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61B1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61B1
KR100523561B1 KR10-2002-0064777A KR20020064777A KR100523561B1 KR 100523561 B1 KR100523561 B1 KR 100523561B1 KR 20020064777 A KR20020064777 A KR 20020064777A KR 100523561 B1 KR100523561 B1 KR 10052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p
pyrolysis
tfe
reaction
hexafluoro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023A (ko
Inventor
문동주
정정조
이용준
이상득
안병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61B1/ko
Priority to US10/414,740 priority patent/US6924402B2/en
Publication of KR2004003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 C07C17/26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by condensation reactions
    • C07C17/269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by condensation reactions of only 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동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예열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 5 ∼ 10, 반응온도 730 ∼ 760 ℃ 및 반응시간 0.01 ∼ 0.2 초로 특정화된 조건으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을 열분해 반응시켜 TFE와 HFP를 동시에 제조하며, 특히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미반응한 R22와 HFP를 반응기에 재순환시켜, 반응기 입구 기준 몰비([HFP]/[R22])를 0.01 ∼ 0.1으로 조절하여 열분해 반응을 수행함으로서, HFP의 선택도를 고도로 향상시키면서, 불소계 수지 산업의 중요한 단량체인 TFE와 HFP를 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해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Preparation of Te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동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예열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 5 ∼ 10, 반응온도 730 ∼ 760 ℃ 및 반응시간 0.01 ∼ 0.2 초로 특정화된 조건으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을 열분해 반응시켜 TFE와 HFP를 동시에 제조하며, 특히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미반응한 R22와 HFP를 반응기에 재순환시켜, 반응기 입구 기준 몰비([HFP]/[R22])를 0.01 ∼ 0.1으로 조절하여 열분해 반응을 수행함으로서, HFP의 선택도를 고도로 향상시키면서 불소계 수지 산업의 중요한 단량체인 TFE와 HFP를 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해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CF3CFCF2, 이하 'HFP'이라 함)은 불소계 수지의 공중합체(copolymer)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CF2CF2, 이하 'TFE'이라 함)과 더불어 중요한 불소계 수지의 기초원료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HFP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는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CHClF2, 이하 'R22'라 함)의 열분해법[유럽특허 제0,287,219호(1988), 미국특허 제4,849,554호(1989)], TFE와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C4F8, 이하 'RC318'이라 함)의 열분해법[미국특허 제3,446,858호(1969)],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이라 함)의 열분해법[미국특허 제2,759,983호(1956)] 및 트리플루오로메탄(CHF3, 이하 'R23'이라 함)의 열분해법[미국특허 제3,009,966호(1961)] 등이 지금까지 발표되었다.
상기한 HFP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서, R22의 열분해법은 비교적 TFE의 선택율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HFP의 선택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며, R22의 열분해 반응에서 R22와 HFP가 공비 혼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고순도의 HFP를 분리정제하기가 매우 어렵다. TFE의 열분해법에서는 RC318이 주로 생성되고 HFP가 소량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PTFE의 열분해법은 R22의 열분해에 의해 TFE를 제조하고 TFE의 중합반응으로 PTFE를 제조한 다음 이를 열분해시켜 HFP를 제조하는 복잡한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HFP의 선택도는 R22나 TFE의 열분해 공정보다 다소 높다하지만 생산 단가가 높기 때문에 HFP의 대량 생산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상업적인 TFE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일본의 다이킨(Daikin)사와 아사히(Ashahi)사, 영국의 ICI사, 미국의 듀폰(Du-pont)사, 독일의 호에치스트(Hoechst)사 및 러시아의 RSC 연구소 등에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아직 생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HFP의 제조방법에서 R22의 전환율에 제약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열량공급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스팀발생기에서 약 530 ∼ 580 ℃로 미리 예열된 스팀을 초고온 전기로에 공급하며 900 ∼ 1000 ℃ 이상의 과열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미리 예열된 R22와 혼합하므로써 열분해 반응에 필요로 하는 열량을 공급하였으며, 기존의 공정보다 낮은 반응온도인 730 ∼ 760 ℃ 범위에서 수행하여 TFE의 발열반응에 따른 부반응의 생성을 억제하여 TFE와 HFP의 수율저하의 원인을 개선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R22의 열분해법이 부 반응의 촉진으로 수율이 저하되고 HFP의 선택도가 낮아 소량 생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의 몰비를 적절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 반응시켜 불소계 산업에서 필수적 단량체인 TFE와 HFP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조하였고, 특히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미반응 R22와 생성된 HFP를 몰비로 적절하게 재순환하여 열분해 반응을 수행함으로서 HFP의 선택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R22의 열분해법에 의해 TFE와 HFP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조하고, 특히 TFE와 HFP의 수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50 ∼ 250 ℃로 예열시킨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를 730 ∼ 760 ℃ 온도로 0.01 ∼ 0.2 초 동안 열분해 반응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배출되는 미반응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혼합물은 열분해 반응기로 재순환하며, 상기 열분해 반응기 입구 기준으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가 5 ∼ 10로 조절되고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몰비([HFP]/[R22])가 0.01 ∼ 0.1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의 열분해 반응시 생성물의 수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열량공급의 속도 조절을 위해 미리 200 ℃로 예열된 R22와 스팀발생기를 거친 530 ∼ 580 ℃의 스팀을 초고온 전기로를 통과시켜 생성된 900 ∼ 1000 ℃의 과열 수증기를 일정 몰비로 조절하고 적절한 반응조건 하에서 열분해 반응하여 TFE와 HFP를 동시에 생성하였으며, 특히 상기의 열분해 반응시에 미반응한 R22와 생성된 HFP의 몰비를 일정하게 조절한 후 열분해 반응기에 재순환하여 HFP의 선택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불소계 수지 산업에 필수적인 TFE와 HFP를 동시에 제조할 뿐만 아니라 TFE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던 HFP의 선택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TFE와 HFP의 동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응물인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를 5 ∼ 10으로 조절하면서 열분해 반응시키는데 기술구성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스팀을 공급하지 않거나 [H2O]/[R22]의 몰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면 TFE및 HFP의 수율이 떨어지고 부산물의 수율이 증가하여 분리정제에 많은 비용이 들고, 10를 초과하여 유지하면 HFP의 수율이 감소하고 초고온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에너지 비용이 소모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H2O]/[R22]의 몰비를 7.5 ∼ 8.5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반응물을 고온화하여 전환율에 제약적인 요소로 작용했던 열량 공급속도를 조절하였는 바, R22는 예열기에서 150 ∼ 250 ℃로 예열하여 반응기에 공급하며, 수증기는 수증기 발생장치에서 530 ∼ 580 ℃로 예열시킨 다음, 초고온 전기로에서 900 ∼ 1000 ℃로 가열하여 과열 수증기로 제조한 다음 사용한다. 즉,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고온처리한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는 반응물의 예열온도 및 반응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량 공급속도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방법으로 준비된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를 인코넬(INCONEL) 재질의 반응기에 공급하여 730 ∼ 760 ℃의 비교적 낮은 반응온도로 열분해 반응한다. 이때, 열분해 반응온도가 730 ℃ 미만이면 R22의 전환율과 HFP의 선택도가 낮고, 760 ℃를 초과하면 TFE의 발열반응에 따른 부반응이 진행되어 TFE와 HFP의 선택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열분해 반응시간은 0.01 ∼ 0.2 초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데, 반응시간이 0.2 초를 초과하면 생성물과의 접촉시간이 길어져서 부반응이 촉진되어 TFE와 HFP의 선택도가 감소할 뿐만아니라 생성물의 분리정제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열분해 반응 후에 미반응한 R22와 HFP 생성물을 몰비로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의 열분해 반응기에 재순환함으로써 HFP의 선택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미반응한 R22와 HFP를 열분해 반응기에 재순환시켜 반응기 입구기준 [HFP]/[R22]의 몰비를 0.01 ∼ 0.1 로 조절한 후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는데, 그 몰비가 0.01 미만이면 HFP의 선택도가 증가하지 않고, 0.1을 초과하면 다른 부반응이 발생하여 HFP의 선택도는 크게 향상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공정 설계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동시 제조방법을 과정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ⅰ) R22 예열부로부터 예열시킨 R22와, 스팀발생기에서 530 ∼ 680 ℃ 예열시킨 수증기를 초고온 전기로(30)에서 과열 수증기를 생성시킨 다음 열분해 반응기(31)에서 혼합하여 열분해 반응시키는 과정과; (ⅱ) 상기 열분해 반응물 중에 포함된 염화수소(HCl)를 분리하는 과정과; (ⅲ) 상기 염화수소가 분리된 반응물을 중화 및 건조한 후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를 분리 정제하는 과정; (ⅳ)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를 분리 정제하고 미반응 R22와 HFP를 열분해 반응기(31)로 재순환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적용되는 공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R22 실린더(10) 및 R22 예열기(11)로 구성된 R22 공급부와; 공정수 실린더(20), 공정수 컬럼(21), 공정수 탱크(22) 및 스팀 생성기(23) 및 초고온 전기로(30)로 구성된 과열 수증기 생성부와;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가 혼합된 후 열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열분해 반응기(31)와; 열분해 반응물 중에 포함된 염화수소(HCl)의 분리 정제부(40, 41, 42, 43, 44)와 HCl 분리된 생성물로부터 TFE, TrFE, R125, HFP를 각각의 분리 정제부(100, 101, 102, 103, 104, 105)와 미반응한 R22와 정제된 HFP를 재순환 하는 라인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공정 시스템에서의 열분해 반응기(31) 출구에는 퀀칭조(quenching unit, 40)를 설치하여 출구가스의 부 반응을 억제시키고, 염화수소(HCl) 수용액과 혼합하여 급냉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염화수소(HCl)를 흡수 제거하도록 한다. 퀀칭조(quenching unit)는 카본(carbon)으로 제조하였으며, HCl 흡수탑과 HCl 흡수 저장탱크는 고무로 라인닝(lining)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22 열분해법을 수행하게 되면 TFE와 HFP를 동시에 제조함과 선택적으로 HFP의 선택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은 울산화학(주)에서 제조된 것이며, R22의 순도는 GC 분석결과 99.9 % 였으며, 이것을 유량측정기(M605, 메터슨)를 사용하여 일정량을 R22 예열기에 공급하였다.
또한, 상기 과열 수증기 생성용 물로는 일차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증류수내에 용존되어 있는 O2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정수 탱크(22)로 이동한 물은 3시간 동안 진공으로 배기시킨 후, 액체질소의 실린더로부터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이때 공정수 탱크(22)의 압력은 상압으로 유지하였다. 또한 공정수 탱크(22)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는 20 cc/min 으로 탱크에 공급된 다음 대기중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정수 탱크(22)내의 산소가 제거된 물은 펌프(diaphragm metering pump, Fulsa 680 series)를 사용하여 일정량을 스팀 발생기(23)에 공급하였다.
즉, 도 1의 공정도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R22 실린더(10)로부터 배출되는기화된 R22는 R22 예열기(11)에서 200 ℃로 예열시킨 다음 열분해 반응기(31)로 공급하였다. 그리고 공정수 실린더(20)로부터 배출된 물을 공정수 컬럼(광성이화학사, 이온교환순수기, 21)으로 정제하고 공정수 탱크(22)로 이동시킨 후 진공하에서 용존산소를 제거하였다. 상기 용존산소가 제거된 공정수는 펌프를 사용하여 스팀발생기(23)로 이동시켜 530 ℃의 과열 수증기를 생성한 다음 이를 초고온 전기로(30)에서 과열수증기로 예열시킨 후 상기의 예열된 R22와 함께 열분해 반응기(31)에 공급하였다.
상기의 열분해 반응기(31)에서의 열분해 반응이 끝난 후 반응물 중에 포함된 염화수소(HCl)는 퀀칭조(40)를 거친후 염화수소(HCl) 흡수탑(42)을 통과시켜 HCl 수용액 형태로 분리한 다음 염화수소(HCl) 수용액 탱크(41)에 저장하였다. 상기 염화수소(HCl)가 분리된 반응 혼합물에는 여전히 미량의 염화수소(HCl)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제거하기 위하여 4 %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상기의 중화컬럼 내부에 순환시킴으로서 유기물중에 잔존하는 미량의 산을 제거하는 중화과정을 거친다. 상기의 중화된 반응물은 소량 샘플링 밸브에 의해 채취하여 GC로 분석하고 그 외의 유기생성물은 저비물(low boilers)을 제거하기 위해 Inert 컬럼(101)을 거친 TFE 컬럼에서 TFE를 정제하였다. TFE 증류탑의 탑저물은 TrFE/R125 컬럼에서 TrFE와 R125를 탑상으로 분리시키고 탑저로 고비물(high boilers)을 분리제거 하였다. TrFE/R125 컬럼의 중간단에서 미반응 R22와 HFP를 HFP 컬럼으로 이송하여, 탑저로 순수한 HFP를 얻고 탑상으로 일정량의 미반응 R22와 공비를 형성하는 HFP를 열분해 반응기로 재순환시킨 다음 R22 혼합물의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다음 표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R22의 열분해 공정을 수행한 것으로 초기 열분해 반응 온도에 따른 R22 전환율과 TFE와 HFP의 선택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때 R22 전환율과 TFE와 HFP의 선택도 변화는 표 2의 GC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R22의 초기 열분해 반응 결과
반응물 반응온도(℃) 접촉 시간(sec)* 전환율(%) 생성물의 선택도(%)
R22(㎏/h) 스팀(㎏/h) [H2O]/[R22]몰비 R23 TFE HFP 기타
2.43 5.0 9.88 730 0.11 65.24 - 95.49 1.76 2.75
3.82 6.0 7.55 700 0.08 50.25 0.50 98.23 0.02 1.25
3.82 6.0 7.55 738 0.08 70.47 0.27 98.76 0.09 0.88
3.82 6.0 7.55 745 0.08 74.75 0.04 98.08 1.32 0.560
3.82 7.0 8.80 756 0.07 80.84 0.13 98.18 1.17 0.52
3.82 7.0 8.80 780 0.07 81.84 0.58 80.50 1.50 17.42
4.66 6.0 6.19 741 0.08 70.50 0.04 98.23 1.39 0.38
* : 반응기 입구기준 접촉시간
구분 GC 분석조건
GC 모델 GOW MAC, 550P
컬럼온도 50 ℃ ×5 min
5 ℃/min
150 ℃ ×15 min
주입온도 150 ℃
감지온도 200 ℃
컬럼물질 Porapak Q (10 ft ×1/8 in 외경)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건(730 ∼ 760 ℃)에서의 R22의 열분해 반응 결과 R22의 전환율이 70% 이상을 보였으며, 본 발명의 반응조건에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반응시간이 길수록 전환율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반응온도 730 ℃보다 낮아지면 전환율이 감소하였고 760 ℃보다 높아지면 TFE와 HFP의 선택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과열수증기와 예열된 R22 몰비가 5 ∼ 10 사이에서는 몰비의 증가에 따라 전환율과 HFP의 선택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면 TFE와 HFP의 수율이 떨어지고 부산물의 수율이 증가하였으며, 몰비가 10을 초과하면 초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에너지 비용이 소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R22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HFP 분리 정제용 증류탑(104)에서 배출되는 미반응한 R22와 HFP 공비혼합물을 재순환시켜 R22 실린더(10)로부터 도입되는 R22와 혼합하여 열분해 반응기(31)에로 도입하여 R22의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다음 표 3에는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R22를 사용한 열분해반응 실험결과로 얻어지는 R22 전환율과 선택도, 그리고 열분해반응기로부터 재순환된 미반응 R22와 HFP의 몰비 조절에 의한 열분해반응 실험결과로 얻어지는 R22 전환율과 선택도를 측정하여 각각 나타내었다.
다음 표 3에서의 '순환전 R22의 공급속도'는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R22의 공급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순환후 R22의 공급속도'는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R22와 재순환된 미반응 R22의 혼합물(R22mix)의 공급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반응물 반응온도(℃) 접촉 시간(sec) 전환율(%) 생성물의 선택도(%)
R22*(㎏/h) 스팀(㎏/h) [H2O]/[R22]몰비 [HFP]/[R22]몰비 R23 TFE HFP 기타
순환전 순환후
3.82 - 6.0 7.54 0.05a 738 0.08 78.63 0.04 98.08 1.32 0.56
- 3.82a 74.75 0.08 77.59 17.53 4.8
3.82 - 7.0 8.80 0.05a 747 0.07 81.84 0.13 98.18 1.17 0.54
- 3.82a 79.05 0.09 79.19 17.76 2.96
3.82 - 7.0 8.80 0.04b 740 0.07 75.40 0.07 98.18 1.20 0.55
- 3.82b 78.25 0.07 80.05 15.25 4.03
* 반응기 입구에서 측정한 반응물의 조성으로, a : R22 92.64몰%, TFE 2.12몰%, TrFE 0.12몰%, HFP 4.99몰%, 기타 0.13몰% b : R22 93.68몰%, TFE 2.51몰%, TrFE 0.15몰%, HFP 3.66몰%
상기 표 3에 의하여 일정량의 [HFP]/[미반응 R22]를 열분해 반응기에 재순환시켜 반응기 입구기준으로 [HFP]/[R22]의 몰비가 0.01 ∼ 0.1로 유지시켰을 때 R22 혼합물의 열분해 반응에서 HFP의 선택도도 증가하였다. 이는 상기의 R22 만으로 열분해 반응한 것에 비해 HFP의 선택도가 월등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를 열분해 반응시켜 산업적으로 유용한 TFE와 HFP를 동시에 제조하고, 또한 상기의 미반응한 R22와 HFP를 일정 몰비로 재순환시켜 순수한 R22의 열분해법에 비해 HFP의 선택도를 높이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산업적으로 R22 혼합물의 열분해 반응에 의해 불소계 수지산업에서 중요한 단량체인 TFE와 HFP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제조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시험 규모의 R22 열분해 반응 시스템 및 TFE와 HFP의 정제·순환 시스템을 나타낸 공정 설계도이다.
[도 1의 공정 설계도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22 실린더, 11 : R22 예열기,
20 : 공정수 실린더, 21 : 공정수 컬럼, 22 : 공정수 탱크 ,
23 : 스팀 발생기, 30 : 초고온 전기로, 31 : 열분해 반응기,
40 : 퀀칭조, 41 : HCl 흡수액 저장탱크, 42 : HCl 흡수탑,
43 : 중화 컬럼, 44 : NaOH 저장탱크,
100 : 건조기, 101 : Inert 컬럼, 102 : TFE 분리컬럼,
103 : TFE/R22 분리컬럼, 104 : HFP 분리컬럼

Claims (6)

  1. 과열 수증기를 이용한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의 열분해 반응으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50 ∼ 250 ℃로 예열시킨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를 5 ∼ 10로 조절하여 730 ∼ 760 ℃ 온도로 0.01 ∼ 0.2 초 동안 열분해 반응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배출되는 미반응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은 반응기 입구 기준으로 몰비([HFP]/[R22])를 0.01 ∼ 0.1로 조절하여 상기 반응기로 재순환하여 열분해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선택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의 몰비([H2O]/[R22])가 7.5 ∼ 8.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수증기는 수증기 발생장치의 예열온도를 530 ∼ 580 ℃로 예열한 후에 초 고온 전기로에서 900 ∼ 1000 ℃로 가열하여 제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 후에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은 HCl 수용액을 사용하여 0.1초 이내의 빠른시간안에 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ⅰ) 150 ∼ 250 ℃로 예열시킨 디플루오로클로로메탄(R22)과 과열 수증기를 열분해 반응기(30)에서 혼합하여 열분해 반응시키는 과정과;
    (ⅱ) 상기 열분해 반응물 중에 포함된 염화수소(HCl)를 분리하는 과정과;
    (ⅲ) 상기 염화수소가 분리된 반응물을 중화 및 건조한 후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를 분리 정제하는 과정과;
    (ⅳ) 부산물로 생성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을 분리 정제하여, 미반응 R22와의 몰비([HFP]/[R22])를 반응기 입구 기준으로 0.01 ∼ 0.1로 조절하여 열분해 반응기(30)로 재순환하여 열분해 반응시키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R22 실린더(10) 및 R22 예열기(11)로 구성된 R22 공급부와; 공정수 실린더(20), 공정수 컬럼(21), 공정수 탱크(22) 및 스팀 생성기(23) 및 초고온 전기로(30)로 구성된 과열 수증기 생성부와; 예열된 R22와 과열 수증기가 혼합된 후 열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열분해 반응기(31)와; 열분해 반응물 중에 포함된 염화수소(HCl)의 분리 정제부(40, 41, 42, 43, 44)와 HCl 분리된 생성물로부터 TFE, TrFE, R125, HFP 각각의 분리 정제부(100, 101, 102, 103, 104, 105)와; 미반응한 R22와 정제된 HFP를 재순환 하는 라인으로 구성된 공정 시스템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동시 제조방법.
KR10-2002-0064777A 2002-10-23 2002-10-2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KR10052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777A KR100523561B1 (ko) 2002-10-23 2002-10-2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US10/414,740 US6924402B2 (en) 2002-10-23 2003-04-16 Simultaneous preparation of tet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777A KR100523561B1 (ko) 2002-10-23 2002-10-2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023A KR20040036023A (ko) 2004-04-30
KR100523561B1 true KR100523561B1 (ko) 2005-10-25

Family

ID=3210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777A KR100523561B1 (ko) 2002-10-23 2002-10-2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24402B2 (ko)
KR (1) KR100523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5482B1 (en) * 1999-04-07 2012-01-31 Ivanhoe Energy, Inc. Rapid thermal processing of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US9707532B1 (en) 2013-03-04 2017-07-18 Ivanhoe Htl Petroleum Ltd. HTL reactor geometry
KR101723878B1 (ko) * 2013-07-03 2017-04-06 한국화학연구원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04016304B (zh) * 2014-06-19 2015-11-04 聊城氟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四氟乙烯副产的氯化氢气体制备浓盐酸的方法
CN108218665B (zh) * 2016-12-22 2020-01-14 中昊晨光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从四氟乙烯生产工艺中回收三氟乙烯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9818A (en) * 1966-05-28 1969-08-05 Asahi Glass Co Ltd Process of producing tet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US4849554A (en) * 1987-04-10 1989-07-1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tet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KR960001699A (ko) * 1994-06-21 1996-01-25 이헌조 냉장고의 자동제상시기 설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9983A (en) 1954-05-06 1956-08-21 Du Pont Pyrolysis process for preparing hexafluoropropene from tetrafluoroethylene polymer
DE1073475B (de) * 1958-07-29 1960-01-21 Farbwerke Hoechst Aktiengesellschaft vormals Meister Lucius &. Brüning, Frankfurt/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trafluoräthylen
US3009966A (en) 1960-02-08 1961-11-21 Pennsalt Chemicals Corp Production of fluorinated compounds
BE627531A (ko) * 1962-01-24
US3446858A (en) 1963-03-30 1969-05-27 Daikin Ind Lt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exafluoropropene
DE1249853B (de) * 1963-04-09 1967-09-14 Daikin Kogyo Co Ltd, Osaka (Japa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trafluorathyl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9818A (en) * 1966-05-28 1969-08-05 Asahi Glass Co Ltd Process of producing tet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US4849554A (en) * 1987-04-10 1989-07-1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tetrafluoroethylene and hexafluoropropylene
KR960001699A (ko) * 1994-06-21 1996-01-25 이헌조 냉장고의 자동제상시기 설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업화학", vol.10(2), p190-195, 1999, 한국공업화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82822A1 (en) 2004-04-29
KR20040036023A (ko) 2004-04-30
US6924402B2 (en) 200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7409A1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および1,1-ジフルオロエチレンの製造方法
US9206096B2 (en) Process for producing 2, 3, 3, 3-tetrafluoropropene
WO1997024307A1 (fr) Processus de production de 1,1,1,3,3-pentafluoropropane
US9334209B2 (en) Method for heat recovery in vinyl chloride monomer structures or in the structure composite dichloroethane/vinyl chloride, and device suitable for same
JP5975096B2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および1,1−ジフルオロエチレンの製造方法
KR100523561B1 (ko)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동시제조방법
US3178484A (en) Process for preparing vinyl fluoride and 1, 1-difluoroethane
EP0455399A2 (en) Process for making organic fluorine compounds
WO2014080916A1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の製造方法
KR100405895B1 (ko)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과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rc318)의 동시 제조방법
US3059035A (en)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methyl chloroform
KR100361585B1 (ko) 트리플루오로메탄(r23)과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ef)의 제조방법
CN114956953A (zh) 制备六氟丙烯的工艺
CN105237334B (zh) 一种联产制备1,1,2-三氟三氯乙烷和1,1,1-三氟二氯乙烷的方法
KR101571532B1 (ko)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제조장치
JPH01275539A (ja) ヘキサフルオロプロペン製造方法
KR20230077168A (ko) 고순도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05187B1 (ko)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rc318)의 제조방법
CN1331066A (zh) 制备全氟乙烷的方法
US20060129005A1 (en) Method of producing hydrofluorocarbons
JP2014101326A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の製造方法
JP2013227245A (ja)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および1,1−ジフルオロエチレンの製造方法
CN106187675B (zh) 一种生产四氯乙烯的方法
WO2024176771A1 (ja) フッ化ビニリデンの製造方法及びフッ化ビニリデンの製造装置
KR101182451B1 (ko) 비닐클로라이드 모노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