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95B1 -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95B1
KR100526295B1 KR20030044446A KR20030044446A KR100526295B1 KR 100526295 B1 KR100526295 B1 KR 100526295B1 KR 20030044446 A KR20030044446 A KR 20030044446A KR 20030044446 A KR20030044446 A KR 20030044446A KR 100526295 B1 KR100526295 B1 KR 10052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ight
dial
watch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601A (ko
Inventor
미나미순지
미나미나루토시
사와다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 및 전자기기는 케이스내부에 문자판과 시계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문자판상에는 구상 태양전지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광은 구상 태양전지소자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는 효율 좋게 발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TIMEPIE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BULB-SHAPED SEMICONDUCTOR ELEMENT}
본 발명은 시계장치 및 시계, 전자식 탁상계산기, 휴대전화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태양전지가 내장된 손목시계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태양전지식의 손목시계에 내장되어 있는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광투과성으로 구성된 문자판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전지식의 손목시계에 있어서는,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수광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 광투과성의 문자판에 대한 장식의 제한이 컸다. 따라서 문자판에 충분한 장식을 실시할 수 없어서 손목시계의 외관, 디자인성이 뒤떨어져 버리는 것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수광성이 양호한 태양전지를 내장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문자판에 대해서 자유로운 장식을 실시하고,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태양전지에 의하여 표시부를 제약하지 않고 충분히 발전할 수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체의 내부에 문자판과 모듈을 구비한 시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상에 상기 모듈의 구동전원으로 되는 구상 반도체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상 반도체소자가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에 대한 지향성이 작고, 주위의 온갖 방향으로부터의 직사, 반사, 산란광 등을 흡수하여 효율 좋게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상의 태양전지와 같이 수광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문자판에 대한 장식의 제한이 작아진다. 또 구상 반도체소자는 그 형상의 특성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요철부, 곡면부 등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체의 요철부, 곡면부 등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의한 장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계장치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내부에 표시부를 갖는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의 상기 표시부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케이스에 장착된 도광성을 갖는 보호유리와, 이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유리에 외부광이 조사되면, 그 외부광의 일부가 보호유리를 투과하여 기기케이스내의 표시부에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는 외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보호유리에 의하여 인도되어 보호유리의 외주단부로부터 태양전지에 조사되기 때문에 보호유리 전체에서 외부광을 받아들여서 태양전지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또 태양전지가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태양전지에 의하여 기기케이스내의 표시부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창부를 갖는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창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성을 갖는 표시부재와, 이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케이스의 창부로부터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외부광이 표시부재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외부광에 의하여 표시부재를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표시부재에 의해서 그 외주단면을 향하여 인도되고, 이 인도된 빛이 태양전지에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부재 전체에서 외부광을 받아들여서 태양전지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또 태양전지가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태양전지에 의하여 표시부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구상 태양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 반도체소자이며, 직경이 1∼2mm 정도의 작은 실리콘단결정이 반사방지막(1a)으로 덮인 것이다. 실리콘단결정은 p형 구상 실리콘(1b)과, 이 p형 구상 실리콘(1b)의 대부분의 외표면을 덮는 n형 확산층(1c), p형 구상 실리콘(1b)과 n형 확산층(1c)에 각각 접속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플러스극(1e)(전극)과 마이너스극(1f)(전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기전력은 p형 구상 실리콘(1b)과 n형 확산층(1c)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는 pn접합부(1d)와 그 근처가 빛을 흡수함으로써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빛에 대한 지향성이 매우 작고, 주위의 온갖 방향으로부터의 직사광, 반사광, 산란광을 효율 좋게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1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는 어느 쪽이나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구상 태양전지소자(25)가 아날로그식의 손목시계(10)(시계장치)에 편입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날로그식의 손목시계(10)는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1), 이 시계케이스(1)를 아래쪽으로부터 막는 원반상으로 형성된 안덮개(7), 상기 시계케이스(1)를 위쪽으로부터 막는 원반상으로 형성된 투광성의 시계유리(2), 시계케이스(1)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반상의 문자판(13), 이 문자판(13)과 시계유리(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구획부재(6), 문자판(13)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침(16), 문자판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날짜 등을 표시하는 액정패널부(17A),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전력으로서 구동하는 시계모듈(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판(13)의 표면(14a) 중 1시에서 4시, 8시에서 12시를 나타내는 시자(時字)의 부분에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18a)과 저면(18b)에 광반사처리가 실시된 상자상 부재(18A)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이 상자상 부재(18A)에 수납되어 있다. 상자상 부재(18A)의 측면(18a) 및 저면(18b)에 대한 광반사처리는 예를 들면 측면(18a)이나 저면(18b)에 광반사성의 표면형상을 실시해 두는 방법, 측면(18a) 또는 저면(18b)에 광반사성의 시트부재를 설치해 두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또한 상자상 부재(18A)에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플러스극(1e) 또는 마이너스극(1f)에 접속된 단자(1g)를 끼워통함 가능한 끼워통함구멍(18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워통함구멍(18c)을 끼워통한 단자(1g)는 시계모듈(5)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이 이루어진 프린트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시계모듈(5)의 구동전원으로 되는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에 대한 지향성이 작고, 주위의 온갖 방향으로부터의 직사, 반사, 산란광 등을 흡수하여 효율 좋게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상의 태양전지와 같이 수광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문자판(13)에 대한 장식의 제한이 작다. 또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그 형상의 특성에서 요철부, 곡면부 등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철부, 곡면부 등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의한 장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손목시계(10)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②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문자판(13)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13)의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 문자판(13)의 장식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이용할 수도 있다.
③ 상자상 부재(18A)의 측면(18a) 또는 저면(18b)에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서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의 손목시계(10)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부재(6)가 문자판(13)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구획부재(6)의 이면(15a)과 문자판(13)의 표면(14a)의 사이에서 시계케이스(1)의 측면(11c)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획부재(6)의 이면(15a)과 문자판(13)의 표면(14a)은 빛을 투과하지 않는 광비투과면 또는 광반투과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획부재(6)의 이면(15a)과 문자판(13)의 표면(14a)을, 빛을 투과하지 않는 광비투과면 또는 광반투과반사면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기재의 표면에 대하여 은, 알루미늄, 규소 등에 의해 구성된 박막을 반사막으로서 증착한다. 소정 두께의 박막으로 반사막을 구성한 경우에는 반사막의 이면측으로부터 반사막으로 입사한 빛 중 소정 비율의 빛이 반사막을 투과한다.
도 3C, 도 3D에 있어서, 문자판(13)의 표면(14a), 구획부재(6)의 이면(15a), 시계케이스(1)의 측면(11C)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오목상부(30)의 표면에는 광반사처리층(30a)이 실시되어 있다. 오목상부(30)의 표면에 광반사처리층(30a)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오목상부(30)의 표면에 광반사성의 표면처리층을 실시하는 방법, 오목상부(30)의 표면에 광반사성의 시트부재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①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④ 빛을 투과하지 않는 광비투과면 또는 광반투과반사면을 갖는 구획부재(6)에 의해서 문자판(13)의 표면(14a)에 설치된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손목시계(10)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⑤ 문자판(13)의 표면(14a), 구획부재(6)의 이면(15a), 시계케이스(1)의 측면(11c)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오목상부(30)의 표면에는 광반사처리층(30a)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목상부(30)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⑥ 구획부재(6)를 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해 두는 것으로 구획부재(6)에 대한 입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이 투과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의 손목시계(10)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1)의 베젤(3)에 홈부(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11b)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가 수납되고, 또한 홈부(11b)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부재(1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4C에 있어서, 홈부(11b)의 측면(11b1) 및 저면(11b2)에는 광반사처리층이 실시되어 있다. 이들 측면(11b1)이나 저면(11b2)에 광반사처리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측면(11b1)이나 저면(11b2)에 광반사성의 표면형상을 실시해 두는 방법, 측면(11b1)이나 저면(11b2)에 광반사성의 시트부재를 설치해 두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또한 홈부(11b)에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플러스극(1e) 또는 마이너스극(1f)에 접속된 단자(1g)를 끼워통함 가능한 끼워통함구멍(11b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워통함구멍(11b3)을 끼워통한 단자(1g)는 시계모듈(5)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이 이루어진 프린트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①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⑦ 시계케이스(1)의 상면인 베젤(3)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의한 장식을 실시하여 손목시계(10)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그 형상의 특성에서 베젤(3)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⑧ 홈부(11b)의 측면(11b1) 및 저면(11b2)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의 손목시계(10)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13)은 광투과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판(13)의 이면(14b)측에는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지지하는 지지기판(19A)이 설치되어 있다. 문자판(13)의 이면(14b)과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의 사이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에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반사처리층(31a)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에 광반사처리층(31a)을 실시하는 데는, 예를 들면 표면(19a)에 광반사효과가 있는 형상을 실시하거나 광반사효과가 있는 시트부재를 설치해 두는 것 등이 생각된다.
또한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기판(19A)을 광반투과반사성 부재로 구성하고, 이 지지기판(19A)의 이면(19b)에 시계모듈(5)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광 가능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20A)를 설치해 두어도 좋다.
또한 지지기판(19A)을 반투과반사성 부재로 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기재인 지지기판(19A)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은, 알루미늄, 규소 등에 의해 구성된 박막을 반사막으로서 증착한다. 소정 두께의 박막으로 반사막을 구성한 경우에는 반사막의 이면측으로부터 반사막으로 입사한 빛 중 소정 비율의 빛이 반사막을 투과한다.
또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20A)란, 전계에 의하여 발광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며, 시계모듈(5)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서 발광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①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⑨ 광투과성의 문자판(13)의 이면(14b)과, 이 문자판(13)의 이면(14b)측에 설치되는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의 사이로 되는 비교적 넓은 공간(k)에 많은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의한 발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문자판(13)을 광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해 두는 것으로, 문자판(13)에 의하여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손목시계(10)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⑩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⑪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20A)가 시계모듈(5)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이 발광광의 일부를 지지기판(19A)에 투과시키고, 이 투과광을 구상 태양전지소자(25)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상 태양전지소자(25)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각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손목시계를 포함하는 시계장치 외에, 휴대전화, 휴대단말, 퍼스널컴퓨터 등 각종 전자기기, 자동차, 액세서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건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도 1∼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1)의 내부에 문자판(13)과 시계모듈(5)을 구비한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상에 상기 모듈의 구동전원으로 되는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문자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상 반도체소자가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에 대한 지향성이 작고, 주위의 온갖 방향으로부터의 직사, 반사, 산란광 등을 흡수하여 효율 좋게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상의 태양전지와 같이 수광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문자판에 대한 장식의 제한이 작다. 또 구상 반도체소자는 그 형상의 특성에서 상기 케이스체의 요철부, 곡면부 등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체의 요철부, 곡면부 등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의한 장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계장치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1, 도 2A∼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상기 문자판(13)의 표면(14a)에 설치되어 있는 시자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문자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시자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자부분의 장식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스틱, 금속,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3)의 표면(14a)에는 내면(예를 들면 측면(18a), 저면(18b))에 광반사처리가 실시된 상자상 부재(18A)가 설치되고,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상기 상자상 부재(18A)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자상 부재에 내면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상 부재의 내면에 광반사처리를 실시하는 데는, 예를 들면 상기 내면에 광반사효과가 있는 형상을 실시하거나 상기 내면에 광반사효과가 있는 시트부재를 설치해 두는 것 등이 생각된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2A∼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상기 문자판(13)의 표면(14a)과 상기 구획부재(6)의 이면(15a)의 사이에 설치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구획부재를, 빛을 투과하지 않거나 광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해 두는 것으로, 문자판의 표면에 설치된 구상 반도체소자를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시계장치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를 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기재인 구획부재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은, 알루미늄, 규소 등에 의해 구성된 박막을 반사막으로서 증착하는 것이 있다. 소정 두께의 박막으로 반사막을 구성한 경우에는 반사막의 이면측으로부터 반사막으로 입사한 빛 중 소정 비율의 빛이 반사막을 투과한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3C,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3)의 표면(14a), 상기 구획부재(6)의 이면(15a), 상기 시계케이스(1)의 측면(11c)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반사처리층(30a)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광반사처리층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의 표면, 상기 구획부재의 이면, 상기 케이스체의 측면에 광반사처리를 실시하는 데는, 예를 들면 상기한 상자상 부재에 있어서의 방법과 똑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6)는 광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구획부재에 대한 입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이 투과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시계케이스(1)의 베젤(3)에는 홈부(11b)가 형성되고,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상기 홈부(11b)에 수납되어 실시되며,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가 수납된 홈부(11b)에는 광투과성으로 구성된 커버부재(1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베젤부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의한 장식을 실시하고, 시계장치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는 그 형상의 특성에서 상기 베젤부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홈부(11b)의 내면(예를 들면 측면(11b1), 저면(11b2))에는 광반사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홈부의 내면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홈부의 내면에 광반사처리를 실시하는 데는, 예를 들면 상기한 상자상 부재에 있어서의 방법과 똑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3)은 광투과성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자판(13)의 이면(14b)측에는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를 지지하는 지지기판(19A)이 설치되며, 상기 구상 태양전지소자(25)는 상기 문자판(13)의 이면(14b)과 상기 지지기판(19A)의 사이에 설치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광투과성의 문자판의 이면과, 이 문자판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지지기판의 표면의 사이로 되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 많은 구상 반도체소자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의한 발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판을 광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해 두는 것으로, 상기 문자판에 의하여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를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시계장치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19A)의 표면(19a)에는 광반사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지지기판의 표면에 대한 입사광을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판의 표면에 광반사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상자상 부재에 있어서의 방법과 똑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19A)은 광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되고, 이 지지기판(19A)의 이면(19b)에는 상기 시계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광 가능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20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판을 반투과반사성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구획부재에 있어서의 방법과 똑같은 방법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가 상기 시계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전계에 의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이 발광광의 일부를 상기 지지기판에 투과시키고, 이 투과광을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의 수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손목시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는 도광성을 갖는 시계유리(2)가 베젤(3) 및 장식부재(4)와 함께 부착되어 있으며,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시계모듈(5)이 시계유리(2)에 대응한 상태에서 링상의 구획부재(6)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부에는 안덮개(7)가 방수링(8)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측부에는 누름버튼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다.
시계모듈(5)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아날로그기능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시계모듈(5)은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을 구비하고, 이들이 하부하우징(11)의 하면에 배치된 바닥판(12)에 의하여 체결되며, 이 상태에서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하우징(10)의 상면에는 문자판(13)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문자판(13)의 상면에 있어서의 외주부에는 링상의 구획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상부하우징(10)내에는 아날로그무브먼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무브먼트(14)는 지침축(15)이 문자판(13)의 관통구멍(13a)을 통하여 그 위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한 지침축(15)의 상단부에 시침, 분침 등의 지침(16)이 부착되며, 이들 지침(16)이 문자판(13)의 위쪽을 운침(運針)하여 시각을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시계모듈(5)에서는 지침(16) 및 문자판(13)에 의하여 표시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시계모듈(5)의 하부하우징(11)내에는 전지(17)가 수납되어 있으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의 사이에는 회로기판(18)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8)에는 시계기능에 필요한 각종 전자부품(19)이 탑재되어 있는 외에, 아날로그무브먼트(14) 및 전지(1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누름버튼스위치(9)의 스위치부(9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버튼스위치(9)는 버튼부(9a)를 밀어누름조작하면 스위치축(9b)이 손목시계케이스(1)내로 돌출하고, 이 돌출한 스위치축(9b)이 스위치부(9c)를 밀어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시계유리(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위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볼록곡면에 만곡형성되고, 그 외주부가 하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며, 이에 따라 외부광이 위쪽으로부터 조사되면, 그 외부광의 일부를 투과하는 동시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를 외주측으로 인도하여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시계유리(2)는 그 외주부분의 하단면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 태양전지(2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이 시계유리(2)의 굴곡된 외주부분에는 베젤(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베젤(3)은 시계유리(2)에 대향하는 내면이 반사면(3a)에 형성되고, 손목시계케이스(1)와 베젤(3)의 양자의 외면에 걸쳐서 부착된 장식부재(4)에 의해서도 손목시계케이스(1)에 부착되어 있다.
또 태양전지(20)는 절연성 필름 등의 베이스재의 상면에 비정질실리콘 등의 태양전지소자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소자는 베이스재에 복수로 분할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태양전지(20)는 베이스재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대응하는 평판의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베이스재의 상면에 설치된 태양전지소자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시계유리(2)의 하단면과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면의 사이, 또는 손목시계케이스(1) 및 구획부재(6)에 걸친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태양전지(20)는 시계모듈(5)의 회로기판(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발전한 전력을 회로기판(18)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손목시계에서는 문자판(13)의 위쪽을 지침(16)이 운침하여 시각을 지시하기 때문에 시계유리(2)를 통하여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외부광이 시계유리(2)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시계유리(2)를 투과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지침(16) 및 문자판(13)에 조사되기 때문에 지침(18)과 문자판(13)에 의하여 시각을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시계유리(2)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이 인도된 빛을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20)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광을 시계유리(2) 전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고, 이 받아들인 외부광의 일부를 시계유리(2)에서 인도하여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20)에 조사하기 때문에 태양전지(20)에 외부광을 충분히 조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20)에 대한 빛의 조사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20)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계유리(2)는 그 중앙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볼록곡면에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시계유리(2)에 조사된 외부광을 효율 좋게 시계유리(2)에 받아들여서 그 외주측으로 인도할 수 있다.
또 이 시계유리(2)의 외주부분에 배치된 베젤(3)의 내면이 반사면(3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광을 시계유리(2)에서 외주부의 하단면에 인도할 때에, 그 외주부분이 대략 수직으로 굴곡해 있어도 베젤(3)의 반사면(3a)에 의하여 시계유리(2)의 굴곡부분으로부터의 누설광을 막을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효율 좋게 외부광을 태양전지(20)에 인도할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20)는 링상의 베이스재의 상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태양전지소자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밀접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인도된 빛을 확실하게 태양전지(20)에 조사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더한층 효율 좋게 태양전지(20)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전자손목시계에서는 태양전지(20)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20)에 의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문자판(13) 및 지침(16)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13) 및 지침(16)의 운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시계유리(2)는 그 외주부가 하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20)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부측에 설치함으로써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형이 커지지 않아서 손목시계 전체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어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태양전지(24)의 구조 및 그 설치상태가 제 5 실시형태와 다르고, 이 이외는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태양전지(2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구비하고,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는 예를 들면 다결정 또는 비정질의 p형 실리콘입자의 표면에 그 일부를 제거하고 n형 실리콘층을 형성한 구조이고, p형 실리콘입자의 표면이 드러난 부분과 n형 실리콘층이 각각 접속부재(26)에 의하여 기판(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 상태에서 투명한 커버부재(28)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다.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구비한 태양전지(24)는 기판(27)이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과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환상으로 형성된 오목부(29)내에 삽입되고, 또한 이 환상의 오목부(29)를 따라서 복수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태양전지(24)도 시계모듈(5)의 회로기판(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전자손목시계에서는 문자판(13)의 상부외주로부터 구획부재(6)를 제거함으로써 문자판(13)에서 반사된 외부광이 태양전지소자(25)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이 시계유리(2)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시계유리(2)를 투과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지침(16) 및 문자판(13)에 조사되기 때문에 지침(16)과 문자판(13)에 의하여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시계유리(2)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이 인도된 빛을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24)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을 시계유리(2) 전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 받아들인 외부광의 일부를 시계유리(2)에서 인도하여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24)에 조사할 수 있는 외에, 특히 시계모듈(5)의 문자판(13)의 상면에서 반사된 외부광의 일부도 조사되기 때문에 외부광의 조사율을 제 5 실시형태보다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한층 태양전지(24)에 의한 발전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태양전지(24)의 태양전지소자(25)가 구상이기 때문에 태양전지소자(25)의 유효발전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했기 때문에 태양전지(24)의 발전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24)는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시계유리(2)의 외주부분의 하단부에 환상으로 설치된 오목부(29)내에 복수 배열했기 때문에 시계유리(2)에서 인도된 빛을 태양전지소자(25)의 전체표면에 대략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태양전지(24)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전자손목시계에서는 태양전지(24)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설치된 환상의 오목부(29)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태양전지(24)에 의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문자판(13) 및 지침(16)이 제약을 받지 않고, 문자판(13) 및 지침(16)의 운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외에, 특히 태양전지(24)가 시계유리(2)의 오목부(29)내에 삽입된 분량만큼 손목시계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5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소형화 및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7에 나타내어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태양전지(30)의 구조 및 그 설치상태가 제 5 실시형태와 다르고, 이 이외는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태양전지(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필름 등의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에 비정질실리콘 등의 태양전지소자를 형성하고, 이 베이스재를 시계유리(2)와 대략 같은 크기의 직경으로 원통상으로 만곡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소자는 베이스재에 복수로 분할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태양전지(30)는 베이스재가 링상의 기판(31)상에 기립하여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태양전지소자가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태양전지(30)는 베이스재와 함께 태양전지소자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부에 환상으로 형성된 오목부(32)내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기판(31)이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과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태양전지(30)도 시계모듈(5)의 회로기판(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도, 문자판(13)의 상부외주로부터 구획부재(6)를 제거함으로써 문자판(13)에서 반사된 외부광이 태양전지소자(25)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이 시계유리(2)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시계유리(2)를 투과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지침(16) 및 문자판(13)에 조사되기 때문에 지침(16)과 문자판(13)에 의하여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시계유리(2)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이 인도된 빛을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30)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을 시계유리(2) 전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 받아들인 외부광을 시계유리(2)에서 인도하여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30)에 조사할 수 있는 외에, 특히 시계모듈(5)의 문자판(13)의 상면에서 반사된 외부광의 일부도 조사되기 때문에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의 조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한층 태양전지(30)에 의한 발전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태양전지(30)가 시계유리(2)와 대략 같은 크기의 직경으로 원통상으로 만곡형성된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5 실시형태보다도 태양전지(30)의 유효발전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30)는 베이스재와 함께 태양전지소자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부에 환상으로 설치된 오목부(32)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유리(2)에서 인도된 빛을 태양전지(30)의 전체표면에 대략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태양전지(30)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도, 태양전지(30)가 시계유리(2)의 외주부분의 하단면에 설치된 오목부(32)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태양전지(30)에 의하여 문자판(13) 및 지침(16)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외에, 태양전지(30)가 시계유리(2)의 오목부(32)내에 삽입되어 있는 분량만큼 손목시계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목시계 전체의 박형화 및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제 7 실시형태에서는 시계모듈(5)이 아날로그무브먼트(14)를 구비한 아날로그식의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날로그무브먼트(14)에 대신하여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 등의 평면형의 표시소자를 이용한 디지털식의 전자손목시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평면형의 표시소자를 구비한 시계모듈을 시계유리(2)에 대응시켜서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수납하면 좋다. 이와 같은 디지털식의 전자손목시계에서는 표시소자에 의하여 시각 등의 정보를 전기광학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표시된 정보를 시계유리(2)를 통하여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제 5∼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7에 나타내어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도광성을 갖는 문자판(35)을 구비하고, 이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대응시켜서 태양전지(36)를 배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문자판(35)은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에 반사층(35a)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외부광이 위쪽으로부터 입사하면, 이 입사한 외부광이 반사층(35a)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외부광의 일부를 위쪽으로 방출하는 동시에, 반사된 외부광의 다른 일부를 외주측으로 인도하여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문자판(35)에도 그 대략 중심부분에 지침축(15)이 삽입되는 관통구멍(35b)이 설치되어 있다
또 태양전지(36)는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를 구비하고,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를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대응시켜서 복수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는 그 실리콘입자와 그 표면의 실리콘층에 각각 접속부재(3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상태에서 투명한 커버부재(39)로 보호되어 있다. 또 이 태양전지(36)는 시계모듈(5)의 상부하우징(10)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가 문자판(35)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36)는 시계모듈(5)의 회로기판(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태양전지(36)의 외주측에는 통상의 반사판(40)이 복수의 태양전지소자(37)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판(40)은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되어 각 태양전지소자(37)간의 틈을 빠져 나간 빛을 반사해서 다시 태양전지소자(37)에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태양전지(36)는 문자판(35)의 상면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배치된 구획부재(6)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덮어 가려져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 장착된 시계유리(41)는 그 외주부분에 장식용의 베젤(42)이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외부광을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손목시계에 따르면, 외부광이 시계유리(41)를 통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받아들여지고, 이 받아들여진 외부광이 지침(16) 및 문자판(35)에 조사되기 때문에 지침(16)과 문자판(35)에 의하여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태양전지(36)에 조사된 외부광이 문자판(35)에 입사하여 반사층(35a)에서 반사되면, 이 반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문자판(35)의 위쪽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지침(16) 및 문자판(35)을 조명할 수 있는 외에, 반사된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문자판(35)에 의하여 인도되기 때문에, 이 인도된 빛을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36)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목시게케이스(1)내에 입사한 외부광을 문자판(35) 전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고, 이 받아들인 외부광의 일부를 문자판(35)에서 인도하여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36)에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의 조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36)의 발전효율을 높여서 태양전지(36)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36)의 태양전지소자(37)가 구상이기 때문에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태양전지소자(37)의 유효발전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가 문자판(35)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36)의 발전능력도 높일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36)의 외주측에는 통상의 반사판(40)이 복수의 태양전지소자(37)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되어 각 태양전지소자(37)간의 틈을 빠져 나간 빛을 반사판(40)에서 반사하여 다시 태양전지소자(37)에 조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태양전지소자(37)의 전체표면에 대략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36)에 대한 외부광의 조사율을 높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태양전지(36)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36)도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36)에 의하여 문자판(35) 및 지침(16)을 제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35) 및 지침(16)의 운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손목시계 전체의 박형화 및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어진 제 8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태양전지(45)의 구조 및 그 설치상태가 제 8 실시형태와 다르고, 이 이외는 제 8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태양전지(45)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필름 등의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 중의 일면에 비정질실리콘 등의 태양전지소자를 형성하고, 이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베이스재를 문자판(35)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직경으로 원통상으로 만곡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소자는 베이스재에 복수로 분할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태양전지(45)는 베이스재를 시계모듈(5)의 상부하우징(10)에 기립시키고, 그 내면의 태양전지소자를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부하우징(10)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태양전지(45)도 문자판(35)의 상면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배치된 구획부재(6)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덮어 가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제 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이 시계유리(41)를 통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받아들여져서 지침(16) 및 문자판(35)에 조사되기 때문에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도 문자판(35)에 조사된 외부광이 문자판(35)에 입사하여 반사층(35a)에서 반사되면, 이 반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문자판(35)의 위쪽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지침(16) 및 문자판(35)을 조명할 수 있는 외에, 반사된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문자판(35)에 의하여 인도되기 때문에, 이 인도된 빛을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45)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입사한 외부광을 문자판(35) 전체에서 받아들일 수 있고, 이 받아들인 외부광을 문자판(35)에서 인도하여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태양전지(45)에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 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광의 조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45)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45)는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베이스재를 통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태양전지소자를 밀접시킨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35)의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확실하게 태양전지(45)에 조사시킬 수 있다.
또 이 태양전지(45)도 문자판(35)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45)에 의하여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문자판(35) 및 지침(16)이 제약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자판(35) 및 지침(16)의 운침영역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손목시계 전체의 박형화 및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시계모듈(5)이 아날로그무브먼트(14)를 구비한 아날로그식의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날로그무브먼트(14)에 대신하여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 등의 평면형의 표시소자를 이용한 디지털식의 전자손목시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기광학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구비한 시계모듈을 시계유리(41)에 대응시켜서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소자에 그 일부로서 도광판을 설치하고, 이 도광판에서 외부광을 외주측으로 인도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디지털식의 전자손목시계에 있어서도, 도광판의 외주단부에 대응시켜서 태양전지(36, 45)를 배치함으로써 제 8, 제 5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5∼제 9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래블워치나 탁상시계, 괘종시계 등의 시계, 또는 전자식 탁상계산기나 전자수첩, 전사사전, 휴대전화기, 또는 자동차의 각종 계기 등 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표시부인 문자판(13) 및 지침(16)을 갖는 기기케이스인 손목시계케이스(1)와, 이 기기케이스(1)의 상기 표시부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케이스에 장착된 도광성을 갖는 보호유리인 시계유리(2)와, 이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20, 24, 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보호유리에 외부광이 조사되면, 그 외부광의 일부가 보호유리를 투과하여 기기케이스내의 표시부에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부를 시인할 수 있는 외에, 외부광의 다른 일부가 보호유리에 의하여 인도되어 보호유리의 외주단부로부터 태양전지에 조사되기 때문에 보호유리 전체에서 외부광을 받아들여서 태양전지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또 태양전지가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태양전지에 의하여 기기케이스내의 표시부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유리인 시계유리(2)가, 그 외주부를 하측으로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고, 이 굴곡된 상기 외주부의 하단면을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20, 24, 30)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유리의 외주부가 하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굴곡된 외주부의 하단면에 대향시켜서 태양전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기기케이스의 외형이 커지지 않아서 기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유리인 시계유리(2)의 굴곡된 외주부분에 반사부재인, 반사면(3a)을 갖는 베젤(3)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보호유리에 조사된 외부광을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인도할 때에, 그 외주부가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어 있어도 반사부재에 의하여 보호유리의 굴곡부분으로부터의 누설광을 막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광을 효율 좋게 보호유리로 인도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20)가 링상의 베이스재의 표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재의 표면에 설치된 태양전지소자를 보호유리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태양전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인도된 빛을 확실하게 태양전지에 조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어서 더한층 효율 좋게 태양전지를 발전시킬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24)는 구상의 태양전지소자(25)를 구비하고,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상기 보호유리인 시계유리(2)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한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태양전지소자가 구상이기 때문에 태양전지소자의 유효발전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했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발전능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를 보호유리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설치된 환상의 오목부(29)내에 배치하면 보호유리로 인도된 빛을 구상의 태양전지소자의 전체표면에 대략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30)가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하고, 이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통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고, 상기 보호유리인 시계유리(2)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설치된 환상의 오목부(32)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베이스재를 통상으로 만곡시킨 태양전지가 보호유리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설치된 환상의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호유리로 인도된 빛을 태양전지의 표리 양면에 대략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하면 태양전지의 유효발전면적을 대폭으로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표리 양면의 태양전지소자에 외부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더한층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부인 시계유리(41)를 갖는 기기케이스인 손목시계케이스(1)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창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성을 갖는 표시부재인 문자판(35)과, 이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36, 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기기케이스의 창부로부터 기기케이스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외부광이 표시부재에 조사되면, 이 조사된 외부광에 의하여 표시부재를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사된 외부광의 일부가 표시부재에 의하여 그 외주단면을 향하여 인도되고, 이 인도된 빛이 태양전지에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부재 전체에서 외부광을 받아들여서 태양전지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다. 또 태양전지가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태양전지에 의하여 표시부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36)가 구상의 태양전지소자(37)를 구비하고,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상기 표시부재인 문자판(35)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한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태양전지소자가 구상이기 때문에 태양전지소자의 유효발전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했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발전능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의 외주측에 통상의 반사판을 배치하면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으로부터 방출되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간의 틈을 빠져 나간 빛을 반사판에서 반사하여 구상의 태양전지소자에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소자의 전체표면에 대략 균등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건의 실시형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45)가 베이스재의 표면에 태양전지소자를 설치하고, 이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상기 베이스재를 통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고, 상기 표시부재인 문자판(35)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태양전지가 태양전지소자를, 내측으로 향하여 베이스재를 통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태양전지소자를 밀접시킨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인도된 빛을 확실하게 태양전지소자에 조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손목시계의 평면도.
도 2A∼도 2C는 구상 태양전지를 편입한 손목시계의 한 예를 나타내고, 도 2A는 문자판 및 케이스부분의 평면도, 도 2B는 손목시계의 단면도 및 도 2C는 구상 태양전지의 부분확대도.
도 3A∼도 3C는 구상 태양전지를 편입한 손목시계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고, 도 3A는 문자판 및 케이스부분의 평면도, 도 3B는 손목시계의 단면도, 도 3C 및 도 3D는 구상 태양전지의 부분확대도.
도 4A∼도 4C는 구상 태양전지를 편입한 손목시계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고, 도 4A는 문자판 및 케이스부분의 평면도, 도 4B는 손목시계의 단면도 및 도 4C는 구상 태양전지의 부분확대도.
도 5A∼도 5C는 구상 태양전지를 편입한 손목시계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고, 도 5A는 문자판 및 케이스부분의 평면도, 도 5B는 손목시계의 단면도, 도 5C 및 도 5D는 구상 태양전지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구상 태양전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목시계케이스 2, 41: 시계유리
3: 베젤 5: 시계모듈
6: 구획부재 10: 손목시계(시계장치)
13, 35: 문자판 14: 아날로그무브먼트
16: 지침 20, 24, 30, 36, 45: 태양전지
25, 37: 구상 태양전지소자

Claims (20)

  1. 시계 케이스의 내부에 문자판과 시계모듈을 구비한 시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시자 부분에 상기 시계모듈의 구동 전원으로 되는 구상 반도체소자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의 표면에는 내면에 광반사처리층이 실시된 상자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는 상기 상자상 부재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3. 시계케이스의 내부에 문자판과 시계모듈을 구비한 시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의 표면과 이 문자판상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구획부재의 이면의 사이에, 상기 시계모듈의 구동전원으로 되는 구상 반도체 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의 표면, 상기 구획부재의 이면, 상기 시계 케이스체의 측면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반사처리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광반투과반사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6. 베젤부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케이스의 내부에 문자판과 시계모듈을 구비한 시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에 설치된 홈부내에, 상기 시계모듈의 구동전원으로 되는 구상 반도체 소자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면에는 광반사처리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은 광투과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판의 이면측에는 상기 구상 반도체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상 반도체소자는 상기 문자판의 이면과 상기 지지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의 표면에는 광반사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은 광반투과반사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기판의 이면에는 상기 시계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을 흐르는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전계에 의하여 발광 가능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장치.
  11. 내부에 문자판을 갖는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문자판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케이스에 장착된 도광성을 갖는 보호유리와,
    이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유리는 그 외주부가 하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고, 이 굴곡된 상기 외주부의 하단면을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유리의 굴곡된 외주부분에는 반사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링상의 베이스재와, 이 베이스재의 표면에 설치된 태양전지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구비하고, 이 구상의 태양전지소자를 상기 보호유리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열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베이스재와, 이 베이스재의 표리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태양전지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 태양전지소자는 원통 형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고, 또한 상기 보호유리의 외주부의 하단면에 설치된 환상의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보호유리를 갖는 기기케이스와,
    이 기기케이스내에 상기 보호유리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성을 갖는 표시부재와,
    이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에 대응하여 배치된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복수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베이스재와 이 베이스재의 표면에 설치된 태양전지소자로 구성되고, 이 태양전지소자는 원통 형상으로 만곡시킨 구조이고, 상기 표시부재의 외주단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20030044446A 2002-07-09 2003-07-02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26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0579A JP2004045105A (ja) 2002-07-09 2002-07-09 時計装置
JPJP-P-2002-00200579 2002-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01A KR20040005601A (ko) 2004-01-16
KR100526295B1 true KR100526295B1 (ko) 2005-11-08

Family

ID=3043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4446A KR100526295B1 (ko) 2002-07-09 2003-07-02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45105A (ko)
KR (1) KR100526295B1 (ko)
CN (1) CN1470962A (ko)
TW (1) TW2004035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2047B (zh) * 2015-07-24 2017-02-21 With a strip of soft light guide light supply device
JP6667113B2 (ja) 2017-09-15 2020-03-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部材および時計
KR102654436B1 (ko) * 2019-02-21 2024-04-03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흑색 광기전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01A (ko) 2004-01-16
CN1470962A (zh) 2004-01-28
JP2004045105A (ja) 2004-02-12
TW200403551A (en) 200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1822B2 (en) Electronic unit
EP1775647A1 (en) Dial of solar clock and clock
JP5946390B2 (ja) ソーラーセル付電子時計
KR20030007222A (ko) 자외선을 발광층으로 조사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7079453B2 (en) Timepie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bulb-shaped semiconductor element
JP7225577B2 (ja) 電子時計
KR100526295B1 (ko) 구상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시계장치 및 전자기기
CN110797420A (zh) 光电转换元件、光电转换模块以及电子设备
JP2004198112A (ja) 電子機器
JP2005324517A (ja) 装飾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0013869A (ja) 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光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4053381A (ja) 電子機器
JP4923432B2 (ja) 電子機器および腕時計
JPH09321330A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4333239A (ja) 電子機器
JP2020013868A (ja) 裏面電極型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5946368B2 (ja) ソーラーセル付電子時計
JP2004198681A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2013029469A (ja) 太陽電池付電子時計
JP6763415B2 (ja) ソーラーパネル、表示装置及び時計
JP2013029469A5 (ko)
JP5104982B2 (ja) 電子機器
JP3524588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付き太陽電池時計
JP4814007B2 (ja) 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