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228B1 -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228B1
KR100515228B1 KR10-2003-7006883A KR20037006883A KR100515228B1 KR 100515228 B1 KR100515228 B1 KR 100515228B1 KR 20037006883 A KR20037006883 A KR 20037006883A KR 100515228 B1 KR100515228 B1 KR 10051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election
controller
device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522A (ko
Inventor
아지스 쿠마 나라야난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6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1Remote control of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ransceive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디바이스 네트워크(10)는 타겟 디바이스(12, 14), 타겟 디바이스(12, 14)에 대해 이동가능한 선택 디바이스(16), 및 컨트롤러(18)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로러(18)는 타겟 디바이스(12, 14) 및 선택 디바이스(16)와 통신 상태이다. 각 선택 디바이스(16)는 위치 센서와 방향 센서를 구비하여, 타겟 디바이스(12 또는 14)를 포인팅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위치 및 방향의 공간 및 각도 좌표를 제공한다. 각 선택 디바이스(16)는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제어 신호는 무선 주파수 채널(24a)을 통해 송신기에 의해 컨트롤러(18a)에 송신된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컨트롤러(18a)는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2a)가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 데이터 및 주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방향 데이터와 도출된 방향과의 비교에 의해 선택 디바이스(16a)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A DEVICE NETWORK HAVING SELECTABLE TARGETS}
본 발명은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 네트워크에서, 프린터, 워크스테이션, 또는 모바일 터미널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무선 채널 또는 케이블과 같은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도록 동작가능하게 링크된다. 정보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에 의한 처리를 위한 데이터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통상, 데이터 제어 신호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 제공된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은 통상 그러한 데이터를 데이터와 연관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이하에서는 "타겟 디바이스"로 지칭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전에 선택되어야 한다. 타겟 디바이스의 선택은 그 타겟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고, 선택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 기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면, 프린터)를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해 통상 수행된다. 선택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 기준을 제공하는 핸드-헬드형 모바일 터미널(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선택 기준을 수신한 후, 타겟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선택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송신된다. 타겟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타겟 디바이스를 설정하여 통신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결과 타겟 디바이스가 활용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들의 일부이거나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결합된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통신 소자들이 필요하다.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예를 들면 프린터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프린터를 식별하는 선택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선험적인(a priori)것으로 알려진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통상 선택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포인팅하는 것에 의한 선택이 더 자연스럽고 사용자에게 친근하며,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알 필요가 없다.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지적함에 의한 선택을 수행하는 하나의 존재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963,14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는 다른 적외선 주파수로 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발산하는 포인팅 축을 따라 선택되는 디바이스를 지향시키는 핸드헬드 송신기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위치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에 결합된 센서는 핸드헬드 송신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나, 미국특허 제5,963,1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핸드헬드 송신기가 동시에 이용될 때,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간섭 문제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디바이스가 넓은-각도에 민감해야 하므로(예를 들면, 넓은-각도 포토-다이오드의 이용으로 인함) 발생하고, 이것은 원하는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간섭 신호도 수신되게 한다. 미국특허 제5,963,1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제2 단점은 이것은 IR의 이용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PDA, 모바일 터미널 및 프린터에서, RF 무선 통신의 제공(예를 들면, http://www.bluetooth.com에서 기재된 블루투스(BluetoothTM)를 이용함)은 IR 통신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통상 전방향성 안테나와 맞춰진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관계에서, 미국특허 제5,963,1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향성 기술이 쓸모없게 된다.
그러므로,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존재하는 기술들의 상기 한계들을 감안하여, 비지향성 무선 통신의 관계에서 실행가능한 디바이스 네트워크에서, IR과 같은 방향성 통신의 추가 지원을 요구하지 않고 IR 기반 시스템의 상기 언급한 단점들이 없이,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분명하게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 네트워크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포인팅하는 선택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 네트워크에 대한 좌표-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컨트롤러에 의한 위치 데이터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도 2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선택가능한 타겟(들)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컨트롤러,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 및 각각이 타겟 디바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선택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각 선택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위치 및 외부 좌표 시스템에 대한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 감지된 위치 및 방향을 통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신호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컨트롤러는 외부 좌표 시스템에 대한 각 타겟의 위치를 저장하고 선택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방향과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의 방향이 소정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며, 갖고 있다면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를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10)의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네트워크(10)의 다른 타입을 표시하는 4개의 디바이스 세트(12, 14, 16, 18)를 포함한다.
4개의 디바이스 세트(12, 14, 16, 18)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를 통해 디바이스 네트워크(10) 내에서 서로 결합되어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처리한다. 그러한 통신 리소스들은 통신 케이블(20, 22) 및 무선 주파(RF) 채널(24)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이들 통신 리소스(20, 22, 24)는 알파벳 접미어로 라벨링되어 각 타입에 대한 다른 통신 리소스를 구별한다.
디바이스 세트(12, 14)는 예를 들면 전기적 및 전자적 기기와 같은 타겟 디바이스(12a, 12b, 12c, 14a, 14b, 14c)를 제공한다. 이들 기기들은 에어콘, 텔레비전 세트,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사진복사기, 프린터 또는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 네트워크(10)가 적용되는 오피스 환경에서, 디바이스 세트(14)는 프린터를 나타낼 수 있고, 디바이스 세트(12)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 세트(16)는 예를 들면 사용자 워크스테이션, 모바일 터미널,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또는 타겟 디바이스(12a, 12b, 12c, 14a, 14b, 14c)에 대해 이동가능한 임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선택 디바이스(16a, 16b, 16c)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선택 디바이스(16a, 16b, 16c)는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허용한다.
디바이스 세트(18)는 통신 케이블(20, 22) 및 RF 채널(24)을 통해 각각 타겟 디바이스(12a, 12b, 12c, 14a, 14b, 14c) 및 선택 디바이스(16a, 16b, 16c)에 결합되는 컨트롤러(18a, 18b)를 제공한다. 이들은 이중(duplex) 모드 통신 채널이다.
예들로서 선택 디바이스(16a), 타겟 디바이스(12a) 및 컨트롤러(18a)를 이용하여, 도 2는 디바이스 네트워크(10) 내에서 타겟 디바이스(12a, 예를 들면 프린터)에 포인팅하는 선택 디바이스(16a, 예를 들면 핸드헬드 유닛)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 디바이스(16a)에 대해 고정된 축인 포인팅 축(32)이 도 2에 더 도시되어 있다. 후자를 선택하는 타겟 디바이스(12a)(즉, 축(32)은 타겟을 근사하게 포인팅해야 한다)로 소정 한계내에서 적어도 근사하게 정렬되어야 하는 것은 이 축(32)이다. 선택 디바이스(16a)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 예를 들면 포인팅 축(32)과의 정렬인 화살표(34)와 같은 포인팅 표시를 제공하도록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축(32)이 타겟 디바이스(12a)를 포인팅하고 있는 때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33)는 예를 들면 축(32)이 선택 디바이스의 장축과 일치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디바이스(16a)와 포인팅 축(32)을 다르게 정렬할 수 있는 한,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 선택적 특징이다.
선택 디바이스(16a)는 그 위치 및 그 포인팅 축(32)의 방향을 감지하여 타겟 디바이스(12a)를 포인팅할 때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RF 채널(24a)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8a)는 예를 들면 허브 또는 노드 컨트롤러일 수 있다. 컨트롤러(18a)는 타겟 디바이스가 선택된 경우에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그 디바이스(예를 들면, 프린터)에 패싱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감지 수단은 좌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의 기준 위치에 대한 유닛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공간 센서(26)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센서의 하나의 적절한 형태는 그 출력(가속)이 시간에 따라 이중으로 통합되어 위치를 획득하는 소형 가속도계이다. 그러한 하나의 디바이스는 Analog Devices of Norwood, Massachusettes,(www.analog.com)에 의해 제조되며, 부품 번호는 ADXL505이다. 또한, 선택 디바이스가 고정된(또는 앵커) 기준 디바이스에 근접했을 때 발생하는 재컬리브레이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측정 에러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 또는 추가적으로, 칼만(Kalman) 필터링 기술이 적용되어 장시간에 걸쳐 누적된 에러의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되는 RF 통신이 울트라 와이드 밴드(UWB) 타입이라면, 그 내용이 상호 참조로서 여기에 제공되는 미국특허 제6,002,70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위치 데이터가 UWB에 특정인 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방법은 UWB 통신이 유행함에 따라 선호될 것이며, 가속도계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감지 수단은 현재 위치에서 선택 디바이스(16a)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각도 센서(28)를 더 포함한다. 이 방향은 디바이스 네트워크(10)의 2개의 대응하는 기준 축에 대한 적어도 2개의 각도에 기초하고 있다. 각도 센서(28)는 예를 들면 각도 감지 자이로스코프, 또는 각도 레이트 감지 자이로스코프의 각도 레이트 출력을 시간에 걸쳐 통합함으로써 방향을 획득하는 센서일 수 있다. 각도 감지 자이로스코프의 예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의 아이템 번호 "B99-003"(http://berkeley.edu/mems.html)에 의해 식별되는 것이다. 적절한 각도 레이트 감지 자이로스코프의 예들은 일본의 Murata Manufacturing Co.의 모델 ENC-03J 및 ENV-05D052이다.
디바이스 네트워크(10)에 적용되는 좌표 시스템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계의 3개의 서로 직교 축은 예를 들면 기하학적 직교 좌표계의 X축, Y축 및 Z축에 대응한다. 위치 감지 또는 위치 설정은 기하학적 직교 좌표(x, y, z)의 측면에서 공간상의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를 확립한다. 방향, 또는 선택 디바이스(16a)가 타겟 디바이스(12a)를 향해 포인팅 축을 따라 정렬되는 방향이 2개의 각도(φ,θ)로서 측정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는 (x, y, z) 및 (φ,θ)의 이용을 디바이스(12, 14, 16)의 위치 및 방향을 각각 표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좌표계의 좌표 및 각도가 다른 등가 좌표계의 대응하는 좌표 및 각도를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므로, 다른 등가 좌표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좌표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는 상대 거리이므로, 원점(0, 0)의 선택은 중요하지 않다. 서로 직교인 축의 선택도 또한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Z축은 중력상 "위"방향으로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X축 또는 Y축이 일부 선택된 지점에서 지구의 자오선에 정렬하도록 함으로써 모두 3가지 축들의 간편한 정의를 제공한다. 일관된 이용이 보장되는 한, 임의의 다른 정의가 동일하게 잘 이용될 것이다. 기재된 계산에 참여하는 모든 디바이스(12, 14, 16)는 일관성을 위해 동일한 좌표계 및 기준축을 참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선택 디바이스(16a)는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 및 방향을 각각 나타내는 좌표(x1,y1,z1) 및 (φ11)인 지점 P에 위치하고 있다. (x2,y2,z2)를 타겟 디바이스(12a)의 좌표라고 하고, 이것은 지점 Q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이다. X', Y', 및 Z'는 X, Y, Z 축에 평행하여, 지점 P를 통과한다. 따라서, Q'는 Q의 X'Y' 면 상으로의 투영이다. 그러면, φ1은 X 축과 PQ'간의 각도이다. θ1은 Z축과 벡터 PQ간의 각도이다. N 및 M은 도 3에서와 같이 각각 Q의 X' 및 Z'로의 투영이다.
삼각형 PQ'N의 분석으로부터, 수학식 1이 도출된다.
삼각형 PQM으로부터 수학식 2가 도출된다.
여기에서, d=PQ로서, 지점 P에서의 선택 디바이스(16a)와 지점 Q에서의 타겟 디바이스(12a) 간의 거리이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 및 방향 및 타겟 디바이스(12a)의 위치의 결정을 제공한다. 명백한 것은,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도 (x2,y2,z2)의 측면에서 알아져야 된다는 것이다.
선택 디바이스(16a)의 생성 수단은 상기 설명한 좌표계에 기초하고 있는, 좌표로서 제공되는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29)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는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제어 신호로 통합한다. 그런 다음, 송신기(31)를 포함하는 송신 수단은 제어 신호를 RF 채널(24)을 통해 컨트롤러(18a)에 송신한다. 송신 수단의 한 예는 블루투스TM RF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패킷으로서 인코딩될 수 있고, 이는 블루투스TM 접속을 통해 통신된다.
선택 디바이스(16a)는 예를 들면 키패드일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29)에 결합되는 입력 수단(30)은 사용자가 신호 처리기(29)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타겟 디바이스(12a)는 통신 케이블(22a)을 통해 컨트롤러(18a)로부터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5)를 포함한다. 그러한 인터페이스(35)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신 소자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타겟 디바이스(12a)는 인터페이스(35)에 결합되고 위치 데이터를 내장한 제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36)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필요한 기준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트롤러(18a)로부터 수신된 타겟 제어 신호들을 포함한다.
도 4의 플로우차트에 예시된 처리 단계(40)는 컨트롤러(예를 들면, 18a)가 선택 디바이스(예를 들면, 16a)의 위치 및 방향 데이터 및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면, 12a)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면, 12a)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위치 및 방향 데이터의 처리는 도 4의 플로우 차트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다.
처리(40)는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 좌표(x1,y1,z1) 및 방향 좌표(φ 11)가 선택 디바이스(16a)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단계 41에서 시작된다. 단계 41에 이어서, 처리(40)는 단계 42로 진행하여, 타겟 디바이스(12a)의 주지의 위치 좌표(x2,y2,z2)를 얻는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18a)는 φ=tan-1{(y2-y1)/(x2-x1)}을 이용하여 단계 43에서 각도 φ를 계산한다.
φ의 계산에 이어서, 처리(40)는 결정 단계 44로 진행하여, 컨트롤러(18a)는 φ가 φ1의 근처에 있는지 여부, 즉 (φ1-δφ, φ1+δφ)의 범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에서 δφ는 적절하게 선택된 각도 윈도우이다.
δφ의 값은 선택기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폭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각도 및 발생하는 선택에 요구되는 방향의 정확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δφ=K·½·tan-1(w/PQ)이고, 여기에서 w는 선택기를 면하는 타겟의 폭이고, k는 공칭값이 1인 상수이며, 선택의 윈도우를 넓히거나 좁히도록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결정 단계 44에서의 YES인 경우, 처리(40)는 단계 45로 진행한다. 단계 45에서, 각도 θ는 θ=cos-1(z2-z1/d)[여기에서, d=P와 Q간의 거리 = sqrt{(x 2-x1)2+(y2-y1)2+(z2-z1)2 }]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그렇지 않으면, 결정 단계 44에서 NO인 경우, 처리는 종료 단계 46에서 종료하고,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12a)가 선택되지 않는다.
결정 단계 47에서, 각도 θ의 계산시, 컨트롤러는 θ가 (θ1-δθ, θ1+δθ)의 범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에서 δθ는 적절하게 선택된 각도 윈도우이다.
δθ의 값은 선택기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높이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각도 및 발생하는 선택에 요구되는 방향의 정확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δθ=K·½·tan-1(h/PQ)이고, 여기에서 h는 선택기를 면하는 타겟의 높이이고, k는 공칭값이 1인 상수이며, 선택의 윈도우를 넓히거나 좁히도록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결정 단계 47에서 YES인 경우, 처리(40)는 단계 48로 진행하여, 타겟 디바이스(12a)가 선택된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40)는 타겟 디바이스(12a)를 선택하지 않으며, NO인 경우, 종료 단계 46에서 중지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네트워크(10)에서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50)이 플로우 차트로 예시된다. 도 2에 도시된 타겟 디바이스(12a), 선택 디바이스(16a) 및 컨트롤러(18a)를 이용하여, 방법은 단계 51에서 시작하고 단계 52로 진행하여, 컨트롤러(18a)가 선택 디바이스(16a)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신호는 선택 디바이스(16a)가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면, 12a)를 포인팅하고 있을 때 선택 디바이스(예를 들면, 16a)의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그런 다음, 방법(50)은 단계 53으로 진행하여, 컨트롤러(18a)가 위치 및 방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타겟 디바이스(12a)에 대한 선택 디바이스(16a)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한다. 결정 단계 54로 계속되어, 컨트롤러(18a)는 상기 기술한 방법(40)을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2a)가 제어 신호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 단계 54에서 YES 결과의 경우, 방법(50)은 단계 54로 진행한다. 단계 54에서, 컨트롤러(18a)는 위치 데이터가 타겟 디바이스(12a)를 식별하는데 충분하다고 결정된 경우에, 타겟 디바이스(12a)를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 디바이스(16a)로부터 제어 신호와 연관되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정 단계 54에서 NO인 결과 시, 방법(50)은 종료하고, 타겟 디바이스(12a)는 선택되지 않는다. 그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선택 디바이스(16a)의 포인팅 축(32)이 타겟 디바이스(12a)를 향해 적절하거나 충분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방법(50)은 디바이스 세트(12)로부터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12a)를 선택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포인팅 축(32)은 너무 근접하여 배치된 타겟 디바이스 및/또는 너무 넓어서 판별을 허용하지 못하는 각도 윈도우 δφ, δθ, 또는 임의의 다른 이유로 인해 디바이스 세트(12) 내에서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로 포인팅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기재한 방법(50)과 조합하여 선택을 판별하고 좁히는데 다른 선택 기준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선택 기준 중 하나는, 타겟이 선택기와 동일 선상에 존재할 때 선택 디바이스에 가장 근접한 원하는 타겟 디바이스를 식별하는데 거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르게는, 다른 선택 기준은 예를 들면 디바이스 세트(12)로부터 가장 적게 이용되는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속성 매칭을 이용하는 것이다. 추가 선택 기준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3) 상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메뉴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12a)를 상호작용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선택 기준은 타겟 디바이스(12a)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제어 신호를 처리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타겟 디바이스(12a)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들은 이하와 같이 선택을 좁히기 위해 상기 기술한 방법(50)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세트(12)가 프린터 세트인 경우, 부하 밸런싱 기준이 적용되어, 컨트롤러(18a)는 각 프린터의 서비스 부하를 추적하고 가장 적게 부하가 걸린 프린터를 선택된 타겟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컨트롤러(18a)는 제어 신호를 선택 디바이스(16a)에 다시 전송하고, 선택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타겟들(12b, 12c)의 리스트를 통합하며, 선택적으로는 그 기술(description)에 의해 동반된다. 그리고 나서, 디바이스(16a)는 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33) 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인터액티브한 선택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결과적인 선택(예를 들면, 12c)은 제어 신호의 형태로 컨트롤러(18a)에 송신됨으로써, 컨트롤러(18a)는 선택된 타겟(12c)을 선택한다.
또한, 신호 처리기(29)가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 및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디바이스 세트(12) 또는 디바이스 세트(14) 중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수단(30)이 할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 디바이스(16a)를 스캐닝 모드로 설정한다. 스캐닝 모드에서, 선택 디바이스(16a)로 스위핑 모션(sweeping motion)이 수행되어, 디바이스 세트(12) 또는 디바이스 세트(14)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40) 및 방법(40)이 연속적으로 활성화되어, 타겟 디바이스(12a, 12b, 12c, 14a, 14b, 14c)가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도 6에 도시된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네트워크(60)를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 네트워크(60)에서, 컨트롤러(18a, 18b)를 디바이스 세트(12) 내의 타겟 디바이스(12a, 12b, 12c)에 결합시키는 통신 리소스들은 RF 또는 IR 채널(61a, 61b)이다. 그러므로, 디바이스 네트워크(60)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들이 RF 또는 IR 채널(24a, 24b, 61a, 61b)을 통해 통신되는 무선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계산상으로 인액티브한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면, 12, 14), 즉 예를 들면 슈퍼마켓에서 벽이나 선반에 걸린 그림을 채용한다. 대신에, 그 위치 데이터는 컨트롤러(18a)에 저장되고, 그러므로 통신 리소스(20, 22)는 본 실시예에서 필요하지 않다. 타겟(예를 들면, 12a)의 선택 동작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방법(50, 40)을 이용하여 컨트롤러(18a)에 의해 결정된다. 타겟의 선택은 액션이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게 하며, 이 경우에 선택된 타겟의 실체에 좌우되지만,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선택된 타겟과의 통신에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겟(12a, 12b, 12c, 12d)은 벽에 걸린 그림일 수 있고, 따라서 타겟(12a)의 선택은 컨트롤러(18a)가 예를 들면 제어 신호를 선택 디바이스(16a)에 전송하도록 하며, 그림(12a)에 관련된 정보를 통합시키고, 이것은 디바이스(16a)의 디스플레이(33) 상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슈퍼마켓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선반 상의 아이템에 관한 정보는 선반이 포인팅되어 선택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장점들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의 하나의 장점은 선택 디바이스 예를 들면 PDA가 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RF 통신을 점점 더 많이 구비함에 따라 명백하게 된다. 여기에 공개된 발명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그러한 선택 디바이스들이 IR과 같은 추가 하드웨어 없이도, 타겟 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선택 기능이 순전히 소프트웨어로 그리고 오프-셀프(off-shelf) 하드웨어의 상부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은 비용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적외선 채널과 같은 방향성 통신 리소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방향성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고 동일한 디바이스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 간섭과 같은 본질적인 문제들이 본 발명의 디바이스 네트워크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계산상 인액티브한 타겟, 예를 들면 슈퍼마켓 선반에 관련한 실시예의 제3 장점은, 그러한 각 타겟마다에 대해 통신 하드웨어가 설치될 필요가 없어 현재 기술과 비교할 때 하드웨어 비용이 엄청나게 절감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향의 단지 하나의 각도를 결정하는 원리 상에서 동작한다. 환언하면, '포인팅 선'보다는 '방향면'이 결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원하지 않는 오브젝트가 면내에 존재하여 선택되므로 덜 바람직하다. '선택을 좁히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정도의 필터링이 요구된다.

Claims (10)

  1. 선택가능한 타겟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컨트롤러,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 및 각각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선택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선택 디바이스는 외부 좌표계에 대한 그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감지된 위치 및 방향을 통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 좌표계에 대한 각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방향과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가 소정 관계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만약 그렇다면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겟 또는 각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있고, 상기 선택된 타겟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겟 또는 각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있지 않고, 상기 선택된 타겟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방향을 결정하고 그렇게 결정된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대 방향과 상기 선택 디바이스의 방향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선택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방향과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가 소정 관계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디바이스에 의한 신호의 생성 및 송신은 상기 선택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시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디바이스는 그 출력이 이중으로 적분되어 위치 출력을 제공하는 가속도계 또는 UWB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감지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디바이스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그 방향을 감지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택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자 표시, 또는 뾰족한 형상과 같은 포인팅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선택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와 정렬시키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10. 삭제
KR10-2003-7006883A 2000-11-27 2001-11-16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KR100515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0006973-2 2000-11-27
SG200006973A SG114479A1 (en) 2000-11-27 2000-11-27 Selecting a target device in a device network
PCT/GB2001/005071 WO2002043023A2 (en) 2000-11-27 2001-11-16 A device network having selectable targ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522A KR20030065522A (ko) 2003-08-06
KR100515228B1 true KR100515228B1 (ko) 2005-09-16

Family

ID=2043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883A KR100515228B1 (ko) 2000-11-27 2001-11-16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925410B2 (ko)
EP (1) EP1337965B1 (ko)
JP (1) JP3721164B2 (ko)
KR (1) KR100515228B1 (ko)
CN (1) CN100549919C (ko)
AT (1) ATE268924T1 (ko)
AU (1) AU2002215119A1 (ko)
CA (1) CA2427452C (ko)
DE (1) DE60103778T2 (ko)
IL (2) IL155911A0 (ko)
SG (1) SG114479A1 (ko)
TW (1) TW560203B (ko)
WO (1) WO20020430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06B1 (ko) 2010-06-16 2014-11-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9089B1 (en) 1999-02-26 2010-07-06 Creative Kingdoms, Llc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761637B2 (en) 2000-02-22 2004-07-13 Creative Kingdoms, Llc Method of game play using RFID tracking device
US7878905B2 (en)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7066781B2 (en) 2000-10-20 2006-06-27 Denise Chapman Weston Children's toy with wireless tag/transponder
US20070066396A1 (en) 2002-04-05 2007-03-22 Denise Chapman Weston Retail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duct to a consumer
US6967566B2 (en) 2002-04-05 2005-11-22 Creative Kingdoms, Llc Live-action interactive adventure game
US8005505B2 (en) * 2002-06-25 2011-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fying remote, external device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therewith
US7674184B2 (en) 2002-08-01 2010-03-09 Creative Kingdoms, Llc Interactive water attraction and quest game
US9446319B2 (en) 2003-03-25 2016-09-20 Mq Gaming, Llc Interactive gaming toy
JP4237562B2 (ja) * 2003-07-07 2009-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383916A1 (en) * 2003-10-31 2011-11-02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aystem for limiting content diffusion to local receivers
KR100580648B1 (ko) * 2004-04-10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포인팅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6126117A2 (en) * 2005-05-24 2006-11-30 Nxp B.V. System comprising a generating device and a comparing device
US7567828B1 (en) * 2005-07-01 2009-07-28 Plantronics, Inc. Look and tun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744290B1 (en) * 2005-07-15 2018-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US7927216B2 (en) 2005-09-15 2011-04-19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JP4805633B2 (ja) 2005-08-22 2011-11-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用操作装置
US8313379B2 (en) 2005-08-22 2012-11-20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JP4262726B2 (ja) 2005-08-24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8870655B2 (en) 2005-08-24 2014-10-28 Nintendo Co., Ltd. Wireless game controllers
US8308563B2 (en) 2005-08-30 2012-11-13 Nintendo Co., Ltd.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US8157651B2 (en) 2005-09-12 2012-04-17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DE102005046218B4 (de) * 2005-09-28 2009-04-02 Abb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ernbedienungs-Systems für mehrere ansteuerbare Geräte und nach dem Verfahren betriebenes Fernbedienungssystem
JP4151982B2 (ja) 2006-03-10 2008-09-17 任天堂株式会社 動き判別装置および動き判別プログラム
JP2007306070A (ja) * 2006-05-08 2007-11-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US10022545B1 (en) * 2006-05-11 2018-07-17 Great Lakes Neurotechnologies Inc Movement disor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DE102006048547B4 (de) * 2006-10-13 2017-09-21 Abb Ag Fernbedienungs-System
JP5127242B2 (ja) 2007-01-19 2013-01-23 任天堂株式会社 加速度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182286B1 (ko) * 2007-09-19 201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리모트 컨트롤러에의해 포인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제어방법
US20090122340A1 (en) * 2007-11-13 2009-05-14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 job,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DE102008021160A1 (de) 2008-04-28 2009-10-29 Beckhoff Automation Gmbh Fernbedienung
US7992064B2 (en) * 2008-07-29 2011-08-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ing a scan topology
RU2541889C2 (ru) * 2009-06-23 2015-02-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пособ для выбора управляе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1015801A1 (en) 2009-08-06 2011-02-10 Toshiba Research Europe Limited Correlated probabilistic trajectories pedestrian motion detection using a decision forest
US20110124350A1 (en) * 2009-11-20 2011-05-26 Predrag Sukovic Point to connect communication interface
US20110159817A1 (en) * 2009-12-29 2011-06-30 Pirelli Tyre S.P.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sensor devices included in a tyre and a sensor coordinator device
WO2012012727A1 (en) * 2010-07-22 2012-01-26 James Morris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terminal in a finite location
DE102011011568B3 (de) * 2011-02-18 2012-06-28 Kai Flogaus Verfahren zum drahtlosen Übertragen von Daten
TWI434519B (zh) 2011-11-29 2014-04-11 Arcadyan Technology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手持通訊的遙控方法
CN103152467B (zh) * 2011-12-07 2015-03-18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及遥控方法
FR2985584A1 (fr) * 2012-03-29 2013-07-12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par un equipement central, du pointage d'au moins un dispositif pointe par un dispositif de pointage
CN104122845B (zh) * 2013-04-24 2018-12-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家电设备控制系统及方法
DE102013019425A1 (de) * 2013-11-20 2015-05-2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Wallscreen mit Touchbedienung
EP3102996B1 (en) * 2014-02-06 2019-12-04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on the skin
KR101933289B1 (ko) 2014-04-01 2018-12-27 애플 인크. 링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N103942947B (zh) * 2014-04-11 2017-03-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遥控器的控制方法及遥控器
JP6885326B2 (ja) * 2017-12-26 2021-06-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WO2022114408A1 (en) * 2020-11-24 2022-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mart device for sharing file
EP4318018A1 (en) * 2021-04-29 2024-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non-uwb device by using uwb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423A (en) * 1962-09-10 1967-04-04 Gen Motors Corp Inertial guidance system with stellar correction
US4433382A (en) * 1981-07-20 1984-02-21 Cincinnati Milacron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rogrammed location of a robot arm
EP0344153B1 (en) * 1986-11-27 1995-04-05 David Fenton Fenner Remote control systems
EP0355172B1 (de) * 1988-08-06 1994-07-20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Fernbedienungssystem
US5367316A (en) * 1990-03-27 1994-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apparatus
JP3027275B2 (ja) * 1991-12-23 2000-03-2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モニタスクリーン上でカーソルを位置させる装置
KR960002841B1 (ko) * 1993-03-03 1996-02-26 엘지전자주식회사 리모콘 위치 검출 장치
US5699244A (en) * 1994-03-07 1997-12-16 Monsanto Company Hand-held GUI PDA with GPS/DGPS receiver for collecting agronomic and GPS position data
US5650831A (en) * 1995-07-17 1997-07-22 Gateway 2000, Inc. Adjustable power remote control drive
US5966680A (en) * 1996-02-15 1999-10-12 Butnaru; Hanan Motion sickness/vertigo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US5963145A (en) * 1996-02-26 1999-10-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pointer control
US5880867A (en) * 1996-03-29 1999-03-09 Intermec Ip Corp. Infrared backbon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radio frequency backup channel
US5767807A (en) * 1996-06-05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a reactively controlled directive array
US6078575A (en) * 1996-10-01 2000-06-20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location management in ATM networks
US5938721A (en) * 1996-10-24 1999-08-17 Trimble Navigation Limited Position bas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035254A (en) * 1997-10-14 2000-03-07 Trimble Navigation Limited GPS-aided autolock in a robotic total station system
US6289263B1 (en) * 1997-12-16 2001-09-11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Spherical mobile robot
US6028764A (en) * 1998-09-28 2000-02-22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separable screen
US6630915B1 (en) * 1999-01-26 2003-10-07 Lsa. Inc.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 a simulation system user
US6292718B2 (en) * 1999-01-28 2001-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Electronic control system
US6640337B1 (en) 1999-11-01 2003-10-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including a smart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operating method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06B1 (ko) 2010-06-16 2014-11-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0203B (en) 2003-11-01
JP2004515099A (ja) 2004-05-20
CA2427452A1 (en) 2002-05-30
US6925410B2 (en) 2005-08-02
DE60103778D1 (de) 2004-07-15
IL155911A0 (en) 2003-12-23
WO2002043023A3 (en) 2002-10-17
US20020082026A1 (en) 2002-06-27
CN1692370A (zh) 2005-11-02
ATE268924T1 (de) 2004-06-15
EP1337965B1 (en) 2004-06-09
SG114479A1 (en) 2005-09-28
AU2002215119A1 (en) 2002-06-03
KR20030065522A (ko) 2003-08-06
JP3721164B2 (ja) 2005-11-30
CA2427452C (en) 2006-05-23
EP1337965A2 (en) 2003-08-27
DE60103778T2 (de) 2005-07-14
CN100549919C (zh) 2009-10-14
US20050192683A1 (en) 2005-09-01
IL155911A (en) 2011-02-28
WO2002043023A2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228B1 (ko) 선택가능한 타겟을 가지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US9661121B2 (en) Intuitive way to point, access, and control appliances and other objects in building interiors
US8988283B2 (en) Direction fin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0580648B1 (ko) 3차원 포인팅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2041700A (zh) 具有运动感测和到达角检测电路的电子设备
US9436297B2 (en)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arget apparat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of
CN111868546A (zh) 使用测向特征进行资产定位
US20150035762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iring method thereof
KR101465974B1 (ko) 디바이스의 위치 탐색 및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EP2451122A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01174A1 (en) Mobile device position detection
US9788142B2 (en) System of location push notification service, user mobile device, and method of location push notification service
CN110557741B (zh) 终端交互的方法及终端
US11644317B2 (en) Radio enhance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with truly wireless earbuds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KR101644608B1 (ko) 가시 범위 내 통신대상 인식을 위한 단말 및 그 방법
CN113471700B (zh) 天线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2310044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