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16B1 -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16B1
KR102075716B1 KR1020170061828A KR20170061828A KR102075716B1 KR 102075716 B1 KR102075716 B1 KR 102075716B1 KR 1020170061828 A KR1020170061828 A KR 1020170061828A KR 20170061828 A KR20170061828 A KR 20170061828A KR 102075716 B1 KR102075716 B1 KR 10207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oam
hardness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858A (ko
Inventor
박병훈
배호민
전준하
Original Assignee
(주)동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케미칼 filed Critical (주)동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7006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1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도(Shore A) 70 이하인 충격흡수소재와 VA 함량이 40 ~ 70 중량%인 EVA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발포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낮은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져 발의 피로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FOAM COMPOSITIONS WITH LOW HARDNESS AND RESILIENCE}
본 발명은 경도(Shore A) 70 이하인 충격흡수소재를 사용하여 낮은 경도 및 탄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포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이 딱딱한 구두를 착용하고 장시간 서서 일을 하거나 또는 오랜 보행을 하는 경우 발에 피로가 축적되어 몸 전체에 대한 각종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와 같이 단순히 경도를 낮추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경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연질 특성의 소재로 발포체를 제조해야 되지만 연질 특성의 소재로 발포체 제조시 탄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 예로 고탄성 발포창을 사용하는 스포츠화를 착용하고 운동을 할 경우 초기 감성과 운동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장시간 착용 시 외부 충격이 그대로 발에 전달되어 피로감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에 축적된 피로도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서는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낮출 수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착화감이 우수하면서도 외부 충격을 낮출 수 있는 편안한 신발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탄성을 낮출 수 있는 충격흡수특성의 엘라스토머를 기반으로 경도가 낮은 발포체용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하여 발에 쌓인 피로를 빠르게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7915호 "고탄성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3116호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3850호 "연질 내지 반경질의 일체형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경도(Shore A) 70 이하인 충격흡수소재와 VA 함량이 40 ~ 70 중량%인 EVA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발포체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낮은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져 발의 피로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발포체용 조성물에 있어서, 충격흡수소재 30 ~ 70 중량%와 EVA 30 ~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5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가교제 0.4 ~ 2.0 중량부, TAC(triallyl cyanurate) 0.1 ~ 0.5 중량부 및 발포제 4 ~ 1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소재는, 경도(Shore A) 1 ~ 70인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 isobutyl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EVA는 VA 함량이 40 ~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낮은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져 발의 피로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은, 충격흡수소재 30 ~ 70 중량%와 EVA 30 ~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5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가교제 0.4 ~ 2.0 중량부, TAC 0.1 ~ 0.5 중량부 및 발포제 4 ~ 1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흡수소재는, 탄성을 낮출 수 있는 소재로써 경도(Shore A) 1 ~ 70인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 isobutyl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이외의 소재는 경도가 높아서 발포체 제조시 딱딱해지며 분자량이 높아 사출성형에 적합하지 않게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소재의 경도가 7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딱딱한 발포체가 제조되고 또한 사출성형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소재의 사용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탄성을 낮추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출성형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EVA는, 경도와 사출성형시 흐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소재로써 VA 함량이 40 ~ 70 중량%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이외의 소재는 경도가 높아서 발포체 제조시 딱딱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EVA(ethylene vinyl acetate)는 신발 등의 발포체용 소재로 이미 널리 사용되는 소재이고, 상기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탄산칼슘, 가교제(펄옥사이드계 가교제 등), TAC(triallyl cyanurate), 발포제(아조디카르본아미드계 발포제 등)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체용 첨가제로써 이러한 기재나 발포체용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해당 조성물의 사용 목적, 용도, 환경 등에 따라 매우 가변적일 수 있고 또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특정 종류나 함량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재 및 발포에용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탄성을 낮출 수 있는 충격흡수소재를 기반으로 경도가 낮은 발포체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하여 발에 쌓인 피로를 빠르게 풀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발포 샌들의 제조
(실시예 1)
충격흡수소재로써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O.E. S1611, Asahi-kasei elastomer) 30 중량%와 EVA(EVA 1540, 한화석유화학)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0 중량부, 스테아린산 1.0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20 중량부를 100℃ 미만의 밀폐형 혼합기(니더)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dicumylperoxide) 0.6 중량부, TAC 0.2 중량부 및 발포제(azodicarbonamide) 2.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압출기에서 압출 후 컷팅하여 펠렛형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IP 사출성형기에서 70~100℃ 온도의 인젝터를 통과한 후 150~180℃로 가열된 금형에 사출 후 120~180kgf/cm2의 압력으로 5~15분간 프레스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 샌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충격흡수소재로써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IBSTAR 062T 및 SIBSTAR 072T, 일본 Kaneka) 70 중량%(SIBSTAR 062T 35중량% + SIBSTAR 072T 35 중량%)와 EVA(EVA 1540, 한화석유화학)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0 중량부, 스테아린산 1.0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20 중량부를 100℃ 미만의 밀폐형 혼합기(니더)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dicumylperoxide) 0.8 중량부, TAC 0.2 중량부 및 발포제(azodicarbonamide) 3.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압출기에서 압출 후 컷팅하여 펠렛형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IP 사출성형기에서 70~100℃ 온도의 인젝터를 통과한 후 150~180℃로 가열된 금형에 사출 후 120~180kgf/cm2의 압력으로 5~15분간 프레스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 샌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충격흡수소재로써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O.E. S1609, Asahi-kasei elastomer) 30 중량%와 EVA(EVA 1540, 한화석유화학)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0 중량부, 스테아린산 1.0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20 중량부를 100℃ 미만의 밀폐형 혼합기(니더)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dicumylperoxide) 0.6 중량부, TAC 0.2 중량부 및 발포제(azodicarbonamide) 2.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압출기에서 압출 후 컷팅하여 펠렛형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IP 사출성형기에서 70~100℃ 온도의 인젝터를 통과한 후 150~180℃로 가열된 금형에 사출 후 120~180kgf/cm2의 압력으로 5~15분간 프레스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 샌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EVA(EVA 1540, 한화석유화학)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0 중량부, 스테아린산 1.0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20 중량부를 100℃ 미만의 밀폐형 혼합기(니더)에서 혼합 후 롤밀에서 가교제(dicumylperoxide) 0.6 중량부, TAC 0.2 중량부 및 발포제(azodicarbonamide) 2.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압출기에서 압출 후 컷팅하여 펠렛형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IP 사출성형기에서 70~100℃ 온도의 인젝터를 통과한 후 150~180℃로 가열된 금형에 사출 후 120~180kgf/cm2의 압력으로 5~15분간 프레스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 샌들을 제조하였다.
2. 발포체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2에 따른 발포체의 경도, 비중, 인장강도, 영구압축줄음율 및 반발탄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
KS M6660에 준하여 쇼어(shore)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비중
KS M6519에 준하여 우에시마(Ueshima)사의 자동비중 측정 장치인 모델DMA-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인장강도
시편을 약 3mm 두께로 만든 후 KS M6518에 따른 2호형을 커터(cutter)로 시험편을 제작하여 KS M6518에 준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4) 영구압축줄음율
발포체를 두께가 10mm가 되도록 절단한 후, 지름이 30±0.05mm인 원기둥 형태로 제조한 시험편을 KS M666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장의 평행금속판 사이에 시험편을 넣고, 시험편 두께의 50%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를 끼운 후 압축시켜 50±0.1℃로 유지되는 오픈에서 6시간 열처리한 후 압축상태를 해제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영구압축줄음율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47525713-pat00001
t0 : 시험편의 초기 두께
tf : 열처리 후 냉각되었을 때 시험편의 두께
tx : 스페이서의 두께
(5) 반발탄성
KS M ISO830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skin off, shore C) 33 30 57 35
비중(Sp.Gr.) 0.23 0.24 0.23 0.25
인장강도 (kgf/cm2) 20 18 24 20
영구압축줄음율
(C/set, %)
55 48 53 59
반발탄성(%) 20 14 20 6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낮은 경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져 발의 피로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신발용(예를 들면, 샌들 등)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발포체용 조성물에 있어서,
    충격흡수소재 30 ~ 70 중량%와 EVA 30 ~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5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가교제인 디큐밀펄옥사이드(dicumylperoxide) 0.4 ~ 2.0 중량부, TAC 0.1 ~ 0.5 중량부 및 발포제인 아조디카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4 ~ 1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흡수소재는, 경도(Shore A) 1 ~ 70인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 isobutyl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이며,
    상기 EVA는, VA 함량이 40 ~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1828A 2017-05-18 2017-05-18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KR10207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28A KR102075716B1 (ko) 2017-05-18 2017-05-18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28A KR102075716B1 (ko) 2017-05-18 2017-05-18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858A KR20180126858A (ko) 2018-11-28
KR102075716B1 true KR102075716B1 (ko) 2020-02-10

Family

ID=645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828A KR102075716B1 (ko) 2017-05-18 2017-05-18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116A (ko) 1996-11-08 2000-08-25 네바드 에드워드 죤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DE19721220C1 (de) 1997-05-21 1998-08-2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chen bis halbharten Polyurethanintegralschaumstoffen
KR100512356B1 (ko) * 2003-03-18 2005-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이용한 산업용 발포체
JP2010512439A (ja) 2006-12-11 2010-04-2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090060520A (ko) * 2007-12-10 2009-06-15 윤정식 저비중 충격흡수성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0028B1 (ko) * 2008-08-29 2010-09-03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 산업용 발포체 조성물
KR20110115763A (ko) * 2010-04-16 2011-10-24 한국신발피혁연구소 형상 변화가 용이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용 발포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858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677B1 (ko) 마사이워킹 신발 중창의 소프트 감지체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조성물
TW201704339A (zh) 熱塑性聚氨酯複合材組成物、熱塑性聚氨酯複合材及其製備方法、鞋材以及穿戴式裝置
KR101566947B1 (ko) 발포 인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인솔 제조방법
KR101104252B1 (ko) 비자외선 접착이 가능한 신발 중창용 발포체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중창용 발포체의 제조방법
CN108774378B (zh) 一种高弹缓震橡塑材料、缓震高弹鞋底及其制备工艺
KR100980028B1 (ko)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 산업용 발포체 조성물
KR20170129409A (ko)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KR100931028B1 (ko)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신발 중창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100120469A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206348B1 (ko)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76523A (zh) 一种耐寒性微孔结构的海绵橡胶及其制备方法
KR102075716B1 (ko) 낮은 경도 및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용 조성물
KR101875883B1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CN113197392A (zh) 一种石墨烯透气鞋垫
KR100695401B1 (ko) 신발창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신발창 제조용 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신발창용 스펀지
KR101594016B1 (ko) 신발창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발창
KR100575604B1 (ko) 생분해성 신발중창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2987B1 (ko) 내마모성과 내슬립성이 향상된 신발 겉창용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KR102013905B1 (ko) 개선된 cmp 공정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63151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KR100354425B1 (ko) 신발용 충격 흡수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4466A (ko) 반발탄성이 우수한 슬리퍼용 발포체 조성물
KR20110115763A (ko) 형상 변화가 용이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용 발포창
JPWO2019150491A1 (ja) 靴底用部材及び靴
KR101020089B1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초저비중 형상기억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0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28

Effective date: 2019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