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881B1 -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881B1
KR100510881B1 KR10-2002-0064957A KR20020064957A KR100510881B1 KR 100510881 B1 KR100510881 B1 KR 100510881B1 KR 20020064957 A KR20020064957 A KR 20020064957A KR 100510881 B1 KR100510881 B1 KR 10051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catalyst
mixing
foaming
lique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144A (ko
Inventor
공영토
도금현
강인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2-006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8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3Agglomerating foam fragments, e.g. waste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으로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다가알콜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폐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다가알콜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하는 단계와, (b) 전기 (a)단계의 액화된 발포재를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폴리올을 소정비율로 혼합한 것에 통상적인 정포제, 발포촉매를 혼합하여 1차 교반하는 단계, 및 (c)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2차 교반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액화하여 통상적인 폴리우레탄발포재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활용하므로 소각이나 매립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Liquidizing Method of Waste Polyurethane Foam Member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id Members Using Said Liquidized Products}
본 발명은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방법으로 액화된 발포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폴리우레탄 발포재는 제조공정상 제품의 불량률이 5∼7% 정도 발생되고 있으며, 시중에 액자틀, 가구용 알판 등 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발포재는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에,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는 달리 열에 의해 녹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들을 폐기할 때에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의 폐기처리와 같이 당국의 허가를 받아 소각처리 하거나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으며, 이와 유사한 기술로는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액화목재 제조방법(특허 제 173442호)과 액화목재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 제조방법(특허 제 239218호)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목재 및 목질재료를 원료로 하여 목재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제조하는 기술이며, 폐기 또는 불량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재활용하는 기술은 아니다.
현재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폐기는 소각 또는 매립에 의한 처리에만 의존되고 있다. 그러나 소각 또는 매립 방법은 유해가스의 발생에 의한 대기오염이나, 토양 및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여 오던 중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액화하고, 이를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원료가 되는 폴리올을 대체하는 경우 대체에 따른 원가절감효과는 물론 소각 또는 매립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여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대체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을 액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절감효과는 물론 소각 또는 매립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액화된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폐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으로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다가알콜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용매 중 다가알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바람직하게는 평균분자량 400~1,000), 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가능한 촉매로는 황산, 염산 등의 다양한 무기산 및 염화철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화수율의 면에서 황산을 사용한다.
상기 폐폴리우레탄발포재를 상기 선택된 용매 중에 바람직하기로 폐기폴리우레탄 발포재의 2~3배 중량의 용매를 투입하고 적량의 촉매(바람직하게는 용매 중량의 1~2%)를 가하여 100∼150℃하에 바람직하기로는 2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0∼40분 액화시켜 액화폴리우레탄발포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위한 장치로는 스테인레스 용기에 의한 고압반응기 또는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반응기에 의한 상압반응기 등의 공지의 제조장치가 이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폐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다가알콜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하는 단계와,
(b) 전기 (a)단계의 액화된 발포재를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폴리올을 소정비율로 혼합한 것에 통상적인 정포제, 발포촉매를 혼합하여 1차 교반하는 단계, 및
(c)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2차 교반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b)는 액화된 발포재 단독 또는 발포재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혼합하여 공지의 정포재, 예를 들면 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코폴리머와 공지의 발포촉매로 예를 들면 1.4-디아자(2,2,2)비시클로옥탄 등을 적량 혼합하여 1차 교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c)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적량 혼합하여 2차 교반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발포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불량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약 20mm 정도가 되게 절단하였다(다만 절편의 크기는 액체화 작업에 용이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적의 선택될 사항으로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아니한다). 잘게 절단된 폴리우레탄 발포재 260g과 프로필렌카보네이트(BASF사, 끓는점 240~243℃) 520g 및 촉매로 염화철 20g(시약일급)을 환류냉각기와 온도계가 부착된 4ℓ용 삼구플라스크에 넣고 100℃에서 60분간 반응시켜 흑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그런 다음, 100메쉬의 그물에 통과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재 액화물을 얻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크기의 불량 폴리우레탄 발포재 350g과 프로필렌카보네이트 700g 및 촉매로 황산(시약일급) 10㎖를 환류냉각기와 온도계가 부착된 4ℓ용 삼구플라스크에 넣고 100℃에서 30분간 반응시켜 흑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그런 다음, 100메쉬의 그물에 통과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재 액화물을 얻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크기의 불량 폴리우레탄 발포재 2g과 페놀 5㎖ 및 촉매로 황산(시약일급) 0.1㎖를 스테인레스 내압용기에 넣고 뚜껑을 닫은 후 150℃에서 30분간 반응시켜 흑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G4 규격의 글래스필터로 상기 액체를 흡인 여과시켜 액상의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크기의 불량 폴리우레탄 발포재 2g과 폴리에틸렌글리콜(DAEJUNG, 분자량 400) 100g에 에틸렌글리콜(DAEJUNG) 50g의 비율로 혼합한 다가알콜류의 용매 6g 및 촉매로 황산(시약일급) 0.1㎖를 스테인레스 내압용기에 넣고 뚜껑을 닫은 후 150℃에서 40분간 반응시켜 흑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G4 규격의 글래스필터로 상기 액체를 흡인 여과시켜 액상의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폐 PU*1 (g) 260 350 2 2
용매혼합액량
- 프로필렌카보네이트(g) 520 700
- 페놀(㎖) 5
- 다가알콜(g) 6
촉매 량
- 염화철(g) 20
- 황산 (㎖) 10 0.1 0.1
반응온도(℃) 100 100 150 150
반응시간(분) 60 30 30 40
반응기(장치) 환류냉각기 부착 반응기 환류냉각기 부착 반응기 스테인레스 내압용기 스테인레스 내압용기
액화수율(%) 90 이상 90이상 95 이상 90 이상
*1 폐 PU : 폐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2, 3, 4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물을 단독으로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재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올을 적정비율 혼합하고, 통상의 폴리우레탄 발포재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와 발포촉매를 혼합한 후 1차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교반하여 발포시켰다. 혼합과 교반이 시작된 후 1분내에 수지화 공정이 종료되고 발포하기 시작하였다. 상세한 발포조건과 제조된 발포재의 밀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때 제조된 폴리우레탄발포재의 시제품은 도 1과 같다.
<표 2>
실험 번호 발 포 조 건 밀 도(g/㎤)
폐PU액화물*1 (g) polyol*2 (g) 정포제*3 (g) 촉 매*4 (g) MDI*5 (g)
1 2 3 20 20 20 - - - 0.3 0.3 0.3 0.3 0.3 0.3 20 22 24 0.056 0.058 0.057
4 5 6 15 15 15 5 5 5 0.3 0.3 0.3 0.3 0.3 0.3 20 22 24 0.059 0.059 0.063
7 8 9 10 10 10 10 10 10 0.3 0.3 0.3 0.3 0.3 0.3 20 22 24 0.058 0.057 0.056
10 11 12 5 5 5 15 15 15 0.3 0.3 0.3 0.3 0.3 0.3 20 22 24 0.049 0.052 0.050
* 1 폐 PU 액화물 : 페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물
* 2 polyol : 폴리프로필렌글리콜
* 3 정포제 : 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코폴리머
* 4 촉매 : 1,4-디아자(2,2,2)비시클로옥탄(DABCO33-LV)
* 5 MDI :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액화하여 통상적인 폴리우레탄발포재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활용하므로 소각이나 매립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불량 또는 폐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액체화한 후 이를 원료로 제조된 재생 폴리우레탄 발포재

Claims (6)

  1. 폐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에 있어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의 2:1 혼합물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황산, 염산을 포함하는 무기산 또는 염화철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3. 삭제
  4.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폐폴리우레탄발포재를 용매인 페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의 2:1 혼합물에 투입하고 소정 촉매의 존재하에 100∼150℃에서 반응시켜 액화하는 단계와,
    (b) 전기 (a)단계의 액화된 발포재를 단독으로 또는 폴리올을 소정 비율로 혼합한 것에 정포제, 발포촉매를 혼합하여 1차 교반하는 단계; 및
    (c)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2차 교반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촉매는
    황산 또는 염산을 포함하는 무기산 또는 염화철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2-0064957A 2002-10-23 2002-10-23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KR10051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57A KR100510881B1 (ko) 2002-10-23 2002-10-23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57A KR100510881B1 (ko) 2002-10-23 2002-10-23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44A KR20040036144A (ko) 2004-04-30
KR100510881B1 true KR100510881B1 (ko) 2005-08-25

Family

ID=3733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957A KR100510881B1 (ko) 2002-10-23 2002-10-23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1Y1 (ko) * 2008-04-18 2010-06-30 김민성 보안경을 포함하는 헬멧
WO2014138827A1 (pt) * 2013-03-11 2014-09-18 Vivan Gilceu Antonio Processo para fabricação de placas de sinalização viária com resíduos de poliuretano prensado
KR101583510B1 (ko) * 2014-10-22 2016-01-08 이성훈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PL3440128T3 (pl) * 2016-04-05 2022-02-21 Composite Tech Holdings Limited Recykling kompozytu matrycy polimerowej
KR102377611B1 (ko) * 2021-09-07 2022-03-22 동세철 폴리우레탄 섬유 제조 시 발생되는 폐수지를 재생하여 합성한 내한 굴곡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재생 바이오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910A (ko) * 1986-08-27 1988-05-12 리챠드 지. 워터맨 이작용성 폴리올 및 mdi-기본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910000840A (ko) * 1989-06-06 1991-01-30 야마구찌 도시아끼 경질 폴리우레탄포움의 제조방법
KR910004697A (ko) * 1989-08-26 1991-03-29 클라우스 대너, 요아힘 그렘 액상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를 위한 이의 용도
KR940011545A (ko) * 1992-11-25 1994-06-21 이대우 물접촉 팽창성 액상 고무
JPH07126430A (ja) * 1993-10-29 1995-05-16 Showa Highpolymer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液状化方法
WO1996005002A1 (fr) * 1994-08-15 1996-02-22 Shinmaywa Industries,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dechets contenant des metaux lourds
KR19980032323A (ko) * 1996-10-08 1998-07-25 전종한 폐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재생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재생 폴리올로부터 단열 특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910A (ko) * 1986-08-27 1988-05-12 리챠드 지. 워터맨 이작용성 폴리올 및 mdi-기본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910000840A (ko) * 1989-06-06 1991-01-30 야마구찌 도시아끼 경질 폴리우레탄포움의 제조방법
KR910004697A (ko) * 1989-08-26 1991-03-29 클라우스 대너, 요아힘 그렘 액상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를 위한 이의 용도
KR940011545A (ko) * 1992-11-25 1994-06-21 이대우 물접촉 팽창성 액상 고무
JPH07126430A (ja) * 1993-10-29 1995-05-16 Showa Highpolymer Co Ltd 廃プラスチックの液状化方法
WO1996005002A1 (fr) * 1994-08-15 1996-02-22 Shinmaywa Industries,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dechets contenant des metaux lourds
KR19980032323A (ko) * 1996-10-08 1998-07-25 전종한 폐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재생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재생 폴리올로부터 단열 특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44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7237A (en) Hydrophobic polyurethane foams, their manufacture and use
Wu et al. Glycolysis of rigid polyurethane from waste refrigerators
US4110266A (en) Process for converting the decomposition products of polyurethane and novel compositions thereby obtained
CA1102481A (en) Dissolution of polyurethane foams and re-use of the products therefrom
Ulrich et al. Recycling of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
US6069182A (en) Recycling of plastic waste containing a mixture of polyurethanes with other plastics
CA2015820A1 (en) Density reduction i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US5300530A (en) Process for modifying the glycolysis reaction product of polyurethane scrap
US4336406A (en) Polyol extraction by high boiling alkanes
US4316992A (en) Process for polyol recovery from polyurethane foam comprising alcohol and steam hydrolysis
Simioni et al. Polyol recovery from rigid polyurethane waste
US4317939A (en) Catalyzed dissolution-hydrolysis of polyurethane wastes
KR100510881B1 (ko)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EP0093247A1 (en) Polyisocyanurate foams from digestion products of polyalkylene terephthalate polymers and polyols
US20210214518A1 (en) Improved method of recycling polyurethane materials
JP2000505125A (ja) ポリウレタン分解生成物を加水分解するための方法
Alavi Nikje et al. Glycerin as a new glycolysing agent for chemical recycling of cold cure polyurethane foam wastes in “split-phase” condition
Nikje Recycling of polyurethane wastes
Alavi Nikje et al. Microwave assisted “split-phase” glycolysis of polyurethane flexible foam wastes
AU655932B2 (en) Reclaiming of foam off-cuts and/or waste foam
KR101164382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폐기물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올의 제조방법
WO2005042135A2 (en) A method for recycling polyurethane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olyurethane
DE3810428C2 (de)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flüchtigen Halogenkohlenwasserstoffen aus geschlossenzelligen Polyisocyanat-Polyadditionsprodukten
EP0990674B1 (en) Method for decomposition and recovery of polyurethane resin
KR20020034654A (ko) 해중합 폴리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