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61B1 -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 Google Patents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61B1
KR100515161B1 KR10-2002-0060823A KR20020060823A KR100515161B1 KR 100515161 B1 KR100515161 B1 KR 100515161B1 KR 20020060823 A KR20020060823 A KR 20020060823A KR 100515161 B1 KR100515161 B1 KR 10051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polystyrene resin
extrusion molding
polystyr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193A (ko
Inventor
이필하
Original Assignee
이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286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151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필하 filed Critical 이필하
Priority to KR10-2002-006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1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3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printing 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7Raw material pre-treatment while 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수지인 GPPS수지와 HIPS수지를 6:4 비율로 배합기내 혼합하여 8~15분간 80℃의 온도에서 상기 배합기 내에서 건조시키는 1차혼합 및 건조공정과(S1), 상기 1차 혼합 및 건조공정에 의해 건조된 배합기내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발포제 0.2~1.8%, 구연산 0.2%, 아연 0.02~0.2%, 분산제 0.06~0.08% 비율로 혼합하는 2차 혼합공정과(S2), 바이오세라믹, 옥, 숯 분말등을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2~5% 이내로 1, 2차 혼합공정을 거친 배합기를 85℃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투입, 혼합하는 3차 혼합공정과(S3), 상기 배합기를 87℃로 유지한 후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를 토출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압출성형장치의 호퍼측으로 공급하는 폴리스티렌수지 토출 및 호퍼공급공정과(S4),압출성형장치 일측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폴리스티렌 혼합원료가, 상기 압출성형장치내 다수의 실린더를 통과하여 겔상화 되고, 압출성형장치 타측 제1다이스와 압출성형금형틀을 내재하고 있으며 그 측면으로 코팅제공급부와 연결되는 제2다이스를 통과, 발포된 상태의 폴리스티렌 발포체가 일정형상으로 압출되어지는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과,(S5) 상기 압출성형공정으로부터 통과된 발포체를 냉각기에 투입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S6),상기 냉각공정으로부터 냉각되어 토출되는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 표면층을 전사하는 전사공정과(S7),상기 전사공정을 거친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인출하여 소망길이로 절단, 적재하는 절단/적재공정(S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적외선의 방사가 가능하고 원목의 질감을 그대로 느낄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소망하는 압축강도를 갖을 수 있고, 생산가의 절감효과 및 그 시공작업에서 있어서도 간단하게 시공 가능할 수 있는 건축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The high blowing form manufacture method and that the high blowing form construction material}
본 발명은 원적외선의 방사가 가능하고 원목의 질감을 그대로 느낄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소망하는 압축강도를 갖을 수 있는 건축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스티렌 수지의 GPPS 수지와 HIPS 수지를 일정비율 혼합·건조하여 1차 혼합과정을 거치고, 발포제와 구연산·아연·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일정비율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을 거친 후, 옥·숯·바이오세라믹 등에서 선택된 원료 또는 상기 재료를 혼합한 원료를 일정량 투입, 혼합하는 3차혼합과정을 거친 다음, 자연건조시키고 압출성형장치 호퍼측으로 유도하여 소망의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다이스를 통과하여 압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혼합된 폴리스티렌 수지가 발포되어 발포체가 형성되어 다이스의 금형을 통과함과 동시에 냉각장치로 투입, 급냉 경화되도록 한 후 일정강도를 갖는 필름에 의해 전사되는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사용되는 건축내장재는 목재류에 의해 형성, 시공되나, 목재류등을 이용, 가공하는 건축내장재의 시공작업이 번잡하고 이에 따른 생산가 및 시공가가 높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생산과정에서 원자재의 손신률 발생, 목재류등으로 되는 건축내장재의 특성상 함습작용에 따른 비틀림 및 뒤틀림 현상, 자중(自重)이 상당하여 운반등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달리 가볍고 가공성이 용이한 합판이나 고압축강화목을 이용하여 그 표면에 원목의 질감효과를 갖는 필름을 부착하거나 또는 박피의 무늬목등을 함침처리하여 부착하여서 얻어 건축내장재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건축내장재의 경우에 필름이나 무늬목등이 패널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치므로서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거나 수리에 따른 유지보수비용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석유화학계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의 일종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첨가제 및 원적외선 방사체를 첨가, 고발포 압출성형하여 소망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를 얻도록 하므로서, 그 제조과정의 단순화 및 대량생산에 따른 생산가의 저하 및 건축내장재의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원목의 질감 효과를 그대로 표현 가능하도록 하며, 제품의 고품격화, 무게의 경량화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 원목 무늬결등이 전사된 필름등이 쉽게 박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하게 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수지인 GPPS수지와 HIPS수지를 6:4 비율로 배합기내 혼합하여 8~15분간 80℃의 온도에서 상기 배합기 내에서 건조시키는 1차혼합 및 건조공정과(S1),
상기 1차 혼합 및 건조공정에 의해 건조된 배합기내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발포제 0.2~1.8%, 구연산 0.2%, 아연 0.02~0.2%, 분산제 0.06~0.08% 비율로 혼합하는 2차 혼합공정과(S2),
바이오세라믹, 옥, 숯 분말등을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2~5% 이내로 1, 2차 혼합공정을 거친 배합기를 85℃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투입, 혼합하는 3차 혼합공정과(S3),
상기 배합기를 87℃로 유지한 후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를 토출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압출성형장치(100)의 호퍼(101)측으로 공급하는 폴리스티렌수지 토출 및 호퍼공급공정과 (S4),
압출성형장치(100) 일측 상기 호퍼(101)로부터 공급되는 폴리스티렌 혼합원료가, 상기 압출성형장치(100)내 다수의 실린더(110~113)를 통과하여 겔상화 되고, 압출성형장치(100) 타측 제1다이스(120)와 압출성형금형틀(122)을 내재하고 있는 제2다이스(121)를 통과, 발포된 상태의 폴리스티렌 발포체가 일정형상으로 압출되어지는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과,(S5)
상기 압출성형공정으로부터 통과된 발포체를 냉각장치(140)에 투입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S6),
상기 냉각공정으로부터 냉각되어 토출되는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 표면층을 전사하는 전사공정과(S7),
상기 전사공정을 거친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인출하여 소망길이로 절단, 적재하는 절단/적재공정(S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각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 - 1차혼합 및 건조공정 ; S1)
본 공정은 원료인 폴리스티렌수지를 압출성형장치(100)에 투입하기 전에 일반적인 배합기(미도시)내에서 일정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공정으로, 먼저 본 발명에 채택/적용되는 폴리스티렌수지의 특성 및 종류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폴리스티렌수지(Polystyrene)는 석유화학계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의 일종으로 에틸렌(ethylene)과 벤젠(Benzene)을 반응시켜서 얻는 액체 스티렌 단위체의 중합체로서, Monomer 제법 및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이와같은 폴리스티렌수지는 용융시의 열안정성과 유동성이 양호하고, 성형수축률이 적어 성형가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그 종류는 일-반용 폴리스티렌수지(GPPS 수지)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수지(HIPPS), 내광성 폴리스티렌수지, Glass fiber 강화 폴리스티렌수지(G/S 강화 PS), 이축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발포성 폴리스티렌수지(EPS), 스티렌계 열가소성 Elastomer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폴리스티렌수지의 종류중, 스티렌(Styrene)의 단독 중합체중의 하나인 일반용 폴리스티렌수지(GPPS 수지)와, 폴리스티렌수지의 큰 결점 중의 하나인 무름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를 배합한 품종이라 할 수 있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수지(HIPS 수지) 둘을 적정한 혼합비에 의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성형폼 즉 건축내장재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스티렌수지 중, 일반용 폴리스티렌수지인 GPPS 수지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수지인 HIPS 수지를 6:4의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8~15분간 배합기내 80℃ 온도에서 건조하여서 얻는 폴리스티렌수지를 이용한다.
(제2공정 - 2차 혼합공정 ; S2)
본 공정은 상기 제1공정의 1차 혼합공정을 거친 상태의 폴리스티렌수지내에 첨가제를 혼합 하는 공정으로, 첨가제는 각각 상기 폴리스티렌수지의 백분율 대비 발포제 0.2~1.8 % 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다염기(多鹽基) 카르복실산의 하나인 시트르산(citric)이라 불리는 구연산 0.2%, 아연 0.02~0.2% 및 분산제 0.06~0.08 %로 하여 상기 제1공정의 배합기내 투입, 혼합하게 된다.
상기 발포제는 발포시 급격한 가스발생으로 기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고분자반응 중 기포를 형성하여 주는 물질을 말하며, 극히 낮은 열전도성과 저온의 끓는점을 갖는 물리적 발포제로 프레온 또는 상기 프레온을 대체하는 대체발포제로서 수소를 함유한 HCFC 또는 시클로펜탄(Cyclopentane) 등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채택되는 발포제는 위 3가지의 발포제 중 어느 하나의 발포제를 채택, 사용하며 발포제의 첨가방법으로는 1)직접원료수지에 넣는 방법과 2)발포제의 마스터배치 팰릿을 블랜드하는 방법 3)발포제를 직접 드라이 블랜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주로 1) 직접 원료수지에 넣는 방법을 채택하여 발포제를 상기의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다.
(제3공정 - 3차 혼합공정 ; S3)
본 공정은 상기한 제1,2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폴리스티렌 수지내에 원적외선 방사체인 옥이나 숯 또는 바이오세라믹등을 폴리스티렌 수지 백분율 대비 일정비율로 첨가 혼합하는 공정으로, 옥분말이나 숯분말등을 폴리스티렌수지 대비 2~5%의 비율로 첨가하거나 또는 바이오세라믹 분말을 폴리스티렌수지 대비 3.5 % 의 비율로 첨가 혼합하게 된다.
이때 본 공정에서 폴리스티렌수지에 다양한 색상의 연출을 위해 색소를 적정량 혼합할 수 있다.
(제4공정 - 폴리스티렌수지 토출 및 호퍼공급공정 - S4)
본 공정은 상기한 각 공정에 의해 얻게되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토출하여 압출성형장치(100)측 일단에 형성되는 호퍼(101)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정으로, 제3공정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체 분말을 폴리스티렌 수지내에 첨가·혼합한 후, 폴리스티렌 수지가 저장되어 있는 배합기내의 온도를 87℃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토출시킨 후 자연 건조한 다음, 압출성형장치(100)의 호퍼(101)측에 공급·저장시키게 된다.
이때까지의 폴리스티렌 수지는 작은 알갱이 상태이다.
(제5공정 -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 - S5)
본 공정은 상기한 제4공정에 의해 압출성형장치(100)의 호퍼(101)측으로 폴리스티렌수지가 공급된 후,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압출성형장치(100)내 다수의 실린더(110~113)에 의해 겔상화 되며 통과하여 발포되도록 하여 겔상의 폴리스티렌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먼저, 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압출성형장치(100)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면, 압출성형장치(100) 일측으로 상기의 폴리스티렌(Polystyrene)수지인 GPPS수지와 HIPS수지를 6:4 비율로 1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발포제·구연산·아연·분산제 등을 일정 비율로 2차 혼합한 후, 바이오 세라믹·옥·숯 분말등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일정비율로 3차 혼합하여서 된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성형장치(100)의 다수 실린더(110~113)측으로 투여하기 위한 호퍼(101)가 형성되어 있고, 호퍼(101) 하단으로 다수개의 실린더(110~113)가 구비되는 압출성형장치(100)로 형성된다.
한편, 압출성형장치(100) 타단으로는 상기 다수의 실린더(110~113)에 의해 가열되는 폴리스티렌수지가 발포되면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다이스(120)가 구비되고, 제1다이스(120)와 연결되는 제2다이스(121)가 형성되되, 상기 제2다이스 (121) 내부로 폴리스티렌 수지가 발포되면서 일정형상으로 성형화되기 위해 소망의 단면형상을 갖는 압출성형금형틀(122)이 내재되는바, 상기 제2다이스(121)는 작업조건에 따라 수개의 다이스로 구비하여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는바, 이럴 경우에는 상기 제1다이스(120)는 수개의 다이스로 되는 제2다이스(121)에 폴리스티렌수지를 분배 공급하게 되는 분배다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다수의 실린더(110~113) 온도 및 제1,2다이스(120,121)의 작업온도가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실린더(110~113) 중, 호퍼(101)측에 위치한 실린더(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듯이 이 호퍼측에 위치한 실린더를 제1실린더라 통칭한다)(110)의 초기가열온도를 195℃로 설정하여 예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110~165℃의 작업 온도범위내에서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가 상기 제1실린더(110)를 통과되도록 한다.
한편 중간에 위치하는 실린더(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듯이 압출성형장치 (110)의 중간부위에 2개의 실린더를 형성하여, 제2·3실린더로 통칭한다)(111,112)의 초기가열온도를 185~190℃로 설정, 예열하고 제1실린더(110)를 통과하게 되는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가 상기 제2,3실린더(111,112)를 통과할 때의 그 제2,3실린더(111,112)의 작업온도 범위는 제1실린더(110)와 동일하게 110~165℃ 범위내에서 유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실린더(110)와 대응되는 타측 실린더(113) 즉, 제1다이스(120)측에 위치되는 실린더(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듯이 압출성형장치(100) 타단측에 형성되는 제1다이스(120)측에 형성되는 실린더로서 제4실린더(113)라 통칭한다)의 초기가열온도는 170℃로 예열되도록 하고, 제2,3실린더(111,112)를 통과하는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가 상기 제4실린더(113)를 통과할 때의 작업온도는 130~160℃ 온도범위내에서 히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호퍼(101)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혼합된 상태의 폴리스티렌수지가 압출성형장치(100)에 공급된 후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설정된 작업온도를 갖는 다수의 실린더(110~113)내를 통과하면서 알갱이 상태의 폴리스티렌 수지가 가열되어 겔상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겔상화 된 상태의 폴리스티렌수지가 마지막 실린더인 제4실린더 (113)를 통과하게 되면, 그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다이스(120)측으로 유동되게 되는데 상기 제1다이스(120)의 초기예열온도를 195℃에서 히팅되도록 한 상태에서 폴리스티렌수지등이 통과하여 발포되는 작업온도는 140~165℃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발포성이 뛰어나며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다이스(120)를 통과하여 제2다이스(121)로 어느정도 발포된 상태의 폴리스티렌수지가 유동되는데, 제2다이스(121) 내부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압출성형금형틀(122)이 내설되어져 제1다이스(120)를 통과한 폴리스티렌수지가 제2다이스(121)를 통과하면서 일정 형상을 갖는 발포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의 압출성형금형틀(122)의 단면 형상은 시공되어지는 건축내장재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압출성형금형틀(122)내의 압출압력은 30~60 ㎏/㎠ 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다이스(121) 측면부측으로 폴리스티렌 발포체의 외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제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제공급부(130)를 형성한다.
이와같은 제2다이스(121)를 200℃의 온도에서 초기예열되도록 한 후, 작업되는 작업온도는 120~170℃의 온도범위에서 폴리스티렌수지가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발포체의 물성이 가장 바람직하게 형성되었다.
(제6공정 - 냉각공정 ; S6)
본 공정은 상기한 제5공정의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S5)에 의해 압출성형금틀 (122)내를 통과한 발포체를 냉각·경화시키는 공정으로, 냉각장치(140)내에 겔상의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진입시켜 일정시간 냉각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장치(140)는 도면에서 보듯이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로 길게 형설되어지고, 냉각수를 충진한 상태에서 냉각장치(140) 전단측 즉, 제2다이스(121)측으로 압출되는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인출하는 별도의 인출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인출한 후 상기 냉각장치(140)내로 유입시켜 서서히 유동시켜 냉각장치(140)내 냉각수에 의해 고온의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냉각, 경화하게 된다.
(제7공정 - 전사공정 ; S7)
본 공정은 상기한 제6공정에 의해 냉각되어 경화된 상태의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의 표면에 각종 무늬나 모양 또는 설치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 적용되는 필름등을 전사 하여 반제품을 얻는 공정이다.
주로, 본 발명에서는 필름이 로울러(150)상에 권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6공정에 의해 얻은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를 통과, 압입시켜 필름이 권취된 일정온도를 갖는 로울러(150)와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 표면층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필름이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 표면층에 전사 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160은 피름전사 처리된 발포체를 인출, 가이드하여 후공정인 절단/적재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인출가이드로울러이다.
(제8공정 - 절단/적재공정 ; S8)
상기와 같이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 표면층으로 필름등의 전사작업이 완료되면, 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발포체를 인출 한 후, 인출가이드로울러(160)에 의해 경화된 발포체가 안내되며, 설치 시공 현장에 따라 요구되는 설정 길이에 따라 재단 한 후, 적재하여 완성된 완제품을 얻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건축내장재를 폴리스티렌수지의 발포체로 형성,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목재류에 의한 건축내장재의 사용시 발생되었던, 함습작용등에 의한 비틀림이나 휨 현상등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시공 후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그 변형 현상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발포 경화하여 목재류에 대체되는 건축내장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목 가공공정등이 불필요하여 벌목에 따른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대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비교적 싼 가격으로 건축내장재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 생산가 및 건축내장 시공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에 의한 건축내장재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함유하여,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신진대사 촉진 및 혈액순환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처리도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압출성형장치의 개괄적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압출성형장치의 다이스 부분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1; 1차혼합 및 건조공정 S2; 2차혼합공정
S3; 3차혼합공정 S4; 폴리스티렌수지 토출 및 호퍼공급공정
S5;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 S6; 냉각공정
S7; 전사공정 S8; 절단/적재공정
100; 압출성형장치 101; 호퍼 110; 제1실린더
111; 제2실린더 112; 제3실린더 113; 제4실린더
114; 열공급관 120; 제1다이스 121; 제2다이스
122; 압출성형금형틀 130; 코팅제공급부 140; 냉각장치
150; 로울러 160; 인출가이드로울러

Claims (4)

  1. 폴리스티렌(Polystyrene)수지인 GPPS수지와 HIPS수지를 6:4 비율로 배합기내 혼합하여 8~15분간 80℃의 온도에서 상기 배합기 내에서 건조시키는 1차혼합 및 건조공정과(S1),
    상기 1차 혼합 및 건조공정에 의해 건조된 배합기내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발포제 0.2~1.8%, 구연산 0.2%, 아연 0.02~0.2%, 분산제 0.06~0.08% 비율로 혼합하는 2차 혼합공정과(S2),
    바이오세라믹, 옥, 숯 분말등을 폴리스티렌 혼합수지에 백분율 대비 2~5% 이내로 1, 2차 혼합공정을 거친 배합기를 85℃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투입, 혼합하는 3차 혼합공정과(S3),
    상기 배합기를 87℃로 유지한 후 혼합된 폴리스티렌수지를 토출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압출성형장치(100)의 호퍼(101)측으로 공급하는 폴리스티렌수지 토출 및 호퍼공급공정과(S4),
    압출성형장치(100) 일측 상기 호퍼(101)로부터 공급되는 폴리스티렌 혼합원료가, 상기 압출성형장치(100)내 다수의 실린더(110~113)를 통과하여 겔상화 되고, 압출성형장치(100) 타측 제1다이스(120)와 압출성형금형틀(122)을 내재하고 있으며 그 측면으로 코팅제공급부(130)와 연결되는 제2다이스(121)를 통과, 발포된 상태의 폴리스티렌 발포체가 일정형상으로 압출되어지는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과,(S5)
    상기 압출성형공정으로부터 통과된 발포체를 냉각장치(140)에 투입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S6),
    상기 냉각공정으로부터 냉각되어 토출되는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 표면층을 전사하는 전사공정과(S7),
    상기 전사공정을 거친 폴리스티렌수지 발포체를 인출하여 소망길이로 절단, 적재하는 절단/적재공정(S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S5)에서 압출성형장치(100)의 상기 실린더 (110~113) 중 호퍼측 실린더(제1실린더)는 195℃의 초기예열온도에서 110~165℃의 작업온도 범위의 상태에서 폴리스티렌수지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과,
    중간측 실린더(제2,3실린더)(111,112)는 185~190℃의 초기예열온도에서 110~165℃의 작업온도 범위내에서 호퍼측 실린더(제1실린더)(110)를 통과한 폴리스티렌 수지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과,
    제1다이스측 실린더(제4실린더)(113)는 170℃의 초기예열온도에서 130~160℃의 작업온도범위내에서 상기 중간측 실린더(111,112)를 통과한 폴리스티렌 수지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및 압출성형공정(S5)에서 상기 제1다이스(120)는 195℃ 온도에서 초기예열한 후 140~165℃의 작업온도범위내에서 상기 각각의 실린더(110~113)를 통과한 폴리스티렌수지가 통과되어 발포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제2다이스(121)는 200℃의 온도에서 초기예열한 후 120~170℃의 작업온도범위내에서 상기 제1다이스(120)를 통과한 폴리스티렌수지가 통과되어 발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해 제조되는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KR10-2002-0060823A 2002-10-05 2002-10-05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KR100515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3A KR100515161B1 (ko) 2002-10-05 2002-10-05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3A KR100515161B1 (ko) 2002-10-05 2002-10-05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93A KR20020081193A (ko) 2002-10-26
KR100515161B1 true KR100515161B1 (ko) 2005-09-16

Family

ID=2772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23A KR100515161B1 (ko) 2002-10-05 2002-10-05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65B1 (ko) * 2020-09-17 2021-04-07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방법
KR102260706B1 (ko) * 2020-09-17 2021-06-08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41B1 (ko) * 2005-12-07 2007-06-18 노상철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1024247B1 (ko) * 2010-01-06 2011-03-29 (주)하이우드 친환경 몰딩 제조방법
KR101952019B1 (ko) * 2017-06-15 2019-02-25 우주웰보드 주식회사 폴리스티렌수지를 이용한 가구 구조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어진 가구 구조용 프레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150A (ko) * 1998-06-09 1999-03-25 오창엽 벤트나이트를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발포방법 및 합성수지발포체
KR19990070092A (ko) * 1998-02-17 1999-09-06 최종문 폐스티렌폼을 원재료로 이용한 목재대용원자재의 제조방법과 그목재대용원자재
KR20000007914A (ko) * 1998-07-08 2000-02-07 박상훈 인조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16973A (ko) * 1998-08-03 2000-03-25 고사이 아끼오 수지발포체의제조방법,및수지발포체
KR20000036957A (ko) * 2000-04-03 2000-07-05 이소영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00049620A (ko) * 2000-04-18 2000-08-05 윤길우 목분 함유 발포 합성수지재 건축자재
KR20010010353A (ko) * 1999-07-19 2001-02-05 양영재 폐 폴리스치렌을 이용한 발포 성형물의 제조방법과 그 성형물로 된 물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092A (ko) * 1998-02-17 1999-09-06 최종문 폐스티렌폼을 원재료로 이용한 목재대용원자재의 제조방법과 그목재대용원자재
KR19990023150A (ko) * 1998-06-09 1999-03-25 오창엽 벤트나이트를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발포방법 및 합성수지발포체
KR20000007914A (ko) * 1998-07-08 2000-02-07 박상훈 인조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16973A (ko) * 1998-08-03 2000-03-25 고사이 아끼오 수지발포체의제조방법,및수지발포체
KR20010010353A (ko) * 1999-07-19 2001-02-05 양영재 폐 폴리스치렌을 이용한 발포 성형물의 제조방법과 그 성형물로 된 물품
KR20000036957A (ko) * 2000-04-03 2000-07-05 이소영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00049620A (ko) * 2000-04-18 2000-08-05 윤길우 목분 함유 발포 합성수지재 건축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65B1 (ko) * 2020-09-17 2021-04-07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방법
KR102260706B1 (ko) * 2020-09-17 2021-06-08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93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2599A1 (en) Microwave molded article and method thereof
CN105566721B (zh) 一种耐高温xpe泡棉及其制备方法
CN104387704B (zh) 耐候抗冲击聚氯乙烯木塑建筑模板及其制备方法
CN103087400A (zh) 一种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3181620A1 (en) Microwave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987526B (zh) 聚丙烯系树脂复合发泡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702560B (zh) 一种聚丙烯发泡材料的复合发泡制造方法
CN104861195B (zh) 纤维/聚丙烯系树脂复合发泡颗粒及其应用
CN107828205A (zh) 一种可硫化交联的发泡聚氨酯混炼胶粒子及其制备方法和成型工艺
KR101283502B1 (ko) 합성목재의 함수율을 최소화한 경량화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161B1 (ko)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CN108822569A (zh) 一种木塑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895202A (zh) 一种用物理发泡工艺一次性挤出成型生产xps装饰条异型材檐板的方法
CN101590689B (zh) 聚苯乙烯发泡型材的加工方法
CN107383517A (zh) 一种塑料板材、型材及生产方法
CN106280185A (zh) 一种轻质木塑复合纤维板及其制备方法
CN104527179A (zh) 一种秸塑装饰板及其制造方法
CN111171415B (zh) 一种大尺寸非标sbr橡胶共混闭孔二次模压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961333A (zh) 一种基于石墨材料的聚氨酯发泡产品制备配方
US20170174569A1 (en) Lightweight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KR100539178B1 (ko)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CN114874594B (zh) 一种高回弹吸波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549707A (zh) 一种发泡聚丙烯复合片材及其制备方法
CN110483910A (zh) 一种pvc木塑发泡板及其制备方法
CN109734992A (zh) 一种乙烯-醋酸乙烯共聚物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316

Effective date: 2007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412

Effective date: 200707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905

Effective date: 200805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905

Effective date: 200805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