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927B1 - 음성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927B1
KR100519927B1 KR10-2002-0039388A KR20020039388A KR100519927B1 KR 100519927 B1 KR100519927 B1 KR 100519927B1 KR 20020039388 A KR20020039388 A KR 20020039388A KR 100519927 B1 KR100519927 B1 KR 10051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auxiliary
amplifiers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094A (ko
Inventor
켕-퀘이 수
Original Assignee
켕-퀘이 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켕-퀘이 수 filed Critical 켕-퀘이 수
Priority to KR10-2002-003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9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음성 재생장치(3)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측(310)을 갖는 일차 음성 증폭기(31)와, 이 일차 음성 증폭기(31)에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보조 음성 증폭기(32)를 포함한다.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32)는, 일차 음성 증폭기(31)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측(320)과, 입력측(320)을 횡단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는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와, 음성 신호가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를 통과할 때 유도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류 유도장치(323)와, 그에 의해 발생된 유도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기 위해 전류 유도장치(3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보조 증폭기(322)와, 보조 증폭기(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보조 증폭기(322)에 의해 증폭된 유도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확성기(3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성 재생장치{AUDIO 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음성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된 음성 신호 전송을 보장할 수 있고, 넓은 음성 재생 영역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음성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음성 재생 장치는, 음성 신호 및 출력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측(110)을 구비한 음성 증폭기(111)와, 출력측(110)을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접속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pedance matching network)(13)를 포함한다. 음성 증폭기(11)는, 증폭기(111)와, 이 증폭기(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 증폭기(11)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변압기(112)를 구비한다.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는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확성기(131)를 포함한다.
종래의 음성 재생 장치의 단점 중 일부를 아래에 열거한다.
1. 최적의 전력 전달을 위해, 출력측(110)을 횡단하는 출력 임피던스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의 전체의 임피던스와 동일해야 하고, 그것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의 임피던스 설계 구조가 복잡해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또한,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는 다수의 임피던스 부품을 구비하므로, 음성 주파수의 주파수 응답의 감쇠가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음성 재생의 음질이 떨어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2.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 내의 확성기(131)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출력 임피던스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의 전체의 임피던스와 정합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것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에 통합될 수 있는 확성기(131)의 수가 제한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3.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13) 내의 확성기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고출력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음성 증폭기를 음성 증폭기(11) 대신에 설치해야 하며, 그것에 의해 비용이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음성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재생장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측을 구비한 일차 음성 증폭기와,
상기 일차 음성 증폭기에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보조 음성 증폭기를 구비하며,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는 음성 증폭기로부터의 음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측과, 상기 입력측을 횡단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는 신호 전류 발생장치와, 음성 신호가 신호 전류 발생장치를 통과할 때 유도된 음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신호 전류 발생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류 유도장치와, 그것에 의해 발생된 유도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기 위해 전류 유도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보조 증폭기와, 보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유도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보조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확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재생장치(3)는 일차 음성 증폭기(31)와, 다수의 보조 음성 증폭기(32)를 구비한다.
일차 음성 증폭기(31)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측(310)을 구비한다.
보조 음성 증폭기(32)는 일차 음성 증폭기(31)에 직렬로 전기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32)는 입력측(320),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전류 유도장치, 보조 증폭기(322), 확성기(333) 및 하우징(321)을 구비한다. 입력측(320)은 일차 음성 증폭기(31)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전도성 와이어 등의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는 입력측(320)을 횡단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음성 신호가 이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를 통과한다. 전류 유도장치는 음성 신호가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를 통과할 때 유도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유도장치는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에 병렬로 배치된 기다란 권선 코일(323)을 구비한다. 보조 증폭기(322)는 전류 유도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것에 의해 발생된 유도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확성기(333)는 보조 증폭기(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보조 증폭기(322)에 의해 증폭된 유도 음성 신호를 재생한다. 하우징(321)의 내부에는,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전류 유도장치, 보조 증폭기(322) 및 확성기(333)가 수용되어 있다.
도 3 및 4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수정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4)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일차 음성 증폭기(41)와, 이 일차 음성 증폭기(41)에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보조 음성 증폭기(42)를 구비한다.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42)는, 입력측(420)과, 신호 전류 발생장치(424)와, 권선 코일(423) 형태의 전류 유도장치와, 보조 증폭기(422)와, 확성기(433)와, 하우징(421)을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권선 코일(423)은 환형이며 중심을 갖는 평면을 규정한다. 신호 전류 발생장치(424)는 중심을 통해 연장하고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일부를 하기에 기재한다.
1. 일차 음성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음성 신호만이 각각의 보조 증폭기의 신호 전류 발생장치를 통과하므로, 음성 신호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안정된 음성 신호 전송이 이루어진다.
2. 본 발명의 음성 재생장치는,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의 전류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일차 음성 증폭기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관련된 유도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보조 음성 증폭기의 개수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음성 재생장치는 넓은 음성 재생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음성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음성 증폭기의 수에 관계없이, 일차 음성 증폭기의 출력측과 각각의 보조 음성 증폭기의 입력측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의 문제가 제거되므로, 사용 중에 있는 보조 음성 증폭기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일차 음성 증폭기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비용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러한 수정 및 동등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을 포함하고자 의도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된 음성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고, 보조 음성 증폭기의 수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넓은 음성 재생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 중에 있는 보조 음성 증폭기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일차 음성 증폭기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낮아진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재생장치의 개략적 전기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개략적 부분 전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개략적 부분 전기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보조 음성 증폭기의 개략적 전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4 : 음성 재생장치 31, 41 : 일차 음성 증폭기
32, 42 : 보조 음성 증폭기 310, 410 : 출력측
320, 420 : 입력측 322, 422 : 보조 증폭기
324, 424 : 신호 전류 발생장치 333, 433 : 확성기

Claims (5)

  1. 음성 재생장치(3, 4)에 있어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측(310, 410)을 구비한 일차 음성 증폭기(31, 41)와,
    상기 일차 음성 증폭기(31, 41)에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보조 음성 증폭기(32, 4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음성 증폭기(32, 42)의 각각은, 상기 일차 음성 증폭기(31, 41)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측(320, 420)과, 상기 입력측(320, 420)을 횡단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는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424)와, 음성 신호가 상기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424)를 통과할 때 유도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424)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류 유도장치와, 상기 전류 유도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에 의해 발생된 유도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고 출력하는 보조 증폭기(322, 422)와, 상기 보조 증폭기(322, 4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보조 증폭기(322, 422)에 의해 증폭된 유도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확성기(333, 433)를 구비하는
    음성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조 음성 증폭기(32, 42)는, 상기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 424)와, 상기 전류 유도장치(322, 422)와, 상기 확성기(333, 433)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321, 421)을 더 구비하는
    음성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도장치는 권선 코어(323, 423)를 구비하는
    음성 재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코어(323)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 전류 발생장치(324)와 병렬로 배치되는
    음성 재생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코어(423)는 환형이며, 중심을 갖는 평면을 규정하고, 상기 신호 전류 발생장치(424)는 상기 중심을 통해 연장되고 또 상기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음성 재생장치.
KR10-2002-0039388A 2002-07-08 2002-07-08 음성 재생장치 KR10051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388A KR100519927B1 (ko) 2002-07-08 2002-07-08 음성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388A KR100519927B1 (ko) 2002-07-08 2002-07-08 음성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094A KR20040005094A (ko) 2004-01-16
KR100519927B1 true KR100519927B1 (ko) 2005-10-11

Family

ID=3731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388A KR100519927B1 (ko) 2002-07-08 2002-07-08 음성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589A (ja) * 1993-12-20 1995-08-04 Wailit Yen 増幅装置及びこれを具える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装置
JPH08116586A (ja) * 1994-10-18 1996-05-07 Kenwood Corp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09307988A (ja) * 1996-05-10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断線検査装置
JPH1051898A (ja) * 1996-08-02 1998-02-20 Roland Corp 立体音再生装置
JP2002078071A (ja) * 2000-09-05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Mfbスピー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589A (ja) * 1993-12-20 1995-08-04 Wailit Yen 増幅装置及びこれを具える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装置
JPH08116586A (ja) * 1994-10-18 1996-05-07 Kenwood Corp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09307988A (ja) * 1996-05-10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断線検査装置
JPH1051898A (ja) * 1996-08-02 1998-02-20 Roland Corp 立体音再生装置
JP2002078071A (ja) * 2000-09-05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Mfbスピー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094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1499A (ko) 전기음향식 스피커를 위한 무-캐패시터형 크로스오버네트워크
EP0891117B1 (en) Loudspeaker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employing such a loudspeaker
US4345502A (en)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mplifier
US5912978A (en) Loudspeaker
US6674866B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KR100519927B1 (ko) 음성 재생장치
US6492761B1 (en) Digital piezoelectric transducers and methods
US5530770A (en) Multiple output transformers network for sound reproducing system
EP1303163B1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JPH1155788A (ja) スピーカ装置
KR20070015203A (ko) 음향 이펙터
JPH1155789A (ja) スピーカ装置
KR200273806Y1 (ko) 노이즈 저감회로
US20120224717A1 (en) Audio cable capable of increasing gain and filtering noise
AU2006249225B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US20230412965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sound and headphone comprising same
US2189161A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wiring circuit therefor
JP2018046396A (ja) 音声再生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構成する終端処理回路
KR200145349Y1 (ko) 헤드폰의 일체형 바이브레이션 유니트
JP2548705Y2 (ja) スピーカ装置
RU1771082C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м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м
US7443990B2 (en) Voltage biased capacitor circuit for a loudspeaker
JPH11234786A (ja) デジタル音声再生装置
AU2012100445A4 (en) Audio-source wire capable of generating gain and removing noise
CN1219282C (zh) 广域扩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