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511B1 -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11B1
KR100520511B1 KR10-2001-0059712A KR20010059712A KR100520511B1 KR 100520511 B1 KR100520511 B1 KR 100520511B1 KR 20010059712 A KR20010059712 A KR 20010059712A KR 100520511 B1 KR100520511 B1 KR 10052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unit
paper
color
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639A (ko
Inventor
백운호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i.e. a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32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 H04N1/03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using ink, e.g. ink-jet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로 구분하는 신호처리부와; 칼라인쇄 작업를 수행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유닛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와; 모노인쇄를 수행하도록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를 가지는 잉크젯인쇄부; 및 신호처리부의 정보에 따라 전자사진인쇄부와 잉크젯 인쇄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히팅롤러 및 백업롤러를 가지는 정착부;를 포함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잉크젯인쇄부,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는 용지의 이송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Color and mono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ed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화상형성장치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 인쇄방식과 전자사진 인쇄방식이 복합적으로 채용된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본체(1) 내에 용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전자사진 인쇄부(3)와, 정착부(5) 및 잉크젯 인쇄부(7)를 가진다. 상기 전자사진 인쇄부(3)는 감광드럼(10)과, 대전롤러(11)와, 현상유닛(13)과, 레이저 주사유닛(LSU,15) 및 전사롤러(17)를 구비한다.
상기 정착부(5)는 히팅롤러(21)와, 백업롤러(23)를 가진다. 상기 잉크젯 인쇄부(7)는 가이드 샤프트(31)를 따라 이동되는 캐리지(33)와, 상기 캐리지(33)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된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프린팅하는 분사노즐을 가지는 잉크헤드(35)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복합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카세트(9)에서 공급된 용지가 소정의 경로를 거쳐 전사사진방식 인쇄부(3)에서 모노(mono)로 인쇄된다. 인쇄된 용지는 정착부(5)를 거치면서 정착됨으로써, 옮겨진 토너가 용지에 고착된다. 이어서, 정착부(5)를 지난 용지는 잉크젯 인쇄부(7)에서 칼라화상이 인쇄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으로 인쇄를 한후 다시 잉크젯인쇄를 연속적으로 할 경우, 기구적인 오차등으로 인해 모노와 칼라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화질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전사사진 인쇄부(3)에서 인쇄된 용지가 잉크젯 인쇄부(7)로 이동할 때 정착부(5)에서 발생한 열을 가지고 이동하게된다. 즉, 잉크젯 인쇄부(7)를 통과하는 용지는 뜨거워진 상태이므로, 용지의 열에 의해 잉크헤드(35)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잉크헤드(35)의 온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고장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잉크젯 인쇄부(7)가 후단에 위치하므로, 잉크젯 인쇄부(7)와 용지 배지트레이(8)와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 경우, 잉크젯 인쇄부(7)에 인쇄된 잉크가 미처 마르기도 전에 배지트레이(8)에 연속해서 용지가 쌓이게 되면, 잉크 번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구동측면에서 보았을 때, 잉크젯 인쇄부(7)는 캐리지(33)가 이동시 용지 이송이 중지되고, 용지 이송시 캐리지(33)의 이동이 중지되는 간헐구동 즉, 스텝와이드모드구동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잉크젯 인쇄부(7)의 간헐구동에 맞춰 전자사진 인쇄부(3)를 간헐구동시키게 되면, 소음이나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각 인쇄부 및 정착부의 배치를 변경하여 화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인쇄테이터를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로 구분하는 신호처리부와; 모노인쇄 작업를 수행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유닛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와; 흑색칼라를 포함하는 풀칼라인쇄를 수행하도록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를 가지는 잉크젯인쇄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와 잉크젯 인쇄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히팅롤러 및 백업롤러를 가지는 정착부;를 포함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인쇄부,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는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광드럼이 전사롤러에 대해 일정압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되도록 상기 전자사진인쇄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는 제1가압/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잉크젯 인쇄부의 칼라인쇄시, 상기 감광드럼이 상기 전사롤러에 대해 이격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롤러가 상기 백업롤러에 대해 일정압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되도록 상기 히팅롤러를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는 제2가압/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칼라인쇄시 상기 히팅롤러가 상기 백업롤러에 대해 이격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롤러는 칼라인쇄 및 모노인쇄시 모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은, 모노인쇄 작업를 수행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유닛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와; 흑색칼라를 포함하는 풀칼라인쇄를 수행하도록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를 가지는 잉크젯인쇄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와 잉크젯 인쇄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히팅롤러 및 백업롤러를 가지는 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인쇄부,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가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합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신호처리부로 입력된 인쇄데이터를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단계에서 구분된 인쇄데이터의 인쇄종류에 따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를 이용하여 칼라인쇄를 수행하는 칼라모드와, 상기 잉크젯인쇄부만을 이용하여 모노인쇄를 수행하는 흑백모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칼라모드는, 상기 감광드럼을 전사롤러에 대해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팅롤러를 상기 백업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용지를 용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잉크젯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잉크젯인쇄부를 구동시켜 이송용지에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단계와;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착부의 히팅롤러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백업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에 인쇄된 칼라화상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흑백모드는, 상기 감광드럼을 전사롤러에 대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팅롤러를 상기 백업롤러에 대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시키는 단계와; 용지를 용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전자사진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자사진인쇄부에서 용지에 흑백화상을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정착부에서 흑백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압착하여 흑백화상을 정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착부를 통과한 용지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로 구분하는 신호처리부(40)와, 모노인쇄를 수행하는 전자사진인쇄부(50)와, 흑색 칼라를 포함하는 풀칼라인쇄를 수행하는 잉크젯인쇄부(60)와, 신호처리부(40)에서 전달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와 잉크젯인쇄부(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70) 및 정착부(80)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는 전사롤러(51)에 접촉회전되는 감광드럼(53)과, 상기 감광드럼(53)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55) 및 현상유닛(57)을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53)은 상기 대전롤러(55)에 의해 그 표면이 소정 전위로 대전되며, 대전된 표면은 레이저 주사유닛(52)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노광되어 화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유닛(57)은 현상롤러(57a)를 포함하여 내부에 충진된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 영역으로 공급하여 감광드럼(53)에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토너화상은 전사롤러(51)와 감광드럼(53)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옮겨져 프린팅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50)는 흑백인쇄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현상유닛(57)은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 당연하며, 그 현상유닛(57)에는 현상제로서 블랙색상의 분말토너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50)는 통상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인쇄시 정속구동되면서 용지에 화상을 프린팅하게 된다. 즉, 감광드럼(53)이 정속회전되면서 용지에 연속해서 화상을 프린팅하게 된다.
상기 잉크젯인쇄부(60)는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잉크젯인쇄부(60)는 용지카트리지(40)에서 공급된 용지의 이송경로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의 상류에 설치된다. 이 잉크젯 인쇄부(60)는 잉크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캐리지(61)와, 상기 캐리지(6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63)를 구비한다. 이러한 잉크젯 인쇄부(60)는 통상의 잉크젯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소위 스텝와이즈모드로 구동된다. 즉, 이송롤러(41)에 의해 용지가 소정 거리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캐리지(61)가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소정 폭의 화상을 인쇄한다. 이어서 용지가 이송롤러(41)에 의해 소정 거리 더 이동된 후 다시 캐리지(61)가 왕복이동되면서 용지에 소정폭의 화상을 인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을 반복하면서 용지에 칼라화상을 인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신호처리부(4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칼라인쇄인지 아니면 모노인쇄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전발받는 정보가 칼라인쇄일 경우, 상기 잉크젯 인쇄부(60)를 구동시켜 칼라화상을 인쇄하고, 반대로 전달받은 정보가 모노인쇄일 경우 전자사진인쇄부(50)를 구동시켜 흑백화상을 인쇄하게 제어한다.
상기 정착부(80)는 히팅롤러(81)와 백업롤러(83)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롤러(81)는 내부에 히터(8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백업롤러(83)와 접촉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정착부(80)는 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있어서 전자사진인쇄부(50)의 하류에 설치되며, 전자사진인쇄부(50)에서 인쇄된 후 통과한 용지를 압착하여 흑백화상을 정착시킨다.
또한,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를 전사롤러(51)에 대해 일정압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는 제1가압/해제수단(90) 및 히팅롤러(81)를 백업롤러(83)에 대해 일정압력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는 제2가압/해제수단(1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가압/해제수단(90)은,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를 전사롤러(51) 측으로 가압하는 캠부(91)와, 상기 전자사진인쇄부(50)를 전사롤러(5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93)을 구비한다. 도 2의 상태는 캠부(91)에 의해 전자사진인쇄부(50)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감광드럼(53)이 전사롤러(51)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모노인쇄를 하기 위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잉크젯인쇄부(60)를 이용하여 칼라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캠부(91)를 도 2의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켜 감광드럼(53)을 전사롤러(51)에서 이격시켜, 용지가 감광드럼(53)에 접촉되지 않고 그냥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가압/해제수단(100)은 히팅롤러(81)가 백업롤러(83)에 접촉되어 가압되고 정착부(80)를 백업롤러(83) 측으로 가압하는 캠부(110)와, 상기 정착부(80)를 백업롤러(81) 측에서 멀어지는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2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캠부(110)의 회전자세에 따라 히팅롤러(81)가 백업롤러(83)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되거나, 히팅롤러(81)와 백업롤러(83)가 서로 이격된다. 즉, 잉크젯인쇄부(60)에서 칼라인쇄를 수행하게 되면, 전자사진인쇄부(50)와 마찬가지로, 정착부(80)로 가압해제되어 용지를 그냥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히터(82)는 가압해제된 상태에서도 계속 구동되어 히팅롤러(81)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반대로, 전자사진인쇄부(50)에서 모노인쇄를 수행하게 되면, 정착부(80)는 가압되어 히팅롤러(81)가 백업롤러(83)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해제수단(90)(100) 각각은 상기 제어부(70)에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인쇄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신호처리부(40)에서는 인쇄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며 그 정보에 따라 제어부(70)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시스템을 워밍업시킨다(S11). 이어서, 신호처리부(40)에서는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칼라인쇄인지 흑백인쇄인지를 구분한다(S12). 신호처리부(40)에서 구분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70)에서는 칼라인쇄인지 모노인쇄인지를 판단한다(S13).
만일 상기 단계(S13)에서 칼라인쇄임이 판단되면 제어부(70)에 의해 칼라모드(S20)가 수행되고, 반대로 모노인쇄임이 판단되면 흑백모드(S30)가 수행된다.
먼저, 칼라모드(S20)를 설명하면, 제어부(70)는 칼라인쇄임이 판단되었을 때 상기 각 가압/해제수단(90)(100) 각각을 구동시켜 전자사진인쇄부(50)와 히팅롤러(81)를 가압해제시킨다(S21).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53)을 전사롤러(5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히팅롤러(81)도 백업롤러(83)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이 상태에서, 용지카세트(40)에서 용지를 잉크젯 인쇄부(60) 측으로 이송시킨다(S23). 잉크젯인쇄부(60)에서는 상술한 스텝와이즈모드로 구동되면서 용지에 칼라화상을 인쇄한다(S25).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전자사진인쇄부(50)와 정착부(80)를 순차적으로 그냥 통과한다. 이 때, 감광드럼(53)과 전사롤러(51)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감광드럼(53)에 접촉되지 않고 그냥 통과하게 되므로, 칼라화상이 감광드럼(53)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용지가 정착부(80)를 통과할 때, 히팅롤러(81)와 백업롤러(83)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화상이 히팅롤러(81)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히팅롤러(81)는 칼라인쇄시에도 소정온도로 가열되므로, 그 정착부(80)를 통과하는 용지는 히팅롤러(81)에 의해 가열되며, 따라서 용지에 인쇄된 칼라화상이 건조된다(S27). 그리고, 정착부(80)를 통과한 용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순차적으로 적재된다(S29).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칼라 인쇄시 종래와는 달리 잉크젯 인쇄부(60), 전자사진인쇄부(50) 및 정착부(80)가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전자사진인쇄부(50) 및 정착부(80)를 지나는 비교적 긴 경로를 경유하면서 칼라화상이 충분히 건조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정착부(80)의 가열온도에 의해 강제로 건조된다. 따라서, 칼라인쇄를 연속해서 여러장 인쇄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되는 용지의 잉크가 번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3)에서 모노인쇄임이 판단되면 제어부(70)는 흑백모드(30)를 수행하도록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흑백모드(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70)는 상기 각 가압/해제수단(90)(100)을 구동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인쇄부(50)와 정착부(80)를 가압한다(S31). 이와 같이 되면, 감광드럼(53)은 전사롤러(51)에 소정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위치되며, 히팅롤러(81)는 백업롤러(83)에 소정압력으로 접촉회전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70)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정속모드로 구동시킨다. 그런 다음, 용지카세트(40)로부터 용지를 공급하여 이송시킨다(S33). 공급된 용지는 잉크젯 인쇄부(60)를 그냥 통과하고, 전자사진인쇄부(50)를 거치면서 일면에 흑백화상이 인쇄된다(S35). 즉, 용지가 감광드럼(53)과 전사롤러(51) 사이를 통과할 때, 감광드럼(53) 표면에 현상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어 옮겨진다. 흑백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정착부(80)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며, 따라서 흑백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S37). 그리고, 정착부(80)를 통과한 용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된다(S3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모노인쇄를 수행할 경우, 전자사진인쇄부(50)에서 흑백화상이 인쇄된 용지가 정착부(80)를 거쳐 바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정착부(80)에서 가열된 용지가 잉크젯인쇄부(60)를 거치면서 잉크헤드(63)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칼라모드와 흑백모드에 따라 시스템이 정속모드와 스텝와이즈모드로 확연히 구분되어 구동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전자사진인쇄부(50)를 스텝와이즈모드로 구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방법에 따르면,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를 별도로 분리하여 인쇄를 하므로 종래의 복합인쇄시 발생하는 레지스트레이션에러 없이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를 각각 하나의 기기에서 해결 가능한다.
또한, 잉크헤드와 정착부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잉크헤드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던 문제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칼라인쇄시 히팅롤러를 드라이롤러로 활용하므로써 칼라화상을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잉크번짐 등의 에러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합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칼라인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신호처리부 43..용지카세트
50..전자사진인쇄부 51..전사롤러
53..감광드럼 55..대전롤러
57..현상유닛 60..잉크젯인쇄부
63..잉크헤드 70..제어부
81..히팅롤러 83..백업롤러
90,100..제1 및 제2가압/해제수단

Claims (8)

  1. 모노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유닛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와; 흑색칼라를 포함한 풀칼라인쇄를 수행하도록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를 가지는 잉크젯인쇄부와; 히팅롤러 및 백업롤러를 가지는 정착부; 및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 회전되며 상기 감광드럼과의 사이로 상기 용지가 통과하면서 인쇄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인쇄부,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는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이 상기 전사롤러에 대해 선택적으로 가압 및 해제되도록 상기 전자사진인쇄부를 가압 및 해제시키는 제1가압/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가 상기 백업롤러에 대해 선택적으로 가압 및 해제되도록 상기 히팅롤러를 가압 및 해제시키는 제2가압/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는 칼라인쇄 및 모터인쇄시 모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
  5. 모노인쇄 작업를 수행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유닛을 가지는 전자사진인쇄부와; 흑색칼라를 포함하는 풀칼라인쇄를 수행하도록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헤드를 가지는 잉크젯인쇄부와; 히팅롤러 및 백업롤러를 가지는 정착부; 및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회전되며 상기 감광드럼과의 사이로 상기 용지가 통과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인쇄부,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가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합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인쇄데이터를 칼라인쇄와 모노인쇄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단계에서 구분된 인쇄데이터의 인쇄종류에 따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를 이용하여 모노인쇄를 수행하는 흑백모드와, 상기 잉크젯인쇄부만을 이용하여 칼라인쇄를 수행하는 칼라모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모드는,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전사롤러를 서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모드는,
    상기 히팅롤러를 상기 백업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용지를 용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잉크젯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잉크젯인쇄부를 구동시켜 이송용지에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단계와;
    칼라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상기 전자사진인쇄부 및 정착부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의 히팅롤러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백업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에 인쇄된 칼라화상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흑백모드는,
    상기 감광드럼을 전사롤러에 대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팅롤러를 상기 백업롤러에 대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시키는 단계와;
    용지를 용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전자사진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자사진인쇄부에서 용지에 흑백화상을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정착부에서 흑백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압착하여 흑백화상을 정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착부를 통과한 용지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KR10-2001-0059712A 2001-09-26 2001-09-26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10052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12A KR100520511B1 (ko) 2001-09-26 2001-09-26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12A KR100520511B1 (ko) 2001-09-26 2001-09-26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639A KR20030026639A (ko) 2003-04-03
KR100520511B1 true KR100520511B1 (ko) 2005-10-11

Family

ID=2956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712A KR100520511B1 (ko) 2001-09-26 2001-09-26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83B1 (ko) * 2005-05-2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JP2024003996A (ja) * 2022-06-28 2024-0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639A (ko)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853A (en) Recording apparatus with conveyor cleaning mechanism
JPH04219264A (ja) 被記録材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装置、および、その搬送装置を備える記録装置
JP593167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おける両面媒体シートのための、高生産性の塗布/転写システム
EP0592197B1 (en) Image-transferring device
JPH0828200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20511B1 (ko) 복합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JPH11320867A (ja) 画像印刷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51273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9136452A (ja) 画像形成装置
US7076200B2 (en) Tandem printing apparatus with a center positioned dual finisher station
JPH02182643A (ja) 画像記録装置
KR100856402B1 (ko)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전사롤러 오염방지방법 및 장치
JP379662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204116A (ja) 画像形成装置
JP375641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3206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09217A5 (ko)
JPH085485Y2 (ja) 画像形成装置
JP428980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12490B1 (ko) 복합 화상형성장치
KR100325807B1 (ko) 잉크젯 방식과 토너 방식이 일체로 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2021146600A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方法及び液体吐出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2009198738A (ja) 画像形成装置
KR20000012988A (ko) 칼라/흑백 겸용 화상인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816068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218

Effective date: 2005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