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064B1 - 안료 입상화 - Google Patents

안료 입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064B1
KR100502064B1 KR10-1999-7003491A KR19997003491A KR100502064B1 KR 100502064 B1 KR100502064 B1 KR 100502064B1 KR 19997003491 A KR19997003491 A KR 19997003491A KR 100502064 B1 KR100502064 B1 KR 10050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weight
alkyl
granules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698A (ko
Inventor
발리엘로파올로
브뤽커호르스트올라프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69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020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5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6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92Dyes in solid form
    • C09B67/0095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04Coated particulate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97Dye preparations of special physical nature; Tablets, films, extrusion, microcapsules, sheets, pads, bags with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기 안료와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물 또는 C1-C4알콜 속에서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중성 유화제를 갖는 결합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유기 안료 입상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이송 장치와 성형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성형 영역에서의 압력이 10bar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산출량으로 가동되는 연속적인 작동 장치 속에서 압축시킨다. 경우에 따라, 다이(die)로부터 빠져나온 원통형 입상체를 회전 장치 위에서 난형체 또는 구상 입상체로 전환시키고, 입상화된 생성물을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건조시킨다.

Description

안료 입상화{Pigment granulation}
본 발명은 수성 또는 알콜성 매질의 존재하에 저압에서 유기 착색 안료를 입상화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분진 부재 안료 입상체(dust-free pigment granules)에 관한 것이다.
유기 안료는 통상적인 용매 속에서의 용해도가 낮고 크기 범위가 초현미경적 내지 약 100㎛일 수 있는 매우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투명한 형태의 경우에는 대략적인 입자 크기가 0.01 내지 0.1㎛인 유기 안료가 가장 적합하고, 불투명한 형태의 경우에는 대략적인 입자 크기가 0.1 내지 10㎛인 유기 안료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안료 입자의 물리적 특성은 안료의 용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매우 작은 입자는 일광 견뢰도와 기후 견뢰도가 비교적 낮고 응집되는 경향이 강하다. 한편, 매우 거친 입자는 착색 강도가 바람직하지 않게 낮고 색상도 산뜻하지 않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의 경우, 입자 크기 분포와 응집성은 특히 안료의 분산성에 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참고: Farbe und Lack 82/1, 7-14(1976)].
따라서, 안료의 경우에는, 극성 용매 속에서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에 또는 높은 전단력하에 침전시키거나, 재결정화하거나 또는 열처리하여 달성할 수 있는 입자 크기 분포가 매우 좁아야 한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미국 특허 제4,879,380호]. 그러나, 모든 안료의 경우, 좁은 입자 크기 분포와는 상관 없이, 분진이 생성된다는 커다란 결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그 결과,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드는 수단(예를 들면, 작업장의 안전성, 생태학적 보존 특성 또는 품질 보존 특성)이 필요하며, 값비싼 물질이 손실된다.
따라서, 안료를 분진이 적거나 거의 없는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상당수의 방법이 이미 연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공지된 방법의 경우, 다른 결점들 중에서 안료 입자의 물리적 특성, 특히 분산성을 희생시켜야만 분진 거동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다음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된 방법은 양호한 물리적 특성을 계속 유지하는 분진 부재 유기 안료에 대한 오랜 동안의 소망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없다.
예를 들면, 압축 성형법(타블렛팅 또는 브리켓팅), 혼합 입상화기와 입상화 디스크 속에서의 입상화법[참조: Aufbereitungs-Technik 12(1975)], 형성기 속에서의 입상화법[참조: Chem.-Ing.-Tech. 49/5, 374-380(1977)], 롤 입상화법[참조: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7 23 221호] 또는 가압 입상화법(Powder Technology 74, 1-6(1993)과 같은 공지된 치밀화 기술은 순수한 유기 안료를 사용하더라도 거동 특성이 분말의 거동 특성보다 더 나쁜 매우 응집된 제품을 제공한다.
플라스틱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료는 중합체 농축물 속으로 혼입될 수 있다. 안료는 분진성 무수 분말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료 분말을 철저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단력과 온도가 필요하며, 물리적 특성과 색상 특성이 변한다. 안료 입자는 이를 완전히 둘러싸는 중합체와 함께 균질하게 분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성된 중합체 입자는 최종 용도를 위해서 또다시 높은 전단력하에 착색되지 않은 중합체 입자와 함께 균질하게 혼합해야만 한다. 더구나, 농축된 중합체는 다른 중합체와 혼화성이어야만 하는데, 단일 안료의 경우, 상이한 플라스틱 용도를 위해서는 두 가지 이상의 생성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안료를 외부가 유연한 중합체의 표면에 처리하여 구상 입자를 생성시킬 수도 있다[미국 특허 제4,310,483호]. 그러나, 이러한 입자의 크기는 조절하기가 어려우며, 목적하는 직경을 갖는 분획은 체질(sieving)로 분리해야만 한다. 15 내지 20중량% 이상의 입상화 보조제로 양호한 분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입상화 보조제는 2 내지 50중량%(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입상체 이외에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융점이 통상적으로 49 내지 88℃인 왁스상 결합제이다[미국 특허 제5,455,288호]. 그러나, 후자의 경우, 안료 함량이 만족스럽지 않게 낮은 수준인 5 내지 50%이다. 두 경우 모두, 전단력이 낮은 경우에는 원칙상 충돌력이 작용하며, 융점이 낮은 물질이 1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면 성능면에서 불리하다.
안료는 수지 속에 매봉될 수도 있다. 이는, 우선 불활성 용매(예: 물) 속에서 안료 분산액과 적절한 용매 속에서 수지 용액을 제조하고, 수지를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킴으로써, 혼합하는 동안에 직접 수행하거나 나중에 수행할 수 있다(여기서, 안료는 침전되는 수지에 의해 둘러싸인다). 수많은 문헌에는, 로진을 포함하여, 특정 수지성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거의 모든 물질이 수지로서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르는 각종 공정이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산/염기 침전법[참조: CS 216 590, IN 156 867 및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3 27 562호]과 단일 상 또는 2상 용매 입상화법[참조: 미국 특허 제4,055,439호 및 미국 특허 제4,208,370호]이다. 수지 속에 매봉된 안료의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은 분산성은 매우 높은 전단력과 결합된 특정 수지 혼합물을 사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참조: 미국 특허 제4,116,924호 및 미국 특허 제4,168,180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우에서의 안료 분산액의 제조는, 특히 사용한 불활성 용매가 수성 매질인 경우, 강력한 밀링을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경우, 안료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분쇄된다. 수지 대신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참조: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03 917호]. 이러한 경우, 분산액은 더 용이하게 제조되지만, 생성물은 분진이 없는 형태라기보다는 분말 형태로 수득된다.
산/염기 침전법의 경우, 중화를 조절하는 것이 추가의 문제인데, 이는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3 27 56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완전히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없다. 산을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경우, 사실상 수지는 완전히 중화된 형태로 침전되지 않아, 대부분의 경우, 고급 적용[예: 플라스틱의 피복 작업 또는 원액 착색]에 있어서 문제가 생긴다. 한편, 용매 입상화법의 경우, 다량의 용매가 필요한데, 통상 수성 혼합물로부터 회수해야만 하므로 불리하다. 따라서, 아세트산 무수물 또는 프로피온산 무수물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는데[참조: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69 617호], 이는 화학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액을 제공하지만, 수요가 없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만 한다.
또한, 착색제는 분무 건조법으로 또는 유동화층 속에서 분진이 적은 유동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참조: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39 841호 및 제670 352호].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고급 적용[예: 플라스틱의 원액 착색 또는 자동차 가공 작업]에서 사용되는 안료의 경우, 완전히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더구나, 분무 건조법 또는 유동화층의 경우, 입자 크기가 약 100㎛ 이상인 균질한 입상체를 거의 제조할 수 없다[참조: Chemie-Technik 21/6, 72-78(1992), Arch. Pharm. Chemi, Sci. Ed. 1978/6, 189-201]. 또한, 모든 분말을 유동층 속에서 유동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참조: Powder Technology 57, 127-133(1989)], 이러한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특히 안료용의 유동층 입상화법의 개선된 변형법도 공지되어 있는데[참조: 미국 특허 제4,264,552호], 당해 변형법에서는 이러한 입상체의 입자 크기 분포가 매우 넓고 대부분(약 50중량%)의 입자가 500㎛보다 작다. 또한, 이러한 입상체는 분진을 생성하는 경향이 여전히 지나치다. 실시예 2에는, 이의 암모늄염 형태의 스테이벨라이트 레진(Staybelite ResinR) 8.2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0.9중량%(여기서, 각각의 경우, 양은 가공된 제품을 기준으로 한다)와의 혼합물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수용성 염료는 수용성 결합제 5 내지 50중량%로 가공처리하여 분진이 없고 직경이 1mm 이상인 원주형 입상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독일 공개특허공보 제2 317 175호]; 실시예에 따르면, 입상체는 직경이 약 1mm이고 길이가 5 내지 7mm이다. 이동 스크류를 이용하여, 균질한 플라스틱 괴상을 천공된 디스크 속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나, 수용성 결합제는 통상적인 플라스틱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안료에 완벽하게 적합하지 않으며, 이러한 공정으로 처리한 유기 안료는 잘 응집되어 분산성이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다수의 적용에 충분히 적합하지 않다. 동일한 상황을 문헌[참조: Jounal of Powder & Bulk Solids Technology 4/4, 27-32(1980)]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습윤성 안료를 쌍축 압출기 속에서 10 내지 50bar의 압력에서 분체 압축시키는 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왁스상 결합제와 기타 이물질의 함량이 매우 적고 분진이 적은 착색 입상체가 공지되어 있다[참조: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24 896호]. 필수적으로 중요한 점은, 공급되는 재료가 저하되는 전단응력과 함께 커플링된 적당한 충돌력과 극심한 와류(turbulence)에 주로 노출되는 장치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무기 안료에 주로 적합하며, 유기 안료에 대해서는 단 한 가지의 예만이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모노아조 안료로서의 피그먼트 레드(Pigment Red) 176, 융점이 57 내지 61℃인 왁스로서의 지방산 혼합물 0.72중량% 및 물 50 내지 51중량%(각각의 경우, 미립자를 기준으로 함)를 사용한다. 입자 크기는 1mm보다 현저하게 작으며, 분산되기 어려운 거친 입자와 분진을 생성하는 초미립자가 비교적 적음에도 불구하고, 체질 작업이 필요하다.
기타 공지된 입상체는 건조시에 보유되는 공동(cavity)으로 인해 초기 안료에 비하여 체적이 크게 증가하는 안료를 포함한다[참조: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10 392호]. 이러한 경우, 공지된 방법으로만 성형시킨다; 스트랜드로 압출시키는 경우, 50 내지 80중량%의 잔여 함수율이 특정된다. 이러한 입상체는 분산이 용이하고 분진이 적지만, 취성이고 벌크 밀도가 낮아서, 이동 및 저장시 실질적으로 더 큰 용적을 차지한다. 더구나, 정밀하게 재현 가능한 특정 중량을 갖는 제품을 수득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소수성 또는 비극성 안료의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한다.
최종적으로, 친수성 안료가 페이스트형 수성 응집체로서 이동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참조: 미국 특허 제5,328,506호]. 압출된 누들(noodle)과는 달리, 이러한 제품은 나중에 고에너지 분산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당해 공정은 유기 안료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무기성 카올린 안료를 목표로 한 것이며, 1 내지 25중량%의 일정량의 물이 존재하여 방대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유기 안료를 사용하는 데 악영향을 끼치거나, 유기 안료의 사용을 전적으로 억제할 것이다.
더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몇몇 공지된 공정으로 제조한 조악한 입상 안료 제형은 여전히 동시에 만족스럽게 치밀하지 않고 분진이 없고/없거나 용이하게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목적하는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 체질하여 선택해야만 하며, 이러한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벗어나는 크기를 갖는 입자(특히 미세한 분획)는 공정으로 다시 통과시켜야 한다. 그러나, 만족스럽지 않은 안료 물질을 재순환시키면 안료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추가로 손상시키면서 변화시키며, 그 결과 거동 특성도 불량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 및 공지된 입상체와는 달리, 물리적 파라미터가 초기 안료 분말에 비하여 가능한 한 적게 변하며 분진이 거의 없고 매우 농축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분산 가능하고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조악한 유기 안료 입상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리적 파라미터라는 용어는 위에서 언급한 특성들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 측정 가능한 특성들 또는 적용과 관련된 특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의도는, 가능한 한, 절대적으로 필요한 유기 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또한 적절한 입자를 선택하고 불합격품을 재순환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고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과 단순하고 가격이 비싸지 않으며 세척하기가 용이한 장치를 사용하여 안료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특히 놀랄 정도로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인 하나 이상의 유기 안료 90중량% 이상, 카복실 그룹을 1000g당 2 내지 7몰 함유하는 결합제 0 내지 10중량% 및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물 또는 C1-C4 알콜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10g/100mL 이상의 농도로 생성하는 중성 유화제 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여기서, 결합제와 유화제는 함께 10중량% 이하이고, 모든 중량%는 안료 입상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한다)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유기 안료 입상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료를, 무수 안료를 기준으로 하여, 54 내지 92중량%의 물, C1-C4 알콜, C3-C8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결합제와 결합제 속의 카복실 그룹 1몰당 0.8 내지 20몰의 암모니아 또는 C1-C3 아민, 및 유화제와 혼합하는 단계[1],
당해 혼합물을 각각의 크기가 0.2 내지 5.0mm2인 하나 이상의 기공(aperture)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여기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와 기공을 포함하는 성형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성형 영역에서의 압력이 10bar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산출량으로 가동된다) 속으로 밀어넣는 단계[2],
경우에 따라, 다이로부터 빠져나온 원주형 입상체를 회전 장치 위에서 난형체(ovoid) 또는 구상 입상체(spherical granule)로 전환시키는 단계[3] 및
입상화된 생성물을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4]를 포함한다.
입상체는 목적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주형, 난형체 또는 구상일 수 있다. 입상체는 각이 지지 않은 둥근 기하학적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체가 임의의 단계[3]으로 성취할 수 있는 구상을 필수적으로 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상인 경우, 입상체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0.5 내지 4mm인 입자 크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원주형 또는 난형체 입상체는 직경이 1 내지 3mm이고 길이가 1 내지 10mm이다.
입상체는 직경이 1 내지 4mm인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체는 직경이 1 내지 2.5mm인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상체가 구상이 아닌 경우, 입상체는 이론적 직경 ()이 1 내지 2.5mm인 입자 크기를 가진다.
입상체 속에서 유기 안료와 결합제가 필수적으로 균질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는 목적하는 안료류로부터의 개개 화합물이거나, 동일하거나 상이한 안료류로부터의 두 가지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공정 동안에 유리하게 유지되는 목적하는 공지된 결정 변형물로 존재할 수 있거나, 고형 용액일 수 있다.
적합한 안료류의 예에는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디옥사진, 안트라퀴논,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인디고, 티오인디고, 퀴노프탈론, 이소인돌리논, 이소인돌린, 프탈로시아닌, 금속 착체 및 아조 안료가 있다.
바람직한 안료는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디옥사진,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이소인돌리논, 프탈로시아닌, 아미노안트라퀴논 및 디스아조의 축합 안료이다. 특히 바람직한 안료는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및 프탈로시아닌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안료는 디케토피롤로피롤이다.
바람직한 페릴렌은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또는 화학식 Id의 페릴렌이다.
위의 화학식 Ia, Ib, Ic 및 Id에 있어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다.
바람직한 퀴나크리돈은 화학식 II의 퀴나크리돈이다.
위의 화학식 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4알콕시 또는 페닐이다.
바람직한 디옥사진은 화학식 III의 디옥사진이다.
위의 화학식 I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R4는 수소, 할로겐 또는 C1-C18알킬이다.
바람직한 이소인돌리논은 화학식 IVa 또는 IVb의 이소인돌리논이다.
위의 화학식 IVa 및 IVb에서,
R5, R6,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 8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바람직한 플라반트론은 화학식 V의 플라반트론이다.
위의 화학식 V에서,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4알콕시 또는 페닐이다.
바람직한 인단트론은 화학식 VI의 인단트론이다.
위의 화학식 VI에서,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4알콕시 또는 페닐이다.
바람직한 프탈로시아닌은 화학식 VII의 프탈로시아닌이다.
위의 화학식 VII에서,
M은 H2, Zn, Cu, Ni, Fe, Ti(=O) 또는 V(=O)이고,
Z는 할로겐이며,
y는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피롤로(3,4-c)피롤은 화학식 VIII의 피롤로(3,4-c)피롤이다.
위의 화학식 VI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 , , , , , 또는 의 그룹[여기서,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알킬티오, C1-C18알킬아미노, C2-C18디알킬아미노, -CN, -NO2, 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 C5-C6사이클로알킬,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피롤릴, 옥사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C=N-(C1-C18알킬) 또는 화학식 이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CN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며, L은 -CH2-, -CH(CH3)-, -C(CH3)2-, -CH=N-, -N=N-, -O-, -S-, -SO-, -SO2- 또는 -NR15-이고, R1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이다.
바람직한 아미노안트라퀴논 안료는 화학식 IX의 아미노안트라퀴논 안료이다.
바람직한 인디고 유도체는 화학식 X의 인디고 유도체이다.
위의 화학식 X에서,
R16은 수소, CN,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할로겐이다.
바람직한 이소인돌린은 화학식 XIa, 화학식 XIb 또는 화학식 XIc의 이소인돌린이다.
위의 화학식 XIa, XIb 및 XIc에서,
R17은 수소, C1-C18알킬, 벤질 또는 그룹 (여기서, R18 및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이고,
R17'는 그룹 (여기서, R18' 및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이다.
할로겐 치환체는, 예를 들면, 요오드, 불소, 특히 브롬, 바람직하게는 염소이다.
C1-C4알킬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부틸, 3급-부틸이고, 추가로 C1-C6알킬의 경우, 예를 들면, n-아밀, 3급-아밀 또는 헥실이며, 또한 추가로 C1-C18알킬의 경우, 예를 들면,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또는 옥타데실이다.
C5-C6사이클로알킬은,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틸이며, 특히 사이클로헥실이다.
C1-C4알콕시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부틸옥시이고, 또한 C1-C18알콕시는, 예를 들면, 헥실옥시, 데실옥시, 도데실옥시, 헥사데실옥시 또는 옥타데실옥시이다.
C1-C18알킬티오는,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옥틸티오, 데실티오, 헥사데실티오 또는 옥타데실티오이다.
C1-C18알킬아미노는, 예를 들면,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헥실아미노, 데실아미노, 헥사데실아미노 또는 옥타데실아미노이다.
C2-C18디알킬아미노는,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프로필아미노, 에틸헥실아미노, 메틸데실아미노, 디옥틸아미노 또는 에틸헥사데실아미노이고, 알킬 라디칼 둘 다의 탄소원자는 함께 포함된다.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c의 페릴렌, 화학식 II의 퀴나크리돈, 화학식 III의 디옥사진 및 화학식 VIII의 피롤로(3,4-c)피롤의 경우, R1이 수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I의 퀴나크리돈은, R1이 수소이고 R2 및 R3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염소 또는 메톡시인 퀴나크리돈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Ⅶ의 프탈로시아닌은, M이 H2, Zn 또는 Cu이고 Z가 염소 또는 브롬인 프탈로시아닌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Ⅷ의 피롤로(3,4-c)피롤은, R1이 수소이고 G1 및 G2가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 또는 (여기서, R20은 불소, 염소, 시아노,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C1-C4알킬, C1-C4알콕시, C1-C4알킬아미노 또는 C1-C4디알킬아미노이다)이고, 이들 중에서 특히 R20이 염소인 피롤로(3,4-c)피롤이다. 1,4-디케토-3,6-디(4'-클로로페닐)-2,5-디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이 아주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유기 안료는,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다. 이는, 입자의 90중량% 이상이 이러한 입자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2㎛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유기 안료가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데, 환언하면 입자의 80중량% 이상이 10배 이하 정도의 범위내에 있는 입자 크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0.5 내지 5㎛이거나 0.2 내지 2㎛이다. 좁은 입자 크기 분포는 숙련가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승온에서 극성 불활성 액체 속에서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안료에 좌우되어 매우 상이할 수 있는 이러한 처리의 적절한 액체, 온도 및 시간은 모든 안료류와 다수의 개별적인 안료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결합제는 물질 1000g당 카복실 그룹을 2 내지 7몰 갖는다. 결합제는 일반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유기산 3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을 함유하며, 결합제의 나머지는 중성일 수 있다. 유기 산은, 예를 들면, 순수한 포화 또는 불포화 장쇄 산이거나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동족 혼합물일 수 있다. 장쇄 산은, 하나 이상의 선형 쇄가 탄소수 8로 이루어진 산이다. 아비에트산과 아비에트산 5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산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결합제의 나머지 중성 부분은, 예를 들면, 사용되는 산에서 일반적으로 불순물처럼 보이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유기산에 비교적 소량의 직물 강화제를 가할 수도 있다. 직물 강화제를 가하는 경우, 이는 결합제의 구성 성분이고, 이의 양은 전체 결합제를 기준으로 하여,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직물 강화제는, 예를 들면, 아미드 또는 탄소수 18 이상의 유기산의 금속염, 알킬페놀 또는 지방족 알콜, 또는 가소제 또는 왁스일 수 있다. 공지된 직물 강화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아미드 또는 베헨아미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베헨산마그네슘, 스테아릴 알콜 또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1,2-디하이드록시 화합물(예: 1,2-도데칸디올, 디부틸 프탈레이트 또는 밀랍)이다.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천연 산과 천연 테르펜 유도체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천연 원목으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혼합물은 수지 또는 스테이벨라이트 레진[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히큘리스 인코포레이티드(Hercules Inc.)]일 수 있다. 결합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70 내지 300℃이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00℃이다.
결합제의 정확한 양은 입상체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좌우된다. 기계적 부하성이 매우 높은 입상체가 요구되는 경우, 결합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중량%이다. 반면, 가능한 한 넓은 적용 범위(예를 들면, 피복)에서 적합성이 매우 우수한 통상적인 입상체가 요구되는 경우, 결합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이다. 결합제를 0.5중량% 미만으로 함유하거나 결합제가 전혀 없는 입상체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결합제가 전혀 없는 입상체의 경우, 안료 입자가 입상체 속에서 서로 어떻게 결합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결합제 부재 입상체가 매우 현저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성의 비이온성 유화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예: 에뮬란 시리즈(EmulanR series)(BASF)의 유화제]일 수 있다. 유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중량%이다.
결합제와 유화제는 서로 독립적이고 둘 다 선택적이다. 바람직한 입상체의 특성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 결합제, 유화제, 결합제와 유화제 둘 다를 사용하거나 어느 것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열거한 결합제와 유화제는 0중량%(완전 부재시에 상응함)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언급한 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에 사용된다. 결합제와 유화제의 바람직한 전체 양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중량%이다.
C1-C8알콜은,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고, 순수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특히 수성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1-C4알콜, 특히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이 바람직하고, 메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C3-C8케톤은,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아세톤, 에틸 메틸 케톤, 메틸 프로필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일 수 있고, 순수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특히 수용성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3-C6케톤, 특히 아세톤 또는 에틸 메틸 케톤이 바람직하고, 에틸 메틸 케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 C1-C8 알콜 및 C3-C6 케톤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단계 1에서 물 90 내지 10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고, 특히 한정된 양, 예를 들면, 탈이온수일 수 있는 물 단독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외적으로, 하나 이상의 1급 아미노 그룹을 갖는 안료 등의 고도로 극성인 안료, 예를 들면, 화학식 Ⅸ의 아미노안트라퀴논을 바람직하게는 보다 저농도의 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물, C1-C8알콜 및 C3-C6케톤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물 30 내지 60중량%에서 입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C1-C8알콜 및/또는 C3-C8케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공비 혼합물이다. 이는 유리한 방법으로 혼합물을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C1-C3아민은, 경우에 따라,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메틸아민, n-프로필아민 또는 이소프로필아민일 수 있다. 비점이 매우 낮은 C1-C3아민이 바람직하고, 메틸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C1-C3아민보다는 암모니아를 단계[1]에서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암모니아는 기체상 암모니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물론 경우에 따라 이 대신에 액체 암모니아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액체 암모니아 중의 물은 첨가된 물로서도 간주한다. 암모니아 또는 C1-C3아민의 바람직한 양은 결합제에서 카복실 그룹 1몰당 약 1몰이기 때문에, 결합제가 완전히 중화된다.
안료는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면, 혼합 장치 속에서 물 및/또는 C1-C8알콜과 혼합하고/하거나 C3-C8케톤, 유화제, 결합제 및 암모니아 또는 C1-C3 아민과 혼합할 수 있다. 유용한 혼합 장치는 안료를 공정의 단계[2]에서 발생하는 최대 압력보다 낮은 최대 압력으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숙련가들은 기계적인 응력을 거의 부과하지 않는 각종 혼합기를 숙지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혼합기이다[참조: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6th Ed., McGraw-Hill Book Company)]. 시판중인 환상 베드 혼합기가 바람직하다.
안료는 무수 형태 또는 습윤 생성물 형태(예: 습윤 필터 케이크)로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습윤 생성물에 존재하는 물, C1-C8알콜 또는 C3-C8케톤은 첨가된 물, 알콜 또는 케톤으로서 간주한다. 습윤 생성물이 충분히 습윤되어 있는 경우, 이는 추가의 습윤 매질을 사용하지 않고 완전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잔류 수분량이 47.9%인 안료 필터 케이크는 무수 안료에 물을 91.9중량% 첨가한 것에 상응하고, 잔류 수분량이 35.1%인 안료 필터 케이크는 물을 54.1중량% 첨가한 것에 상응한다. 그러나, 내역이 공지된 무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는 무수 상태로, 또는 암모늄염의 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면,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결합제는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하에 실온 또는 실온과 결합제의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암모니아 또는 물 중의 C1-C3아민, C1-C8알콜, C3-C8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함께 미리 교반한다.
성분들이 혼합되는 형태와 순서는 근본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혼합물이 혼합 후에 실질적으로 균질하다는 점은 중요하다. 따라서, 결합제를 암모늄염의 용액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 또는 C1-C4알콜 모두 또는 이들의 단지 일부를 당해 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양으로 결합제의 암모니아성 수용액에 동시에 분무하면서, 혼합 개시시 무수 안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은 공지된 방법 그 자체에 의해 특히 완전 자동화된다. 혼합된 생성물은 공정 중의 단계[2]에서 동시에 또는 이후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고, 단계[1]에 이어서 단계[2]를 직접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은 적어도 이동 장치와 기공이 있는 성형 영역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에서 기계적으로 발생한다. 압축될 혼합물을 10bar를 초과하는 압력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이동 장치를 특정 요건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이동 장치(예: 하나 이상의 회전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축 스크류가 바람직한 이동 장치이다.
혼합물이 가압되는 기공은, 원칙상 바람직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이 없는 횡단면을 갖는 기공이 바람직하다. 이는 라운딩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각이 없는 원형 기공이 바람직하다. 기공은 가장 짧은 축에서 0.5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공은, 예를 들면, 레이저 빔으로 천공시키거나 연소시킬 수 있는 반면, 원형 기공은 천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적인 간격으로 제조된 다수의 기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기공의 바람직한 직경은 결합제에 좌우되고, 결합제의 0 내지 3중량%가 0.5 내지 1.5mm인 반면, 결합제의 3 내지 10중량%가 1.0 내지 2.5mm이다.
기공을 가진 성형 영역은 편평형도 아니고 원통형도 아닌 바람직한 형태를 갖는다. 실제로, 정확한 각도로 이동 장치로 배열된 평면 시이브(planar sieve)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면, 압력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중요한 최대 압력을 초과하고, 입상체는 본 발명의 이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기공을 갖는 성형 영역이 3차원 곡선(예: 속이 빈 원뿔대 또는 속이 빈 돔)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시이브가 속이 빈 원통형인 경우, 성형되는 물질은 종종 고도로 규칙적인 방법으로 가압되고, 이러는 경우, 본 발명에 중요한 최대 압력을 초과하는 것이 가능한 압력 증가는 단기간 용이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물질의 일부는 본 발명의 이점이 결여되어 있다. 성형 영역은 반구(hemispherical)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작된 바람직한 장치는 방사상 압출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종 디자인으로 상업적으로 수득 가능한 돔 압출기를 포함한다.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이송 스크류의 회전 속도의 함수이기 때문에, 장치는 감소된 처리량에 상응하는 최대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에서 작동해야만 하고, 이러한 장치는 바람직한 최대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상 압출기에서, 압력은 원뿔 꼭지점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경우, 성형 영역의 꼭지점에서의 압력은 10bar 초과에 임박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형 영역의 꼭지점은 바람직한 압력이 초과되지 않도록 세팅되거나 디자인된 추가의 기공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추가의 조절 가능한 기공으로부터 유출되는 소량의 물질은 실제로 최대 압력이 10bar 이하의 압력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만 재순환될 수 있다. 그러나, 재순환은 일반적으로 권할 만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바람직한 돔 압출기의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성형 영역에서의 압력은 1 내지 5bar가 바람직하고, 1.1 내지 3bar가 특히 바람직하다. 원통형 압출물은 일반적으로 성형 영역에서 빠져나올 때 길이가 약 2 내지 6mm인 조각으로 저절로 분쇄되는데, 시간의 길이로 나타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 현명하다. 원통형 입상체는 추가로 직접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입상체를 구상 입상체로 전환시키는 회전 장치는, 예를 들면, 편평한 실린더 또는 속이 빈 실린더 등일 수 있다. 압출기로부터 빠져나온 원통형 물질은 대략 회전 장치의 중심 위에 직접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심력은 원통형 입상체를 회전 운동으로 세팅시킨 다음, 이들을 보다 구상이거나 덜 구상인 입상체로 전환시킨다.
난형체 입상체 또는 구상 입상체로의 전환은 선택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 수행의 이점은, 입상체가 난형체이거나 구상인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화된 생성물을 소정의 온도와 소정의 압력하에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건조는 배치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건조되는 물질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양 말단이 개방된 오븐을 통해,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 위로 운반한다. 건조시키는 동안, 물 또는 C1-C4알콜 둘 다와, 존재하는 경우, 암모니아 또는 C1-C3아민을 방출시키고, 경우에 따라, 스트리핑시킨다. 증기를 바람직하게는 감압하에 제거하고 응축시키며, 응축물을 재순환시킨다. 그러나, 오븐에서 건조시키는 대신, 특정의 기타 건조법, 예를 들면, 동결 건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든 공정은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안료 입상체는 조악하고 고도로 농축되고 분진이 극도로 없으며 용이하게 분산 가능하다. 안료 입상체 속에 존재하는 안료 입자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초기 안료 분말 속의 안료 입자의 물리적 파라미터에 비해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안료 입상체 속에 존재하는 유기 안료는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다. 안료 입상체에 함유된 유기 안료는 입자 크기 분포가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안료 입상체는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방법에 바람직한 양태로 수득한 입상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기 안료 90중량% 이상, 1000g당 2 내지 7몰의 카복실 그룹을 갖는 결합제 10중량% 및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용해되어 물 또는 C1-C4알콜 속에서 10g/100mL의 농도로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중성 유화제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안료 입상체에 관한 것으로, 결합제와 유화제 모두는 10중량% 이하이고 모든 중량%는 안료 입상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고, 안료 입상체에 존재하는 안료는 근본적으로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다.
안료 입상체에 존재하는 안료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안료를 습윤 상태로 만들지만 안료를 용해시키지 않고 입상체의 기타 성분을 분쇄하거나 용해시킬 수 있는 액체 속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안료의 균일한 분산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분산된 안료의 입자 크기 분포를, 예를 들면, 디스크 원심분리시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적합한 장치는, 예를 들면, 조이스-로블(Joyce-Loebl) 디스크 원심 분리기 DCF 4이다. 샘플 제조와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에 필요한 것은 입자 측정 분야에서 숙련가들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술은 관련 교본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다[참조: Terence Allen, Particle Size Measurement, (Chapman and Hall, London, New York 1981)]
위에서 강조한 특성 때문에,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 특히 플라스틱 및 피복물을 유효량으로 착색시키고 염색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를 사용하여 착색시킬 수 있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은 천연물 또는 합성물일 수 있다. 고분자량 유기 물질은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약 103 내지 107g/mol 이상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천연 수지, 무수 오일, 고무 또는 카제인, 또는 이들로부터 개질된 천연 물질(예: 염소화 고무, 오일 개질된 알키드 수지, 비스코스, 셀룰로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토부티레이트 또는 니트로셀룰로스), 특히 부가 중합, 중축합 또는 중부가로 수득되는 완전 합성 유기 중합체(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일 수 있다. 언급한 부가 중합 수지류로는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치환된 폴리올레핀(예: 염화비닐, 비닐 알콜, 비닐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 에스테르, 메타크릴 에스테르 또는 부타디엔) 및 위에서 언급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특히 ABS 또는 EVA가 있다.
언급한 중부가 수지 또는 중축합 수지로는 페놀 수지로 공지된 포름알데히드와 페놀과의 축합물, 아미노 수지로 공지된 포름알데히드 및 우레아, 티오우레아 및 멜라민과의 축합물, 페인트 수지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포화 수지(예: 알키드 수지)와 불포화 수지(예: 말레에이트 수지) 둘 다, 그리고 선형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이다.
언급한 고분자량 화합물은 플라스틱 괴상 또는 용융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이들의 단량체 형태일 수 있거나, 피복 물질 또는 인쇄 인크용 필름 형성제 또는 결합제로서 용해된 형태로 중합 상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아마인유 니스, 니트로셀룰로스,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이다.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는 착색시키고자 하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에 착색 유효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착색된 조성물은, 착색되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안료 입상체를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 정확하게 함유한다.
유기 물질을 착색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색조 또는 착색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기타 착색 성분(예: 백색, 착색, 흑색 또는 특수 효과 안료)을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에 첨가하는 것 이외에도 유기 물질에 바람직한 양으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를 롤 밀, 혼합기 또는 밀링 장치를 사용하여 고분자량 유기 물질 속으로 혼합함으로써 고분자량 유기 물질을 본 발명의 안료 입상체로 착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칼렌더링, 압축 성형, 압출, 도포, 캐스팅 또는 사출 성형과 같은 그 자체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착색된 물질을 바람직한 최종 형태로 할 수 있다. 플라스틱 산업에서 통상적인 모든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충전제 또는 안정제를 안료의 혼입 전 또는 후에 통상적인 양으로 중합체 속으로 혼입시킬 수 있다. 비경질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나 이들의 취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소제(예: 인산, 프탈산 또는 세박산의 에스테르)를 이들을 성형시키기 전에 고분자량 화합물 속으로 혼입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복 물질과 인쇄용 잉크를 착색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고분자량 유기 물질과 안료 입상체를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첨가제(예: 충진제, 기타 안료, 건조제 또는 가소제)와 함께 유기 용매 또는 이들 모두에 적합한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키거나 미세하게 분산시킨다. 이에 가능한 과정은 각각의 성분 단독 또는 이들의 두 가지 이상을 함께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킨 다음, 모든 성분을 혼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피복 물질 또는 인쇄 잉크, 바람직하게는 피복 물질 또는 인쇄 잉크,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복 물질에서 수득한 착색물은 분말 안료의 착색물보다 적어도 동일한 주목할 만한 우수한 특성을 갖고, 다수의 경우 실제로 우수하다.
착색될 고분자량 물질이 피복 물질인 경우, 이는 특히 특수 피복 물질이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피복 물질이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예를 들면, 부와 %는 각각 중량부와 중량%이다).
실시예 1:
안료 등급 내역을 충족시키는 3,6-디-(4'-클로로페닐)-2,5-디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온 260kg을 통상적인 환상 베드 혼합기[annular bed mixer; K-TTTM, 독일 만하임 드라이스 아게(Drais AG)] 속에서 탈이온수 189kg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페이스트화시켜 고체 함량이 58%인 성형 가능한 괴상을 수득한다. 이러한 습윤 괴상을 약 120kg/h의 처리량으로 40 내지 50rpm의 운반 속도에서 방사상 압출기(DG-L1TM, 제조원: Fitzpatrick Co. Europe NV, St.-Niklaas/벨기에)에서 직경 1mm의 구멍을 갖는 반구상 성형 영역을 통해 압출시킨다. 이어서, 원통형의 압출물 입자를 입상화 판에서 라운딩 단계에서 회전 타원체(spheroid)로 성형시킨 다음, 이러한 회전 타원체를 120℃에서 대류 오븐 속에서 건조시켜 잔류 수분 함량을 1% 미만으로 한다. 입상체는 분산성이 용이하다는 것이 유사하지만 사용된 안료보다 분진이 현저히 적게 수득된다. 알키드/멜라민 니스 또는 가요성 PVC 속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입시키면, 이러한 입상체는 착색도가 분말 안료에 의해 제공된 착색도와 근본적으로 유사한 착색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2A
IN 제156,867호와 미국 특허 제4,264,552호에 따라 수득 가능한, C. I. 피그먼트 레드 177[65300] 90%와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 10%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무수 혼합물 300중량부를 탈이온수 200부(즉, 안료를 기준으로 하여 74.1%) 및 트리메틸아민 9중량부와 함께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러한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에서 직경이 0.70mm인 필라멘트로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라운딩시켜 회전 타원체 약 1mm를 수득하고, 이를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2B
필라멘트를 직경 1.2mm로 압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의 과정을 반복한다. 압출된 입자를 라운딩시켜 회전 타원체 약 2mm를 수득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2C
비이온성 공정수[non-ionic process water; 24°dh(독일 경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B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3A
순수한 C. I. 피그먼트 레드 220[20055]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무수 안료 31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190중량부와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1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3B
탈이온수 중의 에뮬란 OSN(BASF, Leverkusen/독일)TM의 7% 농도 용액 143중량부를 사용하여 무수 안료 19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3C
탈이온수 중의 에뮬란 OSNTM의 7% 농도 용액 14중량부와 탈이온수 126중량부를 사용하여 무수 안료 195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4A
순수한 C. I. 피그먼트 옐로우 93[20710]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무수 안료 30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200중량부와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의 특성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4B
7% 농도 용액 에뮬란 OSNTM 143중량부를 사용하여 무수 안료 19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의 특성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4C
탈이온수 중의 에뮬란 OSN(BASF, Leverkusen/독일)TM의 7% 농도 용액 14중량부와 탈이온수 126중량부를 사용하여 무수 안료 195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의 특성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5A
순수한 C. I. 피그먼트 오렌지 64[12760]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무수 안료 30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200중량부와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5B
탈이온수 중의 에뮬란 OSNTM (BASF, Leverkusen/독일)의 7% 농도 용액 71중량부와 탈이온수 64중량부를 사용하여 무수 안료 195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5C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성형하는 동안,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 5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6중량부 및 탈이온수 15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26중량부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B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6A
순수한 C. I. 피그먼트 레드 144[20735]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무수 안료 26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240중량부와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6B
안료를 44.7%의 잔류 수분을 포함하는 함수 압축 케이크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372중량부의 습윤 압축 케이크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탈이온수 24중량부와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낮은 압출 압력하에 방사상 압출기로 압출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7A
원료로서 CINQUASIA 마젠타(Magenta) B RT-343-DTM(C. I. 피그먼트 레드 202[73907], 시바-가이기 아게, 바젤/스위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무수 안료 20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165중량부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7B
무수 안료 532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스테이벨라이트 레진 29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25중량부 및 탈이온수 91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318중량부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7C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가 용액 형태가 아니라 미세 분말 형태로 사용되고 안료, 암모니아 수용액 및 물로서 동시에 환상 베드 혼합기에 직접 충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B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8A
원료로서 CINQUASIA 마젠타 RT-243-DTM(C. I. 피그먼트 레드 202[73907], 시바-가이기 아게, 바젤/스위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무수 안료 345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129중량부와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8B
무수 안료 57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 30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205중량부 및 탈이온수 16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251중량부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8C
무수 안료 570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 30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21중량부 및 탈이온수 154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205중량부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9A
원료로서 CINQUASIA 마젠타 RT-101-DTM(C. I. 피그먼트 레드 19[73900], 시바-가이기 아게, 바젤/스위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무수 안료 335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 속에서 탈이온수 295중량부와 함께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다음, 이 페이스트를 방사상 압출기에서 낮은 압출 압력하에 압출시킨다. 압출된 입자를 회전 타원체로 라운딩시키고, 감압하에 10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9B
무수 안료 594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스테이벨라이트 수지TM 6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41중량부 및 탈이온수 513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560중량부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9C
무수 안료 594중량부를 환상 베드 혼합기에서 스테이벨라이트 레진 6중량부, 25% 암모니아 수용액 3중량부 및 탈이온수 541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550중량부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A의 과정을 반복한다. 생성된 입상체는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5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안료를, 무수 안료를 기준으로 하여, 54 내지 92중량%의 물, C1-C4 알콜, C3-C8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결합제와 결합제 속의 카복실 그룹 1몰당 0.8 내지 20몰의 암모니아 또는 C1-C3 아민, 및 유화제와 혼합하는 단계[1],
    당해 혼합물을 각각의 크기가 0.2 내지 5.0mm2인 하나 이상의 기공(aperture)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여기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와 기공을 포함하는 성형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성형 영역에서의 압력이 10bar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산출량으로 가동된다) 속으로 밀어넣는 단계[2],
    필요한 경우, 다이로부터 빠져나온 원주형 입상체를 회전 장치 위에서 난형체(ovoid) 또는 구상 입상체(spherical granule)로 전환시키는 단계[3] 및
    입상화된 생성물을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4]를 포함하는,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고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디옥사진, 안트라퀴논,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인디고, 이소인돌리논, 이소인돌린 및 프탈로시아닌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료 90중량% 이상, 1000g당 2 내지 7몰의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결합제 0 내지 10중량% 및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물 또는 C1-C4 알콜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10g/100mL 이상의 농도로 생성하는 중성 유화제 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여기서, 결합제와 유화제는 함께 10중량% 이하이고, 모든 중량%는 안료 입상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한다)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입상체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입상체가 필수적으로 구상이고, 직경이 0.5 내지 4mm인 입자 크기를 갖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안료가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또는 프탈로시아닌 안료인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안료가 화학식 VIII의 디케토피롤로피롤인 방법.
    화학식 VIII
    위의 화학식 VI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 , , , , , 또는 의 그룹[여기서,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알킬티오, C1-C18알킬아미노, C2-C18디알킬아미노, -CN, -NO2, 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 C5-C6사이클로알킬,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피롤릴, 옥사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C=N-(C1-C18알킬) 또는 이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CN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며, L은 -CH2-, -CH(CH3)-, -C(CH3)2-, -CH=N-, -N=N-, -O-, -S-, -SO-, -SO2- 또는 -NR15-이고, R1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이다.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2㎛인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아비에트산을 5중량% 이상 함유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결합제의 양이 5 내지 8중량%인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결합제의 양이 0.5 내지 2중량%인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암모니아가 사용되는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단계[1]에서 물이, 물, C1-C8알콜 및 C3-C8케톤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100중량%로 사용되는 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안료가 하나 이상의 1급 아미노 그룹을 가지며, 단계[1]에서 물이, 물, C1-C8알콜 및 C3-C8케톤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60중량%로 사용되는 방법.
  29. 제17항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료 입상체를 착색 유효량으로 사용하여, 고분자량 유기 물질을 착색시키는 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안료 입상체가, 착색시키고자 하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 사용되는 장치가 방사상 압출기인 방법.
  32. 제17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 사용되는 장치가 돔(dome)형 압출기인 방법.
  33. 제17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의 성형 영역이 편평형 또는 원통형이 아닌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의 성형 영역이 중공 원뿔대형인 방법.
  35. 삭제
  36. 제17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의 성형 영역이 반구형인 방법.
  37. 삭제
  38. 제17항에 있어서, 입상체가 33⅓용적% 미만의 공간을 함유하는 방법.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안료가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디옥사진, 안트라퀴논,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이소인돌리논 또는 프탈로시아닌인 방법.
  40.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이소인돌리논 및 아미노안트라퀴논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안료 90중량% 이상, 1000g당 2 내지 7몰의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결합제 0 내지 10중량%, 및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물 또는 C1-C4 알콜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10g/100mL 이상의 농도로 생성하는 중성 유화제 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여기서, 결합제와 유화제는 함께 10중량% 미만이고, 모든 중량%는 안료 입상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한다), 안료 입상체 중에 존재 하는 안료의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되, 단 입상체가, 입상체화 전에 도입되고 건조시 입상체 속에 보존되는 기포에 의해 방출되는 공간에 의해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벌크 용적을 갖고,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안료 입상체.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0항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구상인 안료 입상체.
  42. 제40항에 있어서, 안료가 퀴나크리돈 안료인 안료 입상체.
  43. 제40항에 있어서, 안료가 디케토피롤로피롤인 안료 입상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안료가 화학식 VIII의 디케토피롤로피롤인 안료 입상체.
    화학식 VIII
    위의 화학식 VI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 , , , , , 또는 의 그룹[여기서,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알킬티오, C1-C18알킬아미노, C2-C18디알킬아미노, -CN, -NO2, 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 C5-C6사이클로알킬,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피롤릴, 옥사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C=N-(C1-C18알킬) 또는 이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CN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며, L은 -CH2-, -CH(CH3)-, -C(CH3)2-, -CH=N-, -N=N-, -O-, -S-, -SO-, -SO2- 또는 -NR15-이고, R1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이다.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0항에 있어서,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2㎛인 안료 입상체.
  46. 제40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안료 입상체.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6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아비에트산을 5중량% 이상 함유하는 안료 입상체.
  48. 제46항에 있어서, 결합제의 양이 5 내지 8중량%인 안료 입상체.
  49. 제46항에 있어서, 결합제의 양이 0.5 내지 2중량%인 안료 입상체.
  50.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페릴렌, 인단트론, 플라반트론, 이소인돌리논 및 아미노안트라퀴논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안료 90중량% 이상, 1000g당 2 내지 7몰의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결합제 0.5 내지 2중량%, 및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물 또는 C1-C4 알콜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10g/100mL 이상의 농도로 생성하는 중성 유화제 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여기서, 결합제와 유화제는 함께 10중량% 이하이며, 모든 중량%는 안료 입상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한다), 안료 입상체 중에 존재 하는 안료의 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이고, 입자 크기가 0.5 내지 4mm인 안료 입상체.
  51. 제50항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구상이며 직경이 0.5 내지 4mm인 입자 크기를 갖는 안료 입상체.
  52. 제50항에 있어서, 안료가 퀴나크리돈 안료인 안료 입상체.
  53. 제50항에 있어서, 안료가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인 안료 입상체.
  54. 제53항에 있어서, 안료가 화학식 VIII의 디케토피롤로피롤인 안료 입상체.
    화학식 VIII
    위의 화학식 VIII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거나,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펜에틸이고,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 , , , , , 또는 의 그룹[여기서,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알킬티오, C1-C18알킬아미노, C2-C18디알킬아미노, -CN, -NO2, 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 C5-C6사이클로알킬,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피롤릴, 옥사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C=N-(C1-C18알킬) 또는 이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CN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며, L은 -CH2-, -CH(CH3)-, -C(CH3)2-, -CH=N-, -N=N-, -O-, -S-, -SO-, -SO2- 또는 -NR15-이고, R15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이다.
  55. 청구항 5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0항에 있어서,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2㎛인 안료 입상체.
  56. 제50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안료 입상체.
  57. 청구항 5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6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아비에트산을 5중량% 이상 함유하는 안료 입상체.
KR10-1999-7003491A 1996-10-22 1997-10-10 안료 입상화 KR100502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58096 1996-10-22
CH2580/96 1996-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98A KR20000052698A (ko) 2000-08-25
KR100502064B1 true KR100502064B1 (ko) 2005-07-25

Family

ID=42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491A KR100502064B1 (ko) 1996-10-22 1997-10-10 안료 입상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241813B1 (ko)
EP (1) EP0934364B2 (ko)
JP (1) JP4108757B2 (ko)
KR (1) KR100502064B1 (ko)
CN (1) CN1085235C (ko)
AU (1) AU5118198A (ko)
BR (1) BR9713272A (ko)
CA (1) CA2265520A1 (ko)
CZ (1) CZ140699A3 (ko)
DE (1) DE69717658T3 (ko)
WO (1) WO1998017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813B1 (en) * 1996-10-22 2001-06-0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Pigment granulation
EP0906938B1 (de) * 1997-10-01 2002-10-30 Ciba SC Holding AG Pigmentgranulierung
DE19941061A1 (de) * 1999-08-28 2001-03-01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granulaten
WO2002053652A1 (en) * 2000-12-29 2002-07-11 Roha Dyechem Limited Manufacturing process of spheroidal food dyes
DE10207370A1 (de) * 2002-02-22 2003-09-04 Clariant Gmbh Feuchtgranulate organischer 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8652219B1 (en) * 2006-02-22 2014-02-18 Ameripolish, Inc. Powdered dye material for concrete surfaces
HUE031235T2 (en) * 2010-02-03 2017-07-28 Aditya Birla Science And Tech Company Private Lt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mpons
JP2013520791A (ja) * 2010-02-19 2013-06-0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有機光起電力装置におけるインダントレン化合物の使用
EP2361956A1 (en) * 2010-02-22 2011-08-31 Inxel Trademark & Patents SAGL Composition of pigments soluble in water and/or in organic solvents
KR101222552B1 (ko) * 2010-03-25 2013-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컬러필터용 고내열성 dpp계 염료 및 그 제조방법
CN110791117A (zh) * 2018-08-01 2020-02-14 浙江浩川科技有限公司 一种芳香亚胺基取代的dpp类有机颜料及合成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19069A (ko) *
CH562310A5 (ko) 1972-04-07 1975-05-30 Ciba Geigy Ag
CH596280A5 (ko) 1974-09-13 1978-03-15 Ciba Geigy Ag
US4116924A (en) 1975-07-15 1978-09-26 Hercules Incorporated Pigment concentrations
US4208370A (en) 1975-11-06 1980-06-17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agglomerating a substance from a liquid system
CH604880A5 (ko) 1976-05-25 1978-09-15 Ciba Geigy Ag
FR2352582A1 (fr) 1976-05-25 1977-12-23 Ciba Geigy Ag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fabriquer des granules et granules obtenus par ce procede
US4168180A (en) 1976-10-29 1979-09-18 Hercules Incorporated Pigment concentrates
US4154622A (en) 1977-06-21 1979-05-1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Granular pigment composition
CH635862A5 (de) 1977-10-15 1983-04-29 Ciba Geigy Ag Verfahren zur granulierung von pigmenten.
GB1589159A (en) * 1978-05-31 1981-05-07 Ciba Geigy Ag Process for producing pigment and dyestuff compositions
EP0008083A1 (de) 1978-08-15 1980-02-20 Ciba-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en schwerschmelzbarer Zusatzstoffe für Kunststoffe, insbesondere von Pigmenten, durch thermische Rollgranulierung und die so erhaltenen Granulate
DE3018029A1 (de) 1980-05-10 1981-11-1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ubarmen praeparationen
FR2508430B1 (ko) 1981-06-25 1985-12-13 Ici Francolor
GB8320487D0 (en) 1983-07-29 1983-09-01 Silberline Ltd Metal pigment compositions
DE3327562A1 (de) 1983-07-30 1985-02-07 Basf Ag, 6700 Ludwigshafen Zubereitungen von leicht verteilbaren isoindolinpigmenten und deren verwendung
US5443764A (en) 1987-07-01 1995-08-22 Ici Australia Operations Propietary Limited Water-dispersible granules
US4879380A (en) 1988-05-05 1989-11-07 Basf Corp. Process for conditioning crude polyhalogenated pigments using a heterocyclic organic solvent
DE3920251A1 (de) 1989-06-21 1991-01-03 Basf Ag Hochkonzentrierte feste pigmentpraeparationen
US5055500A (en) 1989-10-24 1991-10-08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reating pigments
DE3935815A1 (de) 1989-10-27 1991-05-02 Degussa Staubarmes pigment- bzw. farbstoff-feingranulat
DE4113318A1 (de) 1991-04-24 1992-10-2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icht dispergierbaren pigmentgranulaten
US5328506A (en) 1992-10-01 1994-07-12 Engelhard Corporation Pigment products in an agglomerated form and use thereof in bulk shipments
US5455288A (en) 1994-01-26 1995-10-03 Needham; Donald G. Dustless color concentrate granules
DE59406885D1 (de) 1994-03-05 1998-10-15 Ispo Gmbh Beschichtungsmittelgranul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GB9521812D0 (en) 1995-10-25 1996-01-03 Ciba Geigy Ag Pigments
US6241813B1 (en) * 1996-10-22 2001-06-0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Pigment gran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4364B1 (en) 2002-12-04
EP0934364B2 (en) 2008-07-09
US6241813B1 (en) 2001-06-05
JP4108757B2 (ja) 2008-06-25
CA2265520A1 (en) 1998-04-30
AU5118198A (en) 1998-05-15
KR20000052698A (ko) 2000-08-25
CZ140699A3 (cs) 1999-07-14
JP2001502730A (ja) 2001-02-27
DE69717658T3 (de) 2008-11-06
EP0934364A1 (en) 1999-08-11
DE69717658T2 (de) 2003-08-21
US20010006034A1 (en) 2001-07-05
BR9713272A (pt) 2000-03-28
CN1085235C (zh) 2002-05-22
US6423132B2 (en) 2002-07-23
CN1234053A (zh) 1999-11-03
WO1998017729A1 (en) 1998-04-30
DE69717658D1 (de)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022B1 (ko) 유기안료와특정입자크기의충전재를포함하는새로운안료조성물
KR101242502B1 (ko) 유기 및 무기 안료의 아크릴 수지로의 코팅
KR100502064B1 (ko) 안료 입상화
BRPI0621911A2 (pt) composição de partìcula, uso da composição,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mesma
KR100674322B1 (ko) 안료 과립의 제조 방법
JPH11148024A (ja) 攪拌型顔料配合物
KR100837180B1 (ko) 안료 과립의 제조 방법
CA2188814C (en) Pigments
KR101530866B1 (ko) 열-안정한 캡슐화된 안료
CS214677B2 (en) Method of making the pigment preparations
US5964938A (en) Pigment granulation
JP2807516B2 (ja) 染料及び/又は顔料を含む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ような組成物を使用して得られる生成物
JP4353558B2 (ja) 顔料の造粒
MXPA99003115A (en) Pigment granulation
EP1188798B1 (de) Pigmentgranulate
USRE38469E1 (en) Pi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