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118B1 -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118B1
KR100518118B1 KR10-2000-0011932A KR20000011932A KR100518118B1 KR 100518118 B1 KR100518118 B1 KR 100518118B1 KR 20000011932 A KR20000011932 A KR 20000011932A KR 100518118 B1 KR100518118 B1 KR 10051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bric
polymer resin
belt
conveyor bel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656A (ko
Inventor
멕가흔데스몬드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6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with extended nip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Other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39/1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D21F3/0236Belts or sleeves therefor manufactur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66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using a special calendering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3Fourdrinier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1Impermeable belts for extended nip p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슈 타입의 롱닙 프레스 벨트 또는 캘린더용 또는 기타 제지기 및 종이가공 응용장치용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는 내표면, 외표면,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을 갖는 순환루프 형태의 오픈 베이스 직물을 가진다.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에는 폴리머수지의 코팅이 있다. 폴리머수지는 베이스 직물을 함침하여 액체에 불투과성이 되게 하고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에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코팅은 부드럽고 벨트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한다. 상호 이격되어 베이스 직물을 기계방향으로 장력하에 두는 제1롤과 제2롤에 대해 베이스 직물을 장착함으로써 벨트는 제조된다. 콘베이어 벨트는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에서 베이스 직물 내에 배치된다. 콘베이어 벨트와 베이스 직물은 통상의 속도로 가동하고, 베이스 직물의 측단부에서 시작하며, 폴리머수지는 디스펜서로 부터 콘베이어 벨트위의 베이스 직물위로 배분된다. 콘베이어 벨트와 디스펜서는 디스펜서가 나선형태로 코팅됨에 따라 베이스 직물을 횡으로 가로질러 움직인다.

Description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Method for Endless Belt Structures for Papermaking Machines}
본 발명은 직포, 특히 제지기 위에서 종이제품으로 가공되는 섬유직포로 부터 수분을 빼내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제지기 위의 슈 타입의 롱닙 프레스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그리고 기타 제지 및 종이가공 응용장치에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제지공정에 있어서, 섬유 슬러리를 제지기의 성형부내에 둠으로써 셀룰로스 섬유의 섬유직포는 성형 와이어 위에 형성된다. 성형부내의 슬러리로 부터 많은 양의 수분이 배출되고, 그 뒤에 새로 형성된 직포는 프레스부로 이동한다. 프레스부는 일련의 프레스 닙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섬유직포는 섬유직포로 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가해진 압착력을 겪게된다. 직포는 최종적으로 가열된 건조기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부로 이동하는데, 직포는 이 건조기 드럼 둘레로 향한다. 가열된 건조기 드럼은 증발을 통하여 직포의 수분 성분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감소시켜 종이 제품을 생산한다.
에너지 비용의 증가로 인해, 직포가 건조부로 들어가기 전에 직포로 부터 가능한 한 많은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건조기 드럼은 흔히 증기로 가열되어지기 때문에, 직포로 부터 많은 양의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특히 증기생산에 관련된 비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프레스부는 여러쌍의 인접한 원통형 프레스 롤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닙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슈 타입의 롱 프레스 닙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쌍의 인접한 프레스 롤에 의해 형성된 닙을 사용하는 것 보다 더 장점이 많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왜냐하면, 직포가 닙 내에서 압력을 겪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직포로 부터 더 많은 수분이 제거될 수 있고, 건조기 내에서 증발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직포내의 수분이 더 적게 잔존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슈 타입의 롱닙 프레스와 관련된다. 다양한 롱닙 프레스에서, 닙은 원통형 프레스 롤과 아치형 압력 슈(pressure shoe) 사이에 형성된다. 아치형 압력 슈는 원통형 프레스 롤의 만곡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오목한 표면을 가진다. 롤과 슈가 서로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두개의 프레스 롤 사이에서 형성된 것 보다 기계방향으로 5배 내지 10배가 될 수 있는 닙이 형성된다. 롱닙은 종래의 투(two)-롤 프레스 에서의 것 보다 5배 내지 10배 길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롱닙 내에서 섬유직포가 압력을 받는 동안의 소위 체류시간이 투-롤 프레스 에서의 경우보다 길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롱닙 기술의 결과로 인해 제지기 위의 종래의 닙의 것에 비해 롱닙 내에서의 섬유직포의 수분제거가 급격히 향상되었다.
슈 타입의 롱닙 프레스는 미합중국특허 제5,238,537호에 공개된 것과 같은 특별한 벨트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벨트는 정지하고 있는 압력 슈 위로 직접적으로 미끌어지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초래되는 마모의 증가로 부터 셀룰로스 섬유를 지지하고 운반하며 수분제거하는 프레스 직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벨트는 반드시 오일의 윤활필름 위의 정지하고 있는 슈 위로 미끌어지는 부드러운 불투과성 표면을 가져야 한다. 벨트는 프레스 직물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닙을 통과하여 이동함으로써 프레스 직물이 벨트의 표면에 대해 최소한으로 마찰하도록 한다.
미합중국특허 제5,238,537호에 공개된 다양한 벨트는 순환루프의 형태를 띠는 직조된 베이스 직물을 합성 폴리머수지로 함침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수지는 벨트의 내표면에 소정의 두께의 코팅을 형성하여, 베이스 직물을 직조하는 실은 롱닙 프레스의 아치형 압력 슈와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코팅은 반드시 부드러운 불투과성 표면을 가지고 윤활 슈 위로 용이하게 미끌어지고, 윤활유가 벨트구조를 침투하여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 및 셀룰로스 섬유직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미합중국특허 제5,238,537호에 공개된 벨트의 베이스 직물은 모노필라멘트실로 부터 단층직조 또는 다층직조로 직조될 수 있고, 함침물질이 직조를 완전히 함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개방되도록 직조된다. 이로인해 최종 벨트내에 형성되는 어떠한 공극의 가능성도 제거된다. 이러한 공극으로 인해 벨트와 슈 사이에 사용된 윤활제가 벨트를 통과하여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 및 셀룰로스 섬유직포를 오염시킬 수 있다. 베이스 직물은 평직일 수 있고, 순환형태로 심 되거나 또는 관형태로 순환직조될 수 있다.
함침물질이 고체상태로 경화되는 경우에는, 이것은 주로 기계적인 인터록에 의해 베이스 직물에 묶이고, 경화된 함침물질은 베이스 직물의 실을 둘러싼다. 또한, 경화된 함침물질과 베이스 직물의 실의 재료 사이에는 약간의 화학적인 접착이 있을 수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5,238,537호에 공개된 것과 같은 롱닙 프레스 벨트는 이것이 설치되는 롱닙 프레스의 필요 싸이즈에 따라, 이것의 순환루프 형태 둘레에 세로방향으로 측정된 약 13 피트 내지 35 피트(약 4 미터 내지 11 미터)의 길이와, 이것의 순환루프 형태를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측정된 약 100 인치 내지 450 인치(약 250 센티미터 내지 1125 센티미터)의 폭을 가진다.
베이스 직물이 합성폴리머수지와 함침하기 이전에 순환형태이어야 한다는 필요성으로 인해, 이러한 벨트의 제조는 복잡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다양한 벨트는 수년동안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제조공정에 있어서 두가지 문제점이 아직 남아있다.
첫째로, 함침과 코팅 공정에서 베이스 직물로 부터 공기를 전부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 직물의 직조된 구조내에 잔존하는 공기는 최종 벨트제품 내의 공극으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극으로 인해 벨트와 슈 사이에 사용된 윤활제가 벨트를 통과하여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 및 셀룰로스 섬유직포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합성폴리머 수지에 의한 완전한 함침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직물로 부터 모든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로, 제조공정에서의 어떤 지점에서 벨트를 뒤집지 않고 벨트의 내표면에 합성폴리머수지 층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공기가 갇히게 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종래기술의 것 보다 더 많은 개방구조를 갖는 순환 베이스 직물을 사용하고, 제조공정에서 언제라도 벨트를 뒤집지 않고 폴리머수지 물질의 층을 벨트의 내표면 위에 제공함으로써,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지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지공정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수분, 오일 및 기타 액체에 불투과성이고 적어도 하나의 부드러운 균일한 측, 균일한 두께, 항(抗) 부식성 및 필요한 경도특성을 갖는 순환벨트가 요구되는 기타 산업응용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나의 응용장치는 제지기 위의 슈 타입의 롱닙 프레스에서 사용되는 벨트이다. 이 응용장치를 위하여, 벨트는 부드러워야 하고, 닙의 한 측을 형성하는 슈 위의 윤활유 필름위의 측에서 오일에 불투과성이어야 한다. 슈와 떨어져 있는 이 측은 부드러울 수 있고 또는 닙 내의 종이직포로 부터 배출된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홈 또는 블라인드-드릴된(blind-drilled) 개구의 형태로 된 공극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또 하나의 응용장치는 롤닙 또는 롱슈 타입 닙에서 종이를 캘린더링 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이다. 이러한 벨트는 양측이 부드러워야 되고, 각각의 측에 필요한 경도와 균일한 두께를 가져야 하며, (롱슈 타입 닙을 갖는 캘린더에 사용되는 경우에는)오일에 불투과성이어야 한다.
가장 광범위한 형태로는,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는 내표면, 외표면,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을 갖는 순환루프 형태로 된 베이스 직물을 구비한다. 베이스 직물은 기계방향(MD)구조부재와 교차기계방향(CD)구조부재를 가지며, 적어도 몇몇의 MD구조부재는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 범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몇몇의 CD구조부재는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 범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MD구조부재는 CD구조부재와 다수의 교차점에서 교차하거나 또는 섞어짜기가 되고, MD구조부재와 CD구조부재는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기계적, 화학적 또는 서모본딩 (thermobonding)수단에 의한 것이다.
베이스 직물은 미합중국특허 제4,567,077호에 공개된 다양한 나선-링크 직물일 수 있고, 나선-링크 직물을 이루는 나선의 각각의 타래는 상기한 범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벨트는 또한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위에 폴리머수지의 코팅을 구비한다. 코팅은 베이스 직물을 함침하고, 베이스 직물을 액체에 불투과성이 되게 만들며,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위에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코팅은 부드럽고 벨트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한다. 수지함침은 직물의 내측에 있는 공간과 직물구조내의 공극을 채우고, 수지의 한층을 직물구조의 외측에 제공한다.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방법은 제1롤과 제2롤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베이스 직물은 제1롤과 제2롤에 대하여 배치되고, 제1롤과 제2롤은 서로로 부터 이격하여 베이스 직물을 기계방향으로 팽팽하게 둔다.
제3롤과 제4롤에 대해 실린 콘베이어 벨트는 베이스 직물에 의해 형성된 순환루프내에 배치된다. 측벽은 콘베이어 벨트의 한측에 대해 배치된다. 콘베이어 벨트는 베이스 직물의 측단부에 대해 콘베이어 벨트의 안쪽의 측벽과 함께 베이스 직물의 측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롤과 제2롤 및 제3롤과 제4롤을 각각 통상의 속도로 회전함에 의하여 베이스 직물과 콘베이어 벨트는 구동상태로 되고, 폴리머수지는 스트림(stream) 형태의 디스펜서로 부터 콘베이어 벨트위의 한점에서 베이스 직물위로 배분된다.
폴리머수지가 배분되는 동안에 디스펜서, 콘베이어 벨트 및 측벽은 베이스 직물에 대해 가로로 이동하고, 측벽은 폴리머수지가 베이스 직물에 대해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폴리머 수지를 소정의 두께의 나선형으로 된 베이스 직물위에 제공하며 베이스 직물을 함침하고, 콘베이어 벨트를 내표면위의 베이스 직물의 내표면으로 부터 이격하는 소정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의 폴리머수지의 한층을 형성한다.
코팅공정이 베이스 직물을 가로질러 진행함에 따라 폴리머수지는 크로스링킹 (crosslinking)에 의해 경화한다. 수지를 제공한 후에, 벨트의 외표면은 부드러운 표면으로 마무리되거나 또는 공극체적을 포함하는 표면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지산업의 전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지가 함침된 벨트구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순환벨트는 롤커버(roll cover)로서 또는 롤타입과 슈타입의 캘린더용 벨트로서 뿐만 아니라 슈타입의 롱닙 프레스(LNP)로서, 또한 코터(coater), 프리-프레스(pre-press) 및 이송벨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지기에서 종이제품으로 가공되는 섬유직포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롱닙 프레스(LNP)가 도 1에 측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닙(10)은 부드러운 원통형 롤(12)과 아치형 압력 슈(14)에 의해 한정된다. 아치형 압력 슈(14)는 원통형 프레스 롤(12)과 동일한 만곡의 반경을 가진다. 원통형 프레스 롤(12)과 아치형 압력 슈 사이의 간격은 닙(10)의 로딩을 조절하기 위해 아치형 압력 슈(14)에 부착된 유압부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부드러운 원통형 프레스 롤(12)은 평평한 크로스-머신 닙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 아치형 압력 슈(14)에 매치된 조절된 크라운 롤(crown roll)일 수 있다.
벨트(16)는 닙(10)을 통하여 폐쇄된 루프내로 뻗고, 프레스 롤(12)을 아치형 압력 슈(14)로 부터 이격한다. 종이장으로 가공되는 프레스 직물(18)과 섬유직포(20)는 도 1의 화살표로 표시된 것 처럼 닙(10)을 통과한다. 섬유직포(20)는 프레스 직물(18)에 의해 지지되고 닙(10)내의 부드러운 원통형 프레스 롤(12)과 직접 접촉한다. 섬유직포(20)와 프레스 직물(18)은 화살표로 표시된 것 처럼 닙(10)을 통과한다.
또는, 섬유직포(20)는 두개의 프레스 직물(18) 사이의 닙(1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레스 롤(12)은 부드럽거나, 또는 홈 또는 블라인드-드릴된 개구와 같은 공극체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프레스 직물(18)에 면하는 벨트(16)의 측은 부드럽거나 또는 공극체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16)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 처럼, 즉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시계반대방향으로 프레스 닙(10)을 통과하여 프레스 직물(18)이 아치형 압력 슈(14)에 대해 직접 미끌어지면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일의 윤활필름위를 미끌어진다. 벨트(16)는 따라서 오일에 불투과성이고, 프레스 직물(18)과 섬유직포(20)는 오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을 것이다.
도 2에는 벨트(16)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벨트(16)는 내표면(28)과 외표면(30)을 가진다. 외표면(30)은 부드러운 표면으로 마무리된다.
도 3은 벨트의 대체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벨트(32)는 내표면(34)과 외표면(36)을 가진다. 외표면(36)은 프레스 닙(10)내의 섬유직포(20)로 부터 배출된 수분을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벨트(32) 둘레에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홈(38)을 구비한다.
또는, 벨트의 외표면은 수분의 일시저장을 위해 바람직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라인드-드릴된 개구를 구비한다. 도 4는 벨트의 이와 같은 대체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벨트(40)는 내표면(42)과 외표면(44)을 가진다. 외표면(44)은 다수의 블라인드-드릴된 개구(46)를 가지는데, 이 개구들은 벨트(40)를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다. 또한, 블라인드-드릴된 개구(46)는 홈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벨트는 기계방향("MD"라고도 한다)구조부재와 교차기계방향("CD"라고도 한다)구조부재, 그리고 종래기술의 베이스 직물을 특징짓는 것 보다 훨씬 더 높은 개방구역을 갖는 베이스 직물을 포함한다. 베이스 직물은 이와 같은 높은 개방구역을 가지기 때문에, 높은 개방구역 직물을 얇고, 치수상으로 불안정하고, 변형되기 쉽도록 하는 경향이 있는 종래의 기술만을 사용하여서는 생산될 수 없다. 이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하여, 베이스 직물은 MD구조부재와 CD구조부재가 교차점에서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개방구조를 가진다.
예를들어, 베이스 직물은 순환 레노(leno; 얇은 면직물의 일종)직조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직물(50)의 평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직물(50)은 제1 및 제2날실(52, 54)과 씨실(56)로써 직조된다. 제1, 제2날실(52, 54)들은 씨실(56)의 픽(picks)사이에서 하나를 다른 하나의 둘레에 꼰다. 제1날실(52)은 씨실(56)의 한측에 남고, 그라운드 실(ground threads)로 언급된다. 제2날실(54)은 각각의 교차점(58)에서 씨실(56)의 다른측 위로 덮어싸지만, 교차점(58)들 사이에서 제1날실(52) 아래로 싸서 씨실(56)을 제자리에 기계적으로 로크한다. 제2날실(54)은 도우프 실(doup threads)로 언급된다. 이러한 방식의 직조는 개방직조에 견고함과 강도를 부여하고 날실과 씨실의 미끄러짐과 이탈을 방지한다.
순환레노직조에서 제1, 제2날실(52, 54)은 순환하게 직조된 베이스 직물(50)의 CD실이고, 씨실(56)은 MD실이다.
도 6은 도 5의 선 6-6으로 표시된 것의 횡단면도로서, 제2날실(54)이 각각의 교차점 뒤에서 씨실(56)을 제자리에 기계적으로 로크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베이스 직물(5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써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쌍의 제1, 제2날실(52, 54)은 3000 데니어(denier)를 가지고, 씨실(56)도 3000 데니어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실 데니어의 선택은 벨트에 필요한 최종 MD와 CD의 강도에 의존한다. 각쌍의 제1, 제2날실(52, 54) 사이의 공간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고, 각각의 씨실(56) 사이의 공간도 역시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직물(50)은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직물은 원형 또는 플랫-베드 니팅(flat-bed knitting)공정에 의해 순환루프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직물(120)의 평면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니팅공정에서, MD실(122)과 CD실(124)은 실(128)에 의해 형성된 니트된 구조(126)로 되고, 실(128)에 의해 형성된 루프와 섞어짜기를 하지만 다른 것들과는 섞어짜기를 하지 않는다. 니트된 구조(126)는 MD실(122)과 CD실(124)을 함께 기계적으로 로크한다.
베이스 직물(12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 부터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D실(122)과 CD실(124)은 각각 3000 데이어(denier)를 가지고, 니트된 구조(126)를 형성하는 실(128)은 또한 3000 데니어를 가진다. MD실(122)들 사이의 공간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베이스 직물(120)은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은 또한 라스첼 니팅(Raschel knitting)공정에 의해 순환루프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직물(130)의 평면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니팅공정에서, MD실(132)은 니팅 가닥(136)에 의해 형성된 라스첼-니트된 CD실(134)로 된다. MD실(132)과 CD실(134)은 라스첼-니트된 구조의 CD실(134)에 의해 함께 기계적으로 로크된다.
베이스 직물(13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 부터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D실(132)과 가닥(136)은 각각 3000 데니어를 가진다. MD실(132)들 사이의 공간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고, CD실(134)들 사이의 공간도 또한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베이스 직물(130)은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직물은 평직으로 직조될 수 있다. 도 9는 평직으로 직조되고 순환형태로 이어붙이거나 또는 순환하게 직조될 수 있는 이러한 베이스 직물(60)의 횡단면도이다. 앞의 경우에서, 날실(62)은 베이스 직물(60)의 기계방향에 있고 씨실(64)은 교차기계방향에 있다. 뒤의 경우에서, 날실(62)은 교차기계방향에 있고, 씨실(64)은 기계방향에 있다.
베이스 직물(6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써 직조될 수 있다. 날실(62)과 씨실(64)은 서모플라스틱(thermoplastic)수지물질로 코팅된 약 3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일 수 있다. 인접한 날실(62)과 씨실(64) 사이의 간격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베이스 직물(60)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이러한 기타 다양한 실들 역시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60)은 직조된 후에, 날실(62)과 씨실(64)을 코팅하는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을 부드럽게 하기에 충분한 열처리에 노출되어, 날실과 씨실은 교차점(66)에서 서로 부착되어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한다. 또는,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로 코팅된 실을 사용하는 대신에, 베이스 직물(60)은 약 3000 데니어의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 직조될 수 있고, 직조후에는 교차점(66)에서 날실(62)과 씨실(64)을 부착하는 화학물질로 코팅되어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한다.
예를들어, 베이스 직물(60)은 두성분의 시드(sheath)/코어(core)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꼰 멀티필라멘트실인 날실(62)과 씨실(64)로 직조될 수 있고, 시드와 코어는 두개의 다른 융점을 가진다. 이러한 타입의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실은 등록상표 「BELL COUPLE」의 가네보(Kanebo)로 부터 이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는 100℃ 내지 500℃ 범위내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코어와, 50℃ 내지 450℃ 범위내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시드를 가진다. 0.5 내지 40 범위내의 데니어를 갖는 필라멘트가 이용가능하다. 실제로, 100 타래/미터(0.39 타래/인치)의 비율로 함께 꼬인 16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10 가닥 또는 12 가닥의 250 데니어 멀티필라멘트실이 사용될 수 있다. 시드의 융점보다는 높고, 교차점(66)에서 날실(62)을 씨실(64)에 부착하기 위한 코어의 융점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수행된다.
또는 날실(62)과 씨실(64)은 서모플라스틱 폴리우레탄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 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실은 대개 타이어 코드(tire cords)로서 사용되고, 폴리우레탄은 실을 타이어 물질에 부착하기 위한 타이 코트(tie coat)로서 작용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융점과 서모플라스틱 폴리우레탄의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수행되는데, 후자(서모플라스틱 폴리우레탄)의 융점이 더 낮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직물(60)은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인 날실(62)과 씨실(64)로써 직조될 수 있다. 직조후에, 베이스 직물(60)은 교차점(66)에서 날실(62)을 씨실(64)에 화학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아크릴, 에폭시 또는 기타 폴리머수지 코팅물질로 화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은 또한 개방직조로 직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세개의 실이 각각의 직물방향으로 나란히 직조되고, 이러한 각각의 세개의 실은 각각의 방향에서 옆의 것으로 부터 이격되어 직물에 큰 개방공간을 제공한다. 도 10은 이러한 베이스 직물(140)의 평면도로서, 이것은 평직되고 순환형태로 이어붙이거나, 또는 순환하게 직조될 수 있다. 앞의 경우에는, 날실(142)은 베이스 직물(140)의 기계방향에 있고, 씨실(144)은 교차기계방향에 있다. 뒤의 경우에는, 날실(142)은 교차기계방향에 있고, 씨실(144)은 기계방향에 있다. 이 두 경우에서, 세개의 날실(142)과 세개의 씨실(144)은 서로 나란히 직조하고, 각 방향에 있는 상기 각각의 세개의 실은 옆의 것으로 부터 이격되어 직물에 큰 개방구역을 제공한다.
베이스 직물(14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써 직조될 수 있다. 날실(142)과 씨실(144)은 각기 서모플라스틱 수지물질로 코팅된 약 1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일 수 있다. 날실(142)과 씨실(144)의 각각 3개의 실들 사이의 공간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베이스 직물(140)은 또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다양한 실들 역시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140)은 직조된 후에 날실(142)과 씨실(144)을 코팅하는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을 부드럽게 하기에 충분한 열처리에 노출되어, 날실과 씨실은 교차점(146)에서 서로 부착되어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한다. 또는, 베이스 직물(60)의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상기한 다른 방법들이 베이스 직물(140)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은 또한 직조되지 않은 직물일 수 있다. 도 11은 교차점(156)에서 서로에 부착되는 MD실(152)과 CD실(154)을 포함하는 이러한 베이스직물(150)의 횡단면도이다. 베이스 직물(150)은 순환루프 형태이다. MD실(152)은 순환루프 형태로 나선형으로 되고, CD실(154)은 이것에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점(156)에서 MD실(152)에 부착된다.
베이스 직물(150)은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로써 직조될 수 있다. MD실(152)과 CD실(154)은 각기 서모플라스틱 수지물질로 코팅된 약 3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일 수 있다. MD실(152)과 CD실(154) 사이의 공간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의 범위내이다. 베이스직물(150)은 또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써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다양한 실들 역시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베이스 직물(150)이 조합됨에 따라, 날실(152)과 씨실(154)을 코팅하는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을 부드럽게 하기에 충분한 열처리에 노출되어, 날실과 씨실은 교차점(156)에서 서로 부착되어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한다. 또는, 베이스 직물(60)의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상기한 다른 방법들이 교차점(156)에서 MD실(152)을 CD실(154)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직물은 기계방향과 교차기계방향으로 가능한한 멀리 신장된 후에 부착되는 니트된 직물일 수 있다. 도 12는 신장되고 부착되기 이전의 니트된 베이스 직물용 프리커서(160)의 평면도이다.
프리커서(160)는 순환루프 형태의 원형 또는 플랫-베드 니팅 공정에 의해 니트될 수 있다. 기계방향(MD)과 교차기계방향(CD)이 각기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프리커서 (160)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실(이하 "실"이라고도 한다)(162)로써 직조될 수 있다. 실(162)은 3000 데니어와, 서모플라스틱 수지물질의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프리커서(160)는 폴리아미드수지 같은 다른 합성폴리머수지로 부터 압출되는 모노필라멘트실과 꼰 모노필라멘트실 같은 다른 타입의 실들로 부터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다양한 실들 역시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일단 프리커서(160)가 완전히 니트되면, 프리커서는 기계방향과 교차기계방향으로 가능한한 멀리 신장된다. 이렇게 되는 경우에, 루프(164)는 완전히 닫히고, 프리커서(160)는 도 13의 평면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베이스 직물(170)의 형태를 띤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베이스 직물(170)은 실(162)을 코팅하는 서모플라스틱수지 물질을 부드럽게 하기에 충분한 열처리에 노출되어, 교차기계방향으로 조향된 단면들(172)은 서로 부착되고, 기계방향으로 조향된 단면들(174)은 교차기계방향으로 조향된 단면들(172)과 교차점(176)에서 부착하여 베이스 직물(170)의 구조를 안정시킨다. 또는, 베이스 직물(60)의 직조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상기한 다른 방법들이 베이스 직물(170)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교차기계방향으로 조향된 단면들(172)과 기계방향으로 조향된 단면들(174)은 0.0625 인치 내지 0.5 인치(0.16 센티미터 내지 1.27 센티미터) 범위내로 서로 이격된다.
어쨋든, 상기한 베이스 직물들의 구조에서의 실의 정확한 재료와 치수는 벨트가 의도하는 응용장치의 기계적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직물의 실은 베이스 직물을 함침시켜 함침수지와 베이스 직물 사이의 타이 코트로서 작용하도록 사용되는 것에 대한 화학적 유사성을 갖는 폴리머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도 14는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 장치의 평면도이다. 장치(200)는 제1롤(202)과 제2롤(204)을 구비하며, 이 각각의 롤은 부드럽고 광택나는 표면을 가진다. 이 표면은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또는 실리콘 같은 물질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 표면위에서 경화된 폴리머수지 물질을 용이하게 릴리스(release)할 것이다.
상기한 구조들 중의 하나의 베이스 직물(206)은 제1롤(202)과 제2롤(204)에 대해 배치되고, 그 다음에 상기 두 롤은 서로 떨어져 베이스 직물(206)을 팽팽한 상태로 만든다.
베이스 직물(206)의 좌측단부(208) 근처의 한점에서 시작하여, 디스펜서 (210)는 폴리머수지를 베이스 직물(206)위에 제공하고, 베이스 직물(206)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수지가 그 속을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개방구역을 가진다. 폴리머수지가 디스펜서(210)에 의해 제공됨에 따라, 제1롤(202)과 제2롤(204)은 디스펜서(210)의 아래를 따라 베이스 직물(206)을 움직이기 위한 일반적인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디스펜서(210)는 베이스 직물(206)을 가로질러 이송된다. 베이스 직물(206)과 디스펜서(210)가 이동하는 속도는 미리선택되어져서, 베이스 직물(206)은 폴리머수지에 의해 단일경로의 폐쇄된 나선에서 완전히 덮힐 것이다. 즉, 베이스 직물(206)은 SPS(single pass spiral)코팅공정에서 폴리머수지에 의해 코팅된다.
폴리머수지는 베이스 직물(206)을 함침하고, 제조되는 벨트를 오일과 수분에 불투과성이 되게 한다. 폴리머수지는 폴리우레탄 일 수 있고, 그 구성분은 100%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고체수지장치(이것은 용제(溶劑)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개념임)를 사용함으로써, 경화공정 동안에 폴리머수지 내에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 경화공정을 통하여 폴리머수지는 그 다음의 베이스 직물(206)에 대한 응용으로 진행한다.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폴리머수지가 베이스 직물(206) 속으로 침투하여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에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폴리머수지가 제공되는 시점에서의 베이스 직물(206)의 개방도와 폴리머수지의 점착도가 중요한 요소다. 즉,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폴리머수지가 베이스 직물(206) 속으로 용이하게 침투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직물(206)의 개방도는 충분히 높아야 하고, 폴리머수지의 점착도는 충분히 낮아야 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평면도의 우측으로 부터 본 장치(200)의 측면도이다. 장치(200)는 베이스 직물(206)에 의해 형성된 순환루프 내에 제3롤(214)과 제4롤(216)에 대해 배치된 콘베이어 벨트(212)를 추가로 구비한다. 콘베이어 벨트(212)는 베이스 직물(206)과 동일한 속도로 작동하도록 구동되고, 베이스 직물과 수평을 이루며, 제조되는 벨트의 내측의 바람직한 폴리머수지의 층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베이스 직물로 부터 떨어져있다. 콘베이어 벨트(212)는 제1롤(202)과 제2롤(204)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같은 물질로 코팅될 수 있고, 벨트위에서 경화된 폴리머수지 물질을 용이하게 릴리스 할 것이다.
디스펜서(210)는 콘베이어 벨트(212)가 구동을 시작하는 곳의 가까운 점에서 폴리머수지(210)를 베이스 직물(206)에 제공한다. 즉, 폴리머수지는 제3롤 (214)에 매우 가까운 점에서 제공된다. 베이스 직물(206)과 콘베이어 벨트(212)의 통상적인 속도는 미리선택되어져 폴리머수지는 "그린 스테이트(green state)"에 크로스 링크 할 것이고, 폴리머수지는 제3롤(214)로 부터 제4롤(216)로 이동하기 위해 콘베이어 벨트(212)의 소정의 지점에 대해 필요한 것 보다 적은 시간에 더이상 액체로서 흐르지 않는 지점 까지 경화된다. 이 방식에서, 폴리머수지는 제4롤(216)에서 콘베이어 벨트(212)로 부터 이격하기 전에 "그린 스테이트"로 크로스 링크 할 것이고, 폴리머 수지는 베이스 직물(206)과 콘베이어 벨트(212)로 부터 흐르거나 뚝뚝 떨어질 수 있다. 폴리머수지가 "그린 스테이트"로 크로스 링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궁극적으로 코팅공정의 속도, 즉, 베이스 직물(206)과 콘베이어 벨트(212)가 구동되는 통상의 속도를 결정한다.
베이스 직물(206) 속으로 침투하고 베이스 직물의 내측에 하나의 층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에 하나의 층을 제공하고, 베이스 직물(206) 내의 공극을 채우고, 베이스 직물(206)의 외측에 폴리머수지의 하나의 층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머수지의 스트림(218)의 유동율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수지의 두개의 스트림이 두개의 디스펜서(210)로 부터 베이스 직물(206)위로 제공될 수 있고, 하나의 스트림은 다른 것 위로 제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폴리머수지의 제1 스트림은, 베이스 직물(206) 속으로 침투하여 베이스 직물의 내측에 하나의 층을 형성할 만큼 충분한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트림은 또한 베이스 직물(206)을 채울 수 있고, 베이스 직물의 외측에 하나의 얇은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수지의 제2 스트림은 베이스 직물(206)의 외측에 하나의 층을 제공할 수 있고 폴리머수지의 제1 스트림에 의해 형성된 코팅을 제공할 수있다. 이 경우, 제1 스트림은 하나의 폴리머수지로 된 것일 수 있고, 제2 스트림은 다른 폴리머수지로 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외표면에 홈 또는 개구를 갖는 LNP 벨트의 경우나, 또는 캘린더 벨트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조되는 벨트의 각각의 측 위의 코팅들이 각기 다른 경도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두개의 디스펜서가 폴리머수지의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두개의 디스펜서는 교차기계방향(CD) 또는 기계방향(MD)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고, 또는 두개의 디스펜서는 교차기계방향 또는 기계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폴리머수지를 두개의 스트림내에 층만들기(layering), 부착하기(bonding), 혼합하기(mixing)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디스펜서(210)는 첫째로 폴리머수지의 바람직한 양의 제1 스트림을 베이스 직물(206)위로 그 전체 폭에 걸쳐 제공하고, 제2 디스펜서(210)는 폴리머수지의 바람직한 양의 제2 스트림을 제1 스트림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선내의 제1 스트림에 의해 베이스 직물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으로 표시된 것의 횡단면도이다. 베이스 직물(206)과 콘베이어 벨트(212) 간의 떨어진 간격은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위에 제공된 폴리머수지의 층의 두께를 결정한다. 또한, SPS 코팅공정의 나선경로로 부터의 폴리머수지의 리본(222)과 콘베이어 벨트(212)와 함께 측벽(220)은 디스펜서 (210)에 의해 제공되는 폴리머수지를 위한 몰드(a mold)를 형성하고, 폴리머수지가 측으로 또는 도 16의 우측방향으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220)은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에 접촉한다. 물론,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에 각기 다른 두께의 층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코팅공정 동안에 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베이스 직물(206)과 콘베이어 벨트(212) 간의 떨어진 간격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반면에, 측벽(220)과 베이스 직물(206) 간의 접촉은 유지된다. 접촉롤(224)은 나선경로로 부터의 폴리머수지의 리본(222)이 콘베이어 벨트(212)에 대해 가압하고 이것과 접촉을 유지하여, 베이스 직물(206)의 내측위의 폴리머수지의 층은 균일한 두께로 될 것이다. 제1 나선경로가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폴리머수지가 측으로, 즉 도 16의 좌측으로 일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22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210)는 코팅공정 동안에 베이스 직물(206)을 횡으로 가로질러 이송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콘베이어 벨트(212), 측벽(220) 및 접촉 롤(224)은 단일구동장치에 의한 코팅공정 동안에 베이스 직물(206)을 가로질러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도 17은 도 2의 선 17-17로 표시된 것과 같은 벨트(16)의 횡단면도이다. 횡단면은 가로 또는 벨트의 교차기계방향으로 도시되고, 벨트(16)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베이스 직물(92)을 포함한다. 즉, 베이스 직물(92)은 제1, 제2날실(94, 96)과 씨실(98)로써 순환레노직조로 직조된다. 도 15의 측으로 부터 바라본 제1, 제2날실(94. 96)은 벨트(16)의 교차기계방향에 있다. 도 15의 측으로 부터 바라본 씨실(98)은 벨트(16)의 기계방향에 있다. 제2날실(96)이 씨실(98)위로 직조하는 교차점(100)은 벨트(16)의 외표면(30)에서 보일 수 있다.
벨트(16)의 내표면(28)은 폴리머수지(102) 코팅에 의해 형성된다. 폴리머수지(102)는 베이스 직물(92)을 함침하고, 벨트(16)가 오일과 수분에 불투과성이 되게 한다. 벨트(16)는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난 장치(200)를 사용하여 생산되고, 스트림(218)은 폴리머수지(102)의 층을 베이스 직물(92)의 내측에 제공하고, 베이스 직물(92)내의 공극을 채우며, 교차점(100)을 덮는 폴리머수지(102)의 층을 베이스 직물(92)의 외측에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폴리머수지(102)는 경화된 후에 연마되고 광택나게 되어 부드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고, 벨트(16)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벨트의 굴곡부의 중립축이 베이스 직물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종류의 벨트의 베이스 직물의 양측에 폴리머수지 코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벨트가 아치형 압력 슈 위로 지나감에 따라 벨트의 반복된 굴절은 폴리머수지 코팅이 파괴되고 베이스 직물로 부터 얇은조각으로 갈라지는 현상을 덜 초래한다. 또한, 벨트의 외측(즉, 펠트측)위의 폴리머수지 코팅은 홈, 블라인드-드릴된 개구, 오목부 등속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스 닙(10) 내의 섬유직포(20)로 부터 압착된 수분의 일시저장을 위한 싱크(sink)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를 사용하여, 벨트의 외측위의 폴리머수지 코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벨트의 내측위의 폴리머수지 코팅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베이스 직물(92)의 내측위의 제1폴리머수지(112)의 코팅과 베이스 직물(92)의 외측위의 제2폴리머수지(114)의 코팅을 갖는 벨트(110)의 횡단면도이다. 장치(200)는 벨트(11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제1디스펜서(210)는, 베이스 직물(92)에 침투하여 베이스 직물의 내측에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베이스 직물(92)을 채울 만큼 충분한 양의 제1폴리머수지(112)를 베이스 직물(92)위에 제공한다. 제2디스펜서(210)는 제1폴리머수지(112)와 베이스 직물(92)을 충분히 덮을 만큼의 양의 제2폴리머수지(114)를 제공하여 그위에 제2폴리머수지(114)의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제1폴리머수지(112)와 제2폴리머수지(114)는 벨트(110)가 오일과 수분에 불투과성이 되게 한다. 제1폴리머수지(112)와 제2폴리머수지(114)가 경화된 후에, 제2폴리머수지(114)는 연마되고 광택나게 되어 부드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고, 벨트(16)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제2폴리머수지는 연마되고 광택나게 된 후에는 직포로 부터 압착된 수분의 일시저장을 위한 홈, 블라인드-드릴된 개구 또는 기타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9는 도 3의 선 19-19로 표시하여 도시된 벨트(32)의 횡단면도이다. 벨트(32)는 도 18의 벨트(110)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제1폴리머수지 (112)와 제2폴리머수지(114)가 경화되고, 제2폴리머수지(114)가 연마되고 광택나게 되어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며 벨트(40)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한 후에는, 벨트(40)의 외표면(44)내로 블라인드-드릴된 개구(46)를 뚫는다. 제2폴리머수지(112)의 층은 베이스 직물(92)에 도달함이 없이 블라인드-드릴된 개구(46)가 뚫릴수 있을 만큼 충분한 두께로 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도 18, 도 19 및 도 20에 각각 횡단면으로 도시된 벨트(110, 32, 40)는 두개, 즉 제1폴리머수지(112)와 제2폴리머수지(114)가 아닌 단지 하나의 폴리머수지만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 폴리머수지는 베이스 직물(92)을 침투하여 베이스 직물의 내측에 하나의 층을 제공하고, 베이스 직물내의 공극을 채우며, 베이스 직물(92)에 도달함이 없이 홈(38)을 파고 블라인드-드릴된 개구(46)가 뚫릴수 있을 만큼 충분한 두께로 된 베이스 직물의 외측에 하나의 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폴리머수지는 촉매와 화학적으로 교차연계되거나 또는 열 제공과 교차연계된 리액티브(reactive type) 타입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공정 동안에 용제는 거품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100% 고체성분을 갖는, 즉 용제를 갖지 않은 수지가 바람직하다. 100% 고체성분을 갖는 폴리우레탄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장치(200)는 제조공정 동안에 벨트를 언제라도 뒤집을 필요없이 폴리머수지의 부드러운 층이 종이가공벨트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폴리머수지는 콘베이어 벨트(212)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벨트에 코팅을 하여 벨트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실리콘이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조공정의 최종단계에서는, 이렇게 얻어진 벨트의 측단부를 기계방향에 수평하게 정돈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균일하게 만들어 벨트에 바람직한, 마무리된 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나, 청구범위를 넘어서는 변형은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분과 오일 및 기타 액체에 불투과성이고 균일한 측, 균일한 두께, 항부식성 및 필요한 경도특성을 갖는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롱닙 프레스의 측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벨트의 사시도.
도 3은 벨트의 대체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벨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레노원리를 이용하여 직조된 베이스 직물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6-6으로 표시된 것의 횡단면도.
도 7은 니트된 베이스 직물의 평면도.
도 8은 다른 니트된 베이스 직물의 평면도.
도 9는 평직으로 직조된 베이스 직물의 횡단면도.
도 10은 다른 직조된 베이스 직물의 평면도.
도 11은 직조되지 않은 베이스 직물의 횡단면도.
도 12는 베이스 직물용 니트된 프리커서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커서로 부터 만들어진 곧게 펴지고 접착된 니트된 베이스 직물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의 우측으로 부터 도시한 장치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으로 표시된 것의 횡단면도.
도 17은 도 2의 선 17-17로 표시된 것으로서의 벨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서 양측에 코팅을 갖는 벨트의 횡단면도.
도 19는 도 3의 선 19-19로 표시된 것으로서의 벨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20은 도 4의 선 20-20으로 표시된 것으로서의 벨트 실시예의 횡단면도.

Claims (12)

  1. 제지기용 슈타입의 롱닙 프레스 또는 캘린더용 수지가 함침된 순환벨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내표면, 외표면,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을 갖는 순환루프 형태의 오픈 베이스 직물을 제공하고;
    (b) 제1롤과 제2롤을 제공하며;
    (c) 상기 제1롤과 제2롤에 대해 상기 베이스 직물을 배치하고;
    (d) 상기 제1롤을 상기 제2롤로 부터 이격하여 상기 베이스 직물을 상기 기계방향의 장력하에 두며;
    (e) 제3롤과 제4롤에 대해 실리는 콘베이어 벨트를 제공하고;
    (f) 상기 콘베이어 벨트 근처에 측벽을 제공하며;
    (g) 상기 콘베이어 벨트와 측벽을 상기 베이스 직물의 상기 순환루프내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측단부 근처에 배치하고;
    (h) 상기 베이스 직물의 상기 내표면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에 있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를 제공하며;
    (i) 상기 제1롤과 제2롤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직물을 통상적인 속도로 움직이고, 상기 제3롤과 제4롤을 회전시켜 상기 콘베이어 벨트를 통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며;
    (j) 상기 베이스 직물의 측단부 근처에서 시작하여 스트림 형태의 디스펜서로 부터 상기 콘베이어 벨트위의 한점에서 폴리머수지를 상기 베이스 직물위에 배분하고;
    (k) 상기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측벽과 상기 디스펜서를 상기 베이스 직물에 대해 가로로 움직이며;
    (l) 상기 베이스 직물이 상기 폴리머수지로써 함침되는 경우에 상기 폴리머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측단부에 대해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내부이고, 상기 측벽은 상기 폴리머수지가 상기 베이스 직물에 대해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폴리머수지를 소정의 두께의 나선형태의 상기 베이스 직물위에 제공하여 상기 베이스 직물을 함침하고, 상기 콘베이어 벨트를 상기 베이스 직물의 상기 내표면으로 부터 이격하는 상기 소정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의 상기 폴리머수지의 하나의 층을 상기 내표면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용 순환벨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수지는 제1폴리머수지이고,
    제2폴리머수지를 소정의 두께의 나선형태의 상기 제1폴리머수지의 맨윗부분에 배분하고;
    상기 제1폴리머수지가 상기 제2폴리머수지에 의해 완전히 덮히는 경우에 상기 제2폴리머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리머수지의 상기 나선은 상기 제1폴리머수지의 상기 나선과 반대방향으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 후에 상기 폴리머수지에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하고 상기 벨트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폴리머수지를 연마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수지내에 다수의 홈을 파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수지내에 다수의 블라인드-드릴된 개구를 뚫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 후에 상기 폴리머수지에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하고 상기 벨트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폴리머수지를 연마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리머수지내에 다수의 홈을 파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리머수지내에 다수의 블라인드-드릴된 개구를 뚫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측단부를 상기 기계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정돈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베이스 직물은 기계방향(MD)구조부재와 교차기계방향(CD)구조부재를 가지고, 상기 MD구조부재와 상기 CD구조부재는 다수의 교차점에서 상호 교차하고, 상기 MD구조부재와 상기 CD구조부재는 상기 교차점에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베이스 직물은 나선-링크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11932A 1999-08-30 2000-03-10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 KR10051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86,114 1999-08-30
US9/386,114 1999-08-30
US09/386,114 US6231928B1 (en) 1999-08-30 1999-08-30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impregnated endless belt structures for papermaking machines and similar industrial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56A KR20010020656A (ko) 2001-03-15
KR100518118B1 true KR100518118B1 (ko) 2005-10-04

Family

ID=2352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932A KR100518118B1 (ko) 1999-08-30 2000-03-10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31928B1 (ko)
EP (1) EP1081275A3 (ko)
JP (1) JP3524046B2 (ko)
KR (1) KR100518118B1 (ko)
CN (1) CN1185385C (ko)
AU (1) AU730658B1 (ko)
BR (1) BR0001340A (ko)
CA (1) CA2308011C (ko)
ID (1) ID27100A (ko)
MX (1) MXPA00007574A (ko)
NO (1) NO319124B1 (ko)
TW (1) TW548364B (ko)
ZA (1) ZA2000002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163B2 (en) * 2001-08-31 2005-09-20 Honda of Canada Manufacturing a division of Honda Canada Inc. Coating technique
JP3803071B2 (ja) * 2002-06-11 2006-08-02 ヤマウチ株式会社 製紙工業用弾性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74640B2 (en) 2003-05-23 2008-05-20 Albany International Corp. Grooved surface belt or roll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989080B2 (en) * 2003-06-19 2006-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 neutral line dryer fabric
US8840683B2 (en) * 2003-11-19 2014-09-23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textile fabric
US7654296B2 (en) * 2003-11-24 2010-02-02 Albany International Corp. Grooved single facer belt
PL1725599T3 (pl) * 2004-03-16 2011-01-31 Albany Int Corp Albany Pasy powlekane poliuretanem zawierające nanocząsteczki
DK1791997T3 (da) * 2004-08-31 2012-08-13 Obermeyer Henry K Højstyrkeforbindelsessystem til fiberforstærkede kompositmaterialer
DE102004054804A1 (de) * 2004-11-12 2006-05-18 Voith Fabrics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JP5270834B2 (ja) * 2006-12-22 2013-08-21 ヤマウチ株式会社 製紙用ベルト
US7712336B2 (en) * 2007-01-31 2010-05-11 Albany International Corp. Subassembly for industrial fabrics
DE102007055864A1 (de) * 2007-12-19 2009-06-25 Voith Patent Gmbh Transport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WO2015091654A1 (de) * 2013-12-20 2015-06-25 Voith Patent Gmbh Pressmantel oder prozessband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einer faserbahn
DE102015217942A1 (de) * 2015-09-18 2017-03-23 Voith Patent Gmbh Pressman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102019126077A1 (de) * 2019-09-27 2021-04-01 Voith Patent Gmbh Pressmantel, dessen Verwendung sowie Presswalze und Schuhpresse
EP3913131A1 (en) * 2020-05-20 2021-11-24 Valmet Technologies Oy Belt for a sleeve roll and us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620A (en) * 1983-09-19 1985-11-12 Beloit Corporation Paper machine belt
US4567077A (en) * 1980-11-13 1986-01-28 Cofpa Papermaker's fabric constituted by plastic spirals
US5238537A (en) * 1981-09-15 1993-08-24 Dutt William H Extended nip press belt having an interwoven base fabric and an impervious impregnant
WO1998024968A1 (en) * 1996-12-03 1998-06-11 Albany International Corp. Braided base fabrics for shoe press belts
KR0167087B1 (ko) * 1990-07-31 1999-05-01 더크 제이. 빈맨 연장된 닢 프레스용 블랭킷과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68838A1 (ko) * 1973-11-21 1975-08-20
US5171389A (en) * 1991-11-08 1992-12-15 Albany International Corp. Spiral construction of grooved long nip press
EP0658649A1 (en) * 1993-12-14 1995-06-21 Appleton Mills Press belt or sleeve incorporating a spiral-type base carrier for use in long nip presses
US6174825B1 (en) * 1997-12-09 2001-01-16 Albany International Corp. Resin-impregnated belt for application on papermaking machines and in similar industrial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7077A (en) * 1980-11-13 1986-01-28 Cofpa Papermaker's fabric constituted by plastic spirals
US5238537A (en) * 1981-09-15 1993-08-24 Dutt William H Extended nip press belt having an interwoven base fabric and an impervious impregnant
US4552620A (en) * 1983-09-19 1985-11-12 Beloit Corporation Paper machine belt
KR0167087B1 (ko) * 1990-07-31 1999-05-01 더크 제이. 빈맨 연장된 닢 프레스용 블랭킷과 그 제작방법
WO1998024968A1 (en) * 1996-12-03 1998-06-11 Albany International Corp. Braided base fabrics for shoe press belts
KR19990082170A (ko) * 1996-12-03 1999-11-25 실버 챨스 제이 슈 프레스 벨트용 편복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1928B1 (en) 2001-05-15
CA2308011C (en) 2004-11-02
AU730658B1 (en) 2001-03-08
JP2001089991A (ja) 2001-04-03
MXPA00007574A (es) 2002-03-26
BR0001340A (pt) 2001-04-03
TW548364B (en) 2003-08-21
NO319124B1 (no) 2005-06-20
CN1286331A (zh) 2001-03-07
ZA200000237B (en) 2001-05-30
KR20010020656A (ko) 2001-03-15
EP1081275A2 (en) 2001-03-07
ID27100A (id) 2001-03-01
NO20004301L (no) 2001-03-01
CN1185385C (zh) 2005-01-19
EP1081275A3 (en) 2001-10-24
NO20004301D0 (no) 2000-08-29
JP3524046B2 (ja) 2004-04-26
CA2308011A1 (en)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176E1 (en) Resin-impregnated belt for application on papermaking machines and in similar industrial application
KR960006127B1 (ko) Lnp 벨트 코팅면 보강재 및 벨트제조방법
KR100518118B1 (ko) 제지기 순환벨트 제조방법
KR100664766B1 (ko) 수지함침된 순환벨트
KR100628576B1 (ko) 슈 프레스 벨트용 편복직물
KR100536132B1 (ko) 제지기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쳐라이즈드 외면을 갖는 수지 함침 벨트
KR20060028785A (ko) 제지분야에서 사용되는 순환벨트용 기재
KR101051669B1 (ko) 가변적인 홈들을 가진 벨트
JP2007511681A (ja) 溝の表面を有するシュー型の圧力ベルト
BR0317841B1 (pt) Correia para processo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a correia para processo
MXPA98010408A (en) Band impregnated with resin to be applied in machines to manufacture paper and in industrial applications simi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