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651B1 -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651B1
KR100519651B1 KR10-1999-0022990A KR19990022990A KR100519651B1 KR 100519651 B1 KR100519651 B1 KR 100519651B1 KR 19990022990 A KR19990022990 A KR 19990022990A KR 100519651 B1 KR100519651 B1 KR 10051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c acid
random copolymer
formula
polyimi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925A (ko
Inventor
오재민
박동원
이무영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6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이무수물과 신규한 지방족 변성 디아민을 축합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이를 경화시켜 제조한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 수지는 기존의 수지에 비해 막 균일도가 우수하며 핀홀의 발생이 거의 없고, 180℃/10분의 경화조건에서 93∼98%의 경화율을 보이는 등 저온경화성이 우수하며, 이로부터 제조한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배향막은 매우 우수한 액정배향성을 나타내며, 프리틸트 각이 1∼15。로서 특히 TFT-LCD용 액정배향막으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각종 첨단 내열구조 재료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Polyamic acid random copolymer and Polyimide random copolymer}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과 신규한 지방족 디아민을 합성하여 제조한 폴리아믹산 및 이를 경화하여 제조한 폴리이미드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믹산은 인쇄성, 투명성, 용해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에 의한 폴리이미드 수지는 내열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을 1∼15。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액정배향막으로서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수지라 함은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방향족 디아민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축중합 후 이미드화하여 제조되는 고내열 수지를 말한다. 이러한 폴리이미드 수지는 사용되는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의 분자구조 및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피로멜리트산이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바이프탈산이무수물(biphthalic dianhydride, BPDA),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등을 사용하고 있고, 방향족 디아민 성분으로는 옥시디아닐린(oxydianiline, ODA), 파라페닐렌디아민(p-phenylene diamine, p-PDA)을 사용하여 축합중합시켜 제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카르복실산이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을 축합중합시키면 1단계로 폴리아믹산이 제조되고 이어서 이를 고온에서 탈수반응시키면 폴리이미드가 제조된다. 가장 대표적인 폴리이미드 수지의 합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
―→
상기와 같은 폴리이미드 수지는 불융, 불용의 초고내열성 수지로서, ⑴뛰어난 내열산화성을 보유하고 ⑵장기 사용온도는 약 260℃, 단기 사용온도는 480℃ 정도로 사용가능 온도가 매우 높은 내열특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⑶뛰어난 전기화학적, 기계적 특성 ⑷우수한 내방사선성 및 저온특성 ⑸고유 난연성 및 ⑹우수한 내약품성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자동차 재료, 항공소재, 우주선 소재 그리고 전자재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최근에는 광섬유나 액정배향막 같은 표시재료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족 폴리이미드 수지는 불융, 불용의 성질로 인해 그 가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험되었다.
중합체 주쇄나 측쇄에 극성기를 도입하는 방법, 부피가 큰 연결기나 측쇄기(pendant group)를 도입하는 방법, 중합체 주사슬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보고 되었고, 특히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지방족 고리계 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단량체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었으나 액정배향제로서 사용할 때 충분히 만족스러운 폴리이미드 수지를 수득하기는 어려웠다.
액정표시소자(LCD) 제작에 있어서 배향막 공정은 1)인쇄(Roll Coating) 2)경화 3)러빙(Rubbing)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배향막으로서 기존의 폴리이미드 수지를 직접 사용할 경우, 인쇄성, 즉 기판에 대한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핀홀(pinhole)이 다수 발생하여 액정배향막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인쇄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폴리이미드 수지 대신에 그 전구체인 폴리아믹산 수지를 기판에 인쇄하고 이후 열경화시키는 방법을 시도하였는 바,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우수한 인쇄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LCD 생산공정의 특성상 비교적 저온(150∼210℃)에서 90% 이상의 경화가 진행되어야만 하는데, 기존의 폴리아믹산 수지는 이러한 온도에서 경화율이 60%를 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최종적인 폴리이미드 수지막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져 러빙에 의한 액정배향효과가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성 및 저온경화성이 우수한 새로운 폴리아믹산을 제공하고, 이를 경화시켜 제조하는, 높은 프리틸트 각을 보유하여 액정배향막으로서 적합한 새로운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르복실산이무수물과 신규한 지방족 변성 디아민을 축합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아믹산 및 이를 경화시켜 제조한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이무수물의 혼합물 및 신규한 지방족 변성 디아민과 방향족 디아민을 포함하는 디아민 혼합물을 중축합반응시켜 제조되는, 반복단위로서 화학식 1의 구조식을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이러한 폴리아믹산을 경화시켜 제조되는, 반복단위로서 화학식 2의 구조식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단, 상기의 화학식 1 및 2에서 Q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이무수물 성분이고,
R은 이다 (단, -X는 -R, -COR 또는 -RNCO기이고, R은 3∼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1∼16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아민은 하기 화학식 3의 지방족 변성 디아민을 반드시 포함하고 그 외에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메타페닐렌디아민(o-PDA), 옥시디아닐린, 메틸렌디아닐린, 메타비스아미노페녹시디페닐설폰, 파라비스아미노페녹시디페닐설폰 등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시킬 수 있는 디아민 혼합물이다. 화학식 3의 디아민은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을 이루는 신규한 변성 디아민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 수지의 주쇄의 구조를 변화시켜 저온경화조건에서 높은 경화율을 얻도록 한다.
단, -X는 -R, -COR 또는 -RNCO기이고, R은 3∼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1∼16의 정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성 디아민의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디아미노프로필도데카노에이트(Diaminopropyldodecanoate,약칭 DAP-12)
디아미노부틸도데카노에이트(Diaminobutyldodecanoate,약칭 DAB-12)
_
디아미노프로필도데실에테르(Diaminopropyldodecylether,약칭 DAPE-12)
디아미노부틸도데실에테르(Diaminobutyldodecylether,약칭 DABE-12)
이러한 본 발명의 특유한 지방족 디아민 외에 하기의 여러가지 방향족 디아민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르복실산이무수물로서는 지방족 고리계 카르복실산이무수물 이나 방향족 카르복실산이무수물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정, 혼합하여 사용한다. 지방족 고리계 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대표적인 예로 하기 화학식 8의 디옥시테트라히드로퓨란-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이무수물(DOCDA)과 하기 화학식 9의 사이클로[2,2,2]옥트-7-덴-2,3,5,6-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BODA)을 들 수 있다. DOCDA는 특히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 수지의 내열성, 인쇄성,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고리계 카르복실산이무수물과 함께 하기 화학식 10에 개시된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이무수물(PMDA),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BTDA), 옥시디프탈산이무수물(ODPA), 비스프탈산이무수물(BPDA),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이무수물(HFDA) 등에서 1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믹산 중합시 사용되는 유기용제는 N-메틸-2-피롤리디논(N-methyl-2-pyrrolidinone, NMP),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Dimethyl acetamide, DMAc),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3가지 용매는 폴리아믹산의 중합시 중합반응의 촉매작용을 하고 이후의 이미드화 과정에서 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므로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클로로포름 등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믹산 중합시에 반응하게 되는 이무수물과 디아민의 반응비는 1 : 1이므로 두 단량체를 같은 몰비로 반응시키게 되며, 전체 반응용액에 있어 이무수물과 디아민 단량체를 합하여 2∼30중량%를 반응시키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믹산 용액에는 폴리아믹산 고형분이 2∼30중량%가 녹아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믹산의 합성은 반응온도 0∼30℃에서 10∼48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은 DMAc, DMF, NMP, 디메틸술폭사이드(DMSO)과 같은 극성용매를 비롯하여 m-크레졸, 아세톤, 디에틸아세테이트, 2-부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또는 3-부톡시프로판올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해 상온에서 쉽게 용해되는 우수한 용해성을 보이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과 같은 저비점 용액 또는 γ-부티로락톤과 같은 저흡수성 용매에 대해서도 상온에서 10중량% 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의 혼합용매에 대해서도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믹산을 열경화시켜 제조된다. 경화조건은 가열판이나 오븐을 사용하여 100∼120℃에서 건조시키고, 질소분위기하의 오븐에서 서서히 승온하여 250∼350℃의 온도범위에서 30분∼2시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후 수득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250∼350℃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지며 350℃ 이상의 내열성을 보유한다. 또한 2,000∼150,000g/mol 정도의 중량평균분자량(Mw)를 가지며, 30℃에서 점도계로 측정할 경우 0.5∼1.5dL/g의 고유점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높은 프리틸트 각을 갖는다. 프리틸트 각이란 액정에 전압을 가하여 일정방향으로 배열시킬 때 전압에 대한 응답속도를 빠르게 해주기 위해 미리 약간 액정을 세워두는 각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1∼15° 범위의 프리틸트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액정표시소자용 액정배향막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대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50㎖의 반응기에 질소가스를 서서히 통과시키면서 p-PDA 9.72g(0.09mole)과 변성 디아민 DAP-12 2.72g(0.01mole)을 반응용매 NMP에 용해시킨 후 질소가스를 통과시키면서 고체상의 DOCDA 26.4g(0.1mole)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때 고형분 농도는 20중량%로 고정하였으며, 반응온도 25℃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용매를 첨가하여 5중량%의 폴리아믹산 용액을 얻었다. 반응 혼합물을 NMP용매로 하여 0.5g/dL의 농도로 30℃에서 고유점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폴리아믹산의 인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롤 코터(roll coater)를 통해 2μ의 두께로 인쇄하고, 가열판(Hot Plate) 상에서 프리베이크(prebake)한 후, 코팅막의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폴리아믹산의 경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폴리아믹산 코팅막을 180℃/10분의 경화조건에서 경화하고, 적외선 분광계(IR)을 이용하여 경화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롤 코팅 후 경화된 수지막을 러빙(rubbing)하여 제작한 액정셀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액정의 배향상태는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결정 회전법(crystal rotation method)를 이용하여 각 액정셀의 프리틸트 각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폴리이미드 수지의 열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차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인장강도 시험을 통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시예 2
변성 디아민으로 DAB-12 2.86g(0.01mole)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변성 디아민으로 DAPE-12 2.58g(0.01mole)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변성 디아민으로서 DABE-12 2.72g(0.01mole)을 사용하고, DOCDA 2.64g(0.01mole), BODA 22.32g(0.09mole)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디아민으로서 p-PDA 9.72g(0.09mole) 및 변성 디아민 N,N'-Dibutyl-3,5-diaminobenzamide 2.07g (0.01mole)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액정셀의 특성 실험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대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50㎖의 반응기에 질소가스를 서서히 통과시키면서 p-PDA 9.72g(0.09mole)과 변성 디아민 N,N'-Dibutyl-3,5-diaminobenzamide 2.07g(0.01mole)을 반응용매 메타크레졸에 용해시킨 후 질소가스를 통과시키면서 고체상의 DOCDA 26.4g(0.1mole)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때 고형분 농도는 15중량%로 고정하였으며, 반응온도를 70℃까지 승온한 후 2시간 반응시켰다. 계속하여 환류온도까지 승온한 후 6∼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때 이미드화 촉매로서 이소퀴놀린 1~5중량%를 사용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 혼합물은 와링 블렌더(waring blender)를 이용하여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키고, 여과된 중합체를 물과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120℃에서 감압 건조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메타크레졸을 용매로 하여 0.5g/dL의 농도로 30℃에서 고유점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득된 폴리이미드 수지의 인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롤 코터(roll coater)를 통해 2μ의 두께로 인쇄하고, 가열판(Hot Plate) 상에서 프리베이크(prebake)한 후, 코팅막의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적외선 분광계(IR)을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의 경화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폴리이미드 수지의 열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차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인장강도 시험을 통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고유점도(dL/g) 인쇄성 경화율(%) 액정배향성 프리틸트각(˚) 유리전이온도(℃) 필름특성
막 균일도 핀홀 수(개/㎠)
실시예 1 0.83 우수 0 93 양호 4.5 255 질김
실시예 2 0.97 우수 0 95 양호 6.4 240 질김
실시예 3 1.01 우수 0 98 양호 4.1 233 질김
실시예 4 0.83 우수 0 98 양호 4.7 230 질김
비교예 1 0.43 보통 20이하 55 - - 330 연함
비교예 2 1.31 불량 100이하 100 - - 330 질김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 수지는 기존의 수지에 비해 막 균일도가 우수하며 핀홀의 발생이 거의 없고, 180℃/10분의 경화조건에서 93∼98%의 경화율을 보이는 등 저온경화성이 우수하며, 이로부터 제조한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배향막은 매우 우수한 액정배향성을 나타내며, 프리틸트 각이 1∼15。로서 특히 TFT-LCD용 액정배향막으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각종 첨단 내열구조 재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1.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의 혼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지방족 변성 디아민을 함유하는 디아민 혼합물을 중축합반응시켜 제조되는, 배열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1]
    단, 상기 구조식에서
    Q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이고,
    R은 이다(단, -X는 -R, -COR 또는 -RNCO기이고, R은 3∼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1∼16의 정수이다).
    [화학식 3]
    단, -X는 -R, -COR 또는 -RNCO기이고, R은 3∼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1∼16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혼합물이 하기 화학식 8의 디옥시테트라히드로퓨란-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이무수물(이하, "DOCDA "라 한다)을 함유하여, 제 1항의 Q가
    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8]
  3. 제 1항에 있어서,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혼합물이 방향족 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함유하여, 제 1항의 Q가 하기의 치환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디아민 혼합물이 방향족 디아민을 함유하여, 제 1항의 R이 하기의 치환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30℃에서 측정한 상기 폴리아믹산의 고유점도가 0.5∼1.5dL/g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이 200℃/10분의 저온경화조건에서 90% 이상의 경화율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디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2-부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3-부톡시프로판올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독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에 상온에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8. 제 1항의 폴리아믹산을 고형화하여 제조되는,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2]
    단, 상기 구조식에서
    Q, R은 각각 제 1항의 그것과 같다.
  9. 제 2항의 폴리아믹산을 고형화하여 제조되는, 제 8항의 Q가
    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10. 제 3항의 폴리아믹산을 고형화하여 제조되는, 제 8항의 Q가 하기의 치환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11. 제 4항의 폴리아믹산을 고형화하여 제조되는, 제 8항의 R이 하기의 치환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230∼3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KR10-1999-0022990A 1999-06-18 1999-06-18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KR10051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90A KR100519651B1 (ko) 1999-06-18 1999-06-18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90A KR100519651B1 (ko) 1999-06-18 1999-06-18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25A KR20010002925A (ko) 2001-01-15
KR100519651B1 true KR100519651B1 (ko) 2005-10-07

Family

ID=1959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990A KR100519651B1 (ko) 1999-06-18 1999-06-18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52B1 (ko) * 1999-07-26 2005-10-07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KR100936915B1 (ko) * 2003-06-20 2010-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향막의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배향막을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44190B1 (ko) 2011-12-19 2014-09-26 제일모직 주식회사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387735B1 (ko) * 2011-12-22 2014-04-25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광배향제, 이를 이용한 액정 광배향막 및 상기 액정 광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136283B1 (ko) * 2014-08-25 2020-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구형의 폴리이미드 에어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405A2 (en) * 1986-11-29 1988-08-03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lyimide having a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US5304626A (en) * 1988-06-28 1994-04-19 Amoco Corporation Polyimide copolymers containing 3,3',4,4'-tetracarboxybiphenyl dianhydride (BPDA) moieties
US5393864A (en) * 1993-04-26 1995-0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et-etchable random polyimide copolymer for multichip module applications
KR19980063716A (ko) * 1996-12-31 1998-10-07 이서봉 안정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405A2 (en) * 1986-11-29 1988-08-03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lyimide having a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US5304626A (en) * 1988-06-28 1994-04-19 Amoco Corporation Polyimide copolymers containing 3,3',4,4'-tetracarboxybiphenyl dianhydride (BPDA) moieties
US5393864A (en) * 1993-04-26 1995-0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et-etchable random polyimide copolymer for multichip module applications
KR19980063716A (ko) * 1996-12-31 1998-10-07 이서봉 안정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25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159B1 (ko) 저온공정용 치환체를 가지는 지방족 고리계 가용성폴리이미드 광배향막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셀
KR100205963B1 (ko) 액정 배향막용 신규 가용성 폴리이미드 수지
KR100491944B1 (ko) 이미드 고리 함유 측쇄기를 갖는 액정배향막용 폴리아믹산유도체
KR20110010008A (ko) 신규 폴리머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신규 폴리머 및 상기 폴리머로 제조된 필름
KR100228722B1 (ko) 알콕시 치환체를 갖는 신규 가용성 폴리이미드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05962B1 (ko) 신규 가용성 폴리이미드 수지
KR100519652B1 (ko)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KR100519651B1 (ko) 폴리아믹산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이미드 랜덤 공중합체
KR100234871B1 (ko) 디알킬 치환기를 갖는 액정배향막용 가용성 폴리이미드수지
KR102439488B1 (ko) 투명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CN113396176B (zh) 聚酰胺-酰亚胺嵌段共聚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聚酰胺-酰亚胺膜
KR100326522B1 (ko) 폴리이미드 수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5232A (ko) 액정배향막용 폴리이미드-폴리아믹산 공중합체
CA2021047C (en) Mixed polyimid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KR20170100792A (ko)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 소자
KR20020055837A (ko) 폴리아믹산 수지 조성물
JP6765093B2 (ja) ポリイミド
KR100491930B1 (ko) 이중 결합 함유 이미드 측쇄기를 갖는 폴리아믹산 유도체
KR100383869B1 (ko) 폴리이미드 수지
CN114854011B (zh) 聚酰胺酸溶液、聚酰亚胺膜及其制备方法
KR100193384B1 (ko) 신규 가용성 폴리이미드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1565B1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63331A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501958B (zh) 一种无色透明耐热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0414206B1 (ko) 폴리이미드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