이더(14)가 레일(1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슬라이더(14)를 레일(12)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잡고 있던 스토퍼(18)를 자유로운 상태로 놓으면, 스토퍼(18)가 스프링(17)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걸림턱(16)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더(14)의 이동이 제한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14)가 레일(12)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후드(10)의 개방각도가 변화되며, 이는 슬라이더(14)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후드(10)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드의 개방 상태를 후드 스테이 로드(3)에 의해 수행하고 있으나, 가스 리프터 등과 같은 다른 후드 지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에 의하면, 후드 스테이 로드가 끼워지는 로드 마운팅 홀이 구비된 슬라이더가 후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후드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 개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후드 개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3 : 후드 스테이 로드
10 : 후드 12 : 레일
14 : 슬라이더 15 : 로드 마운팅 홀
16 : 걸림턱 17 : 스프링
18 : 스토퍼 19 : 손잡이

Claims (2)

  1. 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후드(10)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16)이 구비된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지지수단의 타측이 끼워지는 로드 마운팅 홀(15)이 형성된 슬라이더(14)와,
    일측 선단이 상기 걸림턱(16)에 끼워지거나 그 걸림턱(16)에서 빠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14)에 장착된 스토퍼(18)와,
    상기 스토퍼(18)가 걸림턱(16) 쪽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지지수단은 긴 길이를 갖는 후드 스테이 로드(3)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KR10-2003-0081614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KR10052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14A KR100527134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14A KR100527134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4A KR20050047814A (ko) 2005-05-23
KR100527134B1 true KR100527134B1 (ko) 2005-11-09

Family

ID=3724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14A KR100527134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10B1 (ko) * 2021-06-23 2022-09-16 김용이 자동차 후드패널의 개방각도 조절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10B1 (ko) * 2021-06-23 2022-09-16 김용이 자동차 후드패널의 개방각도 조절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4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534B2 (ja) 作動調節装置
JP2006111250A (ja) 建設重装備用サイドドアの開放角度制御装置
KR100527134B1 (ko) 자동차의 후드 개방각도 조절구조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KR100844676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KR100911572B1 (ko) 테일게이트 글래스의 힌지장치
JPH08319754A (ja) 自動閉戸装置
KR200353440Y1 (ko) 측면상향개폐식 차량문짝용 힌지
KR100368385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KR100520777B1 (ko) 차량의 후드 힌지
JP3071581U (ja) 揺動開閉式採光窓
JPH08226279A (ja) 自閉式重ね引戸装置
KR100534249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KR10034685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장치
KR100507535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
JP4930342B2 (ja) 窓開閉装置
JP2007112336A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410852B1 (ko) 자동차용 엔진후드의 지지장치
KR20020047788A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20070055278A (ko) 차량용 가스 리프터
KR10053427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열림량 조절장치
KR970003674Y1 (ko) 자동차의 본넷트 개폐구조
KR20050006596A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KR102187574B1 (ko) 트렁크 리드 개방속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