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156B1 -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156B1
KR100517156B1 KR10-2005-0034126A KR20050034126A KR100517156B1 KR 100517156 B1 KR100517156 B1 KR 100517156B1 KR 20050034126 A KR20050034126 A KR 20050034126A KR 100517156 B1 KR100517156 B1 KR 10051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trol
detection signal
uni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449A (ko
Inventor
겐지 우츠노미야
겐이치 오카모토
다카시 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대한 진동으로 인한 액티브 제어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검출 신호 비교부(19)를 제어부(16)에 설치했다. 카 가속도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전자 액추에이터(13)의 액티브 제어가 일시 정지된다. 또한, 과대한 진동이 설정 회수 이상 검출된 경우, 전자 액추에이터(13)의 액티브 제어가 완전 정지되어, 경보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ELEVATOR VIBRATION REDUC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지의 수평방향 진동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고속·고양정의 엘리베이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고양정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차감의 개선이 기술적 과제로서 거론되고 있다. 특히, 케이지의 횡진동(수평방향 진동)의 저감은 중요한 과제중 하나이다. 케이지의 횡진동의 요인으로는, 가이드 레일의 수직성, 와이어 로프의 횡진동, 카의 주행시의 풍압 변동 등이 있지만, 어느 요인도 고속·고양정으로 될수록 두드러진다.
이에 대해, 종래에 수평방향으로의 카의 가속도를 검출하고, 이것을 상쇄하는 방향의 힘을 가이드 롤러에 부가하여, 수평방향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 이른바 액티브형 진동 저감 장치(롤러 가이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액티브형 진동 저감 장치는 컨트롤러, 파워 앰프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제어 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고장·오작동 등의 트러블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6-333068 호에는, 운전 모드에 의해 검출 장치의 출력과 설정값을 비교함으로써 고장을 검출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8-279214 호에는, 액추에이터 코일과 리액션 바의 갭이 허용값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장치는 액티브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고, 후자의 장치는 액티브 제어된 결과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티브형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는, 카내에서 승객이 뛰는 경우 등에, 카의 진동에 의해 액티브형 진동 저감 장치에 과도한 신호가 발생하여, 액티브형 진동 저감 장치가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만일의 고장시에는 승객의 쾌적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허용값 이상의 전류·전압으로부터 액티브 제어 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만일의 고장시에도 승객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진동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검출 신호 비교부를 갖고,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액추에이터와 제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본체를 갖는 파워 앰프를 구비하며, 제어부에는 파워 앰프로부터 액추에이터에 출력되는 전류값을 제한하는 전류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파워 앰프에는 파워 엠프로부터 액추에이터에 출력되는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일 때에 액추에이터로의 진동 저감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전류 비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진동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복수의 검출 신호 비교부와, 진동 검출 신호를 그 주파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 비교부로 분리하는 분기부를 갖고, 검출 신호 비교부에서의 설정값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하고, 제어부는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수평방향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케이지의 진동을 검출하는 복수의 진동 센서,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진동 검출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진동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는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를 갖고, 진동 센서가 고장이라 판정했을 때,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이상 검출시에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이상 검출 회수를 카운트하여, 이상 검출 회수가 미리 설정한 설정 회수에 이르면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완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케이지의 정지시에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도록 제어부에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검사 신호 발생부와, 검사 신호의 출력시에 진동 센서에 의해 검출된 진동과 검사 신호로부터 직접적으로 구해지는 진동을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점검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은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다. 카(3)는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 승강로(1)내에서 승강된다.
카(3)는 카 프레임(4)과, 이 카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는 케이지(5)와, 카 프레임(4)과 케이지(5)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수의 진동 방지 부재(6)를 갖고 있다. 카 프레임(4)의 상부 및 하부에는, 합계 4쌍의 롤러 가이드 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 장치(7)는 가이드 레일(2)에 결합하여 카(3)의 승강을 안내한다.
도 2는 도 1의 롤러 가이드 장치(7)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카 프레임(4)에는 베이스(8)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8)에는 복수의 롤러 레버(9)가 부착되어 있다. 각 롤러 레버(9)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10)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롤러 레버(9)의 선단부에는, 축(10)에 평행한 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롤러 가이드 장치(7)에는, 3개의 가이드 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2)는 카(3)의 승강에 의해 가이드 레일(2)의 가이드면을 따라 회전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12)는 롤러 레버(9)의 요동에 의해 카(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8)에는, 가이드 롤러(12)를 카(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복수의 전자 액추에이터[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13)가 탑재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13)의 가동부와 롤러 레버(9) 사이에는, 전자 액추에이터(13)의 구동력을 롤러 레버(9)에 전달하는 아암(14)이 연결되어 있다.
카 프레임(4)에는, 카(3)의 수평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진동 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15)가 탑재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5)에는, 전자 액추에이터(13)를 제어하는 제어부(컨트롤러)(1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6)는 가속도 센서(15)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카(3)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6)와 전자 액추에이터(13) 사이에는 파워 앰프(17)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앰프(17)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자 액추에이터(13)에 출력한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진동 저감 장치는 전자 액추에이터(13), 아암(14), 가속도 센서(15), 제어부(16) 및 파워 앰프(17)를 갖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6)는 필터(밴드 패스 필터)(18), 검출 신호 비교부(19), 카운터(20), 타이머(21), 연산부(22) 및 출력 리미터(23)를 갖고 있다.
가속도 센서(15)로부터 제어부(16)에 입력된 가속도 검출 신호 중, 제어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는 필터(18)에 의해 차단되고, 제어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된다. 제어 대역은 승객의 체감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예컨대, 0.5Hz 내지 30Hz)이며, 제어 대역의 진동에 대하여 액티브 제어가 실행된다.
필터(18)를 통과한 가속도 검출 신호는 검출 신호 비교부(19)에 입력된다. 검출 신호 비교부(19)에서는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전자 액추에이터(13)에 대한 제어, 즉 액티브 제어가 정지된다.
카운터(20)에서는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회수(이상 검출 회수)가 카운트된다. 타이머(21)에서는, 액티브 제어가 정지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계측된다. 검출 신호 비교부(19)를 통과한 가속도 검출 신호는 연산부(22)에 입력되고, 진동 저감 제어 신호가 연산에 의해 구해진다.
연산부(22)로부터의 진동 저감 제어 신호는 전류 제한 수단인 출력 리미터(23)에 입력된다. 출력 리미터(23)는 파워 앰프(17)로부터 전자 액추에이터(13)에 출력되는 전류값을 제한한다. 즉, 출력 리미터(23)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하의 진동 저감 제어 신호는 출력 리미터(23)를 그 상태로 통과하여 파워 앰프(17)에 출력된다. 또한, 상한값을 초과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는 상한값으로서 파워 앰프(17)에 출력된다.
파워 앰프(17)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본체(24)와, 전류 비교부(25)를 갖고 있다. 전류 비교부(25)는 파워 앰프(17)로부터 전자 액추에이터(13)에 출력되는 전류값을 제한한다. 즉, 전류 비교부(25)에서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이 비교되고, 설정값 미만이면 진동 저감 제어 신호가 앰프 본체(24)에 출력된다. 또한, 진동 저감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진동 저감 제어 신호의 앰프 본체(24)로의 출력은 정지된다. 이와 같은 전류 비교부(25)로는, 예컨대 브레이커나 퓨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6)의 검출 신호 비교부(19)에는, 제 1 경보부(26)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앰프(17)의 전류 비교부(25)에는, 제 2 경보부(27)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1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중에는, 가속도 센서(15)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어 있다(단계 S1). 필터(18)를 통과한 가속도 검출 신호는 검출 신호 비교부(19)에서 설정값과 비교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검출 신호로부터 얻어진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예컨대 1m/s2) 미만인지 어떤지가 판정된다(단계 S2).
검출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연산부(22)에 의해 진동 저감 제어 신호가 연산된다(단계 S3). 진동 저감 제어 신호는 상기와 같이 출력 리미터(23)에 의해 출력 제한되고(단계 S4), 파워 앰프(17)에 출력된다(단계 S5).
한편,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이었던 경우, 설정값 이상으로 된 것이 몇회째인지가 카운터(20)에 의해 카운트된다. 그리고,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회수가 설정 회수(예컨대 3회) 이상인지 여부가 검출 신호 비교부(19)로 판정된다(단계 S6). 여기서, 설정 회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액추에이터(13)에 대한 액티브 제어가 일시 정지된다. 즉, 설정값 이상의 큰 진폭의 진동에 대해서는, 액티브 제어가 일시 정지된다(단계 S7).
이와 동시에, 액티브 제어가 일시 정지되고 부터의 경과 시간이 타이머(21)에 의해 계측된다. 그리고,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에 도달했는지 어떤지가 검출 신호 비교부(19)에 의해 감시된다(단계 S8).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 액추에이터(13)에 대한 액티브 제어가 재개된다(단계 S9).
또한, 가속도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회수가 설정 회수에 도달한 경우, 전자 액추에이터(13)에 대한 액티브 제어가 완전히 정지된다(단계 S10). 그리고, 검출 신호 비교부(19)로부터 제 1 경보부(26)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고, 제 1 경보부(26)에 의해 엘리베이터 관리실 또는 보수 회사 등에 대하여 경보가 발생된다(단계 S11).
상기와 같이, 가속도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회수에 따라 제어 방법이 바뀐다. 즉, 가속도의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회수가 설정 회수보다 적은 경우는, 승객의 장난 등에 의한 일시적인 이상 진동이라 판단되고, 액티브 제어는 일시적으로 정지될 뿐이다. 그러나, 설정 회수 이상의 이상 진동은 기기 등의 고장이라 판단되고, 액티브 제어가 완전 정지되어 보수 점검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5는 도 3의 파워 앰프(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6)로부터 파워 앰프(17)에 진동 저감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2), 진동 저감 제어 신호가 앰프 본체(24)에 의해 증폭된다(단계 S13).
그 후, 진동 저감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가 설정값(예컨대 2A) 미만인지 어떤지가 전류 비교부(25)에 의해 판정된다(단계 S14). 출력 전류가 설정값 미만이면, 전자 액추에이터(13)에 출력되어(단계 S15), 액티브 제어가 실행된다.
그러나, 출력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라 판정된 경우, 전자 액추에이터(13)로의 전류 출력이 정지되고(단계 S16), 전자 액추에이터(13)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류 비교부(25)로부터 제2 경보부(27)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고, 제 2 경보부(27)에 의해 엘리베이터 관리실 또는 보수 회사 등에 대하여 경보가 발생된다(단계 S17).
전자 액추에이터(13)의 구동력은 아암(14)을 거쳐 롤러 레버(9)에 전달되고, 롤러 레버(9)가 축(10)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롤러 레버(9)의 요동에 의해 가이드 롤러(3)는 카(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액티브 제어로는, 카(3)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상쇄하도록 가이드 롤러(3)가 변위되어, 카(3)의 진동이 저감된다.
이러한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는,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되어, 검출값이 설정값으로 되었을 때, 전자 액추에이터(13)의 제어가 정지됨으로써, 과대한 진동으로 인한 파워 앰프(17) 및 전자 액추에이터(13) 등의 액티브 제어 기기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만일의 고장시에도 승객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에 출력 리미터(23)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파워 앰프(17)에도 전류 비교부(25)를 설치했기 때문에, 출력 리미터(23)가 만일 고장난 경우에도 전자 액추에이터(13)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액티브 제어 기기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출력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라 판정된 경우, 전자 액추에이터(13)로의 전류 출력이 정지되고 제 2 경보부(27)에 의해 경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부(16)의 이상을 신속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에 필터(18)를 설치하고 액티브 제어를 실행하는 진동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액티브 제어를 실행할 수 있어 승차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시적인 이상 진동에 대해서는, 액티브 제어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액티브 제어가 재개되기 때문에, 액티브 제어의 정지에 의한 승차감의 악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속적인 이상 진동에 대해서는, 액티브 제어가 완전 정지되어 경보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상 진동에 의한 기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액티브 제한 기능을 조기에 복구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부(31)는 저주파수 대역 필터(32), 고주파수 대역 필터(33), 제어 대역 필터(34), 제 1 검출 신호 비교부(35), 제 2 검출 신호 비교부(36), 제 3 검출 신호 비교부(37), 감시부(38), 연산부(22) 및 출력 리미터(23)를 갖고 있다.
가속도 센서(15)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는 저주파수 대역 필터(32), 고주파수 대역 필터(33) 및 제어 대역 필터(34)에 입력된다. 저주파수 대역 필터(32)는 저주파수 대역(예컨대 DC 내지 1Hz)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이다. 또한, 고주파수 대역 필터(33)는 고주파수 대역(예컨대 20Hz 이상)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이다. 또한, 제어 대역 필터(34)는 제어 주파수 대역(예컨대 0.5Hz 내지 30Hz)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이다.
저주파수 대역 필터(32)에는, 제 1 검출 신호 비교부(35)가 접속되어 있다. 고주파수 대역 필터(33)에는, 제 2 검출 신호 비교부(3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대역 필터(34)에는, 제 3 검출 신호 비교부(37)가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 신호를 그 주파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 비교부(35 내지 37)로 분리하는 분기부는 저주파수 대역 필터(32), 고주파수 대역 필터(33) 및 제어 대역 필터(34)를 갖고 있다.
제 1 내지 제 3 검출 신호 비교부(35 내지 37)에서는, 가속도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러 레벨)과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신호 비교부(35 내지 37) 중 적어도 어느 한 개에서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이것이 감시부(38)에 의해 검지되고, 전자 액추에이터(13)에 대한 제어, 즉 액티브 제어가 정지된다.
검출 신호 비교부(35 내지 37)에 있어서의 설정값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카(3)(도 1)내에서의 장난 등에 의한 진동은 제어 주파수 대역내에서의 진동이기 때문에, 제어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 3 검출 신호 비교부(37)에서는 설정값이 높게(예컨대 150Gal)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장난 등에 의한 검지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제어에 있어서의 불안정화 진동은 제어 대역의 상한 주파수 부근에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고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 2 검출 신호 비교부(36)에서는 설정값이 낮게(예컨대 50Gal)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불안정화 감소를 보다 빨리 검지하여, 안전하게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어 대역 상한(여기서는 30Hz) 부근의 진동을 확실히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수 대역 필터(33)의 대응 주파수 대역이 제어 대역 필터(34)의 대응 주파수 대역의 일부(상한 부근)에 중복되어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5)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저주파수 대역의 가속도 검출 신호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의 가속도 검출 신호는 불안정화 진동과는 별도의 가속도 센서(15)의 고장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서는 제어 대역의 신호에 대해서만 고장 판정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간단하여 제어부(16)로의 실장이 용이하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 대역에서의 설정값을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난 등에 의한 검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복귀 회로를 설치하고 있지만, 복귀까지의 시간은 액티브 제어가 일시 정지된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에 의하면,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에러 체킹이 실행되기 때문에, 카(3)의 주행 진동이나 장난 등을 고장이라 판정하는 것이 방지되고, 고장을 보다 확실히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의 불안정화나 가속도 센서(15)의 고장 등에 대하여 보다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38)에 의해 이상이 검지된 경우 액티브 제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흐름과 같이 이상 검출 회수를 카운팅하여, 설정 회수 미만일 때에는 액티브 제어를 자동 복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수평방향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카(3)(도 1)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진동 센서로서 복수의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가 카(3)에 탑재되어 있다. 제어부(41)는 필터(18), 검출 신호 비교부(19), 카운터(20), 타이머(21), 연산부(22), 출력 리미터(23) 및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를 갖고 있다.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로부터의 신호는 필터(18)를 거쳐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에 입력된다.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에서는,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의 고장을 판별한다.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에 의해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가 고장났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41)로부터 파워 앰프(17)로의 출력, 또는 파워 앰프(17)로부터 전자 액추에이터(13)로의 출력이 정지되어, 액티브 제어가 정지되는 동시에, 제 1 경보부(26)에 의해 엘리베이터 관리실 또는 보수 회사 등에 대하여 경보가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 저감 장치에서는, 동일한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를 사용하고, 그것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의 고장을 판별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의 고장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18)를 통과한 신호를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에 입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신호를 비교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15A 내지 15C)의 고장을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42)에서 이상이 검지된 경우, 액티브 제어를 완전히 정지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흐름과 같이 이상 검출 회수를 카운팅하여, 설정 회수 미만일 때에는 액티브 제어를 자동 복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부(51)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부가하여, 검사 신호 입력부(52)와 계산 결과 출력부(53)를 갖고 있다. 점검부(54)는 검사 신호 발생부(55), 검사 신호 출력부(56), 필터(57), 연산부(58), 출력 리미터(59), 계산 결과 입력부(60) 및 이상 판정부(61)를 갖고 있다.
검사 신호 발생부(55)에 발생된 검사 신호는 검사 신호 출력부(56)를 거쳐서 제어부(51)의 검사 신호 입력부(52)에 출력되는 동시에, 필터(57)를 거쳐서 점검부(54)내의 연산부(58)에도 출력된다. 검사 신호 입력부(52)에 검사 신호가 입력되면, 가속도 센서(15)로부터 가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같이 검사 신호가 연산 처리되어, 제어 신호가 파워 앰프(17)를 거쳐서 전자 액추에이터(13)에 출력된다.
카(3)의 정지시에 검사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 액추에이터(13)의 구동에 의해 카(13)가 변위되고, 그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5)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의 가속도 센서(15)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부(51)내에서 연산 처리되어, 계산 결과 신호로서 계산 결과 출력부(53)로부터 점검부(54)의 계산 결과 입력부(60)에 출력된다. 계산 결과 입력부(60)에 입력된 계산 결과 신호는 이상 판정부(61)로 송출된다.
한편, 검사 신호는 점검부(54)내의 연산부(58)라도 제어부(51)내와 같이 연산 처리되어, 이상 판정부(61)에 입력된다. 계산 결과 입력부(60)로부터의 계산 결과 신호와 점검부(54)내에서 연산 처리된 계산 결과 신호는 이상 판정부(61)에서 비교되어 정상인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즉, 이상 판정부(61)에서는 검사 신호의 출력시에 가속도 센서(15)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진동)와 검사 신호로부터 직접적으로 구해지는 가속도(진동)를 비교함으로써 이상이 판정된다.
이러한 진동 저감 장치로는, 예컨대 심야 등 엘리베이터가 이용되지 않을 때에, 카(3)를 소정의 층상에 정지시키고 검사 신호 발생부(55)에 의해 검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전자 액추에이터(13), 가속도 센서(15), 제어부(51), 파워 앰프(17), 및 롤러 레버(9) 등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제어계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어떤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전자 액추에이터를 개시하고 있지만, 액추에이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에어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진동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15)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센서, 또는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롤러 가이드 장치(7)에 진동 저감 장치를 내장했지만, 예컨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 저감 장치를 롤러 가이드 장치(7)와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있어서의 진동 저감 장치는 카 프레임(4)이나 케이지(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13), 케이지(5)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15), 케이지(5)에 탑재된 제어부(16), 및 케이지(5)에 탑재된 파워 앰프(17)를 갖고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5)에 의해 케이지(5)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이 검출되면, 그 진동을 저감하도록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케이지(5)가 카 프레임(4)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진동 저감 장치는 카 프레임(4)과 가이드 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13), 카 프레임(4)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15), 케이지(5)에 탑재된 제어부(16), 및 케이지(5)에 탑재된 파워 앰프(17)를 갖고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5)에 의해 카(3)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이 검출되면, 그 진동을 저감하도록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카(3)가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동 센서는 케이지에 직접 탑재할 수도 있고, 또한 카 프레임에 탑재하고, 카 프레임의 진동을 케이지의 진동으로서 간접적으로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는 진동 검출 신호에 의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되어,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액추에이터의 제어가 정지되기 때문에, 과대한 진동으로 인한 액티브 제어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의 고장시에도 승객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전류 제한 수단을 설치할 뿐만 아니라, 파워 앰프에 전류 비교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전류 제한 수단이 만일 고장난 경우에도, 액추에이터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액티브 제어 기기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복수의 검출 신호 비교부와, 진동 검출 신호를 그 주파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 비교부로 분리하는 분기부를 갖는 제어부를 사용하여, 검출 신호 비교부에서의 설정값을,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하고, 검출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정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카의 주행 진동이나 장난 등을 고장으로 판정하는 것이 방지되어, 고장을 보다 확실히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의 불안정화나 진동 센서의 고장 등에 대하여 보다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진동 센서를 사용하여, 그것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진동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도록 했기 때문에, 진동 센서의 고장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상 검출시에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이상 검출 회수를 카운팅하여, 이상 검출 회수가 미리 설정한 설정 회수에 달하면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완전 정지시키기 때문에, 장난 등에 의한 일시적인 이상에 의해 액티브 제어가 완전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의 정지시에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도록 제어부에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검사 신호 발생부와, 검사 신호의 출력시에 진동 센서에 의해 검출된 진동과 검사 신호로부터 직접적으로 구해지는 진동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이상을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점검부를 사용했기 때문에, 액티브 제어계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어떤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롤러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3의 파워 앰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진동 저감 장치의 또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가이드 레일 5 : 케이지
12 : 가이드 롤러 13 : 전자 액추에이터
15 : 가속도 센서(진동 센서) 16, 31, 41, 51 : 제어부
17 : 파워 앰프 19 : 검출 신호 비교부
22 : 연산부 23 : 출력 리미터(전류 제한 수단)
24 : 앰프 본체 25 : 전류 비교부
35 : 제 1 검출 신호 비교부 36 : 제 2 검출 신호 비교부
37 : 제 3 검출 신호 비교부 42 :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
54 : 점검부 55 : 검사 신호 발생부
61 : 이상 판정부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케이지의 진동을 검출하는 복수의 진동 센서와,
    상기 케이지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의 진동 검출 신호로부터 상기 케이지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갖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검출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동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는 다중 센서 출력 비교부를 갖고, 상기 진동 센서가 고장이라 판정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005-0034126A 2002-07-29 2005-04-25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0517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9496 2002-07-29
JP2002219496A JP4107480B2 (ja) 2002-07-29 2002-07-29 エレベータの振動低減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97A Division KR100503522B1 (ko) 2002-07-29 2003-07-28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449A KR20050049449A (ko) 2005-05-25
KR100517156B1 true KR100517156B1 (ko) 2005-09-27

Family

ID=311847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97A KR100503522B1 (ko) 2002-07-29 2003-07-28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005-0034126A KR100517156B1 (ko) 2002-07-29 2005-04-25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005-0034131A KR100501624B1 (ko) 2002-07-29 2005-04-25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97A KR100503522B1 (ko) 2002-07-29 2003-07-28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31A KR100501624B1 (ko) 2002-07-29 2005-04-25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7774B2 (ko)
JP (1) JP4107480B2 (ko)
KR (3) KR100503522B1 (ko)
CN (1) CN1255313C (ko)
DE (2) DE10334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7957A1 (de) * 2003-12-22 2005-06-29 Inventio Ag Einrichtung zur Schwingungsdämpfung an einer Aufzugskabine
SG112944A1 (en) * 2003-12-22 2005-07-28 Inventio Ag Equipment for vibration damping of a lift cage
SG112941A1 (en) * 2003-12-22 2005-07-28 Inventio Ag Thermal protection of electromagnetic actuators
DE602004003117T2 (de) * 2003-12-22 2007-05-10 Inventio Ag, Hergiswil Steuerungseinheit für die aktive Schwingungsdämpfung der Vibrationen einer Aufzugskabine
MY142882A (en) * 2003-12-22 2011-01-31 Inventio Ag Equipment and method for vibration damping of a lift cage
WO2006100750A1 (ja) * 2005-03-22 2006-09-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揺すり検知装置
SG126045A1 (en) * 2005-03-24 2006-10-30 Inventio Ag Elevator with vertical vibration compensation
US7909141B2 (en) * 2005-06-20 2011-03-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vibration damping system having damping control
CN101522553B (zh) * 2006-12-05 201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KR101088275B1 (ko) * 2006-12-13 2011-11-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47631Y1 (ko) * 2007-10-15 2010-02-1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장치
KR100957610B1 (ko) * 2009-03-30 2010-05-13 김복인 면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US8761947B2 (en) 2010-06-30 2014-06-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lateral vibration in elevator systems
JP2013095554A (ja) * 2011-11-01 2013-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振動監視装置
US8768522B2 (en) * 2012-05-14 2014-07-0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mi-active actuators
JP6560000B2 (ja) * 2015-04-02 2019-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装置
US20170008736A1 (en) * 2015-07-09 2017-01-12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vibration damper for a linear propulsion system of a ropeless elevator
JP6567922B2 (ja) * 2015-08-19 2019-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US10532908B2 (en) * 2015-12-04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Thrust and mo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linear motor alignment in an elevator system
JP6449179B2 (ja) * 2016-01-22 2019-01-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
KR102339638B1 (ko) * 2016-03-18 2021-12-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JP6591923B2 (ja) * 2016-03-30 2019-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879232B (zh) * 2016-09-30 2021-07-20 奥的斯电梯公司 补偿链稳定装置和方法,电梯井道以及电梯系统
CN106829687B (zh) * 2017-03-20 2019-06-07 界首市菁华科技信息咨询服务有限公司 电梯轿厢气囊减震装置
US11548758B2 (en) * 2017-06-30 2023-01-10 Otis Elevator Company 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evator systems
US10669121B2 (en) * 2017-06-30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celerometer sensor data usage
CN107840231B (zh) * 2017-11-17 2019-05-31 青岛汇金液压制造有限公司 液压缓冲型滚轮罐耳
CN108826515A (zh) * 2018-07-12 2018-11-16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减震结构及具有其的装置
CN108946365A (zh) * 2018-08-17 2018-12-07 寿县理康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轿厢内置安全气囊的电梯保护系统
CN109019231A (zh) * 2018-08-17 2018-12-18 寿县理康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有智能气囊的电梯保护系统
CN109019220A (zh) * 2018-08-17 2018-12-18 寿县理康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气囊的电梯保护系统
CN108726307A (zh) * 2018-08-17 2018-11-02 寿县理康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多级安全气囊的电梯保护系统
CN109095328B (zh) * 2018-09-28 2020-07-31 山东富士制御电梯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轿厢水平振动的减振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850405B (zh) * 2020-12-31 2022-10-25 重庆能源职业学院 一种基于mems系统的电梯轿厢振动管理系统
CN113213298B (zh) * 2021-05-18 2022-01-07 江苏荣泽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电梯运行状态智能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2764A (ja) * 1987-04-30 1988-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JP2502369B2 (ja) * 1989-04-20 1996-05-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ソレノイド駆動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351281A (ja) * 1989-07-19 1991-03-05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昇降機の制御装置
US5117946A (en) * 1991-08-02 1992-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guidance assembly
JP3102129B2 (ja) * 1992-04-15 2000-10-23 日新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機器の内部アーク検出装置
JP2581497B2 (ja) * 1993-02-15 1997-02-12 日本無線株式会社 気象レーダ用受信機
JPH07123162A (ja) * 1993-10-22 1995-05-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その点検方法
ATE201380T1 (de) 1995-03-10 2001-06-15 Inventio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wingungsdämpfung an einer aufzugskabine
JPH08333068A (ja) * 1995-06-09 1996-12-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案内装置の故障検出装置
JPH09227038A (ja) * 1996-02-27 1997-09-02 Toshiba Corp リニアモータ
TW448126B (en) * 1996-06-12 2001-08-01 Toshiba Corp Elevator speed control apparatus
US5824976A (en) 1997-03-03 1998-10-2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fault conditions for an elevator active roller guide
JPH1192049A (ja) * 1997-09-22 1999-04-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US5929399A (en) * 1998-08-19 1999-07-27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open loop force gain control of magnetic actuators for elevator active suspension
JP4270657B2 (ja) * 1999-07-06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案内装置
JP4161063B2 (ja) 1999-10-22 2008-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装置
US6305502B1 (en) * 1999-12-21 2001-10-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floor acceleration control system
WO2002083541A1 (fr) * 2001-04-10 2002-10-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ducteur de vibrations pour ascenseur
JP4413505B2 (ja) * 2002-03-07 2010-02-1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ケージの振動を減衰させるための装置
SG117469A1 (en) * 2002-12-24 2005-12-29 Inventio Ag Lift cage with horizontal balan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522B1 (ko) 2005-07-25
US20040020725A1 (en) 2004-02-05
KR20040012508A (ko) 2004-02-11
JP2004059232A (ja) 2004-02-26
KR20050043875A (ko) 2005-05-11
CN1478716A (zh) 2004-03-03
KR100501624B1 (ko) 2005-07-18
JP4107480B2 (ja) 2008-06-25
US7007774B2 (en) 2006-03-07
KR20050049449A (ko) 2005-05-25
DE10362095B4 (de) 2013-07-25
CN1255313C (zh) 2006-05-10
DE10334561A1 (de)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156B1 (ko) 엘리베이터의 진동 저감 장치
JP407183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性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43688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804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061863B2 (en) Safety circuit in an elevator system
JP5675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40128343A (ko) 리프트 케이지의 주행 이동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장치
JP512081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06100791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揺すり検知装置
JP2009215057A (ja) エレベータの強制減速制御システム
JP4792477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運転システム
JP6987255B2 (ja) エレベータ診断システム
KR1011213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815607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044701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装置
EP1767483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JP4761879B2 (ja) エレベータ
CN109476450B (zh) 电梯的控制装置
JP2008133091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速度制御システム
JPH09194162A (ja) つり合おもり衝突防止装置
KR100219843B1 (ko) 엘리베이터의 문열림위치 검출기 고장 검출장치
JPH0927830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87151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20070024560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H08217350A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