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356B1 -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 Google Patent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356B1
KR100512356B1 KR10-2003-0016768A KR20030016768A KR100512356B1 KR 100512356 B1 KR100512356 B1 KR 100512356B1 KR 20030016768 A KR20030016768 A KR 20030016768A KR 100512356 B1 KR100512356 B1 KR 10051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butadiene
weight
parts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122A (ko
Inventor
김경수
신상선
유종선
윤정식
임성욱
엄기용
장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1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3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단독 혹은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01 내지 2.5 중량부; 가교조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발포체 재료보다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충격흡수특성, 반발탄성 및 영구압축줄음율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Industrial Bead Using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단독 혹은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01 내지 2.5 중량부; 가교조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발포체 재료보다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충격흡수특성, 반발탄성 및 영구압축줄음율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발포체는 절연재, 쿠션재, 건설부분, 신발산업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는 소재로서, 전세계적으로 1995년 추정상 630만여톤을 생산하고 있고 계속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되는 산업용 발포체 재료로는 아직까지 폴리우레탄(PU)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가 전체 발포체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소재의 경우에는 합성 과정에서 단량체들의 조합과 분자량의 조절에 의해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발포체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재의 경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환경친화성에 관련해서 볼 때,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합성에 사용되는 원료물질 중 이소시아네이트가 매우 독성이 강하고, 또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경우에도 할로겐화 물질인 염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끼칠 수 밖에 없다.
특히 발포체 소재로서 그 수요가 가장 많은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고분자를 구성하는 방향족 고리에 의해 변색의 위험성이 높고 폴리에스테르 그룹에 의해 내가수분해특성이 나쁘며 아직까지 발포체의 저비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포체 제조의 가장 큰 목적인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그 밖에 발포체의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S)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PE), 고무 등이 있으나 이들 소재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처럼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재료자체의 특성상 폴리우레탄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나타내는 특성 즉, 다양한 경도특성, 우수한 쿠션성, 충격흡수특성 등 여러 가지 기능적인 측면의 접근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이 되고 있는데, 그 예로서 폴리스티렌-폴리비닐이소프렌 3원 공중합체를 사용한 발포체의 경우 환경적인 측면에서 큰 문제점이 없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 필적할 만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쿠션성이 떨어지고 다양한 경도특성의 발포체 제조가 어려우며, 가장 큰 문제로는 가격이 고가여서 가격경쟁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발포체용 소재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소재인 열가소성 탄성체 중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지니는 환경친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ⅰ)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단독; 또는 ⅱ)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 내지 99 중량부와 블렌드용 고분자 1 내지 80 중량부와의 블랜드물 인 수지성분 100 중량부;b) 가교제 0.01 내지 2.5 중량부;c) 가교조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d)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블렌드용 고분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이들 고무 종류에 오일이 첨가된 유전성 고무, 폴리에틸렌, 1,2-폴리 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폴리비닐이소프렌 3원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유기과산화물로서 티-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t-butyl peroxy isopropyl carbonate), 티-부틸퍼옥시루레이트(t-butyl peroxy laurate), 벤토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티-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t-butyl peroxy acetate), 티-부틸퍼옥시베조네이트(t-butyl peroxy benzoate), 디-티-부틸디퍼옥시페틸레이트(di-t-butyl diperoxy phthalate), 티-부틸퍼옥시말릭산(t-butyl peroxy maleic acid), 사이클로핵산퍼옥사이드(cyclohexanone peroxide), 티-부틸크밀퍼옥사이드(t-butyl cumyl peroxide), 티-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butyl hydroperoxide), 1-1-비스-(티-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1,1-bis-(t-butyl peroxy)-3,3,5-trimethyl cyclohexane), 디크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2,2-비스-(티-부틸퍼옥시) 부탄(2,2-bis-(t-butyl peroxy) butane), 메틸에틸케톤파옥사이드(methyl ethyl keton peroxide), 1,1-디-(티-부틸퍼옥시)사이크로핵산(1,1-di-(t-butylperoxy)cyclohexane), 2,5-디메틸-2,5-디-(티-부틸퍼옥시)핵산-3(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3), 2,5-디메틸-2,5-디-(벤토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yne-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yne-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3), 디-티-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 엔-부틸-4,4-비스(티-부틸퍼옥시)발레이트(n-butyl-4,4-bis(t-butylperoxy) valelate) 및 2,2'-비스(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2,2'-bis(butylperoxy isopropyl)benzene)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될 수 있다.
상기 가교조제가 설퍼(sulfur), 트리알리사이누레이트(triallycyanurate), 트리알리이소사이누레이트(triallyisocyanurate),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크리레이트(trimethyol propane tr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에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이메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ncrylate), 부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buthylene glycol acrylate), 부티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buthylene glycol methacrylate), 메탈아크릴레이트(metal acrylate), 메탈메타아크릴레이트(methal methacrylate) 및 1,2-폴리부타디엔(1,2-polybutadiene)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가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계, 디아조미노엑소벤젠(diazoaminoaxobenzene) 계, 엔,엔'-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계, 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이드(p-toluene sulphonyl hydrazide)계, 피,피'-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이드)(p,p'-oxybis(benzenesulphonyl hydrazide))계 또는 벤젠설포닐아이드라지이드(benzene sulphonyl hydrazide)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될 수 있다.
상기 산업용 발포체는 첨가제로서, 가교의 안정화 및 발포특성의 향상을 위한 산화아연 및 스테아린산; 비보강성 충전제; 발포체발포체발포체발포체발포체정화, 경도 조절 또는 탄성 저하를 위한 점착부여수지; 및, 탄성증가 및 경도저하를 위한 프로세스 오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먼저 발포체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스티렌 및 오일함량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이하 'SBS'라 칭한다)를 단독 또는, 일반적인 발포체용 수지 소재로 사용이 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고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 가교속도가 빠른 1,2-폴리 부타디엔 및 충격흡수특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폴리비닐이소프렌 3원 공중합체 등을 요구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블렌드하여 사용한다.
이때 가교제, 가교조제 및 발포제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가교제의 경우 퍼옥사이드계의 가교제를 발포체용 수지의 물성을 고려하여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하고, 발포제의 경우에는 발포체용 수지의 발포배율 및 비중을 고려하여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또한 가교의 안정화 및 발포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산화아연 및 스테아린 산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7 중량부, 0.5 내지 3 중량부를 사용한다.
발포체용 수지의 충격흡수특성의 개선을 위해 점착부여수지를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가격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비보강성 충전제의 사용도 가능한데, 발포체용 수지의 비중 및 물성을 고려하여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사용이 가능하다. 발포체용 수지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징크디아크릴레이트, 징크디메타크릴레이트, 1,2-폴리 부타디엔 등의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의 사용도 가능한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부가 적정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을 요구되는 특성에 맞게 조합한 후, 표면 온도가 100 내지 120℃의 니이더에서 약 10 내지 15 분 동안 혼련한 후 표면 온도가 100 내지 110℃인 롤밀에서 가교제 및 발포제를 사용하여 혼련물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되어진 혼련물을 사용하여 155 내지 170℃의 온도조건에서 10 내지 50 분 동안 열프레스 성형하여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산업용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SBS 40 중량부와 폴리스티렌-폴리비닐이소프렌 3원 공중합체 60 중량부를 사용한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을 6 중량부, 스테아린산을 2 중량부, 충격흡수성 개선을 위하여 점착부여수지를 20 중량부를 사용하여 110 내지 120℃의 니이더에서 약 15분 동안 혼련한 후 표면 온도가 100 내지 110℃인 롤밀에서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1.2 중량부, 발포제를 2.2 중량부 사용하여 혼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련물을 155℃의 온도 조건에서 20분간 열성형하여 충격흡수특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SBS 90 중량부와 폴리 에틸렌 10 중량부를 사용한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을 4 중량부, 스테아린산을 1중량부를 사용하여 110 내지 120℃의 니이더에서 약 10분 동안 혼련한 후 표면 온도가 100 내지 110℃인 롤밀에서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0.1 중량부, 발포제를 2.5중량부 사용하여 혼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련물을 170℃의 온도 조건에서 10분간 열성형하여 고경도 특성과 함께 저반발탄성을 나타내는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스티렌 함량이 40 중량%이고 오일 함량이 50 중량부인 SBS, 스티렌 함량이 31 중량%인 SBS, 1,2-폴리 부타디엔, 부타디엔 고무의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을 5 중량부, 스테아린산을 1.5 중량부, 발포체 물성개선을 위하여 징크디아크릴레이드 0.4 중량부를 사용하여 110 내지 120℃의 니이더에서 약 15분 동안 혼련한 후 표면 온도가 100 내지 110℃인 롤밀에서 블렌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0.3 중량부, 발포제를 1.8 중량부 사용하여 혼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련물을 165℃의 온도 조건에서 14분간 열성형하여 저경도 특성과 더불어 우수한 영구압축줄음율 특성을 나타내는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특성을 시험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 중 -
발포체용 수지의 비중은 표면을 제거한 후 자동비중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 경 도 -
경도는 발포체용 수지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에스커씨(Asker C) 타입의 경도계로 ASTM D-224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 영구압축 줄음율-
발포체용 수지를 두께가 10mm 되도록 하여 지름이 30±0.05mm 인 원기둥 형태로 제조한 시험편을 ASTM D-357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두장의 평행금속판 사이에 시험편을 넣고, 시험편 두께의 50%에 해당하는 스페이서(spacer)를 끼운 후 압축시켜 50±0.1℃가 유지되는 공기순환식 오븐에서 6시간 열처리한 수 압축 장치에서 시험편을 꺼내어 실온에서 30분간 냉각시킨 후 두께를 측정하였다. 동일 시험예 사용된 시험편은 3개로 하였고, 압축영구줄음율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계산식 1]
Cs(%)=[(t0-tf)/(t0-ts)] ×100
여기서 Cs는 영구압축줄음율, t0는 시험편의 초기두께이고, tf는열처리 후 냉각되었을 때의 시험편의 두께이며, ts는 스페이서의 두께이다.
-반발 탄성-
고반발탄성 및 충격흡수성의 확인을 위하여 발포체의 두께를 15mm로하고 볼드럽(ball drop)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높이에서 일정 하중을 지니는 구슬을 낙하시켜 되돌아오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물성 단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경도 Asker C 60 79 46
비중 0.250 0.263 0.281
반발탄성 % 28 37 64
영구압축줄음율 % 68 72 45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시예 1은 충격흡수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2는 고경도 특성과 함께 우수한 충격흡수특성이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은 저경도 특성과 더불어 영구압축줄음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는 기존의 발포체재료보다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충격흡수특성, 반발탄성 및 영구압축줄음율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제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a)ⅰ)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단독; 또는
    ⅱ)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 내지 99 중량부와 블렌드용 고분자 1 내지 80 중량부와의 블랜드물
    인 수지성분 100 중량부;
    b) 가교제 0.01 내지 2.5 중량부;
    c) 가교조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d) 발포제 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발포체는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20 내지 99 중량부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블렌드용 고분자 1 내지 8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용 고분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이들 고무 종류에 오일이 첨가된 유전성 고무, 1,2-폴리에틸렌, 폴리 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폴리비닐이소프렌 3원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유기과산화물인 티-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t-butyl peroxy isopropyl carbonate), 티-부틸퍼옥시루레이트(t-butyl peroxy laurate), 벤토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티-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t-butyl peroxy acetate), 티-부틸퍼옥시베조네이트(t-butyl peroxy benzoate), 디-티-부틸디퍼옥시페틸레이트(di-t-butyl diperoxy phthalate), 티-부틸퍼옥시말릭산(t-butyl peroxy maleic acid), 사이클로핵산퍼옥사이드(cyclohexanone peroxide), 티-부틸크밀퍼옥사이드(t-butyl cumyl peroxide), 티-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butyl hydroperoxide), 1-1-비스-(티-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1,1-bis-(t-butyl peroxy)-3,3,5-trimethyl cyclohexane), 디크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2,2-비스-(티-부틸퍼옥시) 부탄(2,2-bis-(t-butyl peroxy) butane), 메틸에틸케톤파옥사이드(methyl ethyl keton peroxide), 1,1-디-(티-부틸퍼옥시)사이크로핵산(1,1-di-(t-butylperoxy)cyclohexane), 2,5-디메틸-2,5-디-(티-부틸퍼옥시)핵산-3(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3), 2,5-디메틸-2,5-디-(벤토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yne-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yne-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3), 디-티-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 엔-부틸-4,4-비스(티-부틸퍼옥시)발레이트(n-butyl-4,4-bis(t-butylperoxy) valelate) 및 2,2'-비스(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2,2'-bis(butylperoxy isopropyl)benzen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5. 제 1항에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설퍼(sulfur), 트리알리사이누레이트(triallycyanurate), 트리알리이소사이누레이트(triallyisocyanurate),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크리레이트(trimethyol propane tr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에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이메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ncrylate), 부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buthylene glycol acrylate), 부티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buthylene glycol methacrylate), 메탈아크릴레이트(metal acrylate), 메탈메타아크릴레이트(methal methacrylate) 및 1,2-폴리부타디엔(1,2-polybutadi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계, 디아조미노엑소벤젠(diazoaminoaxobenzene) 계, 엔,엔'-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계, 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이드(p-toluene sulphonyl hydrazide)계, 피,피'-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이드)(p,p'-oxybis(benzenesulphonyl hydrazide))계 및 벤젠설포닐아이드라지이드(benzene sulphonyl hydraz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발포체가 첨가제로서,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비보강성 충전제, 점착부여수지, 또는 프로세스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KR10-2003-0016768A 2003-03-18 2003-03-18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KR10051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68A KR100512356B1 (ko) 2003-03-18 2003-03-18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68A KR100512356B1 (ko) 2003-03-18 2003-03-18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22A KR20040082122A (ko) 2004-09-24
KR100512356B1 true KR100512356B1 (ko) 2005-09-02

Family

ID=3736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68A KR100512356B1 (ko) 2003-03-18 2003-03-18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86B1 (ko) 2012-08-08 2013-11-08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폼 조성물
KR20170109731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 점착 테이프용 기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949B1 (ko) * 2006-01-23 2006-12-01 장기영 저온 유연성이 우수한 보호구용 비할로겐계 스폰지조성물
KR100980028B1 (ko) * 2008-08-29 2010-09-03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 산업용 발포체 조성물
KR101278023B1 (ko) * 2011-08-10 2013-06-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스팔트용 발포제가 첨가되는 아스팔트 포장재
KR102075716B1 (ko) * 2017-05-18 2020-02-10 (주)동림케미칼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KR20220095729A (ko) * 2020-12-30 2022-07-0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용융탄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복합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86B1 (ko) 2012-08-08 2013-11-08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폼 조성물
KR20170109731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 점착 테이프용 기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951B1 (ko) 2016-03-21 2020-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 점착 테이프용 기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22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550B1 (en) Crosslinked foam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cid copolymer
KR101232849B1 (ko) 신발창용 스펀지 조성물
US10787547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crosslinked foam and use thereof
CN106543750A (zh) 一种化学发泡的tpe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80028B1 (ko)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 산업용 발포체 조성물
KR101075070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가 함유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0512356B1 (ko)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US6797737B1 (en) Crosslinked foam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cid copolymer
KR101206348B1 (ko)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883B1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JP6483534B2 (ja) 発泡体用組成物及び発泡体
KR100560164B1 (ko) 태권도화용 고무발포 겉창 조성물
KR100717159B1 (ko) 신발중창 제조방법
EP1198511B1 (en) Crosslinked foam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cid copolymer
KR20020000265A (ko) 신발용 충격 흡수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090060520A (ko) 저비중 충격흡수성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2398B1 (ko) 온도유지 기능을 갖는 충격흡수성 복합기능 소재
JPS6155126A (ja) 架橋発泡体
KR20040082121A (ko) 신발 안창용 수지 조성물
KR100691458B1 (ko) 사출성형 신발중창용 수지 조성물
KR102410178B1 (ko) 고함량의 폐발포스크랩을 포함하는 재생 발포체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재생 발포체 및 재생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161904A (ko) 내구성이 우수한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JPS6232129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系架橋発泡体用組成物
KR20010076650A (ko) 신발 겉창용 발포체 조성물
KR20230168831A (ko) 고내구성을 가지는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