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224B1 - 광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광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224B1
KR100504224B1 KR10-2003-0030470A KR20030030470A KR100504224B1 KR 100504224 B1 KR100504224 B1 KR 100504224B1 KR 20030030470 A KR20030030470 A KR 20030030470A KR 100504224 B1 KR100504224 B1 KR 10050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wavelength
optical fiber
diffraction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633A (ko
Inventor
교야쇼이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6Monolithically integrated components, e.g. waveguides, monitoring photo-detectors, drivers
    • H01S5/0262Photo-diodes, e.g. transceiver devices, bidirectio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소자의 수를 되도록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광모듈에서 많은 공통부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광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및 제 2 광모듈(30, 60)은 제 1 또는 제 2 파장(λ1, λ2)의 광을 발하는 발광소자(52, 82)와, 광파이버(12)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소자(53, 83)와,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광파이버에 집광함과 동시에 광파이버로부터의 광을 집광하는 광학부재(40, 70)와,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광을 광파이버측에 사출하여 광파이버로부터의 회절광을 상기 수광소자측에 사출하는 제 1 및 제 2 회절격자(42, 72)를 구비한 광송수신장치이고, 제 1 회절격자의 피치를 P1로서 형성하고, 제 2 회절격자의 피치(P2)를 P1×(λ1/λ2)로 하여 형성하였다.

Description

광송수신장치{OPTICAL TRANSCEIVER}
본 발명은 광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 조립지그의 공용화를 도모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광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의 단말에 설치되는 2개의 광모듈(20) 사이를 광파이버(12)로 연결하여 장거리간에 큰 데이터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수수함에 있어서, 광모듈(20)의 구성은 도 3과 같이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광모듈(20)은 발광소자인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발한 제 1 파장(한쪽으로부터는 λ= 1310 nm, 다른쪽으로부터는 λ= 1550 nm)의 광을 광파이버(12)에 입사함과 동시에, 광파이버(12)로부터 사출되는 다른 파장(한쪽으로부터는 λ= 1550 nm, 다른쪽으로부터는 λ= 1310 nm)의 광을 수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13)에 의해 수광하는 것이다.
또 이 광송수신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11)에 근접하게 설치된 제 1 콜리메이션렌즈(21), 광파이버(12)에 근접하게 설치된 제 2 콜리메이션렌즈(22) 및 포토 다이오드(13)에 근접하게 설치된 제 3 콜리메이션렌즈(23)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콜리메이션렌즈(21, 22) 사이에 광축에 대하여 45도 경사지게 배치된 광필터(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송수신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11)의 발광소자(15)로부터 방사된 제 1 파장(λ1)의 광은 제 1 콜리메이션렌즈(21)에 의해 평행광이 되어, 광필터(24)를 투과하여 제 2 콜리메이션렌즈(22)에 의해 집광되어 광파이버(12)에 입사한다.
또 광파이버(12)로부터 사출된 제 2 파장(λ2)의 광은, 제 2 콜리메이션렌즈(22)에 의해 평행광이 되어, 광필터(24)에 의해 반사되고, 제 3 콜리메이션렌즈(23)에 의해 집광되어 포토 다이오드(13)의 수광소자(14)에 입사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광송수신장치에는 3개의 콜리메이션렌즈와 다층막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광필터가 사용되고 있어, 부품수가 많다. 또 각각의 부품은 수수광(授受光)하는 광의 파장에 전용의 것으로 되어 있어, 각각의 배치위치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어, 부품의 종류가 많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조립조정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학소자의 수를 되도록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광모듈에서 많은 공통부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광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송수신장치를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광송수신장치는 제 1 광모듈과 제 2 광모듈을 광파이버로 접속하고, 양 모듈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광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제 1 광모듈은 제 1 파장(λ1)의 광을 발하는 제 1 발광소자와,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2 파장(λ2)의 광을 받는 제 1 수광소자와, 상기 제 1 파장의 광을 광파이버에 집광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파장의 광을 상기 제 1 수광소자에 집광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제 1 파장의 광의 직진광을 광파이버측에 사출하여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2 파장의 회절광을 상기 제 1 수광소자측에 사출하는 제 1 회절격자를 구비하고, 제 2 광모듈은 제 2 파장의 광을 발하는 제 2 발광소자와,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1 파장의 광을 받는 제 2 수광소자와, 상기 제 2 파장의 광을 광파이버에 집광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파장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제 2 파장의 광의 직진광을 광파이버측에 사출하고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1 파장의 광의 회절광을 상기 제 2 수광소자측에 사출하는 제 2 회절격자를 구비한 광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제 1 회절격자의 피치를 P1로서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절격자의 피치(P2)를 P1×(λ1/λ2)로 형성하였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콜리메이터렌즈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제 1 광모듈에 배치된 제 1 회절격자에 의한 제 2 파장(λ2)의 광의 회절각과, 제 2 광모듈에 배치된 제 2 회절격자에 의한 제 1 파장(λ1)의 광의 회절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모듈을 구성하는 박스체나 다른 부재를 양 모듈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조립조정에 편용(便用)하는 지그를 공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송수신장치는, 각 모듈에 구비한 광학부재는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회절격자를 거쳐 광파이버의 끝면에 집광하고, 광파이버로부터의 광을 회절격자를 거쳐 각 수광소자에 집광하는 볼록렌즈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부재가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광송수신장치에 의하면, 최소수의 광학소자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광파이버에, 또한 광파이버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송수신장치는, 회절격자는 상기 광학부재의 한쪽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것이다.
상기 회절격자를 광학부재의 한쪽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학부재와 회절격자를 형(型)성형에 의해 1회의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가공의 시간이 적어지는 외에, 광학부재와 회절격자와의 조립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의 수고가 줄어듬과 동시에, 양 부재간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광송수신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한 각 광모듈(30, 60)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예에 관한 광송수신장치를 구성하는 광모듈(30, 60)은 도 1에 나타낸 제 1 광모듈(30)과, 도 2에 나타낸 제 2 광모듈(60)을 싱글모드의 광파이버(12)로 결합한 것이다.
제 1 광모듈(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모드로 사용되는 광파이버(12)에 광학적으로 접속되는 광학소자(40)와, 송수신소자(50)로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소자(50)는 기판(51) 상에 제 1 파장(이 예에서는, λ= 1310 nm)의 레이저광을 발하는 발광소자인 레이저 다이오드(LD)(52)와, 제 2 파장(이 예에서는, λ2= 1550 nm)의 광을 효율좋게 받는 포토 다이오드(PD)(53)를 간격(d)을 두고 배치하고, 광학소자(40)와의 광축거리(D)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54)는 사출광 및 입사광 중 필요 이외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소자(40)는 기판(43)의 광파이버(12)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비구면의 볼록렌즈면(4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광학소자(40)는 기판(43)의 송수신소자측 측면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52)로부터의 제 1 파장(이 예에서는, λ= 1310 nm)의 광을 광파이버(12)에 입사함과 동시에, 광파이버(12)로부터 사출된 제 2 파장(이 예에서는, λ= 1550 nm)의 광을 수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53)에 입사하는 격자면(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격자면(42)은 격자의 피치(p1)를,
① 1310 nm의 광을 0차 투과광으로 하여 높은 효율로 투과시킨다.
② 1550 nm의 광을 1차 회절광으로 하여 높은 효율로 투과시킨다.
고 하는 조건으로 선택하여, 예를 들면 p1= 20 ㎛으로 선택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의 조건이 만족된다.
또 볼록렌즈면 및 격자면은 필요에 따라 그 특성을 선택하고, 또 그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광모듈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모드로 사용되고, 제 1 광모듈(30)과 접속되는 광파이버(12)에 광학적으로 접속되는 광학소자(70)와, 송수신소자(80)로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소자(80)는 기판(81)상에 제 1 파장(이 예에서는, λ= 1550 nm)의 레이저광을 발하는 발광소자인 레이저 다이오드(LD)(82)와, 제 2 파장(이 예에서는, λ2= 1310 nm)의 광을 효율 좋게 받는 포토 다이오드(PD)(83)를 간격(d)(도 2: 제 1 광모듈과 동일치수)를 두고 배치하고, 광학소자(70)와의 광축거리(D)(도 2: 제 1 광모듈과 동일치수)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부호(84)는 사출광 및 입사광 중 필요 이외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소자(70)는 광파이버(12)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비구면의 볼록렌즈면(8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광학소자(70)는 기판(73)의 송수신소자측 측면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82)로부터의 제 1 파장(이 예에서는, λ= 1310 nm)의 광을 광파이버(12)에 입사함과 동시에, 광파이버(12)로부터 사출된 제 2 파장(이 예에서는, λ= 1550 nm)의 광을 수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83)에 입사하는 격자면(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격자면(42)은 격자의 피치(p2)를,
① 1550 nm의 광을 0차 투과광으로 하여 높은 효율로 투과시킨다.
② 1310 nm의 광을 1차 회절광으로 하여 높은 효율로 투과시킨다.
고 하는 조건으로 선택하여, 예를 들면 p2= p1(1310/1550)≒ 17 ㎛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선택함으로써, 또 볼록렌즈면 및 격자면은 필요에 따라 그 특성을 선택하고, 또 그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제 1 광모듈과 동일 치수로 작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광송수신장치에 의하면, 이하의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콜리메이터렌즈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제 1 광모듈에 배치된 제 1 회절격자에 의한 제 2 파장(λ2)의 광의 회절각과, 제 2 광모듈에 배치된 제 2 회절격자에 의한 제 1 파장(λ1)의 광의 회절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모듈을 구성하는 박스체나 다른 부재를 양 모듈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조립조정에 편용하는 지그를 공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광학부재가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광송수신장치에 의하면, 최소수의 광학소자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광파이버에, 또 광파이버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할 수 있다.
또한 회절격자를 광학부재의 한쪽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학부재와 회절격자를 형 성형에 의해 1회의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가공의 시간이 적어지는 외에, 광학부재와 회절격자와의 조립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의 수고가 줄어듬과 동시에 양 부재간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송수신장치의 한쪽측의 광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송수신장치의 다른쪽측의 광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종래의 광송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1 : 레이저 다이오드 12 : 광파이버
13 : 포토 다이오드 14 : 수광소자
15 : 발광소자 20 : 광모듈
21 : 콜리메이션렌즈 22 : 콜리메이션렌즈
23 : 콜리메이션렌즈 24 : 광필터
30 : 광모듈 40 : 광학소자
41 : 볼록렌즈면 42 : 격자면
43 : 기판 50 : 송수신소자
51 : 기판 52 : 레이저 다이오드
53 : 포토 다이오드 54 : 필터
60 : 광모듈 70 : 광학소자
73 : 기판 80 : 송수신소자
81 : 볼록렌즈면 81 : 기판
82 :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83 : 포토 다이오드
84 : 필터

Claims (3)

  1. 제 1 광모듈과 제 2 광모듈을 광파이버로 접속하고, 양 모듈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광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모듈은 제 1 파장(λ1)의 광을 발하는 제 1 발광소자와, 상기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2 파장(λ2)의 광을 받는 제 1 수광소자와, 상기 제 1 파장의 광을 상기 광파이버에 집광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파장의 광을 상기 제 1 수광소자에 집광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제 1 파장의 광의 직진광을 상기 광파이버측에 사출하여 상기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2 파장의 회절광을 상기 제 1 수광소자측에 사출하는 제 1 회절격자를 구비하고,
    제 2 광모듈은 제 2 파장의 광을 발하는 제 2 발광소자와, 상기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1 파장의 광을 받는 제 2 수광소자와, 상기 제 2 파장의 광을 상기 광파이버에 집광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파장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제 2 파장의 광의 직진광을 상기 광파이버측에 사출하여 상기 광파이버로부터의 제 1 파장의 광의 회절광을 상기 제 2 수광소자측에 사출하는 제 2 회절격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절격자의 피치를 P1로서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절격자의 피치(P2)를 P1×(λ1/λ2)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광모듈에 배치된 상기 제 1 회절격자에 의한 제 2 파장의 광의 회절각과, 상기 제 2 광모듈에 배치된 상기 제 2 회절격자에 의한 제 1 파장의 광의 회절각을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모듈에 구비한 광학부재는,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회절격자를 거쳐 광파이버의 끝면에 집광하고,
    광파이버로부터의 광을 회절격자를 거쳐 각 수광소자에 집광하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회절격자는 상기 광학부재의 한쪽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장치.
KR10-2003-0030470A 2002-05-15 2003-05-14 광송수신장치 KR100504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0253A JP3978078B2 (ja) 2002-05-15 2002-05-15 光送受信装置
JPJP-P-2002-00140253 2002-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633A KR20030089633A (ko) 2003-11-22
KR100504224B1 true KR100504224B1 (ko) 2005-07-27

Family

ID=2970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70A KR100504224B1 (ko) 2002-05-15 2003-05-14 광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78078B2 (ko)
KR (1) KR100504224B1 (ko)
CN (1) CN1231781C (ko)
TW (1) TWI234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599B1 (ko) * 2004-06-24 2006-11-23 포테나 옵틱스 코포레이션 단일 광케이블을 이용한 양방향 광 송수신 모듈
CN103135181B (zh) * 2011-12-01 2016-01-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传输模组
JP2013200403A (ja) * 2012-03-23 201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受光素子モジュール
CN102819075A (zh) * 2012-09-05 2012-12-12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光通信组件及应用其的光通信封装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1781C (zh) 2005-12-14
JP2003329897A (ja) 2003-11-19
JP3978078B2 (ja) 2007-09-19
TWI234020B (en) 2005-06-11
TW200407580A (en) 2004-05-16
CN1460872A (zh) 2003-12-10
KR20030089633A (ko) 200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477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receiver module
US9323013B2 (en)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s module having an optics system that reduces optical losses and increases tolerance to optical misalignment
US7184621B1 (en) Multi-wavelength transmitter optical sub assembly with integrated multiplexer
KR101001277B1 (ko) 파장 분할 다중화 광 모듈
US9995941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f uncooled lasers with wavelength-common dispersive element
KR100355980B1 (ko) 광송수신 모듈
WO2002082148A3 (de) Optisches oder optoelektronisches modul
JP2005234052A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
JP2004233484A (ja) 光モジュール
US9995880B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in optical communications modules, and methods
US7215885B2 (en) Wavelength division element and optical module
WO2020124683A1 (zh) 基于vcsel的自由空间有源光学收发组件
GB2488424A (en) Optical transceiver separating incoming and outgoing signals of same wavelength
US10048458B2 (en) Optical module
KR100504224B1 (ko) 광송수신장치
JP6146573B2 (ja) レンズブロック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US6637947B2 (en) Optical coupling configuration
KR101723135B1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JP2007127796A (ja) 光モジュール
GB2413858A (en) Optical beam-splitter with plano convex lens
CN115407434A (zh) 光次组件模组中使用的抛物面透镜装置
KR101687788B1 (ko) 광개구수를 이용한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모듈
JP2005352256A (ja) 一心双方向光送受信モジュール用光部品及び一心双方向光送受信モジュール
US9729243B2 (en) Optoelectronic transmitter, optoelectronic receiver and optoelectronic transceiver
KR102667731B1 (ko) Vcsel 기반 자유공간 능동 광 트랜시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