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147B1 - 건축비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건축비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147B1
KR100524147B1 KR10-2003-0011519A KR20030011519A KR100524147B1 KR 100524147 B1 KR100524147 B1 KR 100524147B1 KR 20030011519 A KR20030011519 A KR 20030011519A KR 100524147 B1 KR100524147 B1 KR 10052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bolts
cla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170A (ko
Inventor
송재해
Original Assignee
송재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해 filed Critical 송재해
Priority to KR10-2003-001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1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비계공사시 파이프를 연결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지지판(2)(4)은 일측 지지판(2)의 돌편(20)이 타측 지지판(4)의 통공(22)을 관통하도록 하여 그 타측으로부터 용접하여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하고, 지지판(2)(4) 일단에는 만곡형성된 지지볼트(8)(10)의 일단을 스프링(6)과 핀(28)으로 탄력있게 연결설치하여 파이프(34)(36)의 결합후 지지볼트(8)(10) 타단에 갖는 볼트부(32)를 지지판(2)(4) 타단의 결합홈(18)에 결합하고 너트(30)(31)를 죄여주므로서 파이프가 연결고정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비계용 클램프{Clamp for architectural scaffold}
본 발명은 건축비계공사시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건축비계용 클램프는 서로 직각된 방향으로 접하도록 하여 피어싱으로 관통형성된 통공을 통한 리벳팅으로 서로 일체감있게 연결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일단에 핀으로 연결되는 고정덮개 및 지지판 타단에 핀으로 연결되는 고정볼트로 구성하여 지지판에 파이프를 결합하고 고정덮개를 덮은 다음 고정덮개가 갖는 결합홈에 고정볼트를 결합하고 너트를 죄여서 파이프를 연결고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양 지지판의 연결시 천공된 통공을 각기 서로 일치되게 하여 리벳으로 연결고정하는데 따른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 별도의 리벳팅공정이 추가됨은 물론 지지판과 고정볼트 외에 별도의 고정덮개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제조경비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파이프의 연결작업시에도 지지판으로부터 고정덮개와 고정볼트를 벌려서 그 사이에 파이프를 결합한 다음 고정덮개를 덮고 고정덮개의 결합홈에 고정볼트를 결합하고 너트를 죄여서 연결고정하는 데에는 양손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파이프를 받쳐주는 별도의 추가인력을 필요로 하는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가 있고 또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고, 파이프 연결작업시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으면서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지지판의 부착면에 갖는 수개의 돌편이 각기 타측 지지판의 부착면이 갖는 수개의 통공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그 타측으로부터 용접하여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하고, 지지판 일단에는 만곡된 지지볼트를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파이프의 결합후 오무려서 그 타단을 지지판 타단에 갖는 결합홈에 결합하고 너트를 죄여서 연결고정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감있게 연결고정되는 두개의 지지판(2)(4)과, 지지판(2)(4) 일단에 스프링(6)으로 탄력설치되는 지지볼트(8)(1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지지판(2)(4)은 대체로 "ㄴ"형으로서 내측에 대체로 반원형의 만곡면(12)(13)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핀공(14)을 갖는 연결편(16)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결합홈(18)이 형성된다.
양 지지판(2)(4) 중 일측 지지판(2)이 갖는 부착면에는 프레스작업시 슬릿포밍으로 수개의 돌편(20)이 돌출형성되게 하고 타측 지지판(4)의 부착면에는 각기 돌편(20)과 마주하는 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되게 하여 각 돌편(20)이 통공(22)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타측 지지판(4)의 내측면으로부터 돌편(20)을 지지판(4)에 용접하여 양 지지판(2)(4)이 일체감있게 연결되게 한다.
지지볼트(8)(10)는 대체로 반원형의 만곡면(24)(25)을 갖는 몸체의 일단에 핀공(26)을 형성하여 지지판(2)(4) 일단에 갖는 연결편(16)에 핀(28)으로 연결토록 하고, 타단에는 너트(30)(31)가 체결되는 볼트부(32)(33)를 길게 연장형성하여 볼트부(32)를 지지판(2)(4)이 갖는 결합홈(18)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볼트(8)(10)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6)은 코일부와 코일부 일측의 받침부 및 코일부 타측의 지지부로 구성되며, 지지볼트(8)(10)의 연결시 코일부를 핀(28)에 끼워서 그 받침부는 지지볼트(8)(10)의 저부와 접하도록 하고 지지부는 지지판(2)(4) 내측면과 접하여 지지볼트(8)(10)를 외측방향으로 탄력지지토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지지판(2)(4)과 지지판 일단에 연결설치되는 지지볼트(8)(10)로 구성되므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한만큼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양 지지판(2)(4)은 프레스가공후 일측 지지판(2)이 갖는 돌편(20)이 타측 지지판(4)이 갖는 통공(22)을 관통하도록 하여 그 타측으로부터 용접하여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하므로서 간단히 제작할 수가 있어 제작공정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건축비계공사시 파이프 연결용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지지볼트(8)(10)의 너트(30)(31)를 풀고 볼트부(32)(33)를 지지판(2)(4) 타측의 결합홈(18)으로부터 분리시켜 주게 되면 지지볼트(8)(10)는 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핀(28)을 축으로 지지판(2)(4)으로부터 벌어져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지볼트(8)(10)의 개방후에는 먼저 일측 클램프의 지지판(2)이 갖는 만곡면(12)을 수직파이프(34)에 밀착시키고 스프링(6)에 의해 벌어져 있는 지지볼트(8)를 오무려서 볼트부(32)를 지지판(2) 타측의 결합홈(18)에 결합하고 너트(30)를 죄여주므로서 종파이프에 연결고정된다.
이후 한손으로 횡파이프(36)를 잡고 타측 클램프가 갖는 지지판(4)의 만곡면(1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지지볼트(10)를 오무려서 볼트부(33)가 지지판(4) 타단의 결합홈(18)에 결합되게 하고 너트(31)를 죄여주므로서 횡파이프(36)를 연결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는 지지판(2)(4)과 지지볼트(8)(10)로 구성되고 또 지지볼트(8)(10)는 스프링(6)에 의해 지지판(2)(4)으로부터 벌어져 있게 되므로 파이프(34)(36)의 연결작업시 지지판(2)(4)에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지지볼트(8)(10)를 오무려서 그 볼트부(32)를 결합홈(18)에 결합하고 너트(30)(31)를 죄여주면 되므로 혼자서도 파이프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판(2)(4)과 지지볼트(8)(10)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서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가 있고 또 일측 지지판(2)이 갖는 돌편(20)이 타측 지지판(4)의 통공(22)을 관통하도록 하여 그 타측으로부터 용접하여 서로 이체감을 갖도록 하므로서 제작이 용이하여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고, 클램프로서의 이용시에 지지볼트(8)(10)는 지지판(2)(4)으로부터 스프링(6)에 의해 벌어져 있어 한손으로 파이프(34)(36)를 잡고 결합한 다음 다른 한손으로 지지볼트(8)(10)를 오무려서 그 볼트부(32)(33)를 지지판(2)(4)의 결합홈(18)에 결합하고 너트(30)(31)를 죄여주게 되면 조립완료되므로 파이프 연결작업이 혼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어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지지판 (6)--스프링
(8)(10)--지지볼트 (12)(13)--만곡면
(14)--핀공 (16)--연결편
(18)--결합홈 (20)--돌편
(22)--통공 (24)(25)--만곡면
(26)--핀공 (28)--핀
(30)(31)--너트 (32)(33)--볼트부
(34)(36)--파이프

Claims (1)

  1. 서로 마주하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돌편(20)이 통공(22)을 관통하도록 하여 그 타측으로부터 돌편(20)을 용접하여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한 지지판(2)(4)과, 상기 지지판(2)(4) 일단에 스프링(6)과 핀(28)으로 탄력있게 연결설치되고 타단에 갖는 볼트부(32)(33)는 지지판(2)(4) 타단의 결합홈(18)에 결합되며 결합후 너트(30)(31)의 죄임으로 연결고정되는 만곡된 지지볼트(8)(10)로 구성하여서 된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2003-0011519A 2003-02-24 2003-02-24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052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19A KR100524147B1 (ko) 2003-02-24 2003-02-24 건축비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19A KR100524147B1 (ko) 2003-02-24 2003-02-24 건축비계용 클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421U Division KR200314993Y1 (ko) 2003-02-24 2003-02-24 건축비계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170A KR20040076170A (ko) 2004-08-31
KR100524147B1 true KR100524147B1 (ko) 2005-10-27

Family

ID=3736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519A KR100524147B1 (ko) 2003-02-24 2003-02-24 건축비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490A (zh) * 2015-10-27 2016-04-13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管快速连接装置
KR20190100746A (ko)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경량 파이프 클램프
CN114704074B (zh) * 2022-02-18 2023-10-03 杭州宏美建筑设备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脚手架用防滑固定件及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170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2554T1 (es) Abrazadera de union para tubos.
KR100524147B1 (ko) 건축비계용 클램프
KR200314993Y1 (ko) 건축비계용 클램프
KR200338343Y1 (ko) 빔을 결합시키는 클램프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JP2017078301A (ja) ブレース連結金具の施工方法
KR200454303Y1 (ko) 원터치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WO2020225986A1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クランプ装置
JP3523576B2 (ja) 通り合せ治具
CN212763101U (zh) 一种工艺品加工用柔性夹具
KR20100001376U (ko) 파이프 교차 연결고정구
KR20190003135A (ko) 세 방향 또는 네 방향 파이프 체결용 클램프
JP2968949B2 (ja) 仮設建築用シートジョイントの取付具
JP3220627B2 (ja) 建物用接合金物
CN220510237U (zh) 一种具有快装反射装置的天线
JP4128317B2 (ja) ほぞ付き接合具
CN220217323U (zh) 一种光电管焊接固定工装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KR100468512B1 (ko) 강관비계 결속용 클램프
JP3035197U (ja) 屋根と柱用の継手
KR200352969Y1 (ko) 조립식 하우스 파이프의 조인트 연결소켓
JPH06167103A (ja) 鋼管緊結金具
JPH0527314Y2 (ko)
JPH0218199Y2 (ko)
JP3899342B2 (ja) 鉄塔用標識体の接合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