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952B1 - 스로틀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952B1
KR100521952B1 KR10-2003-0069850A KR20030069850A KR100521952B1 KR 100521952 B1 KR100521952 B1 KR 100521952B1 KR 20030069850 A KR20030069850 A KR 20030069850A KR 100521952 B1 KR100521952 B1 KR 10052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hrottle
motor
intake passag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764A (ko
Inventor
기노히사시
가와이신지
Original Assignee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5Materials, e.g. composites
    • F02D9/108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electrically
    • F02M31/13Combustio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스로틀 제어 장치가 스로틀체(1)를 구비한다. 스로틀체 내에는 흡기 통로(1a), 제 1 공간(24a) 및 제 2 공간(44)이 형성된다. 흡기 통로 내에는 스로틀 밸브(2)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스로틀 밸브가 모터(4)에 의해서 회전한다. 모터가 제 1 공간 내에 수용된다. 제 2 공간은 제 1 공간과 연통한다. 추가로, 제 2 공간은 벽부(20a)를 개재하여 흡기 통로 근방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 공간으로부터 제 2 공간 및 벽부를 거쳐서 흡기 통로 내로 효율적으로 방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로틀 제어 장치{THROTTLE CONTROL HEAT DISSIPATION DEVICE}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 밸브를 구비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에 공급되는 흡입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 2001-132495 호에는 스로틀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이 스로틀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스로틀체 내의 흡기 통로 내에 배치된 스로틀 밸브가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스로틀 밸브의 회전 중에는, 흡기 통로가 점진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어 흡입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스로틀체는 흡기 통로를 형성하는 보어부와,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수용 공간을 갖는 모터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 공보의 제 3 쪽 및 제 4 쪽과 도 1을 참조하길 바란다.
종래의 스로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체의 모터 수용부 내의 모터 수용 공간은 모터를 간신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작은 틈새가 존재한다. 따라서,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주로 스로틀체를 형성하는 물질의 열전도율을 이용하여서 방산된다. 따라서, 스로틀체 형성 물질이 수지재와 같이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인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방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산 면에서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스로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제어 장치는 흡기 통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스로틀체를 갖는다. 흡기 통로 내에는 스로틀 밸브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스로틀 밸브는 제 1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제 1 공간은 모터 수용 공간을 구성한다. 제 2 공간은 제 1 공간과 연통한다. 게다가, 제 2 공간은 벽부를 사이에 두고 흡기 통로에 근접해 위치되어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 통로와 벽부를 거쳐서 흡기 통로 내로 방산될 수 있게 한다. 제 2 공간은 방열 공간을 수용한다.
부언하면, 흡입 공기가 흡기 통로를 통하여 흐름에 따라, 전술한 벽부를 구비하는 흡기 통로의 벽으로부터 열이 제거된다. 따라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 2 공간을 거쳐서 벽부로 전달되고, 흡입 공기의 유동을 이용해서 흡기 통로 내로 방산된다. 결과적으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산 면에서 개선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벽부는 밸브체의 근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벽부는 밸브체가 충분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스로틀 밸브의 외측 주변부에 근접해 있거나 또는 그것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로틀 밸브의 근방에서는, 흡기 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흡입 공기의 유속이 스로틀 밸브의 압축으로 인해 크므로, 비교적 많은 양의 열이 벽부로부터 제거되어서,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스로틀체는 흡기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와, 제 1 공간을 형성하는 모터 수용부를 가지며, 벽부가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장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모터 수용부 내에 제 2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스로틀 제어 장치는 스로틀 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스로틀 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는 드르틀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베어링부중 하나의 외면은 제 2 공간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체와 모터 수용부는 예를 들면 수지로 만들어진 일체형 유닛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공간은 본체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벽면의 반대쪽에서 제 1 공간과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벽부로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제 2 공간은 모터의 외면을 직접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서, 모터에서 발생된 열이 제 2 공간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열방산의 효율 면에서 개선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제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우선, 스로틀 제어 장치를 개괄적으로 기술한다. 이 실시예의 스로틀 제어 장치는 자동차(도시하지 않음)의 엔진 제어 장치(engine control unit: ECU)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스로틀 제어 개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식 스로틀 제어 장치로서 형성된다. 상기 엔진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예로는 가속 페달 가압량과 관련된 가속 신호, 견인 제어 신호, 크루즈 컨트롤 장치 등으로부터의 정속 운행 신호, 및 아이들링 스피드 제어 신호(idling speed control signal)를 들 수 있으나, 그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스로틀 제어 장치는 스로틀체(1)를 구비한다. 이 스로틀체(1)는 본체부(20)와,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모터 수용부(2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 내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사실상 원통형상의 흡기 통로(1a)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에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가 본체부(20)의 상부에 접속되고, 흡기 매니폴드(26)가 본체부의 하부에 접속된다.
본체부(20) 내에서는 금속제 스로틀 샤프트(9)가 흡기 통로(1a)를 가로질러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에 도시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8, 10)을 통해서 베어링부(21, 22)가 스로틀 샤프트(9)의 단부(9a, 9b)를 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예를 들면 수지로 만들어진 스로틀 밸브(2)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벳(3)에 의해서 스로틀 샤프트(9)에 고정된다. 흡기 통로의 내측에 위치된 스로틀 밸브(2)는, 스로틀 샤프트(9)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기 통로(1a)를 폐쇄하도록 회전하고 또한 스로틀 샤프트(9)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기 통로(1a)를 개방하도록 회전한다. 이러한 스로틀 밸브(2)의 점진적인 개방 및 폐쇄 운동에 의해서, 흡기 통로(1a)를 통하여 흐르는 흡입 공기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도 2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2)는 완전 폐쇄 위치에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폐쇄 위치의 스로틀 밸브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흡기 통로(1a)가 개방된다.
베어링부(21) 내에는 본체부(20) 내의 단부(9a)를 구속하기 위한 플러그(7)가 끼워맞춤된다. 베어링부(21)는 스로틀 샤프트(9)의 일 단부(9a)(도 1에 도시한 좌측 단부)를 지지한다. 스로틀 샤프트(9)의 타 단부(9b)(도 1에 도시한 우측 단부)는 베어링부(22)를 통하여 연장하고 우측으로 더욱 돌출한다. 섹터 기어로 구성된 스로틀 기어(11)가 상대 회전을 허용하지 않도록 상기 타 단부(9b)의 돌출단에 고정된다. 스로틀체(1)의 베어링부(22)의 외주부와 스로틀 기어(11)의 외주부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 등에 의한 스프링력이 제공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스로틀 기어(11) 및 스로틀 샤프트(9)를 통하여 스로틀 밸브(2)가 폐쇄되도록 스로틀 샤프트(9)를 항상 가압하고 있다. 게다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로틀체(1)와 스로틀 기어(11)의 사이에는 스로틀 밸브(2)가 완전 폐쇄 위치를 지나서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멈춤부재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체(1)의 모터 수용부(24)는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과 거의 평행한 축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모터 수용부(24)의 축방향 일 단부(도면에 도시된 좌측 단부)는 폐쇄된다. 모터 수용부(24)의 내부에는 스로틀체(1)의 우측으로 개방된 공간(24a)이 형성된다. 공간(24a)은 예를 들면 DC 모터일 수도 있는 모터(4)를 수용한다. 도시한 수용 상태에서는 모터(4)의 축이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모터의 출력 샤프트(4a)(도 3에 도시함)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된다. 모터(4)는 모터(4)의 외면을 규정하는 모터 케이싱(28)을 갖는다. 모터 케이싱(28)의 우측에는 장착 플랜지(29)가 제공되며, 이 장착 플랜지(29)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크류(5)에 의해서 모터 수용부(24)에 고정된다(도 3 참조).
모터(4)의 출력 샤프트(4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플랜지(29)를 지나서 우측으로 돌출하며, 이 돌출한 부분에는 모터 피니언(32)이 고정된다(도 3 참조). 게다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와 모터 수용부(24) 사이의 위치에서는 카운터 샤프트(34)가 스로틀체(1)에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 샤프트(34)는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카운터 샤프트(34)에는 카운터 기어(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카운터 기어(14)는 상이한 기어 직경을 갖는 두 개의 기어부(14a, 14b)를 갖는다. 큰 직경의 기어부(14a)는 모터 피니언(32)과 맞물리고, 작은 직경의 기어부(14b)는 스로틀 기어(11)와 맞물린다(도 1 참조). 모터 피니언(32), 카운터 기어(14) 및 스로틀 기어(11)는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을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 메카니즘을 주로 덮는 커버(18)가 커플링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스로틀체(1)의 우측면에 접속된다. 커플링 수단의 예로서는 다른 것 중에서도 특히 스냅결합 수단, 스크류 수단 또는 클램프 수단을 들 수 있다. 스로틀체(1)의 우측면과 커버(18)의 사이에는 이들 부품을 밀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O-링(17)이 제공된다. 게다가, 모터(4)는 장착 플랜지(29)로부터 돌출하는 모터 단자(30)를 가지며, 이 모터 단자(30)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전기 접속되고, 또한 커버(18) 내에 제공된 릴레이 커넥터(36)의 릴레이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ECU에 추가로 접속된다. 그에 따라서, 모터(4)는 가속 페달 가압량과 관련된 가속 신호, 견인 제어 신호, 정속 운행 신호 및 아이들링 스피드 제어 신호 등에 따라서 구동되게 된다. 모터(4)의 구동력은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을 통하여, 즉 모터 피니언(32), 카운터 기어(14) 및 스로틀 기어(11)를 통하여 스로틀 샤프트(9)로 전달된다.
스로틀 기어(11)의 우측면에는 링형상의 자석(38)이 제공된다. 이 자석은 상이한 극성을 나타내는 한쌍의 반원형 자석부를 갖는다. 커버(18) 내측에서는 스로틀 샤프트(9)의 말단 표면과 대향하는 쪽에 회로기판(40)이 장착된다. 회로기판(40) 위에는, 자석(38) 내측에 위치된 홀 효과 요소(41)가 장착된다. 스로틀 기어(11)가 스로틀 샤프트(9)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홀 효과 요소(41)가 자석으로 인한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홀 전압을 발생시킨다. 홀 효과 요소(41)에 의해 발생된 홀 전압이 회로 기판(40) 및 커버(18) 내에 제공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ECU에 입력된다. ECU는 자석(38)의 자계 변화에 따른 물리적인 자기량에 의해 스로틀 개방을 결정하여, 연료 주입 제어, 스로틀 밸브(2)의 개방에 대한 보정 제어, 자동차 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 속도에 따른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 제어 등과 같은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스로틀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엔진이 시동될 때, ECU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모터에 대해 구동 제어가 수행되고, 그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2)가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을 통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며, 그 결과 스로틀 밸브(1)의 흡기 통로(1a)를 통하여 흐르는 흡입 공기량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의 스로틀 제어 장치를 추가로 기술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체(1) 내에는 방열 공간(44)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열 공간(44)이 기계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주조술, 착탈식 코어, 다수의 부품, 및 다른 최적의 또는 무게를 줄이는 과정 등을 이용하여, 다른 널리 공지된 과정에 의해 방열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방열 공간(44)은 모터 수용부(24)의 모터 수용 공간(24a)에 대해 개방되며, 본체부(20)의 근방에 최내측 벽면(44a)을 갖는다. 최내측 벽면(44a), 상부 벽면(44b)(도 2 참조), 하부 벽면(44c)(도 2 참조) 및 좌측 벽면(44d)(도 1 참조)에 의해서 규정된 방열 공간(44)은 모터 수용 공간(24a)에 대해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방열 공간(44)은 모터 수용 공간(24a)에 대해 개방되며, 스로틀체(1)의 우측을 통하여 외부로 개방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음영부는 스로틀체(1) 위에 기계가공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방열 공간(44)을 표시한다. 방열 공간(44)의 각 벽면(44a, 44b, 44c, 44d)을 편평한 표면으로서 형성하였지만, 이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으며 최적의 무게를 줄이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요철을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벽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공간(44)의 최내측 벽면(44a)은 베어링부(22)(도 5 참조)를 따라서 뿐만 아니라 본체부(20)의 외주 벽부(20a)(도 4 참조)를 따라서도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상부 벽면(44b)의 일부는 모터 수용 공간(24a)의 상부를 따라서 사실상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도 2 참조). 추가로, 스로틀체(1)의 우측면(도 1 참조)의 근방에서는 상부 벽면(44b)이 모터 수용 공간(24a)의 상부로부터 베어링부(22)의 상부까지 연장된다(도 5 참조). 방열 공간(44)의 하부 벽면(44c)의 일부는 모터 수용 공간(24a)의 중간부분(수직방향에 대한 것임)으로부터 상부 벽면(44b)에 대해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된다. 스로틀체(1)의 우측면의 근방에서는 하부 벽면(44c)이 모터 수용 공간(24a)의 하부로부터 베어링부(22)의 근방까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도 5 참조). 또한 방열 공간(44)의 좌측 벽면(44d)은 본체부(20)의 수평방향에 대해 대략 중간부분으로부터 모터 수용 공간(24a)을 향하여 연장된다(도 4 참조).
전술한 스로틀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스로틀체(1)가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 공간(24a)에 대해 개방된 방열 공간(44)을 갖는다. 또한, 이 방열 공간(44)은 흡기 통로(1a)를 형성하는 본체부(20)의 근방에 최내측 벽면(44a)을 갖는다(도 1 및 도 2 참조). 흡기 통로(1a)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26)로 흐르는 에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흡입 공기(도 2 참조)가 부분(20a)을 포함한 본체부(20)로부터 열을 제거한다. 따라서 모터(4)를 구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열은 방열 공간(44)에 의해서 본체부(20)로 직접 전달되고, 이 열은 본체부(20)로부터, 흡기 통로(1a)를 통하여 흐르는 흡입 공기로 방산된다. 그 결과, 모터(4)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방산 면에서 개선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선은 스로틀체(1)가 예를 들면 수지와 같은 저 열전도율의 재료로 형성될 때 효율적이 된다. 또한 이러한 개선은 스로틀체(1)의 본체부(20)와 모터 수용부(24)가 서로 이격되어 있을 때에도 효율적이 된다.
게다가, 모터(4)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방열 공간(44)을 통하여 스로틀체(1)의 본체부(20)로 직접 전달되어서 본체부(20)를 가열한다. 따라서, 스로틀체(1)에 엔진 냉각 유체를 이용하는 온수 배관을 제공하지 않고도, 스로틀 밸브(2)의 결빙(icing)을 방지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결빙 방지 조처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종래의 결빙 방지 방법에 비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추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열 공간(44)의 최내측 벽면(44a)은 완전 폐쇄 상태인 스로틀 밸브(2)의 일 에지부 근방에 있거나 또는 그것에 접촉하고 있는 본체부(20)의 부분에 인접 배치된다. 따라서 흡기 통로(1a)를 통과하는 흡입 공기의 급류를 이용함으로써 모터(4)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결빙 방지 조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실시예의 각종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로틀체(1)와 스로틀 밸브(2)가 수지로 제조되지만, 그들을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물질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스로틀 센서(42) 및/또는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의 구성도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것의 다른 각종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모터 수용 공간과 방열 공간이 연통하고, 방열 공간이 본체부의 벽부를 사이에 두고 흡기 통로에 근접해 위치되므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모터 수용 공간, 방열 공간 및 벽부를 거쳐서 흡기 통로 내의 흡입 공기로 방산될 수 있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 공간을 통하여 스로틀체의 본체부로 직접 전달되어서 본체부를 가열하므로, 스로틀체에 온수 배관을 제공하지 않고도 스로틀 밸브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빙 방지 조처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종래의 결빙 방지 방법에 비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추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제어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로틀 제어 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스로틀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스로틀체를 분리 상태로 도시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스로틀체를 분리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로틀체 1a: 흡기 통로
2: 스로틀 밸브 4: 모터
9: 스로틀 샤프트 20: 본체부
20a: 벽부 21, 22: 베어링부
24: 모터 수용부 24a: 모터 수용 공간
44: 방열 공간(放熱空間) 44a, 44b, 44c, 44d: 벽면

Claims (13)

  1. 스로틀체(1)와;
    상기 스로틀체(1) 내에 형성된 흡기 통로(1a), 제 1 공간(24a) 및 제 2 공간(44)과;
    상기 흡기 통로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스로틀 밸브(2)와;
    상기 스로틀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 및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간 내에 수용되는 모터(4)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벽부(20a)를 통해 상기 흡기 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상기 모터 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 2 공간 및 벽부를 거쳐 상기 흡기 통로 내로 방산되게 하며;
    상기 제 2 공간(44)은 상기 모터(4)의 외면에 직접 대면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스로틀체(1)와;
    상기 스로틀체(1) 내에 형성된 흡기 통로(1a), 제 1 공간(24a) 및 제 2 공간(44)과;
    상기 흡기 통로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스로틀 밸브(2)와;
    상기 스로틀 밸브를 회전시키도록 배치 및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간 내에 수용되는 모터(4)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제 2 공간은 벽부(20a)를 통해 상기 흡기 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상기 모터 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 2 공간 및 벽부를 거쳐 상기 흡기 통로 내로 방산되게 하며;
    상기 스로틀체(1)는 상기 흡기 통로(1a)를 형성하는 본체부(20)와, 상기 제 1 공간(24a)을 형성하는 모터 수용부(24)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20a)는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2 공간(44)은 상기 모터 수용부(24)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44)은 상기 본체부(20)의 일부에 의하여 규정된 벽면(44a)의 반대쪽에서 제 1 공간(24a)과 연통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20a)는 상기 스로틀 밸브(2)의 근방에 위치되는
    스로틀 제어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20a)는 상기 스로틀 밸브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로틀 밸브의 외주 에지의 근방에 있거나 그것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제어 장치는 상기 스로틀 밸브(2)가 장착되는 스로틀 샤프트(9)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스로틀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1, 22)를 갖고, 상기 베어링부중 하나(22)의 외면은 상기 제 2 공간(44)의 벽면(44a, 44b, 44c, 44d)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로틀 제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모터 수용부(24)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스로틀 제어 장치.
KR10-2003-0069850A 2002-10-09 2003-10-08 스로틀 제어 장치 KR100521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6637A JP2004132237A (ja) 2002-10-09 2002-10-09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JP-P-2002-00296637 2002-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764A KR20040032764A (ko) 2004-04-17
KR100521952B1 true KR100521952B1 (ko) 2005-10-14

Family

ID=320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850A KR100521952B1 (ko) 2002-10-09 2003-10-08 스로틀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2698B2 (ko)
EP (1) EP1408216A3 (ko)
JP (1) JP2004132237A (ko)
KR (1) KR100521952B1 (ko)
CN (1) CN2690611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7080A (ja) * 2004-07-05 2006-01-19 Denso Corp 内燃機関用吸気制御装置
JP2007024241A (ja) * 2005-07-20 2007-02-01 Denso Corp 流体制御弁
ATE422610T1 (de) 2006-11-21 2009-02-15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Drosselventil eines drallsystem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7025441B4 (de) * 2007-05-31 2020-06-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astverstelleinrichtung
DE102007039689A1 (de) * 2007-08-22 2009-02-26 Pierburg Gmbh Elektrische Verbrennungskraftmaschinen-Stellanordnung
CN102322357A (zh) * 2011-08-08 2012-01-18 台州荣茂电器有限公司 摩托车节气门总成
US9464577B2 (en) * 2011-09-19 2016-10-11 Walbro Llc Rotary position sensor with buffer
JP5867322B2 (ja) * 2012-07-04 2016-02-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気流制御装置
US9185856B1 (en) * 2014-06-28 2015-11-17 Frank August Barcatta Liquid flow rate modulator
CN109424777A (zh) * 2017-08-24 2019-03-0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阀
KR102096245B1 (ko) * 2018-12-21 2020-04-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자 제어 스로틀밸브 장치
CN110454286A (zh) * 2019-08-23 2019-11-15 浙江好亚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电子节气门体总成
CN111795162A (zh) * 2020-08-20 2020-10-20 江苏龙迈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耐高温自动密封蝶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581B2 (ja) 1997-12-23 2004-04-05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DE19854595A1 (de) * 1998-11-26 2000-06-08 Mannesmann Vdo Ag Drosseklappenstutzen
EP1024267A3 (de) * 1999-01-29 2003-08-06 AB Elektronik GmbH Drosselklappendrehwinkelsensor
JP3745573B2 (ja) 1999-08-24 2006-02-15 愛三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DE10007611A1 (de) * 2000-02-18 2001-08-23 Mannesmann Vdo Ag Drosselklappenstutzen
DE10044294A1 (de) * 2000-09-07 2002-05-16 Siemens Ag Drosselklappenstutzen
US6789526B2 (en) * 2001-02-08 2004-09-14 Denso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ottle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8216A2 (en) 2004-04-14
CN2690611Y (zh) 2005-04-06
US6892698B2 (en) 2005-05-17
US20040103882A1 (en) 2004-06-03
JP2004132237A (ja) 2004-04-30
EP1408216A3 (en) 2005-09-21
KR20040032764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952B1 (ko) 스로틀 제어 장치
CN100376772C (zh) 内燃机的进气控制装置
US6923157B2 (en) Throttl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0429389C (zh) 同时成形节气门阀和节气门体的方法
JP2004144039A (ja)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5054633A (ja)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1123855A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2007278123A (ja) スロッ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2006177277A (ja) 内燃機関用弁装置
KR101509928B1 (ko) 차량용 모터 장치 및 모터 장치 제어방법
JPH10259739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弁装置
EP1098079B1 (en) Butterfly body
US6325045B1 (en) Device for controlling intake air quantity of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7110525A (ja) 内燃機関用電子式スロットル装置
JPH0749780B2 (ja) 冷却式スロツトルアクチュエータ
US6880522B2 (en) Motor driven thrott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motor thereto
EP1408218B1 (en) Throttle control device
JP2002349396A (ja) バイパス吸気量制御装置
US20190128193A1 (en) Electric air flow control device
JP2003328784A (ja) 乗物のスロットル装置
JP2005337206A (ja) スロットルボデー
KR101469390B1 (ko) 전자식 스로틀밸브의 밸브하우징
JP2015081510A (ja) 吸気システム
JPH04249623A (ja) 液体クラッチ
Takahashi et al. Development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Starting Device for All Terrai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