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033B1 -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 Google Patents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033B1
KR100527033B1 KR1020050031101A KR20050031101A KR100527033B1 KR 100527033 B1 KR100527033 B1 KR 100527033B1 KR 1020050031101 A KR1020050031101 A KR 1020050031101A KR 20050031101 A KR20050031101 A KR 20050031101A KR 100527033 B1 KR100527033 B1 KR 10052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osed
interlocking
window fra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일
Original Assignee
최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일 filed Critical 최윤일
Priority to KR102005003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창문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에 의한 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방범용 창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장치가 더 포함된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리재질의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둘레부가 맞물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벽체에 설치되는 제2창틀; 상기 제2창틀의 실내쪽 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에 상응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면서 벽체에 설치되는 제1창틀; 일면에는 상기 투명판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는 밀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창이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되며, 다수개가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1창틀과 제2창틀 간 이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양단이 맞물리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내측에는 연동롤러와 이 연동롤러와 연동되는 권취롤러가 내장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배치된 연동롤러와 하단에 배치된 연동롤러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하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상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방지지대 또는 하방지지대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면 남은 다른 하나도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기구가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Window protecting the breakage of pane and having crime preventing ability}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창문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에 의한 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방범용 창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장치가 더 포함된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강수량이 많고 태풍이 잦은 지역에서는 강풍으로 인한 유리창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그 강도가 작은 유리창의 전면으로 강한 바람이 압력을 가하면서 유리창의 강성을 넘는 횡압력을 견디지 못한 결과이다. 하지만, 강성을 높이기 위해 강화유리를 설치하는 것은 건축비 부담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저층세대의 경우에는 도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창문 등에 방범창살을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범창살은 그 탈부착이 불가능하므로 항시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미감을 해쳐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반 유리재질의 창문이라도 강풍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한편, 방범창살로서 그 활용이 불요할 경우에는 이를 쉽게 제거하여 미감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재질의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둘레부가 맞물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벽체에 설치되는 제2창틀;
상기 제2창틀의 실내쪽 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에 상응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면서 벽체에 설치되는 제1창틀;
일면에는 상기 투명판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는 밀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창이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되며, 다수개가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1창틀과 제2창틀 간 이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양단이 맞물리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내측에는 연동롤러와 이 연동롤러와 연동되는 권취롤러가 내장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배치된 연동롤러와 하단에 배치된 연동롤러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하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상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방지지대 또는 하방지지대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면 남은 다른 하나도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기구;
가 포함된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는, 중공을 갖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지지부를 상기 밀착부재의 대향면에 더 구비하고, 하방지지대가 상방지지대보다 그 비중이 크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구조에 있어서,
상면은 소정곡률로 만곡되고 저면은 평평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상방지지대가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쪽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수평이동을 탄발하는 탄발체와, 상기 걸림턱과 연동되어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동바가 구비된 고정대; 및,
상기 연동바와 연동되게 연결되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가 더 포함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는, 유리재질의 투명판(120); 상기 투명판(120)의 둘레부가 맞물리는 삽입홈(112')이 형성된 제2개구부(111')를 포함하고, 벽체에 설치되는 제2창틀(110'); 상기 제2창틀(110')의 실내쪽 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111')에 상응하는 제1개구부(111)를 구비하면서 벽체에 설치되는 제1창틀(110); 일면에는 상기 투명판(120)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는 밀착부재(134 ; 도 3 참조)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창(120)이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되며, 다수개가 가요성 연결로프(137 ; 도 3 참조)를 매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1창틀(110)과 제2창틀(110') 간 이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방지지대(131) 및 하방지지대(132); 상기 상방지지대(131) 및 하방지지대(132)의 양단이 맞물리는 가이드홈(141)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방지지대(131) 및 하방지지대(13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40); 및,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내측에는 연동롤러(153 ; 도 4 참조)와 이 연동롤러(153)와 연동되는 권취롤러(154 ; 도 4 참조)가 내장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단에 배치된 연동롤러(153)와 하단에 배치된 연동롤러(153' ; 도 4 참조)는 벨트(156 ; 도 4 참조)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단에 배치된 권취롤러(154)는 상기 하방지지대(132)와 로프(155 ; 도 4 참조)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배치된 권취롤러(154')는 상기 상방지지대(131)와 로프(155' ; 도 4 참조)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방지지대(131) 또는 하방지지대(132)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면 남은 다른 하나도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기구(150)가 포함된다.
상기 투명판(120)과 제2창틀(110')은 일반적인 종래 창문구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에서는 상기 종래 창문구조에서 실내쪽으로 제1창틀(110)이 더 포함되는 한편, 상기 제1창틀(110) 및 제2창틀(110') 사이 이격공간으로 상방지지대(131)ㆍ하방지지대(132)ㆍ가이드레일(140)ㆍ연동기구(150) 등이 더 탑재된다.
상기 지지대(131, 132)는 상방지지대(131)와 하방지지대(132)로 구분된다. 이러한 지지대(131, 132)는 투명판(120)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게 배치되어서 강풍에 의한 투명판(120)의 휨을 막는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131, 132)는 쉽게 휘지 않는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적인 구조 또한 휨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해야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대(131, 132)는 쉽게 휘지않는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131, 132)의 제시된 실시예를 보면, 휨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중공(136)을 갖는 한편 삼각의 단면형상을 이루는 지지부(135)가 상기 밀착부재(134)의 대향면에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31, 132)는 방범창의 기능을 겸하므로 쉽게 절단되지 않도록 충분한 체적의 금속재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밀착부재(134)는 상기 지지대(131, 132)가 배치된 구조상 투명판(120)의 일면과 긴밀하게 맞붙게 되는데, 상기 투명판(120)이 지지대(131, 132)와 밀착되면서 훼손 및 파손되는 것을 막고, 강풍에 의한 투명판(120)의 진동 시 이를 완충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131, 132)는 다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연결로프(137)를 매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방지지대(131)와 하방지지대(132)에 각각 3개씩의 지지대를 구비하였다. 상기 연결로프(137)는 가요성을 지니므로 상기 지지대들 간의 이격거리를 연결로프(137)의 길이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가이드레일(140)은 상기 지지대(131, 132)의 양단이 각각 맞물리도록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31, 132)는 상기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상하로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을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동기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내측에는 연동롤러(153)와 권취롤러(154)가 내장된다. 상기 연동롤러(153)는 가이드레일(14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연동기구(150)와 가이드레일(14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연동기구(150')에서 벨트(156)를 매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단 연동기구(150)의 연동롤러(153)와 하단 연동기구(150')의 연동롤러(153')는 이중 하나만 회전되도 남은 다른 하나는 벨트(156)에 의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156)를 'X' 자형으로 꼬아 상기 연동롤러(153, 153')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연동롤러(153, 153')와 동축으로 고정된 권취롤러(154, 154')는 연동롤러(153, 153')의 회전과 더불어 회전한다. 이때, 상단 연동기구(150)에 내장된 권취롤러(154)는 로프(155)를 매개로 상기 하방지지대(132)와 연결되고, 하단 연동기구(150')에 내장된 권취롤러(154')는 로프(155')를 매개로 상기 상방지지대(13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롤러(154, 154')가 회전하면 로프(155, 155')가 권취롤러(154, 154')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면서 상기 상방지지대(131)는 하방으로, 상기 하방지지대(132)는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람이 상기 지지대(131, 132)를 사용할 목적으로, 상방지지대(131) 또는 하방지지대(132)를 아래로 또는 위로 이동시키면, 해당 지지대의 이동은 물론 남은 다른 하나의 지지대도 이동하게 된다.(도 1의 b도면 참조) 이러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대(131, 132)에는 손잡이(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150)는 가이드레일(140)의 가이드홈(141)과의 연장을 위해 지지대(131, 132)의 양단과 맞물리는 가이드홈(152, 152')을 갖는 한편, 상기 상단 연동기구(150)와 하단 연동기구(150')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156)의 동작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개방홈(151, 151')이 더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0)은 창틀(110)의 벽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그 이격공간으로 상기 벨트(156)가 배치되므로, 상기 개방홈(151, 151')은 상기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로프(155, 155')는 상기 가이드홈(141, 152, 152')을 따라 이동될 것이다.
도 2에 인출된 'c'는 접착면으로, 제2창틀(110')과 제1창틀(110)이 상호 고정되는 곳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턱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단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명판(120) 상에 배치된 지지대(131, 132)는 현 위치를 고수해야 한다. 따라서, 배치된 지지대(131, 132)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대(142)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고정대(142)는, 상면은 소정곡률로 만곡되고 저면은 평평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상방지지대(131)가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부쪽 가이드홈(141)에 배치되는 걸림턱(143)과, 상기 걸림턱(143)의 수평이동을 탄발하는 탄발체(144)와, 상기 걸림턱(143)과 연동되어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4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동바(145)를 구비한다.
이로인해, 상기 상방지지대(131)는 하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상방지지대(131)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대(142)가 작동되는 모습을 순차도시한 것으로, 만곡된 상면과 맞물리는 상방지지대(131)는 별다른 간섭없이 걸림턱(143)을 밀어내면서 하방이동한다. 이때 수평이동되는 상기 걸림턱(143)은 탄발체(144)에 의해 탄발되어 외력이 소멸하면 걸림턱(143)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7은 상방지지대(13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대(142)가 작동되는 모습을 순차도시한 것으로, 평평한 저면과 맞물리는 상방지지대(131)는 강한 외력으로도 걸림턱(143)을 이동시킬 수 없어 그 이동이 저지된다. 이때, 상기 연동바(145)를 잡아 당기면 걸림턱(143)이 수평이동하면서 상방지지대(131)의 상방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턱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동바(145)는 걸림턱(143)을 외부에서 이동시켜 상방지지대(131)의 상방이동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창(100)에 인접한 실내 벽면에 상기 연동바(145)와 연결된 손잡이(148)를 설치함으로서, 손잡이(148)의 조작으로 상방지지대(131)를 위로 올릴 수 있다.
한편, 상방지지대(131)의 상방이동을 강하게 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142)는 상방지지대(131)를 이루는 지지대의 갯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지지대로 구성된 상방지지대(131)의 상방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세개의 고정대(142)를 구비하였다.
그런데, 상기 3개의 고정대(142)에는 각각 연동바(145)를 포함하므로, 이 연동바(145)를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해 이들을 잇는 이음대(146)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이음대(146)와 손잡이(148)를 연결하는 고정바(147)도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손잡이(148)를 수평이동시키면 그 이동력이 상기 고정바(147)와 이음대(146)와 연동바(145) 및 걸림턱(143) 순으로 전달되어서,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턱(143)이 수평이동되고, 이로인해 상방지지대(131)의 상방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방지지대(132)를 상방지지대(131)보다 더 무거운 것이 좋다. 이는 하방지지대(132)의 하중이 상방지지대(131)를 들어올릴만큼 충분하다면 상기 걸림턱(143)의 방해가 소멸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대(131, 132)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복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주자가 지지대 사용을 중단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48)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해진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에 의한 유리창의 휨으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에서만이 그 사용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지지대로서 방범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유지 및 관리에 따른 비용이 없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턱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턱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창 110, 110' ; 창틀
111, 111' ; 개구부 112' ; 삽입홈
120 ; 투명판 131, 132 ; 지지대
133 ; 손잡이 134 ; 밀착부재
135 ; 지지부 136 ; 중공
137 ; 연결로프 140 ; 가이드레일
141 ; 가이드홈 142 ; 고정대
143 ; 걸림턱 144 ; 탄발체
145 ; 연동바 146 ; 이음대
147 ; 고정바 148 ; 손잡이
150, 150' ; 연동기구 151' ; 개방홈
152, 152' ; 가이드홈 153, 153' ; 연동롤러
154, 154' ; 권취롤러 155, 155; ; 로프
156 ; 벨트

Claims (3)

  1. 유리재질의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둘레부가 맞물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벽체에 설치되는 제2창틀;
    상기 제2창틀의 실내쪽 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에 상응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면서 벽체에 설치되는 제1창틀;
    일면에는 상기 투명판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는 밀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창이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되며, 다수개가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1창틀과 제2창틀 간 이격공간의 상부에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방지지대;
    일면에는 상기 투명판의 실내쪽 면과 맞물리는 밀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창이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되며, 다수개가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제1창틀과 제2창틀 간 이격공간의 하부에 가요성 연결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하방지지대;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양단이 맞물리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내측에는 연동롤러와 이 연동롤러와 연동되는 권취롤러가 내장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배치된 연동롤러와 하단에 배치된 연동롤러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하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며, 하단에 배치된 권취롤러는 상기 상방지지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방지지대 또는 하방지지대 중 어느 하나만 이동하면 남은 다른 하나도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기구;
    상면은 소정곡률로 만곡되고 저면은 평평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상방지지대가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쪽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수평이동을 탄발하는 탄발체와, 상기 걸림턱과 연동되어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동바가 구비된 고정대; 및,
    상기 연동바와 연동되게 연결되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지지대 및 하방지지대는, 중공을 갖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지지부를 상기 밀착부재의 대향면에 더 구비하고, 하방지지대가 상방지지대보다 그 비중이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3. 삭제
KR1020050031101A 2005-04-14 2005-04-14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KR10052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01A KR100527033B1 (ko) 2005-04-14 2005-04-14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01A KR100527033B1 (ko) 2005-04-14 2005-04-14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033B1 true KR100527033B1 (ko) 2005-11-09

Family

ID=3730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101A KR100527033B1 (ko) 2005-04-14 2005-04-14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4716A (zh) 带有可倾斜板条的卷式百叶窗
KR200471155Y1 (ko) 고소 창문 개폐장치
KR101085060B1 (ko) 창호 프레임 일체형 단열셔터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100514382B1 (ko)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0527033B1 (ko) 방범 및 유리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용 창문구조
KR200432993Y1 (ko) 안전 창문 구조
KR200473378Y1 (ko)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10102329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KR200375764Y1 (ko) 스태킹 도어
JP7066500B2 (ja) 防水扉
JP2006169941A (ja) 換気装置
EP3241975B1 (en) Motorized roller shutter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WO2013068773A1 (en) Blinds system for installation in windows and doors
KR20130082259A (ko) 접이식 난간을 이용하는 안전 창호
JP2007332616A (ja) 開閉体装置
GB2201983A (en) Improved door
JP2008025202A (ja) 伸縮雨戸装置
CN2407112Y (zh) 防盗窗
CN2503811Y (zh) 多功能窗帘
KR101663507B1 (ko) 대피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창문구조
CN2422442Y (zh) 拉闸式自动升降防护窗
CA2976501A1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