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93Y1 - 안전 창문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 창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93Y1
KR200432993Y1 KR2020060025406U KR20060025406U KR200432993Y1 KR 200432993 Y1 KR200432993 Y1 KR 200432993Y1 KR 2020060025406 U KR2020060025406 U KR 2020060025406U KR 20060025406 U KR20060025406 U KR 20060025406U KR 200432993 Y1 KR200432993 Y1 KR 200432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afety
bar
windows
safety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060025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창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부미관을 고려하여 창문을 열면 가로 방향으로 안전바가 나타나고 닫으면 창문 속으로 들어가서 안전바가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건물의 이미지를 현저하게 개선하고, 창문짝이 항상 안전바에 걸쳐 있으므로 창문짝의 이탈이나 탈락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설비 강도를 높이며, 이 안전바는 난간 기능을 발휘하여 사람의 추락이나 물품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 창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10)과, 이 창문틀(10) 내에 짜여진 창유리(30)를 가지는 창문(20)으로 구성되는 창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문(2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납 은폐바(40)와, 상기 수납 은폐바(40)와 동일 수평위치이면서 상기 창문틀(1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은폐식 안전바를 창문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지름이 큰 원통형 쇠파이프로 된 추락방지용 바를 채택하고 있는 건물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미적 외관을 보여주며, 구조도 간단하고 자재비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설치 시에 대형 공사용 사다리차를 이용하거나 벽면에 들리 구멍작업 및 앵커 박음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성이 매우 좋으며, 안전바나 수납 은폐바는 창문틀이나 창문에 붙박이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창호나 창문의 노후화 가 진행 되었을 때 강풍이나 인위적 실수 등에 의하여 창문짝이 이탈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특히 학원 시설에서 학생의 유리창 청소 시에 창문에 의존할 시설이 없어 실족사고가 빈번한 단점 을 감안하여 고안된 점에 비추어 보면 그 안전도는 최고로 보장되는 것이며, 상아탑이라고 하는 학원 분위기 조성에 있어서 최적의 안전 창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창문, 창문틀, 안전바, 수납 은폐바, 건물

Description

안전 창문 구조{Bar Type Safety Window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실제 물품 사진(창문 닫힘상태),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실제 물품 사진(창문 열림상태),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구조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구조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20 : 창문
30 : 창유리 40 : 수납 은폐바
50 : 안전바 60 : 호차
70 : 스토퍼
본 고안은 안전 창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부미관 을 고려하여 창문을 열면 가로 방향으로 안전바가 나타나고 닫으면 창문 속으로 들어가서 안전바가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건물의 이미지를 현저하게 개선하고, 창문짝이 항상 안전바에 걸쳐 있으므로 창문짝의 이탈이나 탈락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설비 강도를 높이며, 이 안전바는 난간 기능을 발휘하여 사람의 추락이나 물품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 창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환기·채광을 목적으로 건축물의 벽이나 지붕에는 개구부(開口部) 형태로 창문을 설치한다. 이러한 창문은 조망(眺望)·감시를 위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며 긴급 시에는 피난구로도 쓰이며, 실내에서 보아 눈높이 정도에 만드는데 기능에 따라서는 특이한 위치에도 설치한다. 그 예로는 지붕에 설치하는 천창(天窓), 바닥면과 접하는 청소창, 상인방(上引枋) 위에 설치하는 환기창, 외벽면에 돌출하여 설치하는 내닫이창 등이 있다. 이 밖에 공장이나 고딕식 교회 건축에 쓰이는 것으로, 지붕 위로 돌출시켜서 작은 지붕을 얹고 그 측면을 창으로 하는 고창(高窓;clearstory)이 있다.
창은 모양·목적·재료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여닫는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주로 조망·채광에 이용되며 고정된 창문에 유리를 끼우거나 창호지를 붙여 만드는 여닫을 수 없는 고정창인 붙박이창과, 여러 개의 창을 홈이나 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켜서 여닫는 구조로서 채광이나 환기의 양을 조절하기 쉬운 미세기창과, 창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벽 속으로 밀어넣는 구조로서 창의 나비를 100% 열 수 있는 미닫이창과, 세로형 미세기창으로 2짝의 창을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2짝이 같이 움직이는 연동형(連動形)과 각각 움직이는 분동형(分動形)의 구조로서 환기의 효율은 좋지만 메커니즘이 복잡하여 고장나기 쉬운 오르내리창과, 경첩을 사용하여 2짝의 창을 창문에 부착시켜 안팎으로 밀거나 당겨서 여닫는 구조로서 주로 양옥에 쓰이는 쌍여닫이창 및 1짝인 외여닫이창, 외짝창의 축을 수평으로 붙인 형태로서 보통은 창문의 위쪽에 축을 붙이고 창의 아래쪽을 밖으로 밀어서 여는데, 칸막이벽 등에서는 광선이나 음향의 반사를 고려해 아래쪽에 축을 붙이기도 하는 밀어내기창, 빌딩 등 고층건물에 많이 쓰이는 것으로 밀어내기창과 비슷하며, 창을 밀어냄에 따라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의 이동축창, 외짝창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설치하여 수직이나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한 구조로서 90˚까지 열 수 있어 창의 바깥면을 닦기가 쉬운 회전창 등이 있다.
이러한 창문에는 반드시 창문이 포함되어 이들 모두를 창문이라고 부르며 창문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창문재료는 주로 나무·강철·알루미늄·플라스틱 등이 많이 쓰이는데 일반적으로 목제보다는 금속제가 방수성·기밀성(氣密性)이 뛰어난 것은 자명하며, 창유리는 투명판유리가 가장 널리 쓰이고, 방범·방화상 필요할 때는 강화(强化)유리·망입(網入)유리가 사용되고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때는 불투명유리가 쓰이며, 그 밖에 색유리 및 여러 종류의 무늬유리가 차광이나 장식용으로 이용되며, 플라스틱판도 쓰인다.
한편, 이러한 창문의 외부에는 추락방지를 위하여, 아파트 등지에서는 베란다에 난간을 설치하고 학교 등지에서는 어린이들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름이 큰 원통형 쇠파이프로 된 추락방지용 바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 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기구적 구조로서 창문 등에 설치하여 창문을 개방하면 와이어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어린이의 추락사고나 창밖으로 물품이 추락하여 지상에서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 창문을 통하여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범기능까지 갖춘 구조도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지름이 큰 원통형 쇠파이프로 된 추락방지용 바는, 그 안전사고 방지 기능에 비하여 턱없이 대형 물품이어서 심한 자재낭비를 초래하는 면이 있고 설비 시에는 대형 공사용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성이 까다로우며, 특히 외관을 심히 해치는 것이어서 "현자들의 가르침으로 든든히 무장된 조용한 성채(quiet citadel)에서 초연하게 지낼 수 있는 상아탑"이라고 하는 학원 조성에 있어서는 가능한한 면학분위기를 적극 조성하는 쪽으로 엑스테리어나 인테리어를 꾸며야 하는 것이 당연지사라 할 것인데, 바로 이 점에서 기존의 원통형 안전바는 학원 시설물로서는 적합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또 이러한 외벽면 돌출형 안전바 등은 외벽에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외부미관을 심히 훼손하는 점과 더불어, 창호/창문 노후로 강풍이나 인위적인 작은 실수로도 창문짝이 이탈이나 탈락으로 안전사고가 예상되고 있으며, 유리창 청소도중 창문에 의존할 시설이 없어 실족사고가 빈번한 단점이 있다.
또 안전망을 창문이나 창문 외부에 설치하여 베란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추락사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은 안전망은 기존의 창문 외부에 별도의 창문과 안전망을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하였고, 안전망만을 제작하여 창문에 붙여 사용하여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망은 매우 부실하게 창문에 고정되어 있어 창문의 개방 후에 가벼운 외력에도 안전망이 쉽게 창문로부터 이탈되어 아이들이 창문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문틀(10)과, 이 창문틀(10) 내에 짜여진 창유리(30)를 가지는 창문(20)으로 구성되는 창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문(2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납 은폐바(40)와,
상기 수납 은폐바(40)와 동일 수평위치이면서 상기 창문틀(1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50)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20)의 닫힘상태에서는 상기 안전바(50)가 상기 수납 은폐바(40) 내로 수납되어 은폐됨으로써 창문의 미관을 해치치 않고, 상기 창문(20)의 열림상태에서는 상기 안전바(50)가 상기 수납 은폐바(40)로부터 노출되어 나타남으로써 창문의 내외를 격리하여 인명과 물품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gksek.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안전바(50)의 반대측 창틀(10)에는 창문(20)의 완전열림을 방지하는 스토퍼(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물의 외부미관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으로 창문을 열면 가로 방향으로 안전바가 나타나서 안전 기능을 하고, 창문을 닫으면 창문 속으로 안전바가 수납되어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건물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창문짝의 상시 안전도를 향상하며 난간 기능을 발휘하여 사람의 추락이나 물품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실제 물품 사진(창문 닫힘상태),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실제 물품 사진(창문 열림상태),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구조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구조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일반적인 창문틀, 20은 이 창문틀(10) 내에 짜여진 창문이고 30은 창문(20) 내에 붙박이된 창유리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창문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에 상기 창문(2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수납 은폐바(40)를 고정설치하고, 역시 상기 창문틀(1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안전바(50) 고정설치하고 있다. 도1 및 도 2에 정확하고 간단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60은 창문(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일반적인 호차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로서, 하단부에 다수개의 수납 은폐바(40) 및 안전바(50)를 설치 하고 있는 구조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안전바(50)가 설치되는 반대측에 창문(20)의 완전열림을 방지하는 스토퍼(7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스토퍼(70)는 수납 은폐바(40) 속으로부터 안전바(50)가 임의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상태에서 창문을 일측으로 밀어 개방하면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부인 안전바(50)가 수납 은폐바(40)속으로부터 노출되면서 나타난다. 이는 도 1의 닫힘상태에서 전혀 보이지 않게 되지만, 환기 등의 필요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창문 개방상태가 되면 안전바(50)는 드러나고 닫힘상태에서나 마찬가지로 외부와 차단되어 안전구조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창문을 끝까지 일측으로 밀어낼 때에 안전바(50)의 타측에는 이 안전바(50)의 끝단과 맞닿는 스토퍼(70)가 설치되어 창문틀(1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20)은 완전 열림이 저지된다.
이것은 창문을 열었을 때, 상기 수납 은폐바(40)로부터 안전바(50)가 완전히 빠져나오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안전바(50)의 끝단이 수납 은폐바(40)로부터 바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 주고 있다. 도 5a 및 5b는 창문 아래부분에 다수개의 안전바(50)를 설치한 형태이고 도 5c 및 도 5d는 창문 상하 끝부근에 근접하여 설치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 니한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응용 가능한 것임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통상의 창문 구조에 더하여 수납 은폐바(40)와 안전바(50)를 이용하고 있는 본 고안은, 건물의 외부미관에 주안점을 두고 안출된 것으로 창문 개방 시에는 안전바에 의한 안전 기능을 하고, 창문 폐쇄 시에는 창문 속으로 안전바가 수납되는 구조로 도히어 있기 때문에, 건물의 엑스테리어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창문짝의 상시 안전도를 향상하며 난간 기능을 발휘하여 사람의 추락이나 물품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 차단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안전 창문 구조에 의하면, 은폐식 안전바를 창문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지름이 큰 원통형 쇠파이프로 된 추락방지용 바를 채택하고 있는 건물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미적 외관을 보여주며, 구조도 간단하고 자재비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설치 시에 대형 공사용 사다리차를 이용하거나 벽면에 들리 구멍작업 및 앵커 박음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성이 매우 좋으며, 안전바나 수납 은폐바는 창문틀이나 창문에 붙박이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창호나 창문의 노후화 가 진행 되었을 때 강풍이나 인위적 실수 등에 의하여 창문짝이 이탈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특히 학원 시설에서 학생의 유리창 청소 시에 창문에 의존할 시설이 없어 실족사고가 빈번한 단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점에 비추어 보면 그 안전도는 최고로 보장되는 것이며, 상아탑이라고 하는 학원 분위기 조성에 있어서 최적의 안전 창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창문틀(10)과, 이 창문틀(10) 내에 짜여진 창유리(30)를 가지는 창문(20)으로 구성되는 창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문(2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납 은폐바(40)와,
    상기 수납 은폐바(40)와 동일 수평위치이면서 상기 창문틀(10)의 내측에 가로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50)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20)의 닫힘상태에서는 상기 안전바(50)가 상기 수납 은폐바(40) 내로 수납되어 은폐됨으로써 창문의 미관을 해치치 않고, 상기 창문(20)의 열림상태에서는 상기 안전바(50)가 상기 수납 은폐바(40)로부터 노출되어 나타남으로써 창문의 내외를 격리하여 인명과 물품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50)의 반대측 창틀(10)에는 창문(20)의 완전열림을 방지하는 스토퍼(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창문 구조.
KR2020060025406U 2006-09-21 2006-09-21 안전 창문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32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06U KR200432993Y1 (ko) 2006-09-21 2006-09-21 안전 창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06U KR200432993Y1 (ko) 2006-09-21 2006-09-21 안전 창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93Y1 true KR200432993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40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2993Y1 (ko) 2006-09-21 2006-09-21 안전 창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3B1 (ko) * 2008-06-24 2009-01-08 미광창호주식회사 안전바가 내장된 창호구조
KR100924235B1 (ko) * 2009-03-13 2009-11-02 이은옥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KR100987737B1 (ko) 2010-04-20 2010-10-13 미광창호주식회사 창호에 내장되는 안전바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3B1 (ko) * 2008-06-24 2009-01-08 미광창호주식회사 안전바가 내장된 창호구조
KR100924235B1 (ko) * 2009-03-13 2009-11-02 이은옥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KR100987737B1 (ko) 2010-04-20 2010-10-13 미광창호주식회사 창호에 내장되는 안전바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05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안전창문구조
IT9035586U1 (it) Serranda arrotolabile e pieghevole.
US20200011115A1 (en) Vertical sliding window for a building
CN100535377C (zh) 应急门启闭装置
KR101694244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CN204941178U (zh) 一种防盗防蚊平开窗
CN105484619A (zh) 一种内开内倒窗
KR200432993Y1 (ko) 안전 창문 구조
CN201695909U (zh) 新型防火防盗门
CN103485702A (zh) 一种百叶防盗窗
CN203308359U (zh) 多功能窗户
US6481159B2 (en) Sash and case windows
CN206495617U (zh) 开启式金刚网防盗窗
CN206319820U (zh) 一种金刚网安全防护纱窗
KR101099770B1 (ko) 안전방충망과 난간대를 겸비한 창호
CN203783372U (zh) 平移式安全窗
CN205445325U (zh) 一种内开内倒窗
KR101558513B1 (ko)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CN100545410C (zh) 一种具有防盗、防蚊结构的多功能平开窗
CN201535115U (zh) 平开式安全防护纱窗
CN201730507U (zh) 一种半隐蔽式窗户安全防护栏
KR20130082259A (ko) 접이식 난간을 이용하는 안전 창호
CN201106389Y (zh) 滑动式多功能窗体护栏
JPH0853983A (ja) 住 宅
US20070033881A1 (en) Safety and security block window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82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