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885B1 -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885B1
KR100520885B1 KR1020050015879A KR20050015879A KR100520885B1 KR 100520885 B1 KR100520885 B1 KR 100520885B1 KR 1020050015879 A KR1020050015879 A KR 1020050015879A KR 20050015879 A KR20050015879 A KR 20050015879A KR 100520885 B1 KR100520885 B1 KR 10052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ncrete
planter
concrete planter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담장 구조를 개선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연결설치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담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담장(200)은 다수개가 입설되는 콘크리트 화분(100)의 내측에 퇴비 토사(110)가 적재된 후 조경 식물(120)이 식재되고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이 연결되어 너트(140)로 체결되는 구조로 담장 구조를 구성시키는 한편,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에 플랜지부(104)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다수개의 체결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은, 스테인레스봉(132)의 양측에 볼트부(136)가 형성되고, 그 볼트부(136)가 형성된 측면에 원형의 지지대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에는 외측에 지지대부(134)가 밀착되고 내측의 볼트부(136)에 너트(140)가 체결되므로 담장 구조를 구성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FENCE STRUCTURE OF AP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담장 구조를 개선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관을 연결설치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주택의 담장 구조는,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한 담장도 있지만, 대부분 철재 담장 및 플라스틱 담장이 주로 이용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철재 담장은 부식에 약한 바, 외측에 아연도금을 실시하고, 상기 플라스틱 담장는 외부 충격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요사이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 담장이 이용되고 있지만, 가격이 플라스틱 담장에 비하여 높은게 단점이다.
상기 담장 구조는 수직대에 다수열로 수평대가 설치되어 금속인 경우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체결 볼트로 고정되며, 스테인레스인 경우 용접으로 고정되고 있다.
상술한 담장 구조는 단지 담장 기능만을 담당할 뿐 주변의 경관과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화분을 다수개 입설시킨 뒤 그 콘크리트 화분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결합시켜 너트로 고정하는 형태로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담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담장에 대한 시공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화분에 퇴비 토사가 적재되고 나무, 꽃 등의 조경 식물이 식재되므로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담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담장은 다수개가 지표면에 입설되는 콘크리트 화분의 내측에 퇴비 토사가 적재된 후 조경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콘크리트 화분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이 연결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담장 구조를 구성시키는 한편, 상기 콘크리트 화분은, 직사각형 형태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연결관은, 스테인레스봉의 양측에 볼트부가 형성되고, 그 볼트부가 형성된 측면에 원형의 지지대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화분에는 외측에 지지대부가 밀착되고 내측의 볼트부에 너트가 체결되므로 담장 구조를 구성시키는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담장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담장은, 다수개의 콘크리트 화분(100)이 설치되고, 그 콘크리트 화분(100)에 퇴비 토사(110)가 적재된 후 조경 식물(120)이 식재되며,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이 연결되어 너트(140)로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고, 내측에 퇴비 토사(110)가 적재되며, 적재된 퇴비 토사(110)에 조경 식물(120)이 식재되어 관상용으로 설치된다.
상기 조경 식물(120)로는 나무, 꽃 등을 식재할 수 있고, 상기 조경 식물(120)은 각각의 계절에 적합한 식물을 심어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은, 하부에 플랜지부(104)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체결홀(106)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은, 스테인레스봉(132)의 양측에 볼트부(136)가 형성되고, 그 볼트부(136)가 형성된 측면에 원형의 지지대부(1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에는 체결홀(106)에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의 지지대부(134)가 밀착되고, 관통한 볼트부(136)에 너트(140)가 체결되므로 담장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에는 체결홀(106)이 양측에 각각 3개만 도시된 형태가 도시되는데, 실제적으로 주변의 도로 또는 조경수가 식재된 지역에 적합할 수 있도록 3개를 넘는 갯수로 체결홀(106)을 구성한 높이가 높은 콘크리트 화분(100)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담장(200)은, 콘크리트 화분(100)의 자중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측면에 다수열로 상,중,하단에 결합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에 의해 그 지지력이 강화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은, 종래에 플라스틱 제품으로 설치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이 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하기에서는 발생될 수 있는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담장 구조는, 담장 기능과 나무, 꽃 등을 조경용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콘크리트 화분을 설치하므로 주변의 미관을 아름답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담장 구조는, 다수개의 입설된 콘크리트 화분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관계로, 시공이 용이한 담장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시공비 및 유지 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담장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담장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콘크리트 화분 110: 퇴비 토사
120: 조경 식물 130: 스테인레스 연결관
140: 너트 200: 담장

Claims (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다수개가 입설되는 화분, 화분에 수평하게 밀착설치되는 연결 부재, 연결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구, 화분의 내부 공간에 토사가 적재되어 꽃, 나무 등의 식물이 식재되어 담장 기능과 조경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공동주택의 담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담장(200)은 다수개가 입설되는 콘크리트 화분(100)의 내측에 퇴비 토사(110)가 적재된 후 조경 식물(120)이 식재되고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의 사이에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이 연결되어 너트(140)로 체결되는 구조로 담장 구조를 구성시키는 한편,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에 플랜지부(104)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다수개의 체결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연결관(130)은 연결 부재로, 스테인레스봉(132)의 양측에 볼트부(136)가 형성되고, 그 볼트부(136)가 형성된 측면에 원형의 지지대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화분(100)에는 외측에 지지대부(134)가 밀착되고 내측의 볼트부(136)에 너트(140)가 체결되어 담장 구조를 구성시키는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KR1020050015879A 2005-02-25 2005-02-25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KR10052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79A KR100520885B1 (ko) 2005-02-25 2005-02-25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79A KR100520885B1 (ko) 2005-02-25 2005-02-25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885B1 true KR100520885B1 (ko) 2005-10-11

Family

ID=3730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879A KR100520885B1 (ko) 2005-02-25 2005-02-25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8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51U (ja) * 1991-12-10 1993-06-29 株式会社アイティーオー プラントボックス連結構造
JPH0827751A (ja) * 1994-07-20 1996-01-30 Ee & Ii:Kk ガードフェンス
JPH1146588A (ja) * 1997-08-05 1999-02-23 Hiroshima Mikado:Kk 植栽用防護柵
KR200285021Y1 (ko) * 2002-04-29 2002-08-13 김명각 화분 울타리
KR200291931Y1 (ko) * 2002-07-16 2002-10-11 김명각 담장 대용 연결식 화분
KR200329615Y1 (ko) * 2003-07-01 2003-10-10 주행종 담장 겸용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51U (ja) * 1991-12-10 1993-06-29 株式会社アイティーオー プラントボックス連結構造
JPH0827751A (ja) * 1994-07-20 1996-01-30 Ee & Ii:Kk ガードフェンス
JPH1146588A (ja) * 1997-08-05 1999-02-23 Hiroshima Mikado:Kk 植栽用防護柵
KR200285021Y1 (ko) * 2002-04-29 2002-08-13 김명각 화분 울타리
KR200291931Y1 (ko) * 2002-07-16 2002-10-11 김명각 담장 대용 연결식 화분
KR200329615Y1 (ko) * 2003-07-01 2003-10-10 주행종 담장 겸용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8493A1 (en) Planting device and planting structure for plants
CN102242574A (zh) 拼接式绿化隔离栏
CN104363751A (zh) 竖直园艺系统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100520884B1 (ko) 공동주택 울타리용 식생 조경화분 설치공법
KR100520885B1 (ko) 콘크리트 화분과 스테인레스 연결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구조
JP2009167622A (ja) デッキ構造
JP2018007650A (ja) 緑化構造体及び簡易フェンス又は広告表示体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JP2011041533A (ja) パネル付栽培容器及び建物の緑化方法
KR100986308B1 (ko) 건축용 조경울타리
NL2010815C2 (en)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JP2008142044A (ja) 緑化パネル
CN214430412U (zh) 一种园林绿化藤蔓养殖支架
JP2007151519A (ja) 緑化ユニット
JP3112587U (ja) 栽培容器
KR200295104Y1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JP5941975B1 (ja) 緑化壁ユニ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209655Y1 (ko) 조경용 꽃 설치대
KR102512406B1 (ko) 흙 갈이가 편리한 화분
KR100647838B1 (ko)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의 조경 식생담장구조
JP2012080793A (ja) 植物栽培容器固定具及び外構フェンス構造
CN215301766U (zh) 一种钢结构栽培装置
CN217011900U (zh) 一种装配式立体绿化系统
JP3161770U (ja) 農園芸用立支柱設置用固定材と固定具及び連結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