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10B1 -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10B1
KR100517710B1 KR1020040024092A KR20040024092A KR100517710B1 KR 100517710 B1 KR100517710 B1 KR 100517710B1 KR 1020040024092 A KR1020040024092 A KR 1020040024092A KR 20040024092 A KR20040024092 A KR 20040024092A KR 100517710 B1 KR100517710 B1 KR 10051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tage
vehicle
solenoid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2Rolls, strips or like assemblie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걸림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MISS OPERATION OF SHIFT LEV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걸림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구조는 직렬형으로 주행(D), 중립(N), 후진(R), 저속(1,2,3), 주차(P) 레인지가 표시되어 운전자가 변속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 구조는 직렬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오조작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오조작 방지책으로는 브레이크를 밟아야만 변속레버의 P단에서 R단으로 빠지도록 하는 장치인 시프트 록(SHIFT LOCK)장치를 적용하고 있으나, 출발시나 주행시 R단 이하에서는 쉽게 빠지게 되어 있다.
특히, 출발시 R단에서 D단으로 조작하였으나 D단을 거치지 않고 3단으로 빠지는 경우와 주행중 어린아이 등의 장난으로 D단에서 N단으로 빠지는 경우 등 여러가지 오조작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걸림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측부에 장착되어 변속조작시 걸림턱 역할을 하는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와; 상기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의 구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제2릴레이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의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T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 노브와 제2솔레노이드 노브는 변속레버의 D단을 사이에 두고 양측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CU는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1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시동 후 차속이 0인 상태에서 P단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2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제1,제2 솔레노이드 노브를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D단에서 N단으로 또는 D단에서 3단으로 넘어가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변속조작시 걸림턱 역할을 하는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11)(12)와 상기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11)(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0)가 구비된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솔레노이드 노브(11)는 변속레버(80)의 N단과 D단 사이에 장착되고 제2솔레노이드 노브(12)는 변속레버(80)의 D단과 3단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0)에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11)(12)의 구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제2릴레이(2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23)와 상기 차속센서(23)의 차속과 변속레버(8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릴레이(21)(22)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TCU(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TCU(20)는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1릴레이(21)로 그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시동 후 차속이 0인 상태에서 P단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2릴레이(22)로 그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에서의 미설명 부호 30은 시동키에 의해 조작되는 점화 스위치이고, 40은 TCU(20)에 의해 변속 레인지를 인식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이며, 60 은 엔진의 초기 시동을 구현하는 스타트모터이고, 50은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40)와 스타트모터(6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스위치(30)의 시동키 조작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타트릴레이이며, 70은 밧데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은 TCU(20)가 차속과 시동 'ON'상태, 변속레버 위치를 감지한다(S10).
그리고, 차량이 주행중인지 출발상태인지 차속센서(23)를 통해 감지한 차속으로부터 이를 판단한다(S20).
이때,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D단으로 변속하는 경우에는 제1릴레이(21)를 동작시킨다(S30).
그러면, 상기 제1릴레이(21)의 동작으로 구동모터(10)가 구동하여(S40) 제1솔레노이드 노브(11)가 동작한다(S50).
이는 변속레버의 N단과 D단 사이에 장착된 제1솔레노이드 노브(11)를 작동시켜 D단에서 N단으로 넘어가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량이 시동후 출발상태에서 변속레버가 P단에서 D단으로 변속하는 경우에는 제2릴레이(22)를 동작시킨다(S60).
그러면, 상기 제2릴레이(22)의 동작으로 구동모터(10)가 구동하여(S70) 제2솔레노이드 노브(12)가 동작한다(S80).
이는 변속레버의 D단과 3단 사이에 장착된 제2솔레노이드 노브(12)를 작동시켜 D단에서 3단으로 넘어가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제1,제2 솔레노이드 노브를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D단에서 N단으로 또는 D단에서 3단으로 넘어가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토차량의 변속레버 슬라이딩부 일측에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는 제1,제2 솔레노이드 노브를 장착함으로써 차량 출발이나 주행중에 변속 조작시 D단에서 N단으로 또는 D단에서 3단으로 넘어가는 오조작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 확보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 11 : 제1솔레노이드 노브
12 : 제2솔레노이드 노브 20 : TCU
21 : 제1릴레이 22 : 제2릴레이
23 : 차속센서 30 : 점화스위치
40 : 인히비터 스위치 50 : 스타트 릴레이
60 : 스타트 모터 70 : 밧데리
80 : 변속레버

Claims (3)

  1. 변속레버의 측부에 장착되어 변속조작시 걸림턱 역할을 하는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와;
    상기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제1,제2솔레노이드 노브의 구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제2릴레이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의 차속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TCU;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 노브와 제2솔레노이드 노브는 변속레버의 D단을 사이에 두고 양측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CU는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1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시동 후 차속이 0인 상태에서 P단에서 D단으로 변속시 제2릴레이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KR1020040024092A 2004-04-08 2004-04-08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KR10051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92A KR100517710B1 (ko) 2004-04-08 2004-04-08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92A KR100517710B1 (ko) 2004-04-08 2004-04-08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7710B1 true KR100517710B1 (ko) 2005-09-28

Family

ID=3730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092A KR100517710B1 (ko) 2004-04-08 2004-04-08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025B2 (en) 2015-12-11 2018-03-2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shift lever
KR20220163750A (ko) 2021-06-03 202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구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025B2 (en) 2015-12-11 2018-03-2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shift lever
KR20220163750A (ko) 2021-06-03 202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구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821515B2 (en) 2021-06-03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hift mechanism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20365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再始動装置
ITMI992244A1 (it) Procedimento per il comando start/stop di un autoveicolo con frizioneautomatizzata e/o cambio automatizzato
CN110753807B (zh) 换档装置的异常诊断装置及换档装置的异常诊断方法
KR100517710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KR19990083817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방법 및 장치
KR100373036B1 (ko) 인히비터 스위치 페일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6869383B2 (en)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0412389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JP5234309B2 (ja) 変速制御装置
KR1005357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충격 방지 장치
KR19990075234A (ko) 기어 타입 자동 변속 장치 및 방법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100279447B1 (ko)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 고장 진단 방법
KR100568825B1 (ko) 다단변속기의 하이/로우 레인지 절환장치
KR100391215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작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39169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 고장 오판정 방지방법
KR100270053B1 (ko) 자동차의구배로출발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193252B1 (ko) 자동변속 차량의 오버드라이브 스위치 작동상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75453A (ko) 반자동 변속기 차량의 기어변속위치 검출장치
KR19980048660A (ko) 시동정지시 변속기 조작 경보장치
KR100507202B1 (ko)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KR100373024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50217A (ko) 차량의 변속장치
KR20110061198A (ko)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KR20020053296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