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157B1 -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157B1
KR100511157B1 KR10-2002-0044364A KR20020044364A KR100511157B1 KR 100511157 B1 KR100511157 B1 KR 100511157B1 KR 20020044364 A KR20020044364 A KR 20020044364A KR 100511157 B1 KR100511157 B1 KR 10051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mold
parts
weight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479A (ko
Inventor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이태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룡 filed Critical 이태룡
Priority to KR10-2002-004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1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4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B30B15/064Press plat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2Trays made of pressed material, e.g. paper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2Pretreatment of the raw material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6Dry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16Special fibre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을 운반, 저장하기 위한 난좌(卵座)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르말린을 펄프와 함께 혼합, 성형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함으로써 계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펄프몰드 난좌 제조공정의 펄핑단계에서 혼합하는 주원료는 펄프와 토르말린으로 구성되어 있되 각각의 비율이 펄프 85~99중량부에 대하여 토르말린 1~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Far Infrared Ray Emitting Egg Tr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계란을 운반, 저장하기 위한 난좌(卵座)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르말린을 펄프와 함께 혼합, 성형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계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의 유통과정 중에 계란이 파손되지 않도록 종이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난좌에 계란을 담아서 운반 및 저장하고 있으며, 난좌를 종이재질로 제조할 때에는 보통 펄프몰드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펄프몰드란 물과 펄프와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만든 펄프 슬러리를 다양한 형태의 금형(몰드)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만든 성형품으로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의 입체성형이 가능하며 완충력과 내하중성이 뛰어나고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계란의 운반, 저장을 위한 난좌의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펄프몰드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도포하여 원적외선을 계란에 조사시키는 것을 통해 계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난좌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으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는 황토, 맥반석, 참숯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한 황토가 선호되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난좌(9')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펄프몰드(10')로 난좌를 제조하고 그 위에 황토를 도포하여 황토층(11)을 형성한 것으로서 운반, 저장 중에 들어올리거나 쌓아놓는 과정에서 휨현상이 발생하여 펄프몰드(10') 표면의 황토에 균열이 생기거나 떨어져 나가며 작업자의 의복 혹은 계란의 표면에 묻어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도포된 황토층(11)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원적외선을 고르게 방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완성된 펄프몰드(10')에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황토층(11)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에 비해 방사율이 우수하고 방사에너지가 높으며 원적외선과 함께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계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고 계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제거하며 운반, 저장 중에 방사물질이 떨어지거나 묻어나지 않도록 하고 제조과정을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펄프몰드 난좌의 제조과정 중 펄핑단계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토르말린을 펄프와 함께 혼합하도록 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토르말린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등으로 조성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그 효율이 우수하여 방사율이 92~93%의 값을 가지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명 전기석으로도 불리는 물질로서 양전극에서 음이온을 흡수하고 음전극에서 음이온을 방출하여 0.06mA의 전류를 영구적으로 생성하며 이 전류를 공기 중의 수분에 순간적으로 방전시켜 다량의 음이온을 만든다. 이와 같은 토르말린 고유의 성질은 종래 원적외선 방출물질로 알려졌던 황토, 맥반석, 참숯등에서 찾아볼 수 없던 것이거나 종래 물질의 특성을 월등히 뛰어넘는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토르말린으로부터 방사되는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펄프몰드 난좌 제조방법은 주원료와 첨가제와 물을 혼합하여 펄프 슬러리(7)를 만드는 펄핑단계(1)와, 상기 펄핑단계(1)에서 만들어진 펄프 슬러리(7)를 난좌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2)와, 상기 성형단계(2)에서 성형된 난좌(9)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건조단계(3)로 구성되어 있다.
펄핑단계(1)는 펄퍼(Pulper)(4)에 펄프와 토르말린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주원료와 펄프몰드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하는 첨가제와 물을 투입하여 고해(叩解;Beating)함으로써 펄프 슬러리(7)를 만드는 단계이다. 고해란 펄프를 그대로 펄프몰드로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알맞은 물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섬유에 기계적 처리를 하는 것을 말하며, 펄퍼(4)를 써서 펄프를 물에 풀어 필요로 하는 물성을 가지도록 만드는 작업이다. 펄퍼(4)는 펄프의 긴 섬유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눌러서 으깨는 방법 등으로 펄프를 콜로이드화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상기 주원료는 펄프 85~99중량부와 토르말린 1~15중량부를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토르말린은 100~500매쉬 정도의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혼합하게 된다. 펄프의 양에 대하여 토르말린의 비율이 높을수록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양이 많아지지만 토르말린 15중량부를 넘게되면 종이재질 특유의 탄성을 잃어버리므로 완성된 펄프몰드가 충격에 약하게 되어 쉽게 부서지고 계란에 토르말린 가루가 묻어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5중량부 이하의 토르말린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송진 등 결속응집제를 첨가하여 토르말린 첨가에 따른 펄프몰드 난좌의 물성과 작업성의 불량을 보완할 수 있다. 토르말린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을 뿐 아니라 황토나 맥반석 등 종래 원적외선과 소량의 음이온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사물질보다 방사되는 음이온이 월등히 많아서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어 난좌의 성형성과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펄프 97~99중량부와 토르말린 1~3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펄프몰드에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거나 물성을 증진시키고, 그밖의 필요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펄프와 토르말린을 혼합한 주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6중량부 첨가되는 각종 약품들로서 이물질 제거제와 결속응집제와 제품방수제와 중화제와 염료 및 안료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주원료에 포함된 섬유질의 결속력을 약화시켜 손쉽게 고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첨가제의 용매로 작용하는 것으로 주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2400~99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펄프 슬러리(7)는 필요에 따라 임시저장탱크에 저장해 두거나 물을 가감하여 펄프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첨가제를 추가하는 등의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성형단계(2)는 펄퍼(4)에서 만들어진 펄프 슬러리(7)를 성형탱크(5) 내부에 구비된 금형(8)(8')으로 가압하여 난좌의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형(8)(8')은 통상적으로 완성된 펄프몰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면을 가지며 그 성형면에 펄프 성분을 흡착시킴으로써 성형된다. 흡착된 펄프 성분이 금형(8)(8') 상에서 이형(離型)되어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수분 함유율이 되도록 흡착한 후에,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고 건조로(6)로 옮겨지게 된다.
건조단계(3)는 성형단계(2)에서 형성된 난좌(9)를 건조로(6)로 이송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건조방식에는 열금형 건조방식과 열풍 건조방식이 있으며 1회 건조만으로 제품을 완성할 수도 있고 같은 건조방식 혹은 서로 다른 건조방식을 적절히 조합하여 2회 이상의 건조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상기 열금형 건조방식은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지 않고 금형(8)(8') 자체를 약 200~250℃ 정도로 가열하면서 건조하는 방식이고, 열풍 건조방식은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거나 이형시키지 않은 상태로 건조로의 내부에 넣어 별도의 히터로 120~200℃ 정도의 열풍을 불어넣어 건조하는 방식이다.
건조단계(3)를 거쳐 완성된 난좌(9)는 필요에 따라 재가열 성형공정이나 인쇄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좌(9)는 도 2와 같이 펄프몰드(10)의 내부에 소량의 토르말린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므로 종이 특유의 탄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토르말린이 외부에 묻어나지 않으면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난좌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계란껍질에 투사되어 내용물의 분자를 진동시켜 생체효과를 가져오게 하고 공명 흡수 현상으로 물분자가 활성화 되어 용존 산소를 활성화시켜 박테리아 침투를 억제하므로 계란에 오염되기 쉬운 살모넬라균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계란의 부패를 방지하여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시켜 준다. 뿐만 아니라 토르말린에서 나오는 음이온은 물질의 양이온을 중화시켜 냄새를 제거하므로 계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제거해 주게 된다.
토르말린은 종래에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사용되던 황토에 비하여 표 1과 같은 우수한 물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토르말린을 혼합한 경우에는 황토를 혼합하였을 때보다 방사율이 약 1.5% 증가하고 방사에너지가 약 20% 증가하며, 방출되는 음이온 수는 두 배 가량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표 1>
방사율 (%) 방사에너지 (W/㎡·㎛) 음이온수 (/cc)
황토 91.3 325 186
토르말린 92.7 373 326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함으로써 계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계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제거하며 토르말린이 떨어지거나 묻어나지 않고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황토를 도포하거나 혼합하였을 때보다 월등히 많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펄프몰드 난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펄프몰드 난좌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황토가 도포된 펄프몰드 난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펄핑단계 2. 성형단계
3. 건조단계 4. 펄퍼
5. 성형탱크 6. 건조로
7. 펄프 슬러리 8,8'. 금형
9,9'. 난좌 10,10'. 펄프몰드
11. 황토층

Claims (4)

  1. 펄프와 토르말린과 물과 첨가제를 혼합하는 펄핑단계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로 이루어진 펄프몰드 난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펄퍼(Pulper)(4)에 펄프 85~94 중량부와 100~500 매쉬 정도로 분쇄된 토르말린 6~15중량부를 혼합한 주원료와 상기 주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2400~9900중량부의 물을 투입 고해하여 펄프 슬러리(7)를 제조하는 펄핑단계(1)와, 상기 펄프 슬러리(7)를 성형탱크(5) 내부에 구비된 금형(8)(8')으로 가압하여 난좌의 모양을 형성하는 성형단계(2)와,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지 않고 금형(8)(8') 자체를 200~250℃ 정도로 가열하거나 또는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거나 이형시키지 않은 상태로 별도의 히터로 120~200℃ 정도의 열풍을 불어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 난좌의 제조방법.
  2. 삭제
  3. 펄프와 토르말린과 물과 첨가제를 혼합하는 펄핑단계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로 이루어진 펄프몰드 난좌에 있어서, 펄퍼(Pulper)(4)에 펄프 85~94 중량부와 100~500 매쉬 정도로 분쇄된 토르말린 6~15중량부를 혼합한 주원료와 상기 주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2400~9900중량부의 물을 투입 고해하여 펄프 슬러리(7)를 제조하는 펄핑단계(1)와, 상기 펄프 슬러리(7)를 성형탱크(5) 내부에 구비된 금형(8)(8')으로 가압하여 난좌의 모양을 형성하는 성형단계(2)와,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지 않고 금형(8)(8') 자체를 200~250℃ 정도로 가열하거나 또는 성형된 난좌(9)를 금형(8)(8')으로부터 이형시키거나 이형시키지 않은 상태로 별도의 히터로 120~200℃ 정도의 열풍을 불어 넣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3)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 난좌.
  4. 삭제
KR10-2002-0044364A 2002-07-26 2002-07-26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KR10051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64A KR100511157B1 (ko) 2002-07-26 2002-07-26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64A KR100511157B1 (ko) 2002-07-26 2002-07-26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79A KR20020068479A (ko) 2002-08-27
KR100511157B1 true KR100511157B1 (ko) 2005-08-31

Family

ID=277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364A KR100511157B1 (ko) 2002-07-26 2002-07-26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68B1 (ko) 2006-04-25 2007-07-24 주식회사 지엔텍 방수성의 펄프 난좌 및 그 제조방법
KR100764840B1 (ko) 2006-03-21 2007-10-12 (주)그린 엔바이론텍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난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34B1 (ko) * 2002-04-11 2006-03-15 주식회사 이엔-텍 펄프 몰드를 이용한 난좌(卵座)의 제조방법
KR100481998B1 (ko) * 2002-07-29 2005-04-15 (주)케이티넥스트 기능성 계란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991A (ja) * 1996-11-22 1998-06-16 Kishu Seishi Kk 農業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6602A (ko) * 1996-12-13 1998-09-15 노암 난좌를 내장한 계란상자
JP2000119987A (ja) * 1998-10-12 2000-04-25 Seimei Energy Kogyo Kk トルマリン微粒子含有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73913A (ko) * 2001-03-16 2002-09-28 김용훈 원적외선 방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0880A (ko) * 2002-04-11 2003-10-17 장재석 펄프 몰드를 이용한 난좌(卵座)의 제조방법
KR100406844B1 (ko) * 1999-12-29 2003-11-21 나가다 도미요 목초분말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991A (ja) * 1996-11-22 1998-06-16 Kishu Seishi Kk 農業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6602A (ko) * 1996-12-13 1998-09-15 노암 난좌를 내장한 계란상자
JP2000119987A (ja) * 1998-10-12 2000-04-25 Seimei Energy Kogyo Kk トルマリン微粒子含有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6844B1 (ko) * 1999-12-29 2003-11-21 나가다 도미요 목초분말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3913A (ko) * 2001-03-16 2002-09-28 김용훈 원적외선 방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0880A (ko) * 2002-04-11 2003-10-17 장재석 펄프 몰드를 이용한 난좌(卵座)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40B1 (ko) 2006-03-21 2007-10-12 (주)그린 엔바이론텍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난좌 및 그 제조방법
KR100741868B1 (ko) 2006-04-25 2007-07-24 주식회사 지엔텍 방수성의 펄프 난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79A (k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1089B (zh) 抗菌防霉的瓦楞纸及其制备方法
KR100511157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펄프몰드 난좌 및 제조방법
US2380214A (en) Activated filler and process of making same
ES2078436T3 (es) Material de carga modificado con un polimero cationico,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y procedimiento para su uso en la fabricacion de papel.
KR101508905B1 (ko) 대마사 제조 방법
KR20200098879A (ko) 펄프 몰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672337B1 (ko) 유약의 제조방법
KR101420649B1 (ko) 천연 펄프 보드의 제조 방법
KR101571356B1 (ko) 모려분을 함유한 세라믹 제조방법
KR100835249B1 (ko)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US20190002343A1 (en) Method of fabrication of a lightweight aggregate and product formed from paper mill sludge
KR101101449B1 (ko) 종이 성형물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종이성형물, 및 상기 종이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2284902B1 (ko) 내부에 탄화층이 형성된 황토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49312B1 (ko) 친환경 천연펄프 방염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796680A (zh) 一种仿纸包装箱板用的复合材料、仿纸包装箱板及其制备方法
KR102131064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KR100972065B1 (ko) 폐지를 이용한 난좌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279858B1 (ko) 폐섬유와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9227849A (zh) 一种基于废弃木材制备的环保型木地板
KR100823101B1 (ko)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색상 마닐라 판지 제조방법과 그마닐라 판지
KR100491393B1 (ko) 폐지를 이용한 성형제품 제조방법
JP2002293980A (ja) 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45514A (ko)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0958A (ko) 생분해성 식품 용기
TWI739132B (zh) 一種線材製造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