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878B1 - 환자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878B1
KR100519878B1 KR10-2003-0037260A KR20030037260A KR100519878B1 KR 100519878 B1 KR100519878 B1 KR 100519878B1 KR 20030037260 A KR20030037260 A KR 20030037260A KR 100519878 B1 KR100519878 B1 KR 10051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patient
transfer
conveyor be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068A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김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김철우 filed Critical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87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하는 한편, 이송본체 상의 콘베이어벨트가 다소 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환자를 옆으로 약간 돌려 누인 틈새로 콘베이어벨트를 삽입한 다음 그 위에 환자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받을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환자를 콘베이어벨트 위로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그 하면 네모서리부에 롤러부재가 구비된 장방형상의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내봉을 구비한 피스턴이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사방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벨로우즈벽체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모터 및 다수의 치차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치차중 어느 하나가 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타측에 상부 프레임의 또 다른 랙기어와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어진 종동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몸체와 종동몸체의 사이에 벨트축이 치차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축 일측의 구동몸체와 종동몸체 사이에 종지지대 및 횡지지대가 장방형으로 등간격 설치된 다음, 상기 횡지지대 사이에 다수의 아이들봉이 등간격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들의 외측으로 벨트축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진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환장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이송본체의 상부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안내관이 일정높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에는 그 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안내봉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진 롤러부재의 축이 모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이송장치{transportation device for a patient}
본 발명은 병원용 침대나 수술대 상에 눕혀져 있는 환자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환자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하는 한편, 이송본체 상의 콘베이어벨트가 다소 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환자를 옆으로 약간 돌려 누인 틈새로 콘베이어벨트를 삽입한 다음 그 위에 환자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받을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환자를 콘베이어벨트 위로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는 스스로의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중환자를 치료, 병실 변경 등의 이유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누워있는 침대에서 이동용 침대 또는 치료용 침대로 옮기는 작업이 필요한다.
이때에는 여러명의 간호사 또는 간호 보조사 들이 환자의 시트를 들어 다른 이동용 침대로 옮기거나 치료용 침대로 옮기는 작업을 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였고,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를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들어올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골절환자 또는 척추 디스크 환자와 같이 격한 움직임, 굽힘, 유동 등과 같은 충격에 의해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인력으로 직접 들어올리고 있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통증을 유발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근래에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를 거의 유동없이 누워있는 침대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환자 이송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76-3171호)가 개발되었던 바, 이의 구성을 도 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이송할 물체(환자)를 싣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엔들레스 콘베이어벨트(3)와; 이 콘베이어벨트(3)의 회전운동을 자유자재로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을 지지하는 기대(1)와; 상기 프레임(2)을 기대(1)에 대하여 콘베이어벨트(3)의 회전운동 방향과 평행되게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와; 상기 콘베이어벨트(3)의 윗쪽에 위치하는 벨트부분의 일부를 기대(1)에 착탈함으로써 이송할 물체와 콘베이어벨트(3) 사이의 슬립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계지장치(5)가 포함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송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다단할 뿐만 아니라 도 2와 같이 기대(1)상에 설치되어진 프레임(2) 및 콘베이어벨트(3)가 완전히 수평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콘베이어벨트(3)에 물체를 올리고자 할 시에는 물체를 완전히 든 상태에서 그 하방으로 프레임(2) 및 콘베이어벨트(3)를 이송시켜야 함으로써 물체가 환자일 경우 그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환자를 들기 위하여 다수의 사람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이송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무거운데 특히, 상기 이송장치에 환자를 올렸을 경우에는 환자의 하중이 더하여져 더욱 무거워 한사람이 상기 이송장치를 이동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도 1의 (b)와 같이 상기 콘베이어벨트(3)에 환자를 올리게 되면 프레임(2) 및 콘베이어벨트(3)의 하중에 환자의 하중이 더하여져 이송장치가 지지대(B) 방향으로 급격히 치우쳐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벨트(3)가 지지대(B)상에 밀착됨으로써 콘베이어벨트(3)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는 동시에 구동장치(4)에 큰 부하가 걸려 이송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또, 환자용 침대의 쿠션부분이 환자의 하중에 의해 움푹 들어가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콘베이어벨트(3)와 환자용 침대가 수평일 경우에는 콘베이어벨트(3)가 환자용 침대의 가장자리에 닿아 이를 환자의 등 밑으로 진입시키기가 극히 어려우며, 또한 환자를 콘베이어벨트(3) 상에 올리기 위해서는 종전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와 같이 여러명의 간호사 또는 간호 보조사 들이 환자를 들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이송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하는 한편, 이송본체 상의 콘베이어벨트가 다소 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환자를 옆으로 약간 돌려 누인 틈새로 콘베이어벨트를 삽입한 다음 그 위에 환자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받을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환자를 콘베이어벨트 위로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용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베이어벨트가 동작되는 방향과 반대편의 이송본체 일측에 이송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 및 콘베이어벨트, 그리고 환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이송장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한 환자용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 하면 네모서리부에 롤러부재가 구비된 장방형상의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내봉을 구비한 피스턴이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사방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벨로우즈벽체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모터 및 다수의 치차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치차중 어느 하나가 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타측에 상부 프레임의 또 다른 랙기어와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어진 종동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몸체와 종동몸체의 사이에 벨트축이 치차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축 일측의 구동몸체와 종동몸체 사이에 종지지대 및 횡지지대가 장방형으로 등간격 설치된 다음, 상기 횡지지대 사이에 다수의 아이들봉이 등간격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들의 외측으로 벨트축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진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환장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이송본체의 상부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안내관이 일정높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에는 그 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안내봉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진 롤러부재의 축이 모터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베이어벨트가 동작되는 방향과 반대편의 이송본체 일측에 이송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본체의 적소에 수직장공을 형성된 다음, 상기 수직장공에 사람이 밟을 수 있게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과 수직장공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되, 상기 지지부재의 발판부와 이송본체의 하면 사이에 발을 집어 넣을 수 있게 소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장방형상의 이송본체(500)는 그 하면 네모서리부에 롤러부재(510)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부재(510) 중 이송본체(50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부재(510)는 360도 자유자재로 독립되게 회전되는 것으로 설치하는 반면, 이송본체(500)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부재(510)는 축(511)에 상호 연결되어 전,후진만 가능토록 하는 한편, 상기 축(511)에는 축기어(51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본체(5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600)은 그 상부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안내관(610)이 일정높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610)에는 그 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안내봉(62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본체(500)의 상부면 양측에는 실린더부(630)(630')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부(630)(630')에는 하나의 유압모터(650)와 연결된 피스턴(640)(640')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본체(500)의 상부면 일측에 구동모터(66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660)와 연동되는 치차(670)는 롤러부재(510)의 축기어(512)와 체인(680)으로 연결되어 롤러부재(510)의 전,후진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피스턴(640)(640')과 안내봉(620)의 상단부에 결합 설치되어 피스턴(640)(640')의 조작에 따라 좌우 기울어짐이 가능한 상부프레임(700)은 그 상부면이 매우 매끄러운 평탄면을 이루며, 전 후방의 양 단변측에는 랙기어(71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본체(500)와 상부 프레임(700) 사이의 주변으로 벨로우즈벽체(400)가 설치되어 이송본체(500)와 상부 프레임(700) 사이의 각종 구동수단(6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7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송수단(800)은 소정 크기의 두 구동몸체(810) 및 종동몸체(810')가 상호 대향되게 랙기어(710)와 각각 연접되는데, 상기 몸체(810)(810') 중 후방에 위치하는 구동몸체(810)의 내부에는 정역 가능한 모터(811) 및 다수의 치차(812)가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차(812) 중 하나가 랙기어(710)와 교합되어 이를 따라 상기 구동부(810)가 동작된다.
또한, 상기 몸체(810)(810') 중 전방에 위치하는 종동몸체(8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치차(미도시)가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차 중 하나가 랙기어(710)와 교합되어 이를 따라 상기 종동몸체(810')가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몸체(810) 및 종동몸체(810')는 벨트축(820)이 연결된다. 즉, 구동몸체(810)의 모터(811)에 의해 다수의 치차(812)가 작동되면 상기 치차(812) 중 하나가 랙기어(710)와 대응하여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치차(812)와 맞물린 벨트축(820)이 회전하여 종동몸체(810')의 치차를 작동시켜 종동몸체(810') 또한 그 일측의 랙기어(710)를 따라 동작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몸체(810) 및 종동몸체(810')는 두 개의 랙기어(710)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두 몸체(810)(810') 사이의 벨트축(82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구동몸체(810)에 클러치기어(미도시)를 설치하여 이 클러치기어에 따라 랙기어(710)와 맞물리는 치차(812)와 벨트축(820)의 치차와 선택적으로 대응토록 함으로써 구동몸체(810)가 동작되는 동안에는 벨트축(82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반면, 벨트축(820)이 동작되는 동안에는 구동몸체(810)의 치차가 랙기어(710)와 분리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몸체(810)와 종동몸체(810')의 저부에는 상부 프레임(700)의 끼워져 유동하지 않도록 걸림홈(8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축(820) 일측의 구동몸체(810)와 종동몸체(810') 사이에는 종지지대(8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종지지대(830)는 벨트축(820)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양단부가 구동몸체(810)와 종동몸체(810')에 고정되며, 상기 종지지대(830)에 다수의 횡지지대(840)가 등간격 설치되고, 상기 횡지지대(840)의 사이 사이에는 다수의 아이들봉(850)이 등간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830)(840) 및 벨트축(820)의 외측으로 무한궤도 형태의 콘베이어벨트(860)가 설치되어 벨트축(820)의 회전에 의해 콘베이어벨트(860)가 연속적으로 반복 회전된다. 이때, 다수의 아이들봉(850)은 콘베이어벨트(86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600)의 유압모터(650) 및 구동모터(660), 그리고 이송수단(800)의 모터(811)는 벨로우즈벽체(400) 내부의 충전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상기 각 모터(650)(660)(811)는 상부 프레임(700) 일측에 구비된 다수의 조작버턴부(720)에 의해 정역 동작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리모콘으로도 이들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때, 이송본체(500)의 구동모터(660)는 상부 프레임(700)에 설치되어진 손잡이(750)의 클러치 레버(760)에 의해 온, 오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클러치 레버(760)의 오프시에는 이송장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콘베이어벨트(860)가 동작되는 방향과 반대편의 이송본체(500) 일측에 이송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900)를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재(900)는 이송본체(500)의 일측 적소에 수직장공(910)을 형성된 다음, 상기 수직장공(910)에 사람이 밟을 수 있게 지지부재(90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900)의 상단과 수직장공(910) 사이에 스프링(920)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90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되, 상기 지지부재(900)의 발판부(930)와 이송본체(500)의 하면 사이에 발을 집어 넣을 수 있게 소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900)가 스프링(920)에 의해 상승하여 있다가 발판부(930)를 밟게 되면 도 5와 같이 지지부재(900)가 하강하여 바닥면에 밀착되며, 이때 이송수단(800)이 측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위에 환자를 누이더라도 이송장치가 한켠으로 쏠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900)가 이송본체(5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에 물건이나 사람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술대나 일반 환자용 침대에 있는 환자를 이송하고자 할 시에는 도 5의 (a)와 같이 환자용 침대 일측에 이송장치를 나란히 위치시키는데, 이때 이송장치가 환자용 침대보다 높거나 낮을 시에는 상부프레임(700) 일측의 조작버턴부(720)를 작동시킨다.
상기 조작버턴부(720)을 누르게 되면, 구동수단(600)의 유압모터(650)가 작동하여 실린더부(630)(630')에 설치되어진 피스턴(640)(640')을 승강시킴으로써 그 상단의 상부프레임(70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프레임(700)의 저부 여러 곳에 피스턴(640)(640')과 함께 안내봉(620)들이 안내관(610)의 안내를 받아 승강함으로써 상부 프레임(700)이 기우뚱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상부프레임(700)의 또 다른 조작버턴부(720)을 작동시켜 도 5의 (b)와 같이 상부프레임(700)을 경사지게 하는데, 이때 유압모터(650)의 유압이 도면상에서 우측에 위치한 실린더부(630)에만 공급되어 그 상단의 피스턴(640)이 소정높이 상승됨으로써 상부프레임(700)이 약 10도 정도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700)에 설치된 피스턴(640)(640') 및 안내봉(620)의 단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부프레임(700)이 부드럽게 경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프레임(700)이 경사지면, 도 5의 (c)와 같이 이송장치와 근접된 침대상의 환자를 일측방으로 돌려 누인 다음, 상부프레임(700)의 조작버턴부(720)를 동작시켜 그 상부의 이송수단(800)을 측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구동몸체(810) 내부의 모터(811)에 의해 다수의 치차(812)가 작동됨과 동시에 클러치기어가 상기 치차(812)와 결합되어 랙기어(710)가 동작되며, 상기 이송수단(800)이 환자의 등 밑으로 경사진 상태로 진입함과 동시에 환자를 이송수단(800)의 콘베이어벨트(860) 상에 둘려 누인다. 그리고, 상기 콘베이어벨트(860)가 다소 경사진 상태로 진입하기 때문에 환자의 등 깊숙히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몸체(810)와 종동몸체(810')의 저부에 마련된 걸림홈(813)이 상부 프레임(700)과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두 몸체(810)(810')가 상부 프레임(7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구동몸체(810) 내부의 클러치기어를 벨트축(820)에 접속시키게 되면, 도 5의 (d)와 같이 벨트축(820)이 회전함과 동시에 그 외주측의 콘베이어벨트(860)가 회전하여 그 일측에 눕혀진 환자를 중간위치로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콘베이어벨트(86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아이들봉(850)이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콘베이어벨트(86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콘베이어벨트(860)와 그 위의 환자의 하중에 의해 이송장치가 환자가 있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에는 이송본체(500) 일측의 스프링(920)에 의해 상승하여 있던 지지부재(900)의 발판부(930)를 밟아 지지부재(900)가 바닥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이송장치가 한켠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콘베이어벨트(860)의 중간에 환자가 위치하게 되면, 클러치기어를 조작한 다음 상부프레임(700)의 조작버턴부(720)를 동작시켜 그 상부의 이송수단(800)을 상부프레임(700)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구동몸체(810) 내부에서 역회전하는 모터(811)에 의해 다수의 치차(812)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치차(812)가 랙기어(710)를 따라 후퇴하여 상부프레임(700)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벨트(860)가 상부프레임(700)에 정확하게 복귀하고 나면, 지지부재(900)의 발판부(930)에서 발을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재(900)는 스프링(920)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장공(91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송장치를 소망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시에는 상부프레임(700)의 클러치 레버(760)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송본체(500)의 상부의 구동모터(660)가 동작하여 이와 연결된 롤러부재(510)를 전,후진시킴으로써 소망하는 곳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지며, 또한 상기 이송본체(50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부재(510)는 360도 자유자재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송장치의 방향전환이 간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하는 한편, 이송본체(500) 상의 콘베이어벨트(860)가 다소 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환자를 옆으로 약간 돌려 누인 틈새로 콘베이어벨트(860)를 용이하게 삽입한 다음 그 위에 환자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가 유동되거나 굽혀짐 또는 가압됨으로 인하여 받을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환자를 콘베이어벨트(860) 위로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베이어벨트(860)가 동작되는 방향과 반대편의 이송본체(500) 일측에 이송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900)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700) 및 콘베이어벨트(860), 그리고 환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이송장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이송본체(500)와 상부 프레임(700) 사이의 주변으로 벨로우즈벽체(400)를 설치하여 이송본체(500)와 상부 프레임(700) 사이의 각종 구동수단(6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측단면도,
도 5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벨로우즈벽체 500:이송본체
510:롤러부재 511:축
512:축기어 600:구동수단
610:안내관 620:안내봉
630,630':실린더부 640,640':피스턴
650:유압모터 660:구동모터
670:치차 680:체인
700:상부프레임 710:랙기어
800:이송수단 810:구동몸체
810':종동몸체 811:모터
820:벨트축 830:종지지대
840:횡지지대 850:아이들봉
860:콘베이어벨트 900:지지부재
910:수직장공 920:스프링
930:발판부

Claims (4)

  1. 그 하면 네모서리부에 롤러부재가 구비된 장방형상의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내봉을 구비한 피스턴이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본체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사방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벨로우즈벽체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모터 및 다수의 치차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치차중 어느 하나가 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타측에 상부 프레임의 또 다른 랙기어와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어진 종동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몸체와 종동몸체의 사이에 벨트축이 치차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축 일측의 구동몸체와 종동몸체 사이에 종지지대 및 횡지지대가 장방형으로 등간격 설치된 다음, 상기 횡지지대 사이에 다수의 아이들봉이 등간격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들의 외측으로 벨트축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진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환장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이송본체의 상부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안내관이 일정높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에는 그 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안내봉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진 롤러부재의 축이 모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벨트가 동작되는 방향과 반대편의 이송본체 일측에 이송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용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본체의 적소에 수직장공을 형성된 다음, 상기 수직장공에 사람이 밟을 수 있게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과 수직장공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되, 상기 지지부재의 발판부와 이송본체의 하면 사이에 발을 집어 넣을 수 있게 소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용 이송장치.
KR10-2003-0037260A 2003-06-10 2003-06-10 환자용 이송장치 KR10051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60A KR100519878B1 (ko) 2003-06-10 2003-06-10 환자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60A KR100519878B1 (ko) 2003-06-10 2003-06-10 환자용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512U Division KR200327241Y1 (ko) 2003-06-12 2003-06-12 환자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68A KR20040106068A (ko) 2004-12-17
KR100519878B1 true KR100519878B1 (ko) 2005-10-11

Family

ID=3738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260A KR100519878B1 (ko) 2003-06-10 2003-06-10 환자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32B1 (ko) * 2004-06-17 2006-09-19 박신택 환자 이송 침대
KR101150875B1 (ko) * 2010-03-04 2012-06-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기능성 테이블
KR102460807B1 (ko) * 2020-05-08 2022-10-31 (주) 지에티코퍼레이션 환자용 침대 시스템
CN112315695A (zh) * 2020-11-30 2021-02-05 山东省胸科医院(山东省呼吸病与结核病防治研究中心) 一种护理搬运系统及搬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68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855B2 (ja) 患者移送装置用のテーブル及びスライド・アッセンブリ
KR101355245B1 (ko) 환자 리프트 및 이송 장치
CN107915030B (zh) 坯体翻转机
JP4468648B2 (ja) 移載装置、移載装置連結体、およびその収納装置
US7484252B2 (en) Automatic patient transfer system
US7017210B2 (en) Rising-type bed apparatus and mattress
KR100519878B1 (ko) 환자용 이송장치
KR200327241Y1 (ko) 환자용 이송장치
CN115402393A (zh) 气体容器运送用台车
JP6024893B2 (ja) 移載装置
JP2827133B2 (ja) ワゴン搬送設備におけるエレベーターのケージに設けるワゴン搬出装置
JP2903983B2 (ja) コンベヤ装置
JP2000185806A (ja) 自動収納装置
JP2006264845A (ja) リフト装置
JPH06181952A (ja) 患者用ベッド移し替え装置
JP2546966B2 (ja) 医療用ベッド
JP2006075507A (ja) 床ずれ防止ベッド
KR200351575Y1 (ko) 철판 자동적재장치
JP3454562B2 (ja) 医療用ベッド
CN114903704A (zh) 方便患者转移的病床
JP3773096B2 (ja) 荷移載装置
JPWO2006064569A1 (ja) 床ずれ防止ベッド
JP2002087573A (ja) Lpガス等のガス容器搬送装置
JPH10157824A (ja) 移載装置
JPH09149920A (ja) 介護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