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147B1 -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147B1
KR100509147B1 KR1020040019367A KR20040019367A KR100509147B1 KR 100509147 B1 KR100509147 B1 KR 100509147B1 KR 1020040019367 A KR1020040019367 A KR 1020040019367A KR 20040019367 A KR20040019367 A KR 20040019367A KR 100509147 B1 KR100509147 B1 KR 10050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ddle
tray
movable bracke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4001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프린터에 구비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작업을 마친 용지를 조그에 의해 용지트레이로 강제 낙하시키고, 용지를 패들의 회전에 의해 정렬시키며 상기 패들은 용지매수에 따라 용지에 가하는 압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 완료된 용지가 배지되는 용지트레이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으로 배지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로 배지되는 용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브라켓; 상기 가동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에 따라 용지트레이 상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패들; 상기 패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패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동브라켓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을 패들을 통해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Apparatus for aligning paper of printing system}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프린터에 구비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작업을 마친 용지를 조그에 의해 용지트레이로 강제 낙하시키고, 낙하된 용지를 패들의 회전에 의해 정렬시키며 용지의 매수에 따라 용지에 가해지는 패들의 압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등의 인쇄기기에 구비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는 스테이플링 또는 펀칭 등의 마무리 작업을 하기 바로 직전의 단계에서 인쇄된 용지들을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경우, 인쇄기기 본체 내에서 인쇄작업이 완료된 용지가 용지 가이드를 통해 배지된 후 용지트레이(4) 상에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고, 낙하된 용지는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무 패들기구에 의해 용지정렬단(4)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용지는 그 선단부가 상기 용지정렬단(4)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 즉 완전히 정렬이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용지를 상기 용지정렬단(4)에 정렬시키기 위해 추가로 한 쌍의 배지롤러(1)에 걸쳐 구동되는 벨트(6)에 의해 용지가 전진되어 상기 용지정렬단(4)에 밀착된 상태로 정렬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는 인쇄작업을 마친 용지가 용지정렬단(4)으로 이동될 때, 자유낙하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그 이송속도가 느릴수 밖에 없어 고속이 요구되는 인쇄기구에서는 그 성능제한으로 인한 불만족을 유발하고, 또한 벨트(6)와 배지롤러(1)가 용지가 적층된 두께에 상관없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되므로 적층된 용지의 두께에 따른 반발력으로 인해 용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용지정렬단으로 이송시 강제낙하시키기 위한 페이퍼조그를 구비하여 인쇄기구를 고속화하고, 용지트레이에 놓여진 용지의 두께에 따라 용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패들을 구비하여 부품의 수명증대를 통한 유지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 완료된 용지가 배지되는 용지트레이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으로 배지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로 배지되는 용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브라켓; 상기 가동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에 따라 용지트레이 상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패들; 상기 패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패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동브라켓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을 패들을 통해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구간 반복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에서 배지되는 용지를 상기 용지트레이로 강제낙하시키는 페이퍼조그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패들의 용지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된 마찰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지트레이는 상기 용지정렬단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져 용지의 정렬을 보조한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는 쌍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가이드(10, 20)를 따라 이송되며, 용지(170)가 상기 가이드(10, 20)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상기 용지(170)의 일부를 페이퍼조그(110)가 회전하면서 아래방향, 즉 용지트레이(150) 위로 강제낙하시키고, 상기 용지트레이(150) 상에 적층된 용지(170)를 용지정렬단(160)으로 재이송하기 위해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용지(170)와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용지(170)를 상기 용지정렬단(160)으로 재이송시키는 패들(60)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패들(60)은 가동브라켓(70)에 결합되어 상기 용지트레이(150)의 회전에 따라 용지(170)에 가하는 압력이 달라진다. 즉, 상기 가동브라켓(70)은 상기 용지트레이(150)에 적층되는 용지(170)의 매수에 따라 상기 패들(60)에 가해지는 부하가 달라지므로 상기 패들(60)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8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회전되어 제2구동모터(8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인다.
상기 패들(60)은 상기 가동브라켓(70)에 그 중심부가 결합되고 일정길이의 복수의 팔을 가진 형상으로, 상기 패들(60)의 용지(170)와 접촉되는 부위, 즉 패들(60)의 단부에는 용지(17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력 증가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마찰력 증가부재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들(6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용지(170)와 접촉됨으로 상기 용지(170)를 용지정렬단(160)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패들(60)과 용지(17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는, 상기 패들(60)을 고무재질로 만들어 용지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패들(60)에 고무 재질의 부재를 덧붙여 용지(170)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방안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용지(170)의 가이드(10, 20)를 통한 배지작업을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10, 20)의 입구 근방에 제1구동모터(30)가 설치되어 배지롤러(40)를 구동시켜 용지를 배지시킨다.
상기 페이퍼조그(110)는 상기 가이드(10, 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10, 20)에서 배출되는 용지(170)를 하방으로 강제낙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조그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모터(이하, 제3구동모터라 함)(130)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3구동모터(130)와 페이퍼조그(110)는 기어열(140)로 연결되어, 상기 제3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이 상기 페이퍼조그(110)에 전달되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소정 범위 내에서 용지(170) 1매당 1회 왕복구동된다. 상기 페이퍼조그(110)의 용지 강제낙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용지(170)가 용지트레이(150)로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되므로 고속 인쇄에 따른 고속 배지가 가능하다.
도4 내지 도10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용지 강제 낙하 및 정렬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0, 20)를 거쳐 이송된 용지(170)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10, 20)를 이탈해서 도5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용지(170)가 상기 가이드(10, 20)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페이퍼조그(110)가 회전되어 상기 용지(170)를 아래 방향, 즉 상기 용지트레이(150)로 강제 낙하시킨다. 이 때, 상기 페이퍼조그(110)는 제3구동모터(130)에 의해 구동되고, 조그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소정 각만큼 회전된다. 상기 용지트레이(150)로 용지(170)가 강제낙하된 후, 상기 페이퍼조그(110)는 원위치되고 상기 용지트레이(150) 상에 놓여진 용지(170)를 용지정렬단(160)으로 재이송하기 위해 패들(60)이 구동된다. 상기 패들(60)은 상기 패들(60)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이하, 제2구동모터라 함)(80)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8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그 팔의 단부가 용지(170)와 접촉되어 상기 용지정렬단(160)으로 용지(170)를 이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패들(60)은 복수의 팔을 구비하고 있어, 그 회전에 따라 연속적인 용지이송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가동브라켓(70)의 회전중심부에는 비틀림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기 용지트레이(150)에 적층된 용지(170)의 매수에 따라 용지(170)를 용지정렬단(16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가이드(10, 20)에서 이탈된 용지(170)가 페이퍼조그(110)에 의해 용지트레이(150)로 강제낙하되고, 다시 패들(60)의 동작에 의해 용지정렬단(160)으로 재이송된다.
도11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용지정렬 반복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도11은 상기 용지트레이(150)에 적층된 다수의 용지(170)를 용지정렬단(160)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상기 가동브라켓(70)은 적층된 다수의 용지(17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패들(60)이 가지는 이송력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패들(60)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80)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모터의 사용기간이 증대된다.
도12 및 도13은 각각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패들 및 가동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제2구동모터(8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패들(60)은 패들샤프트(100)에 그 회전중심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패들기어열(90)을 매개로 상기 제2구동모터(80)에 연결된다. 상기 패들기어열(90)은 상기 패들샤프트(100)가 회전 중에 부하변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브라켓(7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트레이(150)에 적층된 용지(17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가동브라켓(70)은 상방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패들샤프트(100) 및 패들(60)도 상기 용지트레이(150)의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용지(170)를 이송시킨다.
도14 내지 도16는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패들의 구동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용지(170)의 적층두께에 따른 가동브라켓(70)의 회전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14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70) 매수의 증가에 따라 부하 변동으로 상기 가동브라켓(70)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동브라켓(70)에 결합된 패들(60) 및 패들샤프트(100)도 함께 회전된다. 실제의 패들(60)의 이송력은 상기 비틀림스프링(50)과 패들(60)의 형상 등에 의해 결정되며, 다수의 실험을 통한 최적값을 계산하게 된다.
도17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페이퍼조그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용지정렬단(160)에 낙하된 다수의 용지(170)를 스테이플링하기 위해 상기 페이퍼조그(11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17을 참조하면, 일정 매수의 용지(170)가 상기 용지트레이(150)에 낙하된 후, 스테이플러(180)에 의한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 용지(170) 상이나 용지트레이(150) 상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손 등이 유입되게 되면 기계의 손상이나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퍼조그(110)의 낙하동작을 이용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페이퍼조그(110)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낙하되지 않으면 스테이플링 작업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용지(170)가 소정 매수, 통상 100매 정도까지의 정렬작업이 수행된 후, 스테이플링 작업 등의 마무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사람의 손 등이 용지 상에 유입되면 상기 페이퍼조그(110)는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완전히 낙하될 수 없고 사람의 손 등과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 상기 페이퍼조그(110)에 구비된 스위치(190)에서는 계속적으로 오프 동작의 신호를 발생시켜 스테이플링 작업이 진행되지 않게 하고, 사람의 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페이퍼조그(110)가 설정된 위치까지 낙하하게 되면 온 동작의 신호를 발생시켜 스테이플링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90)는 용지(170) 낙하 동작 중에는 오프 동작 신호를 계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소정 매수의 용지 낙하동작이 끝난 뒤 상기 페이퍼조그(110)가 완전 낙하된 상태에서만 온 동작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는 페이퍼조그(110)에 의한 용지(170)의 강제 낙하동작에 따라 인쇄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있고, 패들(60)의 회전동작에 따라용지정렬단(160)에 효과적으로 용지(170)를 정렬할 수 있으며 용지(170) 매수의 증가에 따라 가동브라켓(70)이 회전하게 되어 모터 등과 같은 부품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므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는 페이퍼조그의 용지 강제낙하 동작을 통해 용지의 배지속도를 높일 수 있어 인쇄기의 고속화가 가능하고, 용지이송을 위한 패들이 결합된 브라켓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용지트레이에 다수의 용지가 적층된 경우에도 구동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아 부품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4 내지 도10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용지 강제 낙하 및 정렬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11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용지정렬 반복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12 및 도13은 각각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패들 및 가동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14 내지 도16는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패들의 구동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17은 도2에 도시된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의 요부인 페이퍼조그의 스테이플링을 위한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가이드 20: 하부가이드
30: 제1구동모터 40: 배지롤러
50: 비틀림스프링 60: 패들
70: 가동브라켓 80: 제2구동모터
90: 패들기어열 100: 패들샤프트
110: 페어퍼조그 120: 조그회전축
130: 제3구동모터 140: 조그기어열
150: 용지트레이 160: 용지정렬단
170: 용지 180: 스테이플러
190: 스위치

Claims (4)

  1. 인쇄 완료된 용지가 배지되는 용지트레이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으로 배지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로 배지되는 용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브라켓;
    상기 가동브라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에 따라 용지트레이 상의 용지를 이송시키는 패들;
    상기 패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패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동브라켓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을 패들을 통해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
    을 포함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구간 반복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에서 배지되는 용지를 상기 용지트레이로 강제낙하시키는 페이퍼조그를 더 구비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의 용지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된 마찰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는 상기 용지정렬단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진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KR1020040019367A 2004-03-22 2004-03-22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KR10050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367A KR100509147B1 (ko) 2004-03-22 2004-03-22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367A KR100509147B1 (ko) 2004-03-22 2004-03-22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147B1 true KR100509147B1 (ko) 2005-08-22

Family

ID=3730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367A KR100509147B1 (ko) 2004-03-22 2004-03-22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58B1 (ko) 2005-09-22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58B1 (ko) 2005-09-22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6958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0637781A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CN102390747B (zh) 片状媒体输出装置
JP2623014B2 (ja) 用紙の搬送装置
KR100509147B1 (ko)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US6435395B1 (en) Post processor for the image formation machine
CN1321870C (zh) 纸张处理装置及纸张处理方法
KR101805593B1 (ko) 피니셔 기구용 용지 정렬 장치
JP2003137450A (ja) 画像形成装置
US5951008A (en) Offsetting paper stackers
US4687192A (en) Sheet feed apparatus with fixed separator protrusions
KR101404733B1 (ko) 피니셔 기구용 용지 정렬 장치
AU627329B2 (en) Slip storing apparatus
JP4056756B2 (ja) 用紙後処理装置
US5465954A (en) Paper money conveying equipment
JP3397872B2 (ja) 紙葉類の給送装置
JPH03195662A (ja) スイッチバック装置
KR100578146B1 (ko) 용지밀림방지 기능이 있는 용지배출장치를 갖는 스택피니셔
GB2145066A (en) Apparatus for sorting photocopies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3460939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884536B2 (ja) 媒体集積機構
JPH092717A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装置
JP3454918B2 (ja) 記録紙排紙装置
JP4030044B2 (ja) シート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