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198A -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198A
KR20110061198A KR1020090117770A KR20090117770A KR20110061198A KR 20110061198 A KR20110061198 A KR 20110061198A KR 1020090117770 A KR1020090117770 A KR 1020090117770A KR 20090117770 A KR20090117770 A KR 20090117770A KR 20110061198 A KR20110061198 A KR 2011006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ignal
shift
shift lock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명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198A/ko
Publication of KR2011006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은 이그니션 신호를 감시하는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와,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시하는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P 신호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잠금/해제를 작동시키는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상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및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며, 쉬프트 레버 감지부의 신호가 손실될 경우,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캔 통신이 끊기더라도 별도의 하드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P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변속 레버의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변속 레버, 브레이크 신호, 이그니션 신호, 제어부, 캔 통신

Description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SHIFT LOCK CONTROL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 레버 조건에 따라 쉬프트 락을 제어하는 캔 통신 타입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변속 레버에 따라 주차 상태, 중립 상태, 전진 주행 및 후진 주행 상태 등을 결정하고, 주행 상태인 경우 차량의 속도에 따라 기어비를 자동으로 적절하게 전환시켜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자송 변속기에는 변속 레버의 변속 중 의도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거나,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기어 변속 잠금 장치인 쉬프트 락(Shift Lock) 장치가 구비되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쉬프트 락 장치는 변속 레버의 상태, 브레이크 페달 상태, 차량의 속도 등을 캔 통신(Can bus) 방식으로 제공받아 쉬프트 락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며, 이는 배선 제거 및 배선 관리에 따른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외부의 영향으로 캔 통신이 끊어진 경우, 쉬프트 락 장치는 캔 통신에 의한 신호가 손실되어 변속 레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쉬프트 레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탑승자의 사고로까지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캔 통신 불량시 변속 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은 이그니션 신호를 감시하는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와,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시하는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P 신호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와, 변속 레버의 잠금/해제를 작동시키는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상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및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며, 쉬프트 레버 감지부의 신호가 손실될 경우,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 상태이고, 브레이크 페달의 상태가 온 상태이며, 쉬프트 레버가 P 위치의 신호가 온되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신호 및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의 신호는 하드 와이어를 통해 제공되며, 쉬프트 레버 감지부의 신호는 캔 통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차량의 속도를 제공하는 차속 감지부가 더 연결되며, 차속 감지부의 신호를 반영하여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캔 통신이 끊기더라도 별도의 하드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P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변속 레버의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의 세부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변속 레버를 작동시키는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및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를 작동시키며, 캔 통신이 끊어질 경우, 별도의 하드 와이어로 연결된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300)의 신호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차량의 상태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그니션 신호를 감지하는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120)와, 브레이크 상태를 감시하는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140)와,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감지부(160)와, 차량의 속도를 감시하는 차속 감지부(180)를 포함한다.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120)는 차량의 시동, 주행 또는 정지를 위한 키의 위치를 감지하며 캔 통신 또는 하드 와이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즉,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120)는 캔 통신과 하드 와이어를 통해 신호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 의해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감지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캔 통신이 외부의 영향으로 끊어질 경우, 하드 와이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단절에 의해 신호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140)는 브레이크가 눌러진 상태인지 눌러지지 않은 상태인지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브레이크가 눌러진 상태이면 온 신호를 제공하고, 브레이크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이면 오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하드 와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쉬프트 레버 상태 감지부(160)는 변속 레버가 어느 상태에 위치해 있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주차, 중립, 후진, 전진 중 어느 위치에 변속 레버가 위치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쉬프트 레버 상태 감지부(160)는 캔 통신으로만 신호를 전달될 수 있다.
차속 감지부(18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차속 감지부(180)의 신호는 캔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쉬프트 레버 'P' 위치 감지부(300)는 변속 레버의 P 위치 여부에 따라 신호를 제공하며, 변속 레버가 P에 위치할 경우 온 신호를 제공하며, P 이외의 위치에 있을 경우 오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쉬프트 레버 'P' 위치 감지부(300)는 하드 와이어로 연결되어 캔 통신의 끊어짐 여부와 관계없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부(100)를 통해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및 변속 레버의 위치 신호가 제공되면, 제어부(400)는 제공된 신호의 조건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며, 신호의 조건이 부합되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변속 레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외부 영향에 의해 캔 통신이 끊어질 경우, 제공된 신호는 최소한의 조건 예컨대, 이그니션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와 변속 레버의 위치 신호를 필요로 하지만, 캔 통신이 끊어져 변속 레버의 위치 신호가 손실될 경우, 하드 와이어로 연결되어 캔 통신과 무관하게 동작하는 쉬프트 레버 'P' 위치 감지부(300)의 신호에 의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통신이 끊기면(S100, 도 3의 #7), 제 어부(400)는 이그니션 신호가 run or start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그니션 신호가 run or start 상태라고 판단되면,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140)로부터 신호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신호와 브레이크 신호는 캔 통신의 끊김과는 상관없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 와이어를 통해 제공된다.
이어서,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이면 쉬프트 레버 'P' 위치 감지부(300)가 온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여기서, 온 상태는 변속 레버가 P단에 위치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이그니션 신호가 run or start 상태이고,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인 동시에 변속 레버가 P단에 위치했다고 판단되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온시켜 변속 레버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S500). 반면, 이그니션 신호가 run or start 상태이고,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이나 변속 레버가 P단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오프시켜 변속 레버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캔 통신이 끊기더라도 별도의 하드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P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변속 레버의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의 세부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센서부 120: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
140: 브레이크 감지부 160: 쉬프트 레버 상태 감지부
180: 차속 감지부 200: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
300: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 400: 제어부

Claims (4)

  1. 이그니션 신호를 감시하는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시하는 브레이크 상태 감지부;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감지부;
    변속 레버의 P 신호를 감시하는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
    변속 레버의 잠금/해제를 작동시키는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 및
    상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및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며, 쉬프트 레버 감지부의 신호가 손실될 경우,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 상태이고, 브레이크 페달의 상태가 온 상태이며, 쉬프트 레버가 P 위치의 신호가 온되면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상태 신호 및 쉬프트 레버 'P'위치 감지부의 신호는 하드 와이어를 통해 제공되며, 쉬프트 레버 감지부의 신호는 캔 통신을 통 해 제공되는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차량의 속도를 제공하는 차속 감지부가 더 연결되며, 차속 감지부의 신호를 반영하여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KR1020090117770A 2009-12-01 2009-12-01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KR20110061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70A KR20110061198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70A KR20110061198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98A true KR20110061198A (ko) 2011-06-09

Family

ID=4439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70A KR20110061198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1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90B1 (ko) * 2019-12-13 2021-06-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 변속 차량의 파킹 해제 감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90B1 (ko) * 2019-12-13 2021-06-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 변속 차량의 파킹 해제 감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CN112984101A (zh) * 2019-12-13 2021-06-18 现代凯菲克株式会社 自动变速车辆的停车解除监测装置
US11584351B2 (en) 2019-12-13 2023-02-21 Hyundai Kefico Corporation Parking release monitor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DE102020133239B4 (de) 2019-12-13 2023-04-20 Hyundai Kefico Corporation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parkfreigabe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kgetrie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04B2 (ja) 自動車の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152401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090287383A1 (en) Shift-by-wir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KR101693943B1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EP1651495B1 (en) A system for starting automatic car in safety and a method thereof
JP5377476B2 (ja) 自動化された伝動装置および電気的に作動される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用の操作装置
GB2423800A (en) Motor vehicle with emergency auxiliary gear selector
US1045853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6384490B1 (en) Process when starting the engine of a vehicle
KR20130064915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52991B1 (ko) 작업기의 브레이크 제동시 시동꺼짐 방지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50096740A (ko)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벗어나기 전에 자동차의 자동식 또는 자동화된 변속기의 주차 브레이크가 맞물리지 않았음을 신호하기 위한 방법
GB2441337A (en) A shift by wire electric selecto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200703281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10061198A (ko) 차량의 쉬프트 락 제어시스템
JP4271959B2 (ja) 駆動装置を自動的に再始動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3057800A1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2113111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261490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파킹 해제 감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JP5846394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KR20210064503A (ko) 경사로 제동 장치 고장 시 비상 정차 제어방법 및 장치
KR102450762B1 (ko) 차량의 정차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517710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오조작 방지 장치
JP2009052717A (ja) 変速制御装置
JP2010156369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