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439B1 -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439B1
KR100526439B1 KR1020050003429A KR20050003429A KR100526439B1 KR 100526439 B1 KR100526439 B1 KR 100526439B1 KR 1020050003429 A KR1020050003429 A KR 1020050003429A KR 20050003429 A KR20050003429 A KR 20050003429A KR 100526439 B1 KR100526439 B1 KR 10052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pike
spikes
vehicl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준
Original Assignee
박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준 filed Critical 박일준
Priority to DE602005015013T priority Critical patent/DE602005015013D1/de
Priority to PCT/KR2005/003584 priority patent/WO2006049403A1/en
Priority to AT05823095T priority patent/ATE433879T1/de
Priority to US11/663,019 priority patent/US7624778B2/en
Priority to EP05823095A priority patent/EP1809492B1/en
Priority to CA002586396A priority patent/CA25863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1)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삼각형상으로 일 꼭지점이 복륜(1)의 사이로 삽입되고 그 대변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넓은 면이 복륜의 외주연 측을 향하면서 좌우측 각 변은 복륜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113)가 구비된 지지구(111)를 형성하고, 복륜(1)의 외주연 측으로 지지구(111)와 결합되어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을 형성하며, 복륜(1)의 타이어 사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꼭지점에 결합부(112)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복수로 형성하는 스파이크(110)와,
상기 스파이크(110)의 결합부(112)로 와이어(121)를 삽입시켜 복수로 형성된 스파이크(110)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한 간격유지구(120)와,
상기 간격유지구(120)의 와이어(121) 일단으로 고리 형상의 잠금 고리(1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지지 하는 탄성체(134)가 구비된 탈착레버(132)를 형성하여 복륜(1)의 스파이크(110)를 복수로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잠금고리(131)를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체(134)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되는 장착시 스파이크(110) 상단에 상응 밀착하도록 돌출형성하여 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밀림방지편(139)으로 스파이크(110)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탈착레버(132)를 작동하여 결합하는 잠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Preventing Device of Slid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미끄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대형차량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의 타이어 사이 공간으로 지형이나 날씨에 따른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제동돌기나 제동구가 구비된 제동판이 형성된 스파이크를 복수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의 사이에 잠금부로 정확하게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수십톤의 압력으로 하부를 누르는 대형차량의 복륜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빙판이나 눈길, 사막, 늪지대 빗길 등의 악천 우에 대비하여 상황에 맞는 제동판과 스파이크를 간편하게 교체 하여 사용함으로써, 지형에 대한 적응력이 탁월하며, 안정된 주행성능과 정지력을 크게 향상시켜 노면의 상태에 따라 서행 주행하던 대형 차량의 속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사고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눈에 의해 도로가 얼었을 때 자동차의 타이어에 장착하는 스노우 체인이 대표적인 것으로, 악천후에 의한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사용되었으나, 고속도로와 같이 도로 손상에 따른 사고 발생률이 큰 지역에서는 체인을 장착할 수 없으며, 스노우 타이어(snow tire)나 스파이크 타이어(spike tire)와 같은 특수 형태의 타이어를 사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스노우 체인은 케이블에 의한 사다리 형상의 체인이나 우레탄에 의해 블록상으로 연결된 형태의 일체형 스노우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일체형 스노우 체인은 주행 중 그 연결고리 또는 연결케이블이 단선되면 전체 스노우 체인의 고정력이 유실되어, 그 타이어로부터 스노우 체인 전체가 이탈 분실되거나 이탈되지 않더라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체형 스노우 체인은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착 및 분리에 어려움이 있고, 갑작스런 눈길이나 빙판길을 만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장착 할 수 없으며, 자동차를 전후로 움직여가며 장착하여야 함으로써, 급경사로에서는 이에 대체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체형 스노우 체인은 일반 승용차의 타이어에 알맞게 장착되도록 적용되는 것으로, 승객이나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버스 또는 화물차의 경우 그 동력전달륜인 후륜이 복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복륜 상의 타이어는 개당 부담중량을 경감시켜 펑크 위험을 낮추는 것이며, 특히 타이어 지름이 작아지면 타이어 개당 주입공기의 부피가 줄어 노면 충격시 보다 유리하므로 일체형 스노우 체인은 대부분 복륜을 채택한 대형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체형 스노우 체인은 체인의 장착 및 분리가 매우 번거로움은 물론 수송용 차량의 복륜 타이어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그 지름이 작은 것을 감안할 때 승용차용으로 제작된 스노우 체인은 화물차나 버스 등의 타이어에 장착 시 그 장착 고정력 및 밀착력이 떨어져 효과적인 동력 전달 및 정지력을 갖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차량의 복륜에 형성되는 스노우 체인을 제시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10)은 대형 차량의 후륜 측으로 형성된 복륜(11)에 복수로 형성된 체인을 타이어의 중앙을 통과하여 복수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의 중앙 측으로 스노우 체인을 삽입한 상태로 복수로 체결하는 것으로, 체결이 간편하고 차량의 중량에 상관 없이 신속하게 체결이 가능하며, 정지 상태에서 체결이 가능함으로 설치가 쉽고,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일반륜이나 복륜의 크기와 넓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의 외주연에서 내부 측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타이어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스노우 체인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되는 타이어에 정지력을 계속적으로 전달하면 간격이 유지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복륜에 전체적이고 일정한 제동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집중된 체인 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체인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은 화물이 적재된 대형차량의 중량으로 정지력을 가지는 스파이크가 형성된 스노우 체인 측으로 운행 시에 하중이 집중되어 복수로 각각 고정된 스노우 체인의 결속부분이 이탈되어 제동력이 갑자기 상쇄됨으로 대형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크게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은 겨울철에 눈과 비와 같은 습기가 노면에 결빙되어 형성된 빙판길을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돌출된 스파이크로 도로를 찍으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빙판이 아닌 노면에서 사용하면 노면에 큰 손상을 가져와서 사용이 금지되며, 고속도로와 같은 고속화 도로에서는 도로 손상에 의한 사고의 위험 때문에 겨울에도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의 횟수가 급감하여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스노우 체인은 간격을 유지하는 수단이 없는 상태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쿠션이 있어 체적이 변위되는 복륜에 바로 체결되는 것으로 불균일한 지형으로 주행 중에 복수로 형성된 체인이 한쪽으로 편중되면서 서로 엉키어 한방향으로 제동력을 발휘하면서 급격한 코너링에 따른 원심력의 방향을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작용시켜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조향되어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대략 삼각형상으로 넓은 면이 타이어의 외주연 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타이어의 측부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며, 타이어의 외주연 측으로 제동판이 형성된 스파이크를 복수로 형성하고, 스파이크 지지구의 타이어의 내부측으로 향하는 삼각형상의 꼭지점 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하며, 결합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간격유지구를 형성하고, 간격유지구의 단부에는 한번의 조작으로 길이를 조정하면서 체결하는 잠금부를 형성하여 복륜의 타이어 사이에 복수의 제동판이 형성된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하여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이므로, 차량을 정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스파이크를 타이어에 위치하여 타이어 사이로 간격유지구를 통과시켜 잠금부로 간편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중량이 가벼운 스파이크와 와이어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누구나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자동차의 후륜에 적용되는 복륜의 타이어 사이 공간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된 스파이크를 결합하여 양측 타이어에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판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대형차량의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되지 않는 타이어 사이의 중앙 측에 스파이크를 결합시켜 외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정확한 제동력을 발휘하면서 운행이 가능함에 따라 운행성능을 향상시켜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 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개의 타이어가 연결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파이크를 타이어 사이의 내측으로 간격유지구로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 시에도 간격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스파이크의 한방향으로 모아지는 쏠림현상을 최소화 하여 복륜에 균일한 제동력을 전달시켜 운행성능을 향상하여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한 상태로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으로 타이어의 중앙 공간에 체결되는 스파이크를 대략 삼각형상으로 넓은 면이 타이어의 외주연 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꼭지점 방향이 복륜의 중심을 향하면서 간격유지구로 결합하고 양측 변으로 타이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복륜의 사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로 스파이크를 형성함으로써, 급격한 코너링과 같은 심한 노면의 변화에도 밀착된 스파이크가 타이어의 쿠션과 같이 유동하면서 제동력을 향상시켜 운행성능을 극대화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한 상태로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이므로, 타이어의 중앙 공간에 체결되는 스파이크의 지지부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와 차량의 하중을 고려하여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위치한 제동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좌우변이 복륜의 중앙 공간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외주연 측으로 타이어와 접촉하면서 제동하는 제동부에 다양한 제동부재를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빙판일 경우에는 강한 재질의 제동돌기를 형성하고, 사막이나 늪지 및 우천 시에는 우레탄, 타이어고무와 같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성재질을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 날씨 등에 따라 간편하게 제동부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되는 범위를 확장하여 범용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를 와이어, 체인, 회전로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에 따라 간격유지구를 자유롭게 선택 사용하여 선택범위가 확장되고 복수의 스파이크와 잠금부가 형성된 간격유지구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면서 파손된 스파이크만 손쉽게 교체 사용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삼각형상으로 일 꼭지점이 복륜의 사이로 삽입되고 그 대변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넓은 면이 복륜의 외주연 측을 향하면서 좌우측 각 변은 복륜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구비된 지지구를 형성하고, 복륜의 외주연 측으로 지지구와 결합되어 복륜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을 형성하며, 복륜의 타이어 사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꼭지점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복수로 형성하는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의 결합부로 와이어를 삽입시켜 복수로 형성된 스파이크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한 간격유지구와, 상기 간격유지구의 와이어 일단으로 고리 형상의 잠금 고리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구와 탄성지지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탈착레버를 형성하여 복륜의 스파이크를 복수로 간격유지구로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잠금고리를 길이조절구와 탄성체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되는 장착시 스파이크 상단에 상응 밀착하도록 돌출형성하여 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밀림방지편으로 스파이크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탈착레버를 작동하여 결합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스파이크는 복륜 타이어 사이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가 회전되도록 결합힌지를 형성하고, 복륜에 밀착되는 밀착부 내측으로 간격유지편을 돌출 형성하여 복륜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는 복륜에 밀착되는 밀착부의 중앙 측으로 회전되는 밀착힌지를 형성하고, 밀착힌지와 연결되는 부분에 지지편을 연장 형성하여 복륜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는 복륜에 밀착되는 밀착부의 중앙 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밀착슬라이드를 형성하고, 복륜에 밀착되는 밀착부 내측으로 간격유지편을 돌출 형성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복륜의 내측 방향으로만 간격을 조정하여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는 복륜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의 하부에 교체가 가능한 제동돌기를 형성하여 복륜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는 복륜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의 하부에 우레탄 및 폐타이어의 연질재질로 형성된 제동구를 형성하여 복륜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단부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로드를 리벳으로 결합하여 스파이크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로드를 회전시켜 일정길이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간격유지구의 일단으로 잠금고리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합하는 결합레버를 탄성체에 연결 설치하여 잠금고리를 결합레버의 회전으로 결합하여 복륜에 복수의 스파이크와 간격유지구를 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는 스파이크의 결합부에 일측으로 통공형태로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공을 형성하고 간격유지구의 일단을 복륜의 직경 둘레에 위치하는 스파이크에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결합체결부를 형성하여 체결공구로 스파이크의 체결공에 체결시켜 복륜에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의 지지구 상부 양단부에 통공형태의 체인 연결공을 형성하고, 복수의 스파이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간격유지구를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으로 형성하여 체인을 체인 연결공에 체결하여 복수의 스파이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파이크의 지지구 중앙에 체인 체결공을 형성하고, 복수의 스파이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간격유지구를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에 맞게 체결수단으로 스파이크의 체인 체결공에 체인을 체결하여 복수의 스파이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스파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결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결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슬라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슬라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형성된 제동판에 제동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간격유지구에 다른 실시예인 회전로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간격유지구를 체인형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간격유지구를 체인에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도 2 내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미끄럼 방지장치(100)는 대형 차량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1)과 접지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제동판(114)이 구비되어 복륜(1)의 타이어 사이의 형태로 형성된 지지구(111)를 형성하여 복륜(1)을 제동하는 스파이크(110)와, 상기 스파이크(110)를 연결 결합하여 복수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한 간격유지구(120)와, 상기 간격유지구(120)의 양단에 형성되어 복수로 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된 스파이크(110)를 복륜(1)에 설치한 상태로 체결 고정하는 잠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파이크(110)는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1)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삼각형상으로 넓은 면이 복륜의 외주연 측을 향하면서 좌우측 각 변은 복륜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113)가 구비된 지지구(111)를 형성하고, 복륜(1)의 외주연 측으로 지지구(111)와 결합되어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을 형성하며, 복륜(1)의 타이어 사이 내측으로 꼭지점에 결합부(112)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복수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 타이어 사이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부(112)가 회전되도록 결합힌지(112a)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회전되는 밀착힌지(113b)를 형성하고, 밀착힌지(113b)와 연결되는 부분에 지지편(113c)을 연장 형성하여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밀착슬라이드(113d)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간격을 조정하여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의 하부에 교체가 가능한 제동돌기(115)를 형성하여 복륜(1)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의 하부에 우레탄 및 폐타이어의 연질재질로 형성된 제동구(116)를 형성하여 복륜(1)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120)는 스파이크(110)의 결합부(112)로 와이어(121)를 삽입시켜 복수로 형성된 스파이크(110)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도록 구성한다.여기서, 상기 간격유지구(120)는 단부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로드(124)를 리벳(125)으로 결합하여 스파이크(110)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리벳(125)을 중심으로 회전로드(124)를 회전시켜 일정길이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부(130)는 간격유지구(120)의 와이어(121) 일단으로 고리 형상의 잠금 고리(1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지지 하는 탄성체(134)가 구비된 탈착레버(132)를 형성하여 복륜(1)의 스파이크(110)를 복수로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잠금고리(131)를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체(134)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되는 스파이크(110)의 상단에 상응 밀착하는 위치에 돌출형성하여 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밀림방지편(139)으로 스파이크(110)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탈착레버(132)를 작동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한다.즉 상기 밀림방지편(139)은 스파이크(110)의 일측에 걸리도록 하여 와이어(121)에 의하여 인접한 스파이크(110)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는 본 장치가 제동시 받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134)가 늘어나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훅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여기서, 상기 잠금부(130)는 간격유지구(120)의 일단으로 잠금고리(1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힌지부(13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합하는 결합레버(136)를 탄성체(134)에 연결 설치하여 잠금고리(131)를 결합레버(136)의 회전으로 결합하여 복륜(1)에 복수의 스파이크(110)와 간격유지구(120)를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30)는 스파이크(110)의 결합부(112)에 일측으로 통공형태로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공(122b)을 형성하고 간격유지구(120)의 일단을 복륜(1)의 직경 둘레에 위치하는 스파이크(110)에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결합체결부(137)를 형성하여 체결공구(138)로 스파이크(110)의 체결공(112b)에 체결시켜 복륜(1)에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파이크(110)의 지지구(111) 상부 양단부에 통공형태의 체인 연결공(117)을 형성하고,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간격유지구(120)를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122)으로 형성하여 체인(122)을 체인 연결공(117)에 체결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스파이크(110)의 지지구(111) 중앙에 체인 체결공(118)을 형성하고,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간격유지구(120)를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122)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에 맞게 체결수단(123)으로 스파이크(110)의 체인 체결공(118)에 체인(122)을 체결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형태와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후와 주행노선에 따른 노면의 상태를 고려하여 겨울철 빙판길에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제동돌기(115)를 제동판(114)에 형성하고, 사막과 늪지대 및 우천으로 미끄러운 도로 등을 주행할 때는 우레탄 및 폐타이어의 연질재질로 형성된 제동구(116)를 제동판(114)에 형성하여 연결된 지지구(11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로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120)를 삽입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서로 결합시키되, 복륜(1)의 크기에 맞으면서 노면과 복륜(1)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인 수량으로 스파이크(110)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 타이어 사이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112)가 회전되도록 결합힌지(112a)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복륜(1)의 외측인 노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륜(1)의 측으로 회전하면서 접지력을 향상시켜 제동력을 극대화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회전되는 밀착힌지(113b)를 형성하고, 밀착힌지(113b)와 연결되는 부분에 지지편(113c)을 연장 형성하여 복륜(1)의 외측인 노면 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륜(1)의 측으로 회전하면서 접지력을 향상시켜 제동력을 극대화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밀착슬라이드(113d)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간격이 조정되면서 복륜(1)의 외측인 노면측으로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륜(1)의 측으로 간격이 조정되므로, 접지력을 향상시켜 제동력을 극대화 하도록 한다.
이렇게, 선택적인 수량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유지구(120)의 와이어(121)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로 결합한 상태에서 복륜(1)의 타이어 사이로 스파이크(110)의 제동판(114)이 좌우 복륜(1)의 외측으로 안치되면서 삼각형상의 내부 측 두변에 형성된 밀착부(113)로 복륜(1)의 내부 좌우측으로 밀착되어 유동을 최소화 한 상태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구(120)는 단부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로드(124)를 리벳(125)으로 결합하여 스파이크(110)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사용 하지 않을 때에는 리벳(125)을 중심으로 회전로드(124)를 회전시켜 일정길이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유지구(120)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한 상태로 복륜(1)의 타이어 사이로 설치한 상태에서 간격유지구(120)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고리(131)를 타단에 대략 사다리 형태로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길이조절구(133)에 길이에 맞도록 결합한 상태로 길이조절구(133)와 연결된 탄성체(134)의 탄성력을 이용하면서 결합되는 스파이크(110)의 위치에 밀림방지편(139)으로 밀림을 방지하면서 탈착레버(132)를 조작하여 체결시켜 복륜(1)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하여 복륜(1)에 설치한 상태로 잠금부(130)를 체결시켜 견고하게 복륜(1)에 설치하여 복륜(1)의 미끄럼 방지장치(100)를 설치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130)는 간격유지구(120)의 일단으로 잠금고리(1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힌지부(13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합하는 결합레버(136)를 탄성체(134)에 연결 설치하여 잠금고리(131)를 결합레버(136)의 회전으로 결합하여 복륜(1)에 복수의 스파이크(110)와 간격유지구(120)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130)는 스파이크(110)의 결합부(112)에 일측으로 통공형태로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공(122b)을 형성하고 간격유지구(120)의 일단을 복륜(1)의 직경 둘레에 위치하는 스파이크(110)에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결합체결부(137)를 형성하여 체결공구(138)로 스파이크(110)의 체결공(112b)에 체결시켜 복륜(1)에 복수의 스파이크(110)를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한 상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파이크(110)의 지지구(111) 상부 양단부에 통공형태의 체인 연결공(117)을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간격유지구(120)를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122)으로 형성하여 체인(122)을 체인 연결공(117)에 체결한 상태로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복수의 각형의 타원체로 연결된 체인(122)으로 형성된 간격유지구(120)를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수단(123)으로 스파이크(110)의 체인 체결공(118)에 체인(122)을 체결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날씨와 노면 등의 상태에 따라서 제동판(114)의 하부에 제동돌기(115)와 제동구(116)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스파이크(110)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대형 차량의 무게와 복륜(1)의 크기에 따른 강도를 고려하여 체인(122), 와이어(121) 및 회전로드(124)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간격유지구(120)에 결합시켜 복륜(1)의 타이어 사이에 안착한 상태에서 잠금부(130)로 체결하는 것으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차량의 움직임 없이 바로 복륜(1)의 빈 공간으로 삽입 결합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날씨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제동판(114)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결빙된 겨울철 뿐만 아니라 사막, 늪지대 등과 같이 대형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지형이나 빗길과 같이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대하고 조향 성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극대화 시킨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대략 삼각형상으로 넓은 면이 타이어의 외주연 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타이어의 측부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며, 타이어의 외주연 측으로 제동판이 형성된 스파이크를 복수로 형성하고, 스파이크 지지구의 타이어의 내부측으로 향하는 삼각형상의 꼭지점 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하며, 결합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간격유지구를 형성하고, 간격유지구의 단부에는 한번의 조작으로 길이를 조정하면서 체결하는 잠금부를 형성하여 복륜의 타이어 사이에 복수의 제동판이 형성된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하여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이므로, 차량을 정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스파이크를 타이어에 위치하여 타이어 사이로 간격유지구를 통과시켜 잠금부로 간편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중량이 가벼운 스파이크와 와이어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누구나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대형 자동차의 후륜에 적용되는 복륜의 타이어 사이 공간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된 스파이크를 결합하여 양측 타이어에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판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대형차량의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되지 않는 타이어 사이의 중앙 측에 스파이크를 결합시켜 외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정확한 제동력을 발휘하면서 운행이 가능함에 따라 운행성능을 향상시켜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두개의 타이어가 연결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파이크를 타이어 사이의 내측으로 간격유지구로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 시에도 간격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스파이크의 한방향으로 모아지는 쏠림현상을 최소화 하여 복륜에 균일한 제동력을 전달시켜 운행성능을 향상하여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한 상태로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으로 타이어의 중앙 공간에 체결되는 스파이크를 대략 삼각형상으로 넓은 면이 타이어의 외주연 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꼭지점 방향이 복륜의 중심을 향하면서 간격유지구로 결합하고 양측 변으로 타이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복륜의 사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로 스파이크를 형성함으로써, 급격한 코너링과 같은 심한 노면의 변화에도 밀착된 스파이크가 타이어의 쿠션과 같이 유동하면서 제동력을 향상시켜 운행성능을 극대화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한 상태로 잠금부로 체결하는 것이므로, 타이어의 중앙 공간에 체결되는 스파이크의 지지부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와 차량의 하중을 고려하여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위치한 제동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좌우변이 복륜의 중앙 공간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외주연 측으로 타이어와 접촉하면서 제동하는 제동부에 다양한 제동부재를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빙판일 경우에는 강한 재질의 제동돌기를 형성하고, 사막이나 늪지 및 우천 시에는 우레탄, 타이어고무와 같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성재질을 형성하여 노면의 상태, 날씨 등에 따라 간편하게 제동부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되는 범위를 확장하여 범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복륜의 타이어 사이로 복수의 스파이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를 와이어, 체인, 회전로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에 따라 간격유지구를 자유롭게 선택 사용하여 선택범위가 확장되고 복수의 스파이크와 잠금부가 형성된 간격유지구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면서 파손된 스파이크만 손쉽게 교체 사용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 체인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스파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결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결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힌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슬라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다른 실시예인 밀착슬라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스파이크에 형성된 제동판에 제동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간격유지구의 다른 실시예인 회전로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분인 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간격유지구를 체인형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간격유지구를 체인에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부호의 설명*
1 : 복륜타이어 100 : 미끄럼 방지장치
110 : 스파이크 111 : 지지구
112 : 결합부 112a : 결합힌지
112b : 체결공 113 : 밀착부
113a : 간격유지편 113b : 밀착힌지
113c : 지지편 113d : 밀착슬라이드
114 : 제동판 115 : 제동돌기
116 : 제동구 117 : 체인연결공
118 : 체인 체결공 120 : 간격유지구
121 : 와이어 122 : 체인
123 : 체결수단 124 : 회전로드
125 : 리벳 130 : 잠금부
131 : 잠금고리 132 : 탈착레버
133 : 길이조절구 134 : 탄성체
135 : 힌지부 136 : 결합레버
137 : 결합체결부 138 : 체결공구
139 : 밀림방지편

Claims (11)

  1. 대형자동차의 후륜에 형성된 복륜(1)의 타이어 사이에 지지되도록 삼각형상으로 일 꼭지점이 복륜(1)의 사이로 삽입되고 그 대변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넓은 면이 복륜의 외주연 측을 향하면서 좌우측 각 변은 복륜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113)가 구비된 지지구(111)를 형성하고, 복륜(1)의 외주연 측으로 지지구(111)와 결합되어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을 형성하며, 복륜(1)의 타이어 사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꼭지점에 결합부(112)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복수로 형성하는 스파이크(110)와,
    상기 스파이크(110)의 결합부(112)로 와이어(121)를 삽입시켜 복수로 형성된 스파이크(110)를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한 간격유지구(120)와,
    상기 간격유지구(120)의 와이어(121) 일단으로 고리 형상의 잠금 고리(1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지지 하는 탄성체(134)가 구비된 탈착레버(132)를 형성하여 복륜(1)의 스파이크(110)를 복수로 간격유지구(120)로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잠금고리(131)를 길이조절구(133)와 탄성체(134)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되는 장착시 스파이크(110) 상단에 상응 밀착하도록 돌출형성하여 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밀림방지편(139)으로 스파이크(110)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탈착레버(132)를 작동하여 결합하는 잠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 타이어 사이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부(112)가 회전되도록 결합힌지(112a)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회전되는 밀착힌지(113b)를 형성하고, 밀착힌지(113b)와 연결되는 부분에 지지편(113c)을 연장 형성하여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의 중앙 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밀착슬라이드(113d)를 형성하고, 복륜(1)에 밀착되는 밀착부(113) 내측으로 간격유지편(113a)을 돌출 형성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복륜(1)의 내측 방향으로만 간격을 조정하여 제동력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의 하부에 교체가 가능한 제동돌기(115)를 형성하여 복륜(1)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10)는 복륜(1)과 접지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 제동판(114)의 하부에 우레탄 및 폐타이어의 연질재질로 형성된 제동구(116)를 형성하여 복륜(1)과 노면 사이에 접지되면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120)는 단부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로드(124)를 리벳(125)으로 결합하여 스파이크(110)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리벳(125)을 중심으로 회전로드(124)를 회전시켜 일정길이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스파이크(110)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륜(1)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03429A 2004-11-03 2005-01-13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052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602005015013T DE602005015013D1 (de) 2004-11-03 2005-10-26 Gleitverhinde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CT/KR2005/003584 WO2006049403A1 (en) 2004-11-03 2005-10-26 Preventing device of sliding for vehicle
AT05823095T ATE433879T1 (de) 2004-11-03 2005-10-26 Gleitverhinde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1/663,019 US7624778B2 (en) 2004-11-03 2005-10-26 Traction device for dual wheels
EP05823095A EP1809492B1 (en) 2004-11-03 2005-10-26 Preventing device of sliding for vehicle
CA002586396A CA2586396A1 (en) 2004-11-03 2005-10-26 A traction device for dual whe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82 2004-11-03
KR20040089082 2004-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439B1 true KR100526439B1 (ko) 2005-11-08

Family

ID=3730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429A KR100526439B1 (ko) 2004-11-03 2005-01-13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26439B1 (ko)
AT (1) ATE433879T1 (ko)
DE (1) DE602005015013D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11B1 (ko) 2007-06-08 2008-06-10 (주) 아펙스테크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449344Y1 (ko) * 2009-10-22 2010-07-05 노갑문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
KR101081049B1 (ko) 2011-08-11 2011-11-09 류대령 이중 바퀴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스노우 체인 장치
EP2439087A2 (en) 2007-03-08 2012-04-11 Il Jun Park Device for preventing slipping of vehicle
KR101177966B1 (ko) 2007-02-16 2012-08-28 오토트랙스 인터내셔널 피티이 엘티디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US8627865B2 (en) 2007-12-17 2014-01-14 II-Jun Park Device for preventing slipping of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966B1 (ko) 2007-02-16 2012-08-28 오토트랙스 인터내셔널 피티이 엘티디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EP2439087A2 (en) 2007-03-08 2012-04-11 Il Jun Park Device for preventing slipping of vehicle
KR100836811B1 (ko) 2007-06-08 2008-06-10 (주) 아펙스테크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구
US8627865B2 (en) 2007-12-17 2014-01-14 II-Jun Park Device for preventing slipping of vehicle
KR200449344Y1 (ko) * 2009-10-22 2010-07-05 노갑문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
KR101081049B1 (ko) 2011-08-11 2011-11-09 류대령 이중 바퀴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스노우 체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5013D1 (de) 2009-07-30
ATE433879T1 (de)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439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US20090050249A1 (en) Anti-slipping device for dual tires
KR200424423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 장치
US6581661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tire traction
US7669778B2 (en) Auto creeper tread
US4886100A (en) Traction device adapted to compensate for tire size variations resulting from inflation and road deflection
US7624778B2 (en) Traction device for dual wheels
KR101033019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CN105015285A (zh) 车辆应急防滑装置及其安装于车轮的固定方法
CN204978120U (zh) 车辆应急防滑装置
KR200449344Y1 (ko)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장치
KR200358911Y1 (ko) 수송용 자동차의 복륜타이어 외륜에 적용되는 스노우체인
EP1981725B1 (en) Anti-skid device located in a circumferential groove of a tire
KR20070112917A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 장치
CN211684536U (zh) 一种适用冰雪路面的轮胎
KR20040021997A (ko) 대형차량의 빙판길 미끄럼 방지용 비상 보조장치
CN221023145U (zh) 一种路面防滑胎结构
RU1309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811040Y (zh) 汽车防滑卡
KR200227988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19980011319U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53515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95609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용 기구
KR100387979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20120027447A (ko) 복륜용 미끄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